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60B1 -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60B1
KR101238660B1 KR1020120085370A KR20120085370A KR101238660B1 KR 101238660 B1 KR101238660 B1 KR 101238660B1 KR 1020120085370 A KR1020120085370 A KR 1020120085370A KR 20120085370 A KR20120085370 A KR 20120085370A KR 101238660 B1 KR101238660 B1 KR 10123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weight
pigments
pigm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진
Original Assignee
서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진 filed Critical 서민진
Priority to KR102012008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6Artist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으로써, 천연 색소와 합성 안료를 혼합하여 내광성 및 발색력이 우수한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은,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봉숭아,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 Paint using natural pig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aint }
본 발명은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으로써,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하여 내광성 및 발색력이 우수한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그림 물감 즉, 수채화 물감의 주원료로 합성 안료를 사용해 왔다.
특허공보 특1981-0001409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131호에는 종래의 물감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물감의 재료로 사용되는 합성안료에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가 있다.
무기안료는 아연, 티타늄, 납, 철, 구리, 크롬 등의 금속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무기안료는 불용성이며 입자가 크고 무거워서 투명성과 발색력이 좋지 않다.
또한, 무기안료에는 인체에 유해한 독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유기안료는 입자가 곱고 투명성과 발색력이 뛰어나지만 내광성, 내후성 등이 좋지 않아서 수채화 그림의 보전에 용이하지 않은 점이 있다.
회화의 재료 중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물감은 유화 물감, 아크릴 물감, 수채화 물감 등이 있는데, 모두 합성안료를 사용하여 만든다.
유화 물감과 아크릴 물감을 혼합하는 수지는 인체에 유해하며, 특히 유화물감의 용제로 사용되어지는 테레핀유와 페트롤은 그 피해가 심각할 정도이다.
화가들은 유화붓을 세척한 휘발성 용제를 하수구를 통해 배출하고 있어 환경오염을 유발하지만 이에 반해 수채화 물감은 수지(전색제)가 무해하며 냄새가 없고 용제도 물이기에 환경오염이 훨씬 적다.
하지만 수채화는 내광성이 약해서 작품의 보존성이 좋지않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현상이 있는데 유화나 아크릴화는 물감의 양을 화면에 수채화보다 약 2배에서 10배 이상 고착시키기 때문에 내광성이 훨씬 좋다.
일반적으로 안료 투입량이 많으면 내광성은 훨씬 좋아지게 된다.
점점 환경오염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유화나 아크릴화보다 수채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도 수채화 물감의 보존성을 높이는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동안 수채화물감은 합성안료 즉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만으로 만들어져 왔다.
특히 Yellow, Red 계통의 색상은 내광성이 좋지 않아서 내광성이 좋은 무기안료로 대체하려 해도 무기안료계에서 Yellow, Red, Magenta 등은 주로 독성이 있는 카드뮴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무기안료로 대체하는데 문제가 있다.
반면, 천연색소로 대용할 수 있는 율금(강황), 치자, 연지충, 비트등의 색소로 내광성을 보완할 수 있다.
그래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광성이 매우 좋은 자연물을 이용한 천연색소를 만들어 합성안료와 혼합하여 두 물질의 단점을 보완한 수채화 물감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천연색소는 태양광선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탈색되지 않는다.
또한, 자연 그대로의 색상이기에 합성안료에서 느낄 수 없는 자연스러운 색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색은 감성적인 요소로 느껴지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인위적인 색상보다 자연적인 색상을 추구하게 되는데, 자연물을 그대로 혼합하게 되면 훨씬 자연스러운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화가의 감성에 더욱 부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천연색소는 합성안료(색소)와 달리 안전성이 높아 소비자 신뢰성이 크고, 색조의 종류도 많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천연색소를 첨가하게 되면 합성안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서 인체와 환경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해서 사용하게되면 합성안료를 10~30%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착색효과가 뛰어나고 생산, 정제 기술이 합성 착색료에 비해 간단하다.
특히, 합성안료(색소)는 제조과정에서 상당한 공해와 폐수를 발생시키지만 천연색소는 제조과정이 단순하고 독성이 없다.
그러나 천연색소는 합성안료에 비해 발색력(물질의 색깔이 두드러지는 정도)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색소와 합성안료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내광성 및 발색력이 우수한 물감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하여 자연스러운 색상과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광성 및 발색력이 우수한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은,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봉숭아,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다.
상기 천연색소는, 황토, 백토, 적토, 고령토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다.
