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223B1 -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 - Google Patents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223B1
KR101237223B1 KR1020087006003A KR20087006003A KR101237223B1 KR 101237223 B1 KR101237223 B1 KR 101237223B1 KR 1020087006003 A KR1020087006003 A KR 1020087006003A KR 20087006003 A KR20087006003 A KR 20087006003A KR 101237223 B1 KR101237223 B1 KR 10123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ayer
delete delete
image
optic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959A (ko
Inventor
말테 프루고에프트
맨프레드 패쉬크
안드레 호페
올리버 무쓰
올라프 드레셀
Original Assignee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6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involving active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B42D2035/06
    • B42D2035/2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로서, 상기 표시장치는
적어도 제1 및/또는 제2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층(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2), 및
디스플레이층 위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autostereoscopic production)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광학층(104; 204; 304; 404; 504; 604; 704)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층은 LED 디스플레이, 특히 OLED 디스플레이,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DOCUMENT COMPRISING A DISPLAY ELEMENT}
본 발명은 전자 종이뿐만 아니라 3차원(3D)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autostereoscopic production)에 필요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 특히 이러한 종류의 표시장치를 구비한 중요한 문서 및 보안 문서, 칩 카드 및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이미지를 재생하는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현재의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공지되어 있다.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방식과 비교할 때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경우에 3차원 이미지의 생성은 셔터 안경, 적-녹 안경, 또는 편광 필터 또는 헤드-마운팅 디스플레이를 갖는 안경과 같은 부가적인 보조기구 없이 이루어진다.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차원 이미지 재생은, 예를 들어 시차장벽(Paralax barrier)으로도 불리는 소위 장벽 구조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3차원 이미지 인상이 다양한 렌즈, 예를 들어 구 형상, 특히 반구 형상의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 배치에 의해 재생되는 소위 집적 방식(integral procedure)이 현재의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홀로그래픽(holographic) 소자 또는 홀로그래픽 마이크로구조의 도 움을 받는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은 그 자체로 자연히 현재의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차원 이미지를 재생하는 소위 렌티큘러 방식도 현재의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렌티큘러"로도 기술되는 볼록 볼록 원통형 렌즈로 이루어진 라인 그리드(line grid)가 3차원 이미지의 재현에 사용된다.
다양한 공지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개요가 "렌티큘러 및 관련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들에 대한 역사(History of Lenticular and Related Autostereoscopic Methods)", David E. Roberts (http://www.microlens.com/ HistoryofLentikular.pdf)와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Autostereoscopic Displays)", 가상 현실의 최신 주제에 대한 세미나(a seminar on current topics of virtual reality), RWTH Aachen (http://www.rz.rwth- aachen . de / vr / teaching /
seminars / ws2003 / Presentation / Eggerath . pdf)에서 구체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이 현재의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컴퓨터 모니터에 대해 사용되고 있다. 유사한 컴퓨터 모니터가 관련 공보인 국제특허공개 제WO 99/05 559호, 미국특허 제6,118,584호 및 미국특허 제6,064,424호뿐만 아니라 http://www.research.philips.com/technologies/display/3d/technical.html 및 "다중 사용자 삼차원 디스플레이(Multi-User 3D-Displays)", C. van Berkel, J. H. A. Schmitz, 필립스 연구소(Philips Research Labs)(http://www.research. philips
. com / technologies / display /3d/ downloads / tile2000 -1458. pdf)에 공지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요소를 갖는 스마트 카드가 국제공개 제WO 99/38117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 요소는 스테레오스코픽 효과를 재현하기 위한 장벽 스트립(barrier strip)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과제는 표시장치를 사용하여 기능이 향상된 문서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사용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구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적어도 제1 및/또는 제2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층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층 위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1 및 제2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autostereoscopic production)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가요성 광학층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미지는 예를 들어 약간 다른 각도에서 동일한 물체를 나타낸다.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는 따라서 소위 스테레오 데이터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이 경우 녹화 방식에 의해 실물로부터 녹화된 스테레오 데이터과 관련되거나 또는 합성 스테레오 데이터, 예를 들어 컴퓨터 계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이 있다. 후자의 경우, 스테레오 데이터는 예비 계산 또는 실시간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층과 디스플레이층 위에 배치된 광학층이 모두 가요성이라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표시장치가 가요성 포일의 형상과 같이 가요성 구조로 설계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디스플레이층은 LED 디스플레이, 특히 OLED 디스플레이,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층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LED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이는 예를 들어 가요성 지지 필름(backing film) 위에 인쇄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소위 하이브리드-LED로서, 비유기 및 유기 재료가 모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층은 OLED 포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 포일의 제조 그 자체는 현재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공지되어 있으며 , 예를 들어 저온 폴리실리콘(LTPS: Low Temperature Polysilicon) 기술(또한, http://www.sharpsma.com/lcd/lcdguide/Technologies/OLED_displays.php를 참조)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또한 가요성 캐리어(매체) 위에 디스플레이를 겹쳐 놓는, 예를 들어 각인(imprint)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폴리머-전자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층은 소위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다.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는 현재의 기술 수준에 입각해서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실린더, 다면체 또는 구와 같은 회전 가능한 요소를 포함한다. 이들 회전 가능한 소자는 기판에 전체적으로 매립되며, 또한 각 회전 가능한 소자와 기판 사이의 작은 공간이 유체로 채워져 있어, 그 결과 소자가 항상 변하는 전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나 이리저리 옮겨 다니지 못한다.
