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882B1 -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882B1
KR101238882B1 KR1020090085890A KR20090085890A KR101238882B1 KR 101238882 B1 KR101238882 B1 KR 101238882B1 KR 1020090085890 A KR1020090085890 A KR 1020090085890A KR 20090085890 A KR20090085890 A KR 20090085890A KR 101238882 B1 KR101238882 B1 KR 10123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ar
removal blade
wir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004A (ko
Inventor
권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8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8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밸트 표면을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하게 청소하여 부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밸트의 변형에 관계없이 밸트와의 밀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밸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원호형태로 만곡된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를 따라 설치되고 밸트에 밀착되어 밸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날과, 상기 제거날을 밸트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를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85890
제거날, 원호, 회동바, 작동바, 와이어, 무게추

Description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DEVICE FOR CLEANING BELT OF CONVEYOR}
본 발명은 밸트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밸트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나 연료 등은 밸트 컨베이어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표면에 광석 등의 원료나 연료가 부착되게 된다. 이에 밸트 컨베이어에는 밸트 표면에 부착된 원료나 연료를 제거하여 밸트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밸트 청소를 위한 장치는 스크래퍼 구조로 크리너가 밸트의 일면에 밀착되어 밸트에 부착된 원료나 연료 등을 긁어 제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밸트 컨베이어와의 이격 현상으로 부착물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밸트 컨베이어는 원료나 연료 등이 밸트의 가운데 부분에 주로 적재되므로 밸트의 중앙부가 다른 부위보다 더 마모된다. 이에 밸트는 폭방향으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변형된다. 또한, 밸트 청소 장치의 크리너 역시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가운데 부분이 집중 마모된다.
따라서 종래 장치의 경우 밸트의 중앙부와 크리너와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크리너에 의한 밸트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밸트의 중앙부에서는 부착물의 제거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밸트가 진행되면서 밸트에 부착된 부착물이 누적 체류되어 크리너에 외력을 가함에 따라 크리너가 밸트로부터 이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밸트 표면을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하게 청소하여 부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밸트의 변형에 관계없이 밸트와의 밀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부착물을 계속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밸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원호형태를 이루어 밸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날과, 상기 제거날을 밸트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날은 밸트의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부착물이 제거날에 가하는 외력이 측면쪽으로 분산되어 제거날이 부착물에 의해 밀려 밸트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부는 밸트의 폭방향 선단쪽에 배치되어 설비상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제거날 선단에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당겨 제거날을 밸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중앙부가 설비상에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일측 선단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작동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선단과 상기 작동바 사이에 탄성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는 제거날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비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바의 회동영역에 위치하는 멈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밸트가 마모되더라도 제거날을 밸트에 지속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제거날과 밸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밸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밸트나 제거날의 사용 수명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거날이 만곡되어 있어서 밸트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날에 가하는 외력이 측면으로 분산되어, 부착물의 외력에 의한 제거날의 벌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장치는 밸트 풀리(도 3의 P 참조)쪽에 배치되어 원료나 연료의 이송을 완료하고 밸트 풀리(P)를 지나 아래를 향하는 밸트(100)의 표면에 접하여 밸트 표면을 청소하게 된다.
본 장치는 밸트(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원호형태로 만곡된 플레이트(10)와, 이 플레이트(10)를 따라 설치되고 밸트(100)에 밀착되어 밸트(100)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날(12)과, 상기 플레이트(10)를 이동시켜 제거날(12)을 밸트(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10)는 밸트(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바(14)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14)는 직선형태로 밸트(100)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레이트(10)는 만곡된 구조로 이동바(1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밸트(100)의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플레이트(10)를 따라 설치되는 제거날(12) 역시 밸트(100)의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다. 상기 제거날(12)은 하나의 구조물로 플레이트(10)에 볼트(16) 등을 매개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거날(12)의 상단은 플레이트(10)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밸트(100)에 접한다. 이에 밸트(100) 이동시 밸트(100)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날(12)에 걸려 밸트(100)로부터 탈락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거날(12)이 원호형태로 만곡되어 있어서 부착물이 제거날(12)에 가하는 외력은 밸트(100) 측면쪽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제거날(12)이 부착물에 의해 밸트(100)의 진행방향으로 밀려 밸트(100)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밸트(100)의 이동에 따라 밸트(100)에 부착된 부착물은 밸트(100)의 이동방향으로 제거날(12)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제거날(12) 은 만곡된 구조로 부착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부착물에 의한 외력은 밸트(100)의 진행방향과 밸트(100)의 폭방향쪽으로 분산된다. 