KR101239692B1 -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692B1
KR101239692B1 KR1020110053924A KR20110053924A KR101239692B1 KR 101239692 B1 KR101239692 B1 KR 101239692B1 KR 1020110053924 A KR1020110053924 A KR 1020110053924A KR 20110053924 A KR20110053924 A KR 20110053924A KR 101239692 B1 KR101239692 B1 KR 10123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d
cylinder
permeability coeffici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773A (ko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5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6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G01N15/0826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and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permeation rate or pressure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는 좌측에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우측에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질소가스가 내부에 주입되는 가스 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이 주입되고 상기 가스 실린더로부터 질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하단에 형성된 물 유출공을 통해 물이 유출되는 워터 실린더와,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유동 통로가 형성되어 워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는 관입 로드와, 상기 관입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상기 관입 로드를 통해 투수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반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다수의 환상 슬릿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유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Device for measuring hydraulic conductiv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직접 토양의 투수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개발 또는 지반 내의 오염물질 확산과정의 추적 등을 위해 토양의 투수계수 측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의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현장에서 시추공을 천공한 다음 투수계수를 얻고자 하는 깊이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투수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 샘플을 실험실로 운반하여 투수계수를 측정할 경우 샘플의 변형 등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실제 투수계수와 차이가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투수계수를 얻기 위해 수 일이 걸리는 등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현장에서 직접 투수계수를 측정하는 방법 또한 시도되고 있으나, 한 곳에서 깊이를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투수계수를 측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장에서 직접 투수계수를 측정함과 동시에 깊이를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투수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는,
좌측에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우측에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질소가스가 내부에 주입되는 가스 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이 주입되고 상기 가스 실린더로부터 질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하단에 형성된 물 유출공을 통해 물이 유출되는 워터 실린더와, 상기 워터실린더로부터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유동 통로가 형성되어 워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는 관입 로드와, 상기 관입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상기 관입 로드를 통해 투수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반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다수의 환상 슬릿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유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출봉(도1)의 하단에는 역 원뿔형상의 관입콘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봉(도 2)은 토양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부에 다수의 환상 슬릿이 일정 간격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방법은 하부에 유출봉이 결합된 관입 로드를 토양에 관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입 로드의 상부에 워터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스 실린더에 주입된 질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워터 실린더에 주입된 물을 관입 로드를 거쳐 외주면에 다수의 환상 슬릿이 적층되는 유출봉을 통해 유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 깊이에서 측정이 완료된 다음 측정 깊이를 변화시켜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기매립된 관입 로드로부터 워터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를 제거하는 단계와, 기매립된 관입 로드의 상부에 또 다른 관입 로드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또 다른 관입 로드를 토양에 관입시키는 단계와, 또 다른 관입 로드의 상부에 워터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깊이를 달리하면서 연속적으로 투수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질소가스를 이용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서 유출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는 가스 실린더(10)와, 가스 실린더(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워터 실린더(20)와, 워터 실린더(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관입 로드(30)와, 관입 로드(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유출봉(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가스 실린더(10)는 내부에 질소 가스가 충진되는 곳으로, 좌측에 가스 유입밸브가 구비된 가스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가스 유출밸브가 구비된 가스 유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가스 실린더(10)의 하부에는 워터 실린더(20)로 물을 주입하기 위해 물 유입밸브가 구비된 물 유입구(13)가 형성되고, 가스 실린더(10)의 상부에는 내부의 가스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게이지(14)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 실린더(20)는 가스 실린더(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곳으로, 외주면에는 세로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22)이 새겨져 있고, 상부에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공기 배출밸브가 구비된 공기 배출구(2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워터 실린더(20)로부터 물이 관입 로드(30)로 유출되는 물 유출공(23)이 형성된다. 가스 실린더(10)와 워터 실린더(20) 사이 및 워터 실린더(20)와 관입 로드(30) 사이에는 각각 기밀 커플러(15,24)가 결합된다.
상기 관입 로드(30)는 하부에 유출봉이 결합되어 측정초기에 관입기(미도시)에 의해 토양에 매립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워터 실린더(20)로부터 유출된 물이 이동되는 유동 통로가 형성되고, 워터 실린더(20)의 하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결합된다.