만약 ,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소자의 하나의 반구가 검은색이며 또한 다른 것이 흰색인 경우, 모든 화소는 이점에 생성되는 전계에 의해 턴-온 및 턴-오프될 수 있다.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특히 또한 E-페이퍼로 불리는 소위 전자 종이가 제조(생성)될 수 있다.
전계에 의해 파티클의 회전에 기반을 둔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의 실시예는, 특히 미국특허 제4,126,854호; 미국특허 제4,143,103호; 국제공개 제WO 03/083 561 A2호; 미국특허 제4,438,160호; 미국특허 제5,389,945호; 미국특허 제5,825,529호; EP 0 913 803 A2; EP 0 942 405 A2; EP 1 005 008 A2 및 EP 0 994 456 B1에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소자의 운동이 전기 이동(electrophoresis)에 기반을 두고 있는 미국특허 제6,753,999 B2호에 공지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Lawrence, L.L.에 의해 발표된 「"자기 입자 디스플레이(A Magnetic-Particles Display)", 전자 장치에 대한 IEEE 보고서(IEEE Transactions on Electronic Devices), 22,1975,758」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자기 입자(magnetic particles)가 자계에 의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위치에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층은 전기 변색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층은 능동 매트릭스 또는 수동 매트릭스로서 설계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는 매트릭스형 화소 대신에 디스플레이층이 또한 단지 고정적으로 특정된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는 발광 폴리머를 인쇄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매트릭스 디자인 없이 디스플레이의 전극의 전면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화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트리거될 수 없기 때문에, 이미지 정보는 예를 들어 인쇄방식에 의한 건설적인 방식으로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 개별화에 의한 파괴적인 방식으로 도입된다. 이것의 이점은 늦은 순간에 도입된 데이터의 조작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런 종류의 구조는 능동 매트릭스를 위한 부가적인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는 문서로의 통합을 단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장벽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장벽 마스크 또는 장벽 그리드를 수반할 수 있으며, 이는 고정식 또는 동적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다수의 광학 렌즈, 특히 소위 통합공정을 구현하도록 매트릭스형 구형 렌즈 또는 반구형 렌즈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3차원 이미지 인상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을 위한 홀로그래픽 또는 광학 마이크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소위 “렌티큘러(lenticular)”로 알려져있는 서로 인접하여 선형방식으로 배열된 평철(plano-convex) 실린더형 렌즈와 같은 렌티큘러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다른 각도에서 표시된 물체를 관찰하기 위한 다수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를 재생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스위칭 가능하여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차원(3D) 효과의 이미지 재생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소위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형상 기억 소자로 이루어진다. 형상 기억 효과를 활성화하는 것을 통하여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재생이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것에 기초하여 광학층은 형상 변경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광학층은 렌즈의 반경이 형상 기억 효과를 활성화함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렌즈와 같은 광학 소자를 구비한다. 따라서, 렌즈는 형상 기억 합금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광학층의 하나 이상의 분리된 형상 기억 소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방사 또는 전계 또는 자계에 의해 형상 변경이 유도될 수 있는 형상 기억 합금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은 압전 소자를 포함한다. 압전 소자를 트리거함에 의해 광학층은 예를 들어 3D-효과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도록 형상 변경이 이루어진다. 광학층은 예를 들어 압전 재료, 바람직하게는 압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같은 광학 소자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압전 효과를 활성화함에 의해 광학 소자, 예를 들어 렌즈는 3D-효과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방식으로 형상 변경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층 그 자체는 다른 디스플레이층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디스플레이층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미지 재생을 위해 디스플레이층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층은 전기 변색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될 수 있다. 