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883B1 - 고로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883B1
KR101238883B1 KR1020090111086A KR20090111086A KR101238883B1 KR 101238883 B1 KR101238883 B1 KR 101238883B1 KR 1020090111086 A KR1020090111086 A KR 1020090111086A KR 20090111086 A KR20090111086 A KR 20090111086A KR 101238883 B1 KR101238883 B1 KR 10123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base
transfer
drill bit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450A (ko
Inventor
유정열
오두환
김광래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한성중공업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중공업,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한성중공업
Priority to KR102009011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8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고로 벽면의 천공 시 그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이에 의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고로 천공장치를 제공한다.
고로, 천공, 베이스, 이송부, 구동부터, 이송스크류, 드릴비트

Description

고로 천공장치{DEVICE FOR DRILLING FURNACE}
본 발명은 고로를 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스테이브에 냉각포트를 장착하기 위해 고로 벽면을 천공함에 있어서,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고로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또는 용광로는 내부에 광석이나 코크스 등의 광석을 장입시킨 상태에서 송풍구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환원 반응시켜 하부측으로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로 또는 용광로는 보통 높이가 10~25미터에 이르는 높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로 또는 용광로의 벽면은 가장 외측으로부터 철판, 내화벽 및 스테이브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스테이브는 내측에 냉각수가 순환 공급되는 냉각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고로 또는 용광로는 한번 제작하게 되면 그 사용 연한이 수 십년에 달하게 된다. 노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계속된 노의 열 부하에 의하여 작업 중 스테이브의 열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내화벽이 떨어지거나 파손된다. 이에 스테이브에 구비된 냉각로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냉각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로의 벽면을 천공하여 스테이브에 구비된 냉각로에 냉각 포트를 삽입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코어드릴을 사용하여 고로의 벽면을 천공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코어드릴에 의한 천공작업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고로 벽면을 천공하는 동안 고로를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드릴비트의 절삭팁을 도입하고 고출력의 유압모터를 사용하여 고로 벽면의 천공 시 그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이에 의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는 고로 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로 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천공장치의 안정적인 지지와 작업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고로 천공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몸체와, 이 몸체 선단에 설치되는 절삭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냉각수를 몸체 선단으로 분출하는 냉각수공급부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의 후방으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 칩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된 이송본체와, 상기 이송본체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제1 나선부가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는 지지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안내홀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어 공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제1 나선부에 대응하는 제2 나선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 나선부와 나사결합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 후단부에 연결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류와 연결되는 수동핸들일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류와 연결되는 감속기와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고로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고로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종래에 코어드릴에 의하여 스테이브에 냉각포트를 장착하기 위해 고로 벽면을 장시간 동안 천공하던 것을 드릴비트의 절삭팁을 도입하고 고출력의 유압모터를 사용하여 고로 벽면의 천공 시 그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이에 의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환경이나 작업조건 또는 작업량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천공장치의 호환성을 높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로의 외벽면에 고정시켜 천공 작업이 가능하므로, 일정한 무게와 부피를 갖는 천공장치의 안정적인 지지와 작업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천공장치는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천공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부(30)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릴비트(40)를 포함한다.