상기 유출봉(40)은 관입 로드(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워터 실린더(20)로부터 관입 로드(40)를 통해 투수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반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환상(環像, annular) 슬릿(41)(slit)이 일정간격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워터 실린더(20)로부터 물이 다수의 슬릿(41)을 통해 토양으로 유출되게 된다. 유출봉(40)의 하단에는 토양으로의 관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역원뿔 형상의 관입콘(50)이 결합된다.
한편, 도2는 유출봉(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유출봉(40)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역원뿔 형상(42)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다수의 환상 슬릿(41)이 일정 간격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유출봉(40)은 긴 역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토양으로의 관입이 보다 용이하고 별도의 관입콘이 불필요한 장점과 토양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토양의 투수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부로부터 순차 결합되는 관입콘(50), 유출봉(40) 및 관입 로드(30)를 별도의 관입기(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투수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토양에 수직으로 관입시킨다.
관입 단계가 완료되면, 관입 로드(30)로부터 관입기를 분리시킨 다음 관입 로드(30)의 상부에 워터 실린더(20)와 가스 실린더(10)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물 유입구(13)를 통해 워터 실린더(20)에 물을 주입하고, 가스 실린더(10)에 가스 유입구(11)를 통해 질소 가스를 소정 압력으로 주입하여 유출봉(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환상 슬릿(41)을 통해 물을 유출시킨다.
이와 같이 유출봉(40)을 통해 물을 유출시키면서 워터 실린더(20)로부터 유출봉(40)을 통해 유출되는 물의 시간당 유량을 워터 실린더(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을 통해 측정한다.
유출되는 물의 시간당 유량이 측정되면 원하는 측정 깊이에서 투수계수는 다음의 수식으로 도출될 수 있다(이 때 질소가스의 압력은 물기둥의 높이로 환산하여 Δh 에 반영될 수 있다).
Figure 112011042041355-pat00001
------------------(식1)
여기서,
Figure 112011042041355-pat00002
K : 투수계수
Q : 시간당 유량
Δh : 워터 실린더(20)에서 지하수위(W)까지의 깊이
as : 유효 반경
a : 유출봉(40)의 반경
l : 유출봉(40)의 길이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소정 깊이에서 투수계수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측정 깊이를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먼저, 소정 깊이에서 측정이 완료된 후 두 기밀 커플러(15,24)를 분리하여 관입 로드(30)로부터 워터 실린더(20)와 가스 실린더(10)를 제거한 다음 기매립된 관입 로드(30)의 상부에 또 다른 관입 로드(30)를 연결하여 관입기를 통해 토양에 관입시킨다. 그 다음, 또 다른 관입 로드(30)의 상측에 워터 실린더(20)와 가스 실린더(10)를 결합시켜 전술한 바와 같은 측정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 실시간 현장에서 투수계수를 측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한번의 관입으로 측정 깊이를 달리하여 투수계수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방법은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물을 유출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측정할 수 있어 측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과 함께 긴 워터 실린더(20)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 또한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 실린더 20 : 워터 실린더
30 : 관입 로드 40 : 유출봉
50 : 관입콘

Claims (8)

  1.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로서,
    좌측에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우측에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질소가스가 내부에 주입되는 가스 실린더와,
    상기 가스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물이 주입되고 상기 가스 실린더로부터 질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하단에 형성된 물 유출공을 통해 물이 유출되는 워터 실린더와,
    내부에는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이동하는 유동 통로가 형성되어 워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는 관입 로드와,
    상기 관입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상기 관입 로드를 통해 투수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토양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다수의 환상 슬릿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유출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봉의 하단에는 역 원뿔형상의 관입콘이 더 구비되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 깊이를 변화시켜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관입 로드와 워터 실린더 사이에 또 다른 관입 로드가 결합되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실린더의 상부에는 내부의 가스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게이지가 더 구비되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봉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부에 다수의 환상 슬릿이 일정 간격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7. 토양 투수계수 측정방법으로서,
    하부에 유출봉이 결합된 관입 로드를 토양에 관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입 로드의 상부에 워터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스 실린더에 주입된 질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워터 실린더에 주입된 물을 관입 로드를 거쳐 외주면에 다수의 환상 슬릿이 적층되는 유출봉을 통해 유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워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소정 깊이에서 측정이 완료된 다음 측정 깊이를 변화시켜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기매립된 관입 로드로부터 워터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를 제거하는 단계와,
    기매립된 관입 로드의 상부에 또 다른 관입 로드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또 다른 관입 로드를 토양에 관입시키는 단계와,
    또 다른 관입 로드의 상부에 워터 실린더와 가스 실린더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양 투수계수 측정방법.