그것이 투명상태에서 흡수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경우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벽 라인 또는 장벽 그리드가 광학층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층 위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층 위에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의 재생을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전자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스테레오 이미지 데이터 기록에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승인되지 않은 액세스로부터 전자 메모리를 보호하도록 암호화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집적 전자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밧데리, 솔라셀, 또는 제벡 또는 펠티에 소자(Seebeck or Peltier element)와 같은 열전 소자와 같은 에너지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접촉 및/또는 비접촉 카드(인터페이스)에 의한 외부 에너지 공급을 위해 설계된다. ,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는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에너지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의해 제공된다. 선택적 또는 부가적으로 표시장치는 유도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유도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RFID 트랜스폰더 또는 이런 종류의 응답기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RFID 트랜스폰더는 표시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3차원 이미지의 부가적인 2차원 표시(표현)를 구비하고 있다. 이 2차원 표시는 예를 들어 표시장치 위에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에너지 공급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리된 디스플레이의 도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이 경우 만약 어떤 에너지 공급이 유효하지 않을지라도 이미지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2차원 표시를 3차원 이미지 표시와 비교하는 옵션은 또한 부가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문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문서는 표시장치 그 자체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표시장치는 문서로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문서는 ID 카드, 여권, 개인 ID, 운전 면허증, 신용카드, 고객 ID 또는 요금 카드와 같은 중요한 문서, 보안 또는 신분(ID) 문서일 수 있다. 문서는 구체적으로 칩카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소위 전자 책(E-book)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셀 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무선 통신장치, 휴대용 컴퓨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통합된다.
전자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이 경우 표시장치는 저장공간 내의 저장 위치에 말려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재생과 특히 구성의 콤팩트한 방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2는 3D 효과가 턴-오프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갖춘 칩 카드이다.
도 3은 3D 효과가 턴-온인 경우 도 2의 칩 카드이다.
도 4는 렌티큘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5는 라인 그리드(line grid)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6은 광학 활성 포일(active foil)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7은 홀로그래픽 포일(holographic foil)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8은 초기상태의 광학 소자(optical element)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9는 만약 광학 소자가 제2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도 8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투명상태에서 선형 또는 광학 마이크로 구조의 전환 가능한 제작물 을 위해 전기 변색(electrochromic) 물질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1은 비 투명상태일 때 도 10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리더(스캐너)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닫은 상태일 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4는 개방 상태일 때 도 13의 전자장치이다.
이하의 도면 설명에서 서로 대응하는 소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도 1은 표시장치(100)를 나타낸다. 표시장치(100)는 가요성(flexible) 디스플레이 층(102)을 구비하고 있고 그 위에는 가요성 광학층(104)이 배치되어 있다. 가요성 디스플레이층(102)과 가요성 광학층(104)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층(102)과 광학층(104)은 모두 가요성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층(102)과 광학층(104)으로 이루어진 최종 유닛도 또한 가요성을 갖는다.