이에 이송부(20)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되면 이송부에 설치된 천공부의 드릴비트(40)가 고로(도 6의 F 참조) 쪽으로 이동하여 고로에 천공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장치의 드릴비트(40)가 향하는 쪽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이라 하고, 베이스(10)가 위치하는 쪽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하고, 이송부(20)이 위치하는 쪽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는 본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양측에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살빼기 구조를 취하고 있어 재료와 재료비를 절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부와, 양측부에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보강리 브(13)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10) 강도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전방과 후방에 상기 보강리브(13)의 두께가 확대된 전방 보강플랜지(15)와 후방 보강플랜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 하부는 그 형상이 대략 돔(dome) 형태로 이루어진다. 돔 형태인 베이스 하부의 양측에는 블록 형태의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는 연결부재(14)가 돌출 설치되고 이 연결부재의 하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보강플랜지(15)에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고정브라켓(도 5의 50 참조)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결합공(17)이 관통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은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진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20)는 이송본체(21)와, 이송본체에 설치되는 지지체(23), 지지체에 치합되는 이송스크류(27) 및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수단(29)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본체(21)는 상기 베이스(10)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본체(21)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11)을 활주 가능한 가이드블록(21a)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본체(21)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가이드홈(21b)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이송본체(21)는 가이드블록(21a)와 가이드홈(21b) 사이에 가이드레일(11)이 끼워져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본체(21) 하부에는 천공부가 설치되도록 구동모터(31)가 내장되는 장착부(21c)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23)는 상기 이송본체(21)의 후방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제1 나선부(23b)가 형성된 가이드공(23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상기 고정체(25)는 상기 베이스(10) 후단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7)가 삽입되어 공회전 가능하도록 안내공(25a)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에 상기 이송스크류(27)는 안내공(25a)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27)는 상기 고정체(25)의 안내공(25a)에 삽입되어 공회전 가능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공(23a)의 제1 나선부(23b)에 대응하는 제2 나선부(27a)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7)는 상기 가이드공(23a)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나선부(27a)를 매개로 제1 나선부(23b)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상기 이송스크류(27)이 양방향을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나선부(23b)와 제2 나선부(27a)에 의하여 상기 이송본체(21)가 상기 이송스크류(27)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수단(29)은 상기 이송스크류(27)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27)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본체(21)가 이송스크류(27)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수동운행방식 또는 기계운행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동운행방식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작동수단(29)은 수동핸들(29a)이 상기 이송스크류(27)의 선단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가 수동핸들(29a)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본체(21)의 운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이송스크류를 기계식으로 운행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작동수단(29)은 감속기(29b)와 서보모터(29c)가 상기 이송스크류(27)과 연결되고, 제어패널(미도시)에 구비된 콘트롤부(C)가 작동수단(29)과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콘트롤부(C)가 서보모터(29c)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이송본체(21)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환경이나 작업조건 또는 작업량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수동 및 자동운행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적용함으로써 본 천공장치의 호환성을 높이고, 이에 의하여 작업능률을 극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천공부를 구성하는 구동모터(31)는 상기 이송부(20)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본체(21)의 장착부(21c)에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본체(21)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은 상기 이송부(20)의 이송본체(21)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32) 선단에 드릴비트(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고로(도 6의 F)의 벽면을 드릴비트(40)로 천공하기 위하여 상당히 높은 출력의 회전력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31)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져 원하는 출력을 얻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1)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펌프(37)는 연결관(38)을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31)와 연결된다. 상기 유압펌프(37)는 본 천공장치와 분리되어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유압펌프(37)의 용량은 구동모터(31)에 의한 출력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략 50마력 정도의 출력이 요구되므로 이에 따른 유압펌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에 의한 압력에너지가 공급되면 액츄에이터인 구동모터(31)는 이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구동함으로써 구동축(32)에 연결된 드릴비트(40)에 의하여 고로(F)의 벽면을 천공하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비트(40)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 전방에 설치되는 절삭팁(4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릴비트(40)의 몸체(41)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냉각수공급부(42)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의 후방으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 칩배출부(43)가 더 형성된다.
