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04B1 -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 Google Patents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04B1
KR101237404B1 KR1020110038158A KR20110038158A KR101237404B1 KR 101237404 B1 KR101237404 B1 KR 101237404B1 KR 1020110038158 A KR1020110038158 A KR 1020110038158A KR 20110038158 A KR20110038158 A KR 20110038158A KR 101237404 B1 KR101237404 B1 KR 10123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towel
user
luminous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546A (ko
Inventor
엄만진
Original Assignee
엄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만진 filed Critical 엄만진
Priority to KR102011003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0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부재가 구비된 타월에 관한 것으로서, 타월몸체와, 상기 타월몸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후면 일측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타월몸체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월몸체의 일측에 제1 결속부재 및 제2 결속부재를 구비하고, 타월몸체를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걸친 상태에서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를 결합함으로써 타월몸체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진 타월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체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Sports towel having union member}
본 발명은 결속부재가 구비된 타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월몸체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진 타월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체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스포츠 경기, 등산 등과 같은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자의 에너지소모가 커지면서 평소보다 많은 양의 땀이 배출되고, 운동자는 이러한 땀을 닦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월이나 손목밴드 또는 헤어밴드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스포츠용 타월은 일반적인 수건과는 달리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두른 후 운동경기 또는 등산시 배출되는 운동자의 땀을 수시로 닦을 수 있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당히 긴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포츠용 타월은 앞서 설명한 손목밴드 또는 헤어밴드와 같이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착용되는 것과는 달리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단순히 거치되는 것으로서, 운동경기 또는 등산시 사용자의 움직임이 커지는 경우 어느 한 방향으로 무게가 치우치게 되면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낙하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사용자는 땅에 떨어진 타월을 집기위해 불필요한 에너지가 수시로 소모되면서 운동 또는 등산시 페이스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월몸체의 일측에 제1 결속부재 및 제2 결속부재를 구비하고, 타월몸체를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걸친 상태에서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를 결합함으로써 타월몸체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진 타월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체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면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개공에 반사물질이 도포되고, 타측면에 나침부재가 구비된 야광판을 제1 결속부재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하고, 야간에 야광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도록 하거나 외부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사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침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야간에도 나침부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층용 타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에 메거나 어깨에 두른 후 사용자의 땀을 제거하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에 있어서, 타월몸체와, 상기 타월몸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후면 일측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타월몸체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제2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타월몸체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에 부착되고, 타단부 일측에 상기 제1 결속부재가 고정결합되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제2 결속부재는 똑딱단추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결속부재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형광재질의 야광판 및 상기 다수의 개공에 반사성 물질이 도포되어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야광판은 상기 개공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면의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공이 형성되는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야광판은 상기 개공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에 결합되는 나침바늘과, 상면과 하면의 외주면 중 상기 걸림공과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공에 삽입결합되는 원뿔형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월몸체의 일측에 제1 결속부재 및 제2 결속부재를 구비하고, 타월몸체를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걸친 상태에서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를 결합함으로써 타월몸체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진 타월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체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측면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개공에 반사물질이 도포되고, 타측면에 나침부재가 구비된 야광판을 제1 결속부재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하고, 야간에 야광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도록 하거나 외부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사용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침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야간에도 나침부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을 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 및 야광판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광판의 저면 사시도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편에 걸림돌기가 삽입 및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을 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1)은 타월몸체(10)와, 제1 결속부재(20) 및 제2 결속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월몸체(10)는 대략 폭에 비해 길이가 5배이상인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와, 일단이 몸체부(11)의 일측에 부착되는 끈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M)의 목 또는 어깨에 걸쳐진 상태에서 사용자(M)로부터 배출되는 땀을 닦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몸체부(11)는 수분흡수율이 높은 천연면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1)는 일측에 다양한 문구나 도형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구 또는 도형(G)을 합성수지재질의 염료로 형성하는 경우 문구 또는 도형(G)이 형성된 영역의 땀흡수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된 천연면사를 직조하여 문구 또는 도형(G)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끈부재(12)는 후술하는 제1 결속부재(20)가 부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부(11)와 같이 수분흡수율이 높은 천연면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속부재(20)는 끈부재(12)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제2 결속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2 결속부재(30)의 결합돌기(31)가 결합된다.