상기 전색제는 100중량%를 기준으로 할 때, 10~20중량%의 구아검(Guar Gum), 5~10중량%의 아라비아검(Arabic Gum), 10~15중량%의 소비톨(Sorbitol), 12~16중량%의 꿀(Honey), 10~15중량%의 텍스트린(Dextrin), 0.8~1.0중량%의 당(Sugar), 0.5~15중량%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20중량%의 물(water), 1~5중량%의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로즈(Sodium Carboxymethyl Cellose), 0.1~0.3중량%의 보존료(Preservativ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은,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혼합하여 천연색소를 추출하는 천연색소 추출단계; 상기 천연색소와 합성안료 및 전색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단계는,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혼합한다.
상기 천연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봉숭아,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천연색소 중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비트, 당근,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치자황, 연지충, 몰트(malt), 쪽, 녹차가루, 백년초, 복분자, 호박, 율금(강황), 봉숭아, 흑미, 숯, 버섯,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의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을 건조시켜 분쇄하여 물과 혼합한 뒤 저온 숙성시킨 후 여과시키되, 상기 물 10~3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연물(自然物) 5~20중량부로 혼합한다.
상기 천연색소 중, 둥글레, 타라, 솔잎, 백련잎,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야생메밀, 황백의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혼합한 뒤 65~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우려내되, 상기 물과 자연물(自然物)을 2대1 비율 또는 1대1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합성안료는 유기안료이다.
상기 천연색소는, 황토, 백토, 적토, 고령토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되, 상기 천연 색소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1대1에서 1대2, 1대3 비율로 혼합한 뒤 침전시켜 모래 등을 가라앉히고 뜬 자연물(自然物)을 모아(수비) 합성안료와 2대1로 혼합한다.
상기 천연색소 중 연지충, 코치닐, 오징어먹물은 완전히 건조시켜 분쇄하여 합성안료와 1대2 비율로 혼합한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하여 내광성 및 발색력이 우수함으로써, 빛에 강하여 색상이 변하지 않으며 자연스럽고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은, 10~35중량%의 천연 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 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다.
또한, 상기천연 색소는 황토, 백토, 적토, 고령토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천연색소는 인체에 무해하고 내광성이 매우 우수하며, 수채화 물감으로 이용하면 자연스러운 색상표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색소는 상기 자연물과 물을 혼합하여 추출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의 합성안료와 혼합한다.
상기 합성안료에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가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아연, 티타늄, 납, 철, 구리, 크롬 등의 금속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며, 내광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나 투명성이 좋지 않아 투명수채화에는 적절하지 않다.
상기 유기안료는 탄화수소 화합물로 형성되는 환식의 유기화합물이며, 입자가 곱고 투명성과 발색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내열성과 내광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합성안료는 인쇄잉크, 도료섬유수지날염, 플라스틱 착색 등에 많이 사용되며, 그림 물감을 제조하기 위하여 관련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안료를 선별하여 사용한다.
상기 전색제는 100중량%를 기준으로 할 때, 10~20중량%의 구아검(Guar Gum), 5~10중량%의 아라비아검(Arabic Gum), 10~15중량%의 소비톨(Sorbitol), 12~16중량%의 꿀(Honey), 10~15중량%의 텍스트린(Dextrin), 0.8~1.0중량%의 당(Sugar), 0.5~15중량%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20중량%의 물(water), 1~5중량%의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로즈(Sodium Carboxymethyl Cellose), 0.1~0.3중량%의 보존료(Preservativ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천연색소 및 합성안료는 색을 가진 분말이고 접착력이 없어서 화면에 고착되지 않기 때문에 전색제는 물감을 화면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색제는 물감의 점도를 높여 튜브에 담을 수 있도록 하며, 물감의 보습 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건조를 유도한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의 내광성 및 발색력을 비교할 수 있는 테스트이다.
1. 내광성 테스트[표 1]
먼저 테스트 용지를 정밀 거울에 직접 올려놓고 8*3cm 크기의 면을 그은 다음 물감과 물이 1:0.5의 비율로 혼합된 시료를 상기 테스트 용지에 고르게 도포한다.
천연색소로 만든 물감, 합성안료로 만든 물감,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한 물감을 각각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 용지에 도포한다.
도포된 물감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도포된 면적의 1/2이 노출되지 않도록 테스트 용지를 가려준다.
이때, 은박지를 이용하여 테스트 용지를 가려준다.
그리고 변·퇴색 실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용지에 인위적인 광선을 노출시킨다.