디스플레이층(102)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OLED 포일, 가요성 포일로 구현된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쌍안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bistable electrophoretic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층(102)은 개별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는 이미지 소자(image element)를 갖는 능동 또는 수동 매트릭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102) 은 또한 가요성 장벽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는 개별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는 어떤 화소(picture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확고하게 특정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단지 완전하게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방법은 OLED에 기반을 두고 인쇄방식으로 생산된 디스플레이이다. 이는 단지 필요한 화소만을 구체적으로 프린팅함에 의해 구성적인 방식으로 개별화되거나, 또는 레이저와 같은 개별적인 화소의 목표 파괴에 의해 파괴적인 방식으로 개별화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층(102)에 대하여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imprint)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러한 이미지는 광학층(104) 위에 또는 디스플레이층(102)의 하부에 위치된 층(도 1에 도시되지 않음) 위에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턴-온될 때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사된 광이 인쇄된 이미지의 확산적으로 반사된 광보다 더 강하므로, 그 결과 단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만이 계속 보이게 되기 때문에 OLED에 기초한 디스플레이가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층(102)은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광학층(104)에 의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 재생에 기초를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광학층(104)은 디스플레이층으로부터 재생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을 위해, 예를 들어 고정(stiff) 또는 다이나믹 시차장벽(Paralax barrier), 렌티큘러(lenticular), 구형 또는 반구형 렌즈의 렌즈 매트릭스 및/또는 다른 홀로그래픽 또는 광학 마이크로 구조를 이룬다.
광학층(104)은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쌍안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쌍안정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투명 및 비투명 상태를 갖는 다른 전자 종이(E-paper) 기술과 같은 다른 가요성 디스플레이층을 사용하여 단독으로 구현(현실화)될 수 있다. 광학층(104)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다이나믹 시차장벽이 예를 들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쌍안정 디스플레이로서 광학층(104)의 설계는 연속된 에너지의 공급 없이 원하는 광학 구조가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여기에 표시된 능동 또는 수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갖는 실시예에서 표시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 메모리(106)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미지 데이터 메모리(106)에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를 재생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이미지 스테레오 데이터는 약간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동일한 실물의 다양한 이미지를 기록하는 것과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 의해 실물(actual object)로부터 기록될 수 있다. 드라이버(108)는 이미지 메모리(106)에 기록된 스테레오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제1 및 제2 이미지의 재생에 따라 디스플레이층(102)을 트리거한다. 광학층(104)에 근거하여 사용자(110)는 예를 들어 우측 눈(112)으로 제1 이미지를 인식함과 아울러 좌측 눈(114)으로 제2 이미지를 인식하여 그 결과 3D 효과가 얻어진다.
만약 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층(102)의 하부에 가요성 캐리어 위에 인쇄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 메모리에 스테레오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은 절 대적 필수사항이 아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3D 효과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을 위해 제1 이미지가 캐리어에 고정적으로 인쇄된 이미지에 의해 재생되며 또한 제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층(102)으로부터 부가적으로 재생된 이미지에 의해 재생된다.
표시장치(100)에 의해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이미지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는 전자 종이(E-paper)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또한 중요한 문서 및 보안 문서, 또는 식별(ID) 문서와 같은 문서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이러한 종류의 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특히, 표시장치(100)는 칩카드로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칩카드(216), 즉, 예를 들어 소위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나타낸다. 칩카드(216)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전자회로를 포함하는 칩 모듈(218)을 갖고 있다. 칩 모듈(218)은 접촉, 비접촉 또는 소위 듀얼 인터페이스(dual-interface) 카드의 특징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칩 모듈(218)은 예를 들어 카드 몸체(220)의 공동에 매립된다.
카드 몸체(220)는 예를 들어 다른 공동을 가지고 있고 다른 공동에는 광학층(204)이 그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디스플레이층(102)이 위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층(202) 및/또는 광학층(204)은 칩 모듈(218)의 집적 전자회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장치는 칩카드(216)의 대응하는 공동에 완전히 분리된 유닛으로 설계되어 칩 모듈(218)과 무관하게 작용하며 자신의 드라이버 및 이미지 데이터 메모리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장치에 대한 적어도 에너지 공급은 칩 모듈(218)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에너지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칩 모듈(218)로부터 얻어진다.
텍스트 정보(224) 뿐 아니라 기계 판독 가능한 선(222)이 카드 몸체(220) 위에 인쇄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이미지(226)는 디스플레이층 하부 또는 상부에 인쇄된다. 이미지(226)는 또한 디스플레이층(202)이 턴-오프되더라도 보일 수 있다.
도 3은 표시장치가 턴-온 상태일 때 칩카드(216)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228,230)가 표시장치에 의해 재생되어, 그 결과 광학층(204)에 의해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OLED에 기초한 디스플레이층(202)을 사용할 때 이미지(226)는 조명 파워에 의해 계속 거의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 그 대신 디스플레이층(202)이 상대적으로 약한 조명 파워를 갖는 경우 이미지(228 또는 230) 중의 단지 하나가 표시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효과가 인쇄된 이미지(226)와 디스플레이층에 의해 재생된 이미지(228 또는 230) 중 하나에 의해 나타난다.