제2 결속부재(30)는 몸체부(11) 중 끈부재(12)가 부착되지 않은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1 결속부재(20)의 결합홈(미도시)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제1 결속부재(20)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1 결속부재(20) 및 제2 결속부재(30)는 몸체부(11)가 사용자(M)의 목 또는 어깨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어 타월몸체(10)가 사용자(M)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동시 타월몸체(10)를 사용자(M)의 목 또는 어깨에 걸친 후 끈부재(12)에 결합된 제1 결속부재(20)를 제2 결속부재(30)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이에 운동시 사용자(M)의 움직임이 커지더라도 타월몸체(10)의 일측 또는 끈부재(12)의 일측이 사용자(M)의 신체 일측에 지지되면서 타월몸체(10)가 사용자(M)의 신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M)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진 타월을 파지하기 위해 사용자(M)의 체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 및 야광판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광판의 저면 사시도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편에 걸림돌기가 삽입 및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및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야간에 타인이 사용자(M)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결속부재(20)의 상면에 야광판(4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결속부재(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 다수의 개공(41)이 형성된 야광판(40)과, 상기한 개공(41)에 반사물질이 도포되는 반사부(50) 및 야광판(40) 중 개공(41)이 형성되지 않은 하면에 결합되는 나침바늘(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21은 제1 결속부재(20)의 결합홈이다.
야광판(40)은 빛을 조사한 뒤 제거해도 일정시간 빛을 발생하는 형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개공(41)이 형성된다.
상기한 형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재로는 보석·황화광물,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 황화아연과 중금속의 혼합물, 발광도료 등이 사용될수 있다.
이와 같은 야광판(40)은 외부로부터 광을 흡수한 후 야간과 같이 외부광이 약해지는 경우 발광하여 타인이 사용자(M)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야광판(40)의 개공(41)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개공(41)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개공(41)에 도포되는 반사물질이 고화되는 경우 고화된 반사물질, 즉 반사부(50)가 개공(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사부(50)는 개공(41) 내부에 반사성 물질을 도포하는 경우 야광판(40)의 상부에 야광판(40)과 동일한 평단면구조를 갖는 마스크를 위치한 후 반사성 물질을 도포하여 개공(41) 내부에 반사성 물질이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성 물질(70)로는 AL 반사물질이나 적외선반사물질, 수은, 은분, 주석, 아말감, 아크릴, TiO2필름, TiO2-SiO2필름, 알루미늄, 청동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반사성 물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반사부(50)는 개공(41)을 통해 노출되는 일측에 의해 광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반사광으로 사용자(M)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침바늘(60)은 개공(41)이 형성되지 않은 야광판(40)의 하면에 결합되어 통상의 나침반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야간시 야광판(40)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야광판(40)은 제1 결속부재(20) 상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M)의 필요에 따라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야광판(40)과 제1 결속부재(20)의 결합구조를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20)는 상면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을 연장편(22)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연장편(22)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공(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결속부재(20)는 상면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편(22)에 의해 후술하는 야광판(40)의 걸림편(42)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3)이 형성된다.
