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784B1 -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 Google Patents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784B1
KR101237784B1 KR1020110071434A KR20110071434A KR101237784B1 KR 101237784 B1 KR101237784 B1 KR 101237784B1 KR 1020110071434 A KR1020110071434 A KR 1020110071434A KR 20110071434 A KR20110071434 A KR 20110071434A KR 101237784 B1 KR101237784 B1 KR 101237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space
management
hanger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662A (ko
Inventor
임명숙
Original Assignee
임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숙 filed Critical 임명숙
Priority to KR102011007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7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농산물의 재배환경 단계에서부터 제품(농산물)이 출하될 때까지의 수질, 토양, 포장 등 전반적인 농업환경을 매뉴얼로 관리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인증(Good Agricultural Practices) 제도에 대하여 작업자인 농민이 상기 농산물의 관리를 보다 우수하고 체계적이며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농업에 관련한 부자재 보관 공간 및 작업자의 클린룸을 시설화하여 일련의 작업소 형태에서 농자재에 대한 개선된 보관 정리성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표준 관리 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Multi-facility for good Agricultural Practices}
본 발명은 농산물의 재배환경 단계에서부터 제품(농산물)이 출하될 때까지의 수질, 토양, 포장 등 전반적인 농업환경을 매뉴얼로 관리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인증(Good Agricultural Practices) 제도에 대하여 작업자인 농민이 상기 농산물의 관리를 보다 우수하고 체계적이며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농업에 관련한 부자재 보관 공간 및 작업자의 클린룸을 시설화하여 일련의 작업소 형태에서 농자재에 대한 개선된 보관 정리성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표준 관리 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우수관리인증(Good Agricultural Practices)은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농산물의 저장ㆍ세척ㆍ건조ㆍ선별ㆍ절단ㆍ조제ㆍ포장 등을 포함) 및 유통 등 각 단계에서 재배포장(栽培圃場), 농업용수 등의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중금속,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농축산물의 재배, 수확, 수확 후 처리, 저장과정의 화학제, 중금속, 미생물에 대한 관리 및 그 관리사항을 소비자가 알 수 있게 하여 환경에 대한 위해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이다.
이는 결국,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구매장소에서 그 식품이 위생적으로 취급되느냐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농장에서 식탁까지 역의 경로로 그 식품이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유통, 처리, 수확, 재배되었는지, 재배되는 경작지의 환경은 어떠한지 알고 싶어한다.
이러한 과정이 최근 국제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생산이력(Traceability)이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는 바로 이러한‘역추적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자에게 생산단계별 식품안전에 대한 책임성을 부여하여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는 생산된 농산물이 처리, 저장, 포장, 유통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에 적용되어야 한다.
가장 이상적인 식품생산시스템은 농산물의 생산에서부터 가공, 포장, 유통 등 소비자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생산자가 직접 우수농산물관리제도에 따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산자는 좀 더 책임감을 갖고 우수한 품질,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소비자에게서 신뢰를 확보하게 된다.