KR1020110053924A 2011-06-03 2011-06-03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23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24A KR101239692B1 (ko) 2011-06-03 2011-06-03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24A KR101239692B1 (ko) 2011-06-03 2011-06-03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73A KR20120134773A (ko) 2012-12-12
KR101239692B1 true KR101239692B1 (ko) 2013-03-06

Family

ID=4790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924A KR101239692B1 (ko) 2011-06-03 2011-06-03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6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35B1 (ko) * 2014-10-14 2016-01-25 한국원자력연구원 하상 및 하천 퇴적층에서 수위제어기를 가지는 분리형 투수성 시험장치
CN108051358A (zh) * 2017-12-15 2018-05-18 东南大学 一种用于精确量测土体渗透系数的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377B1 (ko) 2014-09-23 2016-06-01 주식회사 이니컴퍼니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108204939A (zh) * 2017-12-15 2018-06-26 东南大学 一种评价污染物扩散的透水性分析探测仪及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737Y2 (ja) * 1991-02-27 1995-11-01 サンケイ理化株式会社 土壌等の水分測定器
JPH088440Y2 (ja) * 1989-11-27 1996-03-06 サンケイ理化株式会社 土壌水分測定器
JPH095226A (ja) * 1995-06-21 1997-01-10 Masatoshi Aoki 土壌水分計
KR20020053278A (ko) * 2000-12-27 2002-07-05 박원규, 조종수 투수계수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40Y2 (ja) * 1989-11-27 1996-03-06 サンケイ理化株式会社 土壌水分測定器
JPH0747737Y2 (ja) * 1991-02-27 1995-11-01 サンケイ理化株式会社 土壌等の水分測定器
JPH095226A (ja) * 1995-06-21 1997-01-10 Masatoshi Aoki 土壌水分計
KR20020053278A (ko) * 2000-12-27 2002-07-05 박원규, 조종수 투수계수 측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235B1 (ko) * 2014-10-14 2016-01-25 한국원자력연구원 하상 및 하천 퇴적층에서 수위제어기를 가지는 분리형 투수성 시험장치
CN108051358A (zh) * 2017-12-15 2018-05-18 东南大学 一种用于精确量测土体渗透系数的装置及其工作方法
CN108051358B (zh) * 2017-12-15 2020-06-16 东南大学 一种用于精确量测土体渗透系数的装置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73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1192B (zh) 一种模拟页岩气压后单缝返排的实验装置及方法
KR101239692B1 (ko) 토양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EP2725340B1 (en) Permeameter for in-situ measurement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US9658147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porous media
CN203606259U (zh) 一种测定非饱和土入渗规律的装置
CN102331282B (zh) 土壤深层水量渗漏测试记录仪
CN102768174A (zh) 测定原煤渗透率的实验装置及方法
CN103278516B (zh) 基于顶部垂直注气的岩心ct扫描方法
CN105717017A (zh) 一种用于粗糙裂隙岩体渗透性能测试的试验方法
US20150033842A1 (en) In-Situ Scour Testing Device
JP2015045527A (ja) 透水試験装置
CN103389260A (zh) 桩基础阻碍地下水渗流的室内模拟试验方法
CN204212189U (zh) 用于泥浆护壁冲孔灌注桩沉渣层厚度测定装置
CN107102378B (zh) 利用孔压静力触探测定承压含水层水位与水头高度的方法
CN105717015A (zh) 米级尺度裂隙岩体的渗透性能测试方法
CN103233453A (zh) 一种原位土体勘察装置及勘察方法
CN110261277A (zh) 一种确定饱和原位土样临界水力坡降的试验装置和方法
CN206052798U (zh) 一种适用于灌注桩浇注过程模拟的模型试验装置
CN104251807B (zh) 一种裂隙介质不同渗流路径渗透水压测定装置
CN107389532A (zh) 一种用于测试多孔工程材料空隙分布特征的试验装置及方法
CN207775952U (zh) 声测管保护装置
CN106568623A (zh) 一种拼接式的大体积圆柱状重塑土试样的制作方法
CN108425355B (zh) 土压力计埋设装置及埋设方法
JP5250488B2 (ja) 注入工法支援処理装置、注入工法支援処理方法及び注入工法
JP2017002677A (ja) 地盤改良薬液の注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