상기 드릴비트(40)에서 상기 몸체(41)의 냉각수공급부(42)는 상기 몸체(41)가 결합되는 구동축(32)에 형성된 냉각수통로(35)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32)에 형성되는 냉각수통로(35)는 구동모터로 연결되는 냉각수 공급호스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구동축을 통한 냉각수 공급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41) 전방부에는 상기 냉각수공급부(42)와 연통되는 복수의 냉각수배출공(42a)이 형성된다. 이에 고로(F) 천공작업 시 냉각수배출공(42a)으로부터 냉각수가 분출되어 드릴비트(40)의 절삭팁(47)과 고로(F)의 외벽부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절삭팁(47)은 상기 몸체(41) 전방, 즉 상기 칩배출부(43) 전방에 설 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삭팁(47)은 복수로, 양편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어 설치되어 구동모터(31)의 회전 시 고로(F)의 외벽면을 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드릴비트(40)의 칩배출부(43)는 상기 몸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배출로(43a)와, 상기 배출로(43a) 후방에 형성되어 절삭 칩의 배출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배출유도부(43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칩배출부(43)에서 상기 배출로(43a)는 상기 각 절삭팁(47)과 후방에 대칭을 이루며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로(43a)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선형 배출로(43a)는 상기 드릴비트(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드릴비트(40)의 회전 시 절삭 칩이 배출로(43a)를 따라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도부(43b)는 상기 배출로(43a) 후단에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절삭 칩이 배출로(43a)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어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배출로(43a) 후단에 경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후방으로 이송된 절삭 칩이 배출로(43a) 후단에 부딪혀 역류하거나 또는 비산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구조의 드릴비트는 고정축과의 결합을 위해, 몸체(41) 후단에 대응끼움돌기(4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32)에는 상기 대응끼움돌기(44)가 삽입되는 끼움홈(33)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32)은 외주면에 상기 끼움홈(33)과 연통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홈(33a)이 형성된다. 상기 대응끼움돌기(44)에는 상기 고정 홈(33a)에 상응하는 대응고정홈(44a)이 형성된다. 이에 고정홈(33a)과 대응고정홈(44a)으로 고정볼트(3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구동축(32)에 드릴비트(40)가 고정된다.
다만 상기 구동축(32)의 끼움홈(33)에 드릴비트(40)의 대응끼움돌기(44)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고정홈(33a)과 대응고정홈(44a)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33) 내벽면에 위치결정홈(34) 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대응끼움돌기(44) 외주면에는 위치결정돌기(45) 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에는 위치결정홈(34)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비트의 몸체 후방에는 위치결정돌기(45)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위치결정홈(34)과 위치결정돌기(45)에 의해 드릴비트와 구동축의 결합 위치가 정확히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3)의 고정홈(33a)과 대응끼움돌기(44)의 대응고정홈(44a)이 정확 위치에 배열되어 고정볼트(36)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그 결합의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상기 베이스(10)를 고정대상체인 고로(F) 외측벽면에 고정시켜 천공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브라켓(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0)은 고정대상체인 고로(F)의 외측벽면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5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1) 후방에 배열되고, 하부에는 상기 드릴비트(40)를 위한 관통공(52a)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2)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1) 및 지지플레이트(52)에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보강플랜지(15)에 형성된 결합공(17)에 상응하는 대응결합공(53)이 형성된다.
이에 전방으로부터 고정플레이트(51), 지지플레이트(52) 및 베이스(10)의 전방 보강플랜지(15)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7)과 대응결합공(53)을 통하여 결합핀(54)이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10)가 고로(F)의 외측벽면에 고정된다.
이에 고로(F) 벽면 천공 작업 시 벽면의 천공이 필요한 위치에 상기 고정브라켓(50)을 매개로 고로(F) 외벽면에 본 천공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천공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정한 무게와 부피를 갖는 천공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작업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의 수동 이송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의 드릴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의 드릴비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의 드릴비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로 천공장치가 고정브라켓에 의하여 고로 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11 : 가이드레일
13 : 보강리브 14 : 연결부
17 : 결합공 20 : 이송부
21 : 이송본체 23 : 지지체
25 : 고정체 27 : 이송스크류
29 : 작동수단 30 : 구동모터
31 : 구동축 35 : 냉각수통로
40 : 드릴비트 41 : 몸체
42 : 냉각수공급부 43 : 칩배출부
47 : 절삭팁 50 : 고정브라켓
51 : 고정플레이트 52 : 지지플레이트
53 : 대응결합공 54 :결합핀

Claims (5)

  1.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고로의 측벽을 천공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된 이송본체와, 상기 이송본체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제1 나선부가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는 지지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안내홀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어 공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제1 나선부에 대응하는 제2 나선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 나선부와 나사결합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 후단부에 연결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고로 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고로 천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비트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이 몸체 선단에 설치되는 절삭팁, 상기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부, 상기 몸체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와 연통되어 냉각수가 분출되는 냉각수배출공, 상기 몸체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의 후방으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 칩배출부를 포함하는 고로 천공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로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고로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고로 천공장치.