디스플레이층(202) 및/또는 그 위에 위치한 광학층(204)은 여권사진 또는 약 3.5㎝ × 4.5㎝ 크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층(202)은 능동 매트릭스, 수동 매트릭스 또는 표면[영역] 전극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생될 이미지는 비출 수 있는 폴리머에 의해 인쇄방식으로 디스플레이층(202) 안에 또는 위에 인쇄될 수 있다. 후자는 전체로서 이러한 종류의 인쇄면은 전자적으로 수정될 수 없기 때문에 문서위조를 보호하기 위한 특히 유효한 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표면은 예를 들어 재생될 이미지의 개별적인 콘트라스트-발산 화소를 프린팅함에 의해 제조되어, 그 결과 문서로 원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요구되는 화소만이 호출된다. 또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의 라인을 따라 전면(full-surface) 디스플레이를 프린트하거나 또는 집적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어지는 개별화 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개별적인 화소가 파괴적인 방식으로 변경되어 이에 따라 원하는 이미지의 표시에 계속 요구되는 화소만이 광을 발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하는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는 칩카드(216)가 중앙집권화 또는 분산화된 프로세스에서 다음에 개별화되는 비개별화된 공백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개별화된 칩카드를 생성하는 데 요구되는 비용을 줄이며 또한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도 4는 칩카드(316)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칩카드(316)는 카드 몸체를 위한 하부 오버레이(overlay)(334)를 구비한 카드 인레이(inlay)(332)를 포함하고 있다. 배면 전극 또는 백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층(302)이 카드 인레이(332) 위에 위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층(302) 위에는 분리층(306)이 위치해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층(302)이 OLED 기술로 구현되는 경우, 분리층(306)은 확산하는 산소 및 물(그의 작용)에 의해 OLED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확산 장벽층을 형성한다.
영역(304) 안에 광학층으로서 설계되어 부하-독립(인쇄) 렌즈 그리드 또는 렌즈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오버레이(338)가 분리층(336)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층(302)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전기 변색 시스템(electrochromic system), 회전 구(rotating sphere) 또는 전기영동 파티클(electrophoretic particle)에 기반을 둔 OLED 또는 쌍안정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되어 있다.
오버레이(338)의 영역(304)에는 렌티큘러 렌즈, 구형 또는 육각형 그리드, 라인 그리드 또는 다른 홀로그래픽 또는 광학 마이크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층은 따라서 오버레이(338)에 돋을 새김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오버레이(338) 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칩카드(416)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광학층(404)이 오버레이(438)와 분리층(436)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학층(404)은 시차장벽(Paralax barrier)을 포함한다. 광학층(404)은 스위칭 가능하며, 예를 들어 다른 디스플레이, 특히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소자(402)와 (404) 모두 동일한 디스플레이 기술, 예를 들어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광학층(504)이 오버레이(538)와 분리층(536)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 구형 또는 육각형 렌즈 그리드, 라인 그리드 및/또는 홀로그래픽 또는 광학 마이크로 구조로서 이루어진 칩카드(516)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광학층(504)은 오버레이(538) 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538)와 일체형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광학층은 고정 방식, 동적 방식 또는 스위칭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동적 방식 또는 스위칭 방식 광학층은 다른 디스플레이 소자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제어 펄스에 기초하여 그들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스위칭 가능한 광학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변경은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효과(shape memory effect)에 기반을 두거나 또는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에 기인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효과의 활성화는 따라서 온도의 변화, 방사 또는 전계 또는 자계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도 8은 광학층(604)이 오버레이(638)와 디스플레이층(602) 사이에 위치된 칩카드(616)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층(604)은 그리드 또는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몇 개의 렌즈(640)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640)는 스위칭 가능하며, 예를 들어 렌즈의 형상으로서 이미지 표시의 3D 효과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도 8은 단지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되지 않고 느슨한 상태에 있는 렌즈(640)를 도시한다.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640)는 도 9에 도시된 변형 상태로 변환된다. 변형 상태에서 렌즈는 느슨한 상태 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며 그 결과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효과가 일어난다. 렌즈 시스템은 또한 3D 표시가 연결되지 않고 느슨한 상태에서 일어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3D 표시는 실제로 양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그러나, 이 경우에 표시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상이한 거리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단일 옵저버/콘트롤러에 의한 관찰과 멀티유저 동작 사이에 전환이 가능하다.