2003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과일과 채소류에 대한 생산ㆍ취급기준을 비준했고, 미국ㆍ유럽연합(EU)ㆍ중국 등은 이미 실시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농가에서 보다 원칙적으로 농산물을 관리함에 있어서, 관리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일과 전후 위생과 작업 및 방제복 처리 그리고 농자재의 일괄적인 보관에 따른 표준 보관소 즉, 작업 전초기지의 시설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농산물의 재배환경 단계에서부터 제품(농산물)이 출하될 때까지의 수질, 토양, 포장 등 전반적인 농업환경을 매뉴얼로 관리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인증(Good Agricultural Practices) 제도에 대하여 작업자인 농민이 상기 농산물의 관리를 보다 우수하고 체계적이며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농업에 관련한 부자재 보관 공간 및 작업자의 클린룸을 시설화하여 일련의 작업소 형태에서 농자재에 대한 개선된 보관 정리성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표준 관리 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 공간 또는 농자재 보관이 가능한 규모의 컨테이너 박스 또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 크기에 준하는 가옥의 내부를 격벽(300)으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작업자 공간(100)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농자재 관리 공간(200)을 형성하되, 상기 작업자 공간(100)은 일측면에 작업자의 출입을 도모하도록 출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세면대, 샤워기 및 변기시설을 갖춘 샤워부스(120)와 농산물 이력관리를 위한 컴퓨터(130), 작업복 보관함(140) 및 방제복 보관함(150)이 구비되며, 상기 농자재 관리 공간(200)은 일측면에 출입을 도모하도록 출입문(21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농기구 소독조(220), 농기구 걸이구(230), 다수개의 다용도 선반(240) 및 친환경 농자재 보관함(250)이 구비되어 농산물 우수관리를 위한 멀티플렉스(multiplex)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 공간(100)은 출입구 상부에 작업자의 출입시 살균, 소독을 도모하도록 에어커튼 방식의 소독시설구(1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자 공간의 작업복 보관함(140)과 방제복 보관함(150)은 전면에 도어(16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이송용바퀴(162)가 구비되며, 내부가 구획판(163)에 의해 분할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160-1)와; 상기 본체(160-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수납선반(171)이 구비되는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와; 상기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다수개의 보관서랍(181)이 구비되는 방제장비 수납부(180)와; 상기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와 방제장비 수납부(180)의 측면에 이웃하여 형성되되, 상단부에 옷걸이봉(191)이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봉의 저면에는 방제복에서 발생되는 잔류농약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192)가 구비된 저류조(193)가 형성되는 방제복 수납부(19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농기구 걸이구(230)는 사각판 형상의 보관대 본체(231)와; 상기 본체(231)의 면상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의 걸이턱(232-1)이 다단으로 구비된 걸이대(232)와; 상기 걸이대의 걸이턱(232-1)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걸림구(233-1)가 형성되고, 농기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구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이핀(233-2)이 마련되는 걸이부재(233)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은 작업자 공간과 농자재 보관 공간에 환풍을 도모하도록 급배기용 기류순환장치(400)가 더 구비되고, 일측 벽면에는 내부 살균, 소독을 조장하도록 살균램프(500)가 더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농산물의 재배환경 단계에서부터 제품(농산물)이 출하될 때까지의 수질, 토양, 포장 등 전반적인 농업환경을 매뉴얼로 관리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인증(Good Agricultural Practices) 제도에 대하여 작업자인 농민이 상기 농산물의 관리를 보다 우수하고 체계적이며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농업에 관련한 부자재 보관 공간 및 작업자의 클린룸을 시설화하여 일련의 작업소 형태에서 농자재에 대한 개선된 보관 정리성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표준 관리 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설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및 방제복 보관함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기구 걸이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 우수관리인증을 위한 전초기지로서, 시설화된 멀티플렉스 즉, 작업소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는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인 작업자 공간(100)과 농자재 관리 공간(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합시설은 작업 공간 또는 농자재 보관이 가능한 규모의 컨테이너 박스 또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 크기에 준하는 가옥의 내부를 격벽(300)으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작업자 