KR1020090111086A 2009-11-17 2009-11-17 고로 천공장치 KR10123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86A KR101238883B1 (ko) 2009-11-17 2009-11-17 고로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86A KR101238883B1 (ko) 2009-11-17 2009-11-17 고로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50A KR20110054450A (ko) 2011-05-25
KR101238883B1 true KR101238883B1 (ko) 2013-03-04

Family

ID=4436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086A KR101238883B1 (ko) 2009-11-17 2009-11-17 고로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791B1 (ko) 2015-07-01 2021-11-10 주식회사 포스코 철판 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110A (ja) * 1991-09-26 1994-03-29 Dango & Dienenthal Kg 冶金容器、特に高炉用の湯出し口穿孔機械
KR20000014612A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용광로의 출선구 개공용 비트 및 그 제조방법
US6086816A (en) * 1997-05-08 2000-07-11 Pohang Iron & Steel Co., Ltd. Tap hole drilling machine for blast furnace, drill bit for use in tap hole drilling machine, and tap hole drilling method
JP2008133594A (ja) 2006-11-27 2008-06-12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残銑穿孔用ビ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110A (ja) * 1991-09-26 1994-03-29 Dango & Dienenthal Kg 冶金容器、特に高炉用の湯出し口穿孔機械
US6086816A (en) * 1997-05-08 2000-07-11 Pohang Iron & Steel Co., Ltd. Tap hole drilling machine for blast furnace, drill bit for use in tap hole drilling machine, and tap hole drilling method
KR20000014612A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용광로의 출선구 개공용 비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133594A (ja) 2006-11-27 2008-06-12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残銑穿孔用ビ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50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1073B (zh) 用于通过喷射灌浆来用于土壤固结中的潜孔锤钻的装置
CN102057129A (zh) 包括用于钻岩机的冲洗头的设备和方法,以及包括该设备的钻岩机
KR101238883B1 (ko) 고로 천공장치
CN110790484B (zh) 一种玻璃管成型系统
CN110469297B (zh) 煤矿井下瓦斯抽采定向钻孔长距离筛管完孔装备与方法
US201301400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at a rock drilling apparatus and a rock drilling apparatus
EP2514551A1 (en) Machine tool head for friction stir welding, including a floating hold-down plate
CN1068051C (zh) 高炉出铁口钻孔器、出铁口钻孔器用钻头及其钻孔方法
CN111894507A (zh) 一种径向振打方法
CN105922460B (zh) 一种用于建筑材料的打孔组件
CN110905522A (zh) 一种打井机
CN207026618U (zh) 一种多线切割机床槽轮快速装卸机构
CN101581195B (zh) 一种环保型潜孔锤凿岩钻机
CN208347693U (zh) 一种精准导向双驱动力增强型扩孔钻头
CN201020815Y (zh) 疏通气化炉热电偶安装孔的钻孔机
CN116816254B (zh) 一种矿石开采岩层钻进设备
KR101178648B1 (ko) 제철로 천공용 드릴비트
CN111076553A (zh) 一种开封及堵塞电石炉排料口方法和所用器件
CN112983288B (zh) 一种快速升降装置及反井钻机
CN220036625U (zh) 作业机械水系统及作业机械
CN114515894B (zh) 铣井装置及铣井方法
CN220929286U (zh) 一种大口径救援钻机的螺旋轴驱动装置
KR200278281Y1 (ko) 고로 개공기의 탭핑소켓
CN215983978U (zh) 一种堵孔装置及具有其的等离子体炉
CN208772514U (zh) 一种能够加快钻孔速度的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