이에 밸트(100)의 진행방향으로 가해지는 부착물의 외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부착물에 의해 제거날(12)이 밀려 밸트(100)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날(12)은 초경합금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거날(12)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밀착부(20)는 밸트(100) 및 제거날(12)의 마모에 따른 변형시에도 상기 제거날(12)을 지속적으로 밸트(100) 표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부(20)는 밸트(100)의 폭방향 선단쪽의 프레임(22) 상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이동바(14) 선단에 설치되는 회동바(24)와, 상기 회동바(24)에 연결되는 와이어(26), 상기 와이어(26)를 당겨 플레이트(10)에 설치된 제거날(12)을 밸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24)는 중앙부가 프레임(22)에 설치된 회동축(28)에 끼워져 축결합된다. 이에 상기 회동바(24)와 결합되는 이동바(14)는 회동바(24)의 축 중심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회동바(24)가 회동되면 이동바(14)가 회동축(28)을 중심으로 이동되어 제거날(12)이 이동바(14)의 회동반경을 따라 밸트(100)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바(24)의 선단은 이동바(14) 선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홀(30)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부호 (32)는 상기 홀(30)에 끼워지는 이동바(14)를 고정하기 위해 회동바(24)에 설치되는 볼트이다.
또한, 상기 회동바(24)가 설치되는 프레임(22)의 저면에는 상기 회동바(24)의 회동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멈춤부재(34)가 설치된다. 상기 멈춤부재(34)는 프레임(22)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22) 저면과 상기 회동바(24) 사이로 돌출된다. 이에 상기 회동축(28)을 중심으로 회동바(24)가 회동될 때 회동바(24)의 선단이 멈춤부재(34)에 걸리면서 그 회동량이 제어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멈춤부재는 볼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멈춤부재인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주면 프레임(22)에 대한 돌출량이 조정된다. 이에 회동바(24)의 회동각도 즉, 제거날(12)의 이동 한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부(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밸트(100)의 폭방향 선단쪽에 배치되어 이동바(14)의 각 선단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일정한 압력으로 제거날(12)을 밸트(100)에 지속적으로 밀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는 중앙부가 설비상에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일측 선단에 상기 와이어(26)가 연결되는 작동바(40), 상기 작동바(40)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작동바(40)를 회동시키기 위한 무게추(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날(12)의 상부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와이어(26)는 이동바(14)가 설치되는 회동바(24)의 선단에 연결되어 제거날(12)을 밸트(100)쪽으로 당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작동바(40)는 일측 선단에 상기 와이어(26)가 연결되며, 타측 선단부에는 무게추(4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40)는 양 선단 사이의 적당한 위치 에서 설비에 설치된 축(44)과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축(44)에 설치되는 작동바(4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게추(42)의 무게나 밸트(100)에 대한 제거날(12)의 밀착 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작동바(40)는 회동 중심인 축(44)을 중심으로 한쪽 선단에는 무게추(42)가 메달리고 다른쪽 선단에는 와이어(26)를 매개로 제거날(12)이 설치된 이동바(14)가 메달린다. 이에 무게추(42)에 의한 회전모멘트와 와이어(26)에 걸린 무게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따라 작동바(40)가 회동되어 제거날(12)을 밸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무게추(42)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와이어(26)에 걸린 무게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 크도록 무게추(42)의 무게나 위치를 설정한다. 이에 무게추(42)에 의해 작동바(40)는 회동되어 와이어(26)를 계속 당기게 된다. 와이어(26)가 당겨짐에 따라 제거날(12)이 이동되어 밸트(100) 표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바(40) 선단과 와이어(26) 선단 사이에는 탄성스프링(46)이 연결된다. 상기 탄성스프링(46)은 와이어(26)로 연결되는 작동바(40)와 회동바(24) 사이에서 급작스런 부하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치는 밸트(100)나 제거날(12)이 마모되는 경우 제거날(12)을 이동시켜 제거날(12)을 밸트(100) 표면에 지속적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작동바(40)는 무게추(42)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와이어(26)를 지속적으로 당기게 된다. 와이어(26)가 당겨짐에 따라 와이어(26)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바(24)가 회동축(28)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상기 회동축(28)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바(14)가 밸트(100)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이동바(14)에는 제거날(12)이 설치된 플레이트(10)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동바(14)가 이동함에 따라 제거날(12)은 밸트(100) 표면으로 이동되어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거날(12)은 와이어(26)에 의해 당겨져 지속적으로 밸트(100)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거날(12)이 밸트(100)에 계속 밀착된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트(100) 컨베이어를 계속 사용함에 따라 밸트(100)는 중심부가 마모되어 오목한 형태가 된다. 제거날(12) 역시 장시간 사용에 따라 가운데 부분이 마모된다.
이 경우 밸트(100)와 제거날(12) 사이가 벌어져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장치는 작동바(40)가 와이어(26)를 매개로 제거날(12)을 계속 당기고 있는 상태로 제거날(12)은 밸트(100) 쪽으로 이동되어 밸트(100) 표면에 계속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밸트(100)는 오목한 형태로 마모되나, 제거날(12) 역시 원호형태로 만곡된 구조이므로 밸트(100)의 마모면에 계속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거날(12)은 원호형태로 만곡된 구조로 회동축(28)을 중심으로 한 회동반경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상기 제거날(12)은 회동축(28)에서 가장 먼쪽인 만곡면의 중심부가 더 위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거날(12)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면 원호형태로 만곡된 제거날(12)이 밸트(100)의 오목하게 마모된 부분과 대응되면서 밀착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밸트(100)가 마모되더라도 원호형태의 제거날(12)이 밸트(100)쪽으로 이동되어 계속 접함에 따라 밸트(100)와 제거날(12)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 청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레이트 12 : 제거날
14 : 이동바 20 : 밀착부
22 : 프레임 24 : 회동바
26 : 와이어 28 : 회동축
34 : 멈춤부재 40 : 작동바
42 : 무게추 44 : 축
46 : 탄성스프링