공간(100)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농자재 관리 공간(200)을 형성하되, 상기 작업자 공간(100)은 일측면에 작업자의 출입을 도모하도록 출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세면대, 샤워기 및 변기시설을 갖춘 샤워부스(120)와 농산물 이력관리를 위한 컴퓨터(130), 작업복 보관함(140) 및 방제복 보관함(150)이 구비되며, 상기 농자재 관리 공간(200)은 일측면에 출입을 도모하도록 출입문(21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농기구 소독조(220), 농기구 걸이구(230), 다수개의 다용도 선반(240) 및 친환경 농자재 보관함(250)이 구비되어 농산물 우수관리를 위한 멀티플렉스(multiplex)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농산물 관리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준비 또는 사후 의복 및 장구를 관리하도록 하는 작업자 공간과 농약, 농기구, 비료 등의 농자재들을 정리하고, 편성하여 활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는 농자재 관리 공간이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 가옥 내에서 2분할로 구획되어 농업활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 공간(100)은 출입구 상부에 작업자의 출입시 살균, 소독을 도모하도록 에어커튼 방식의 소독시설구(1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작업자 공간부로 출입함에 있어서, 농업 활동 중 의복에 묻은 잔류 농약 및 유해균을 1차로 소독 살균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소독시설구는 소독 살균가스가 함유된 에어분사로 인해 처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 공간의 작업복 보관함(140)과 방제복 보관함(150)은 전면에 도어(16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이송용바퀴(162)가 구비되며, 내부가 구획판(163)에 의해 분할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160-1)와; 상기 본체(160-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수납선반(171)이 구비되는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와; 상기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다수개의 보관서랍(181)이 구비되는 방제장비 수납부(180)와; 상기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와 방제장비 수납부(180)의 측면에 이웃하여 형성되되, 상단부에 옷걸이봉(191)이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봉의 저면에는 방제복에서 발생되는 잔류농약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192)가 구비된 저류조(193)가 형성되는 방제복 수납부(19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업복 보관함(140)과 방제복 보관함(150)은 기본적으로 함체 내에 행거 형태의 옷걸이봉을 형성하여 작업복과 방제복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농기구 걸이구(230)는 사각판 형상의 보관대 본체(231)와; 상기 본체(231)의 면상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의 걸이턱(232-1)이 다단으로 구비된 걸이대(232)와; 상기 걸이대의 걸이턱(232-1)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걸림구(233-1)가 형성되고, 농기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구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이핀(233-2)이 마련되는 걸이부재(233)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은 작업자 공간과 농자재 보관 공간에 환풍을 도모하도록 급배기용 기류순환장치(400)가 더 구비되고, 일측 벽면에는 내부 살균, 소독을 조장하도록 살균램프(500)가 더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작업자 공간 110 ... 출입구
120 ... 샤워부스 130 ... 컴퓨터
140 ... 작업복 보관함 150 ... 방제복 보관함
200 ... 농자재 관리 공간 210 ... 출입문
220 ... 농기구 소독조 230 ... 농기구 걸이구
240 ... 다용도 선반 250 ... 친환경 농자재 보관함
300 ... 격벽 400 ... 기류순환장치
600 ... 살균램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작업 공간 또는 농자재 보관이 가능한 규모의 컨테이너 박스 또는 상기 컨테이너 박스 크기에 준하는 가옥의 내부를 격벽(300)으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작업자 공간(100)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농자재 관리 공간(200)을 형성하되, 상기 작업자 공간(100)은 일측면에 작업자의 출입을 도모하도록 출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세면대, 샤워기 및 변기시설을 갖춘 샤워부스(120)와 농산물 이력관리를 위한 컴퓨터(130), 작업복 보관함(140) 및 방제복 보관함(150)이 구비되며, 상기 농자재 관리 공간(200)은 일측면에 출입을 도모하도록 출입문(21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농기구 소독조(220), 농기구 걸이구(230), 다수개의 다용도 선반(240) 및 친환경 농자재 보관함(250)이 구비되어 농산물 우수관리를 위한 멀티플렉스(multiplex)를 이루도록 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공간은 출입구 상부에 작업자의 출입시 살균, 소독을 도모하도록 에어커튼 방식의 소독시설구(16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작업자 공간의 작업복 보관함(140)과 방제복 보관함(150)은 전면에 도어(16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이송용바퀴(162)가 구비되며, 내부가 구획판(163)에 의해 분할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160-1)와; 상기 본체(160-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수납선반(171)이 구비되는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와; 상기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다수개의 보관서랍(181)이 구비되는 방제장비 수납부(180)와; 상기 작업용 장갑 및 장화 수납부(170)와 방제장비 수납부(180)의 측면에 이웃하여 형성되되, 상단부에 옷걸이봉(191)이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봉의 저면에는 방제복에서 발생되는 잔류농약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밸브(192)가 구비된 저류조(193)가 형성되는 방제복 수납부(190)이; 구비되며,