변·퇴색 실험기는 50 시간당 25년의 경과 후 변색 정도를 알 수 있다.
천연 색소로 만든 물감 합성 안료로 만든 물감 천연 색소와 합성 안료를 혼합한 물감
레드계열색 7
엘로우계색 8
그린계색 6.5
브라운계색 7.5
마젠타계색 7
블루계색 8
레드계열색상 5.5
엘로우계색상 4
그린계색 5
브라운계색 6
마젠타계색 5.5
블루계색 6.5
레드계색상 7
엘로우계색 6.5
그린계색 6
브라운계색 7
마젠타계색 6.5
블루계색 7.5
(1~8 : 숫자가 높을수록 변색이 안 됨, 표 1은 72시간 경과 후의 결과임)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색소만으로 만든 물감은 내광성이 우수하지만 합성안료만으로 만든 물감은 내광성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변색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한 물감은 천연색소만으로 만든 물감에 비해 내광성이 떨어지지만 합성안료만으로 만든 물감에 비해 내광성이 우수하다.
2. 발색력 테스트[표 2]
테스트 용지의 5*5cm 면적에 시료인 물감을 1g 씩 고르게 도포한다.
천연색소로 만든 물감, 합성안료로 만든 물감,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한 물감을 각각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 용지에 도포한다.
천연 색소로 만든 물감 합성 안료로 만든 물감 천연 색소와 합성 안료를 혼합한 물감
3.0-6.0 7.0-9.0 8.5-9.5
(1~10 : 숫자가 높을수록 발색력이 좋음)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색소만으로 만든 물감은 상대적으로 발색력이 떨어지고, 합성안료만으로 만든 물감은 내광성이 우수하다.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한 물감은 천연색소만으로 만든 물감과 합성안료만으로 만든 물감 모두 보다 발색력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광성 테스트 및 발색력 테스트 결과, 천연색소로만 만들어진 물감은 내광성이 매우 우수하지만 발색력이 떨어지고, 합성안료로만 만들어진 물감은 발색력이 우수하지만 내광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안료 중 무기안료는 인체에 유해한 독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채화 물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천연색소와 합성안료를 혼합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광성 및 발색력이 우수함으로써, 빛에 강하여 색상이 변하지 않으며 자연스럽고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수채화 물감을 제공할 수 있다.
천연색소 중 식물에서 추출한 종류는 분자구조상 입자의 크기가 합성안료보다 약 20배 정도 굵기 때문에 합성안료와 교반하거나 분산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채화 물감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은,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혼합하여 천연색소를 추출하는 천연색소 추출단계; 상기 천연색소와 합성안료 및 전색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상기 천연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색소 중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비트, 당근,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치자황, 연지충, 몰트(malt), 쪽, 녹차가루, 백년초, 복분자, 호박, 율금(강황), 봉숭아, 흑미, 숯, 버섯,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의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을 건조시켜 분쇄하여 물과 혼합한 뒤 저온 숙성시킨 후 여과시킨다.
이때, 상기 물 10~3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연물 5~20 중량부로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천연색소 중 둥글레, 타라, 솔잎, 백련잎,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야생메밀, 황백의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혼합한 뒤 65~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우려낸다.
이때, 상기 물과 자연물(自然物)을 2대1 비율 또는 1대1 비율로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천연색소 중 연지충, 코치닐, 오징어먹물은 완전히 건조시켜 분쇄하여 합성안료와 1대2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천연색소(연지충, 코치닐, 오징어먹물)는 수용성이라 별도의 처리 없이 상기 합성안료와 혼합이 가능하다.
상기 혼합단계는,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혼합한다..
또한, 상기 천연색소는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흑운모, 황토, 적토, 고령토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흑운모, 황토, 적토, 고령토 중 1종 또는 2종 이상)과 물을 1대1에서 1대2, 1대3 비율로 혼합한 뒤 침전시켜 모래 등을 가라앉히고 뜬 자연물(自然物)을 모아(수비) 물과 1:1비율로 혼합하고, 이러한 천연색소는 합성안료와 2대1로 혼합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색상별 수채화 물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노란색(Yellow)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치자(열매) 5kg을 증류수 20kg과 혼합하여 24시간 불린다.
그리고 상기 치자(열매) 용액을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시켜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치자) 15중량%, 합성안료(CI name : PY 65) 15중량%, 전색제 70중량%를 혼합한다.