야광판(40)은 상면과 하면의 외주면 중 걸림공(22a)과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편(42) 및 걸림편(4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원뿔형상의 걸림돌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결속부재(20)는 연장편(22)에 의해 상부에 삽입공간(S)이 형성되어 야광판(40)의 걸림편(42)을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는 경우 걸림편(42)에 형성된 걸림돌기(43)가 걸림공(22a)에 걸림결합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43)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꼭지점으로부터 걸림편(42)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3a)이 형성되는 바 걸림돌기(43)의 경사면(43a)이 연장편(22)의 일측(P)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43)의 경사면(43a)이 연장편(22)의 일측(P)에 지지되는 경우 걸림편(42)이 연장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도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43)의 경사면(43a)이 연장편(22)의 일측(P)을 가압하면서 야광판(40)이 경사면(43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되어 제1 결속부재(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야광판(40)을 제1 결속부재(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야광판(40)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걸림돌기(43)의 경사면(43a)이 연장부의 일측(P)에 가압되면서 걸림편(42)이 야광판(40)의 내측으로 휘어지고, 걸림편(42)이 야광판(40)의 내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걸림돌기(43)가 연장편(22)의 걸림공(22a)으로부터 이탈되어 야광판(40)을 제1 결속부재(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 10 : 타월몸체
11 : 몸체부 12 : 끈부재
13 : 문구 또는 도형 20 : 제1 결속부재
21 : 결합홈 22 : 연장편
22a : 걸림공 23 : 삽입공간
30 : 제2 결속부재 31 : 결합돌기
40 : 야광판 41 : 개공
42 : 걸림편 43 : 걸림돌기
43a : 경사면 50 : 반사부
60 : 나침바늘

Claims (6)

  1. 사용자의 목에 메거나 어깨에 두른 후 사용자의 땀을 제거하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에 있어서,
    타월몸체와;
    상기 타월몸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후면 일측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결속부재와;
    상기 타월몸체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제2 결속부재와;
    상기 제1 결속부재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형광재질의 야광판; 및
    상기 다수의 개공에 반사성 물질이 도포되어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타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월몸체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에 부착되고, 타단부 일측에 상기 제1 결속부재가 고정결합되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 타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재 및 상기 제2 결속부재는 똑딱단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타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판은 상기 개공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타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면의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공이 형성되는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야광판은
    상기 개공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에 결합되는 나침바늘과;
    상면과 하면의 외주면 중 상기 걸림공과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공에 삽입결합되는 원뿔형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타월.
KR1020110038158A 2011-04-25 2011-04-25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KR10123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58A KR101237404B1 (ko) 2011-04-25 2011-04-25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58A KR101237404B1 (ko) 2011-04-25 2011-04-25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546A KR20120120546A (ko) 2012-11-02
KR101237404B1 true KR101237404B1 (ko) 2013-02-26

Family

ID=4750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158A KR101237404B1 (ko) 2011-04-25 2011-04-25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13U (ko) 2022-08-23 2024-03-04 신선균 팔에 부착하는 스포츠 타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83Y1 (ko) * 1992-05-11 1994-04-02 김중경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수건
JP3128308U (ja) * 2006-10-04 2007-01-11 英美 近藤 首掛けファッションタオ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83Y1 (ko) * 1992-05-11 1994-04-02 김중경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수건
JP3128308U (ja) * 2006-10-04 2007-01-11 英美 近藤 首掛けファッションタオ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13U (ko) 2022-08-23 2024-03-04 신선균 팔에 부착하는 스포츠 타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546A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313B2 (en) Removable reflective hard hat brim guard
US10051921B2 (en) Light-emitting safe buckle
KR101237404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스포츠용 타월
WO2017210176A1 (en) Illuminated liquid vessel
US9072329B2 (en) Fastening system for decorative and functional elements on a helmet
KR200484472Y1 (ko) 착탈 구조를 갖는 신발용 발광 장신구
CA2648180C (en) Luminous cosmetic
US3229340A (en) Shoestring knot retainer
KR20100115509A (ko) 안전가방
KR20150122537A (ko) 등산용 스틱
KR101859603B1 (ko) 발광 안전 밴드
KR20090005422U (ko) 빛과 소리를 발생시키는 제기
KR100970702B1 (ko) 고리형 음료용기
KR101304853B1 (ko) 조명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챙 달린 모자
KR200437354Y1 (ko) 수영모자
KR200363331Y1 (ko) 두족류 포획구
JP4888747B2 (ja) 被り物用発光体
US20150316698A1 (en) Illuminated Accessory Device
KR200431067Y1 (ko) 다용도 스틱
EP3245890B1 (en) Light-emitting safe buckle
JP2011030650A (ja) 傘の柄カバー
CN111802763A (zh)
CN210043374U (zh) 一种背包警示灯
KR200473777Y1 (ko) 나침반이 구비된 점퍼
KR101270594B1 (ko) 낚시대 이탈 방지용 걸림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