    상기 농기구 걸이구(230)는 사각판 형상의 보관대 본체(231)와; 상기 본체(231)의 면상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의 걸이턱(232-1)이 다단으로 구비된 걸이대(232)와; 상기 걸이대의 걸이턱(232-1)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걸림구(233-1)가 형성되고, 농기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구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이핀(233-2)이 마련되는 걸이부재(233)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은 작업자 공간과 농자재 보관 공간에 환풍을 도모하도록 급배기용 기류순환장치(400)가 더 구비되고, 일측 벽면에는 내부 살균, 소독을 조장하도록 살균램프(600)가 더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KR1020110071434A 2011-07-19 2011-07-19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KR101237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434A KR101237784B1 (ko) 2011-07-19 2011-07-19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434A KR101237784B1 (ko) 2011-07-19 2011-07-19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662A KR20130010662A (ko) 2013-01-29
KR101237784B1 true KR101237784B1 (ko) 2013-02-28

Family

ID=4783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434A KR101237784B1 (ko) 2011-07-19 2011-07-19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92B1 (ko) * 2020-05-27 2022-10-19 이병모 조사료용 새싹채소 수경재배방법
KR102385487B1 (ko) 2020-09-09 2022-04-12 장성훈 유아 및 어린이를 위한 북 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33Y1 (ko) * 1983-11-28 1986-01-30 흥명공업주식회사 방카용 콘테이너
JP2009127339A (ja) * 2007-11-26 2009-06-11 Nbl Kk コンテナハウスの構造
KR20090118150A (ko) * 2008-05-13 2009-11-18 이귀복 공간확장형 이동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33Y1 (ko) * 1983-11-28 1986-01-30 흥명공업주식회사 방카용 콘테이너
JP2009127339A (ja) * 2007-11-26 2009-06-11 Nbl Kk コンテナハウスの構造
KR20090118150A (ko) * 2008-05-13 2009-11-18 이귀복 공간확장형 이동식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662A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877B2 (ja) 植物栽培ラックユニット
US8069618B2 (en) Sterilization plant, extension module and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for a sterilization plant
Kozai Plant production process, floor plan, and layout of PFAL
KR101237784B1 (ko)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Zaid et al. Commercial date palm tissue culture procedures and facility establishment
JP2009095621A (ja) 調理器具等の殺菌装置
CN207323741U (zh) 一种砧板消毒机
Latief et al. The application status of Good Food Production Method (GFPM) production of corn crackers in SME Mawar Merah Luwu Utara
KR20210020622A (ko) 농산물 우수관리용 복합시설
KR20110032103A (ko) 화분 진열대 겸 운반용 상자
JP6892669B2 (ja) 水耕栽培装置
CN206518602U (zh) 一种多功能兽医诊疗箱
KR200462314Y1 (ko) 농축수산물용 건조장치
KR20130017120A (ko) 장롱 냉온장고
CN205060435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收纳箱
Rivero et al. Vertical farming
Buonassisi et al. Biosecurity guidelines for post-harvest greenhouse tomatoes: prevention of post-harvest and storage rot
Hessler Barrier housing for rodents
UA151796U (uk)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щення та дезінфекції тари і малогабаритних контейнерів
Km et al. THE EVALUATION OF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GMP) IN FISH PROCESSING SME CENTER CASE STUDY OF BALIKPAPAN CITY
Park et al. Compliance with GMP and SSOP in college foodservices by comparison of elementary and middle & high school foodservices
CN211473540U (zh) 基于食品安全法规要求的可移动式模块化厨房
Garg Central Sterile Services Department (CSSD)
US20140026479A1 (en) Vermicomposting Growing System
Bhojwani et al. General requirements and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