렌즈(640)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상 기억 효과는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 회로가 예를 들어 제어신호에 의해 완성되어, 그 결과 렌즈(640)가 가열되어 도 9에 표시된 고온 형상으로 전환된다. 상기와 다르게 또는 부가적으로 형상 기억 효과는 또한 외부 방사원 또는 전계 또는 자계를 형성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렌즈(640)는 압전 특성을 갖는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640)에 대한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렌즈는 그후 압전 효과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형태로 형상 변경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렌즈(640) 그 자체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 또는 압전 효과에 의해 직접적으로 트리거될 수 없으나, 오히려 하나 이상의 액튜에이터가 칩카드에 배열되어 렌즈(640)에 가급적 힘을 가하도록 제어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렌즈(6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역적으로 그리고 조형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다른 광학층(704)이 디스플레이층(702)을 덮고 있는 분리층(736)과 오버레이(7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칩카드(716)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층(704)은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효과를 발생하는 라인 그리드와 같은 광학 구조를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학층(704)과 관련하여 그것은 투명 전극 구조를 갖는 전기 변색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도 10은 턴-오프 상태의 광학층(704)을 나타내며, 여기서 라인(742)은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는다.
도 11은 “턴-온” 상태에 있는 광학층(704)을 나타낸다. “턴-온” 상태에서 라인(742)은 표시되며, 그 결과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효과가 발생한다.
광학층(704)은 예를 들어 OLED 디스플레이,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쌍안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층(704)에 사용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은 또한 디스플레이층(702)에 사용된다. 만약 인쇄된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층(702)에 포함되는 경우, 광학층(704)도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공통적인 이점은 광학층을 갖는 디스플레이층이 가요성이며, 예를 들어 포일과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중요한 문서 또는 보안 문서, 칩 카드, 휴대용 전자장치에 이러한 종류의 포일 같은 표시장치의 집적 또는 전자종이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적용된다.
도 12는 문서(844)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문서(844)는 예를 들어 ID 카드, 여권, 개인 ID, 운전 면허증, 신용카드, 고객 ID 또는 요금 카드와 같은 중요한 문서 또는 보안 문서와 관련될 수 있다. 문서(844)는 따라서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 층들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문서(844)는 또한 소위 칩카드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접촉, 비접촉 또는 듀얼-인터페이스 카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문서(844)는 집적 전자회로(846)를 구비하며, 또한 전자회로는 비휘발성 전자 메모리(806)를 포함한다. 메모리(806)는 이미지 데이터, 특히 스테레오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메모리(806)는 또한 문서(844)의 운반자의 개인 및/또는 객체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승인되지 않은 액세스로부터 메모리(806)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암호화 프로토콜이 집적 전자회로(846)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층(802)과 스위칭 가능한 광학층(804)에 특징이 있으며 문서(844)에 통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층(802)과 광학층(804)은 집적 전자회로(846)의 드라이버(808)에 의해 트리거된다. 전자회로(846)는 이 경우 칩 또는 칩 모듈, 많은 칩 및/또는 칩 모듈 중의 2개, 칩 및/또는 칩 모듈의 조합 및 인쇄 전자공학 또는 완전한 인쇄 전자공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층(804)은 예를 들어 스위칭 가능한 광학 소자를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효과 또는 압전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드라이버(808)에 의해 방출되는 제어 펄스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광학 소자는 예를 들어 장벽 라인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그의 형상, 또는 부가적인 디스플레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집적 전자회로(846)는 예를 들어 비접촉 실시예에서 안테나(850)에 연결되어 있다. 안테나(850)와 함께 집적 전자회로(846)는 바람직하게는 RFID 기술로 설계된다. 다른 실시예는 접촉 또는 듀얼-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서(844)는 집적 전자회로(846) 또는 표시장치용 전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대신 예를 들어 안테나(85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집적 전자회로(846) 및/또는 표시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가져온다. 따라서, 안테나(850)를 갖 는 집적 전자회로(846)는 소위 RFID 트랜스폰더와 관련되어 있다.