빨간색(Red)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연지충(kerria lacca)의 분비물로부터 수지성분을 제거하고 붉은 색소만을 고농도로 정제하여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분말 가공된 연지충 색소) 20중량%, 합성안료(CI name : PR 254 또는 PR 209) 20중량%, 전색제 60중량%를 혼합한다.
검붉은색(Crimson lake)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소목 2kg과 물 10kg을 혼합하여 80℃로 가열한 뒤, 60℃로 30분간 끓이다가 100℃로 10분간 가열한 뒤 여과시켜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소목) 25중량%, 합성안료(CI name : PR 202) 15중량%, 전색제 60중량%를 혼합한다.
푸른색(Blue)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쪽(pollgonum indigo)의 잎사귀 10kg와 증류수 25kg을 24시간 동안 혼합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쪽 잎사귀를 건져내어 60℃로 가열한 후, 100℃로 20분간 끓여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쪽) 30중량%, 합성안료(CI name : PB 27 또는 PB 60) 35중량%, 전색제 35중량%를 혼합한다.
초록(Green)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녹차가루 5kg과 증류수 15kg을 혼합한 뒤 48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숙성된 녹차가루 용액을 여과하여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녹차가루) 20중량%, 합성안료(CI name : PG 36 또는 PB 25 또는 PY 17) 10중량%, 전색제 70중량%를 혼합한다.
갈색(Brown)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아선약(catechu) 10kg과 증류수 20kg을 혼합하여 3일간 숙성시킨 후, 80℃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농축시킨 뒤 여과하여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아선약) 30중량%, 합성안료(CI name : PBr 9) 20중량%, 전색제 50중량%를 혼합한다.
보라(Violet)계열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에서 자초 10kg과 35℃의 증류수 20kg을 혼합하여 48시간 숙성시켜 우려낸다.
상기와 같이 우려낸 자초 용액을 90℃에서 5시간 가열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천연색소를 추출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천연색소(자초) 20중량%, 합성안료(CI name : PV 31) 15중량%, 전색제 65중량%를 혼합한다.
본 발명인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천연 색소를 이용한 물감에 있어서,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색제는 100중량%를 기준으로 할 때, 10~20중량%의 구아검(Guar Gum), 5~10중량%의 아라비아검(Arabic Gum), 10~15중량%의 소비톨(Sorbitol), 12~16중량%의 꿀(Honey), 10~15중량%의 텍스트린(Dextrin), 0.8~1.0중량%의 당(Sugar), 0.5~15중량%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10~20중량%의 물(water), 1~5중량%의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로즈(Sodium Carboxymethyl Cellose), 0.1~0.3중량%의 보존료(Preservativ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봉숭아,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3. 천연 색소를 이용한 물감에 있어서,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천연 색소는, 황토, 백토, 적토, 고령토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4. 삭제
  5. 천연 색소를 이용한 물감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혼합하여 천연 색소를 추출하는 천연 색소 추출단계;
    상기 천연 색소와 합성 안료 및 전색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10~35중량%의 천연색소와, 10~35중량%의 합성안료와, 30~80중량%의 전색제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오징어먹물, 비트, 당근, 인디고,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미로보란, 허브, 헤나,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감, 치자황, 연지충, 둥글레, 타라, 생쪽분말, 몰트(malt), 쪽, 녹차가루, 솔잎, 백련잎, 카말라,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백년초, 복분자, 로그우드, 빈랑자, 호박, 자초, 율금(강황), 흑미, 봉숭아, 괴타, 숯, 버섯, 야생메밀, 황백,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 흑운모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 중 자색고구마, 오미자, 산수유, 비트, 당근, 토기스, 코코아, 파슬리, 브로콜리, 꼭두서니, 치자청, 커피, 블루베리, 포도, 치자황, 연지충, 몰트(malt), 쪽, 녹차가루, 백년초, 복분자, 호박, 율금(강황), 봉숭아, 흑미, 숯, 버섯, 소목, 검은콩, 쌀가루, 코치닐의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을 건조시켜 분쇄하여 물과 혼합한 뒤 저온 숙성시킨 후 여과시키되, 상기 물 10~3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자연물(自然物) 5~2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 중, 둥글레, 타라, 솔잎, 백련잎, 아선약, 오배자, 쑥, 석류, 뽕잎, 야생메밀, 황백의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과 물을 혼합한 뒤 65~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우려내되, 상기 물과 자연물(自然物)을 2대1 비율 또는 1대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합성안료는 유기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황토, 백토, 적토, 고령토 중 1종의 자연물(自然物) 또는 2종 이상의 자연물(自然物)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천연색소 추출단계는, 상기 자연물(自然物)을 물과 혼합한 뒤 침전시켜 모래 등을 가라앉히고 뜬 자연물(自然物)을 모아 물과 1대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제조방법.