Claims (5)

  1. 밸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밸트의 진행방향에 대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밸트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제거날과, 상기 제거날을 밸트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밸트의 폭방향 선단쪽에 배치되어 설비상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제거날 선단에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당겨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거날을 밸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프레임 저면에 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지고 프레임 저면과 상기 회동바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바의 회동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바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멈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중앙부가 설비 일측에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일측 선단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작동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무게추, 상기 와이어 선단과 상기 작동바 사이에 탄성체를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85890A 2009-09-11 2009-09-11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KR10123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90A KR101238882B1 (ko) 2009-09-11 2009-09-11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90A KR101238882B1 (ko) 2009-09-11 2009-09-11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04A KR20110028004A (ko) 2011-03-17
KR101238882B1 true KR101238882B1 (ko) 2013-03-04

Family

ID=4393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90A KR101238882B1 (ko) 2009-09-11 2009-09-11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687B1 (ko) * 2011-07-08 2013-06-27 유지문 피혁자동도장장치의 와이어컨베이어 세척장치
KR200497953Y1 (ko) * 2021-12-06 2024-04-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석탄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9015A (ja) * 1990-02-22 1990-09-21 Nippon Tsusho Kk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2004231319A (ja) * 2003-01-28 2004-08-19 Inoue Shokai:Kk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050035269A (ko) * 2002-08-14 2005-04-15 한스-오토 슈바르체 실린더 스트리퍼
JP2006117396A (ja) * 2004-10-22 2006-05-11 Yoko:Kk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9015A (ja) * 1990-02-22 1990-09-21 Nippon Tsusho Kk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050035269A (ko) * 2002-08-14 2005-04-15 한스-오토 슈바르체 실린더 스트리퍼
JP2004231319A (ja) * 2003-01-28 2004-08-19 Inoue Shokai:Kk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2006117396A (ja) * 2004-10-22 2006-05-11 Yoko:Kk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04A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02A (en) Trailing arm secondary belt cleaner
FI76043B (fi) Rengoeringsarrangemang foer transportband.
US4962845A (en) Conveyer belt scraping apparatus
US5797477A (en) Conveyor belt scraper blade
KR20140022027A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스크래퍼 블레이드 및 조립체
KR101639340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JP6998380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クレーパシステム
EP0338118B1 (en) Belt cleaner and its scraper
EP2474488A2 (en) Constant angle and pressure conveyor belt cleaner and tensioner
CN202226369U (zh) 一种可调节弹性皮带清扫器
AU2016285715B2 (en) Self-biasing scraper for a conveyor belt
EP0637560B1 (fr) Dispositif de raclage du brin de retour d'une bande transporteuse
KR101238882B1 (ko) 밸트 콘베이어의 밸트 청소 장치
US5413208A (en) Conveyor belt scraper blade
US4662507A (en) Belt scraping devices accommodating a reversing condition
KR101128375B1 (ko)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KR100346938B1 (ko)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의 스크랩퍼
CN111762540A (zh) 一种独立减震皮带机清洗机构
AU2020102942A4 (en) Self-aligning conveyor belt cleaning assembly
JP5853341B1 (ja) ベルトクリーナ
WO2014071287A1 (en) Tapered scraper for a conveyor belt
JP4177819B2 (ja) 泥落とし装置
CN205668783U (zh) 一种皮带清扫装置、皮带输送机
CN105858138B (zh) 一种皮带清扫装置、皮带输送机
CN205668784U (zh) 一种皮带清扫装置、皮带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