KR1020120085370A 2012-08-03 2012-08-03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KR10123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70A KR101238660B1 (ko) 2012-08-03 2012-08-03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70A KR101238660B1 (ko) 2012-08-03 2012-08-03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660B1 true KR101238660B1 (ko) 2013-03-04

Family

ID=4818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370A KR101238660B1 (ko) 2012-08-03 2012-08-03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81B1 (ko) 2013-05-24 2013-11-13 나주시 유아용 천연색소 핑거페인트 물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8005B1 (ko) 2014-07-31 2017-06-15 도영미 율피에서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180135534A (ko) 2017-06-13 2018-12-21 박현준 천연 유아용 물감
CN112852202A (zh) * 2021-01-13 2021-05-28 宿迁艾朋文化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可洗手指画颜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507A (ja) * 1992-10-19 1994-05-10 Tombow Pencil Co Ltd 水彩絵具組成物
KR100524625B1 (ko) 2002-09-17 2005-10-28 이진헌 지속적인 향기 발산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캡슐 함유황토페인트
KR100585522B1 (ko) 2003-04-24 2006-06-07 주식회사 우진페인트 쑥향을 발산하는 수용성 페인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11719B1 (ko) 2004-12-24 2006-08-10 박종영 왕겨숯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507A (ja) * 1992-10-19 1994-05-10 Tombow Pencil Co Ltd 水彩絵具組成物
KR100524625B1 (ko) 2002-09-17 2005-10-28 이진헌 지속적인 향기 발산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캡슐 함유황토페인트
KR100585522B1 (ko) 2003-04-24 2006-06-07 주식회사 우진페인트 쑥향을 발산하는 수용성 페인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11719B1 (ko) 2004-12-24 2006-08-10 박종영 왕겨숯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81B1 (ko) 2013-05-24 2013-11-13 나주시 유아용 천연색소 핑거페인트 물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8005B1 (ko) 2014-07-31 2017-06-15 도영미 율피에서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180135534A (ko) 2017-06-13 2018-12-21 박현준 천연 유아용 물감
KR102004038B1 (ko) 2017-06-13 2019-07-25 박현준 유아용 물감
CN112852202A (zh) * 2021-01-13 2021-05-28 宿迁艾朋文化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可洗手指画颜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id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natural dye applications: a review
KR101238660B1 (ko) 천연색소를 이용한 수채화 물감 및 그 제조방법
JP5354739B2 (ja) 漆塗りと天然染料を用いた染色方法及びその製品
EP1153995A3 (de) Pigmentpräparation mit modifizierten Kolophoniumharzen
CN103911041B (zh) 含有黄蜀葵花提取物的不变色油性油墨及其制备方法
KR20120039919A (ko) 천연염료를 이용한 dtp(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용 나노급 천연잉크의 제조방법과 디지털날염 방법.
CN104059382A (zh) 一种天然纺织染料及其制备方法
CN101885925B (zh) 一种从油茶果壳中提取棕色素的方法
KR101080877B1 (ko)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CN105131711A (zh) 一种水彩笔墨水及其制备方法
Gürses Sustainable colorants
CN104017391B (zh) 从洋葱提取食用蓝色素的方法
AU602488B2 (en) Method for producing dyes from vegetable elements
CN106221284A (zh) 一种植物染色剂的提取工艺
Mongkholrattanasit et al. Screen printing on silk fabric using natural indigo
Nagrale et al. Natural ink synthesis from flowers of flame of forest (Butea monosperma), common Lantana (Lantana camara), and berries of Malabar spinach (Basella alba).
Zulrushdi et a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natural colorant extracted from mesocarp and exocarp of Cocos nucifera (coconut palm)
Gaikwad et al. Natural dyes from plants for smart packaging and printing applications
Siva Plant dyes
CN103911040B (zh) 含有黄蜀葵花提取物的不变色水性油墨及其制备方法
Narongdecha et al. The Comparison of Colour Coefficient from Plant-Extracted Colour on Different Types of Paper for Painting
CN107400409A (zh) 一种无荧显现的里印油墨及其制备方法
Joshi et al. Use of plant dyes in textiles industries
CN109054641A (zh) 一种环保美术颜料及其制备方法
DE350485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ckfar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