다른 접촉 및/또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특히 소위 듀얼-인터페이스가 또한 집적 전자회로 및/또는 표시장치에 대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원이 리더(85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리더(852)는 RFID 인터페이스(854) 또는 다른 접촉 및/또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RFID 인터페이스(854)는 RFID 무선 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안테나(85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리더(85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58),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뿐만 아니라 리더(852)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856)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메모리(806)에 기억된 데이터를 액세스 및/또는 드라이버(808)의 제어 펄스를 활성화시키며 또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3D 효과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도록 암호화 프로토콜(848)에 참여하도록 사용된다.
문서(844)는 부가적인 인쇄물(imprint)(860)을 가질 수 있다. 인쇄물(860)은 예를 들어 표시장치가 턴-온될 때, 재생된 3D 객체의 2차원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물(860)은 여권 사진의 재생과 관련된다. 이는 리더(852)의 도움 없이도 문서(844)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만약 리더(852)가 유용한 경우는 인쇄물(860)이 표시장치(802,804)의 재생에 따라서 시각적으로 검색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물(860)에 의해 부가적인 보안 특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휴대용 전자 장치(962)를 나타낸다. 장치(962)는 2개의 하우징 부품(964,966)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도 13은 하우징이 닫혀진 때의 장치(962)를 나타낸다.
드럼(968)이 하우징 부품(964)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우징 부품(964) 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층(902)이 거기에 위치된 광학층과 함께 말려져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층(902) 또는 광학층의 타단은 하우징 부품(966)의 하우징 칸막이(970)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품(964,966)을 연장함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왼손에 하우징 부품(964)을 잡는 한편 오른손에 하우징 부품(966)을 잡은 후 2 하우징 부품을 분리하도록 잡아당기면, 광학층과 함께 디스플레이층(902)은 드럼(968)으로부터 풀려진다. 그러면,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영역(972)이 연장된 하우징 부품(964,966) 사이에 생성된다.
참조번호 리스트
- - - - - - - - - - - - - - - - - - - - -
100 : 표시장치
102 : 디스플레이층
104 : 광학층
106 : 이미지 데이터 메모리
108 : 드라이버
110 : 사용자
112 : 우측 눈
114 : 좌측 눈
202 : 디스플레이층
204 : 광학층
216 : 칩카드
218 : 칩 모듈
220 : 칩 몸체
222 : 기계 판독 가능한 선
224 : 텍스트 정보
226 : 이미지
228 : 이미지
230 : 이미지
302 : 디스플레이층
304 : 영역
316 : 칩카드
332 : 카드 인레이
334 : 오버레이
336 : 분리층
338 : 오버레이
402 : 디스플레이층
404 : 광학층
416 : 칩카드
432 : 카드 인레이
434 : 오버레이
436 : 분리층
438 : 오버레이
502 : 디스플레이층
504 : 광학층
516 : 칩카드
532 : 카드 인레이
534 : 오버레이
536 : 분리층
538 : 오버레이
602 : 디스플레이층
604 : 광학층
616 : 칩카드
638 : 오버레이
640 : 렌즈
702 : 디스플레이층
704 : 광학층
736 : 분리층
738 : 오버레이
742 : 라인
802 : 디스플레이층
804 : 광학층
806 : 메모리
808 : 드라이버
844 : 문서
846 : 집적 전자회로
848 : 암호화 프로토콜
850 : 안테나
852 : 리더
854 : RFID 인터페이스
856 : 프로세서
858 : 사용자 인터페이스
860 : 인쇄물(Impression)
902 : 디스플레이층
962 : 장치
964 : 하우징 부품
966 : 하우징 부품
968 : 드럼
970 : 칸막이(Partition)
972 : 디스플레이 영역

Claims (38)

  1.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적어도 제1(228) 및 제2 이미지(230)를 재생하기 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층(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2),
    -상기 디스플레이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쇄된 이미지(226),
    -디스플레이층 위에 배치되며, 또한 제1(228) 및 제2(230)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가요성 광학층(104; 204; 304; 404; 504; 604; 704)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층은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스위칭 가능하여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층은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층은 매트릭스가 없도록 설계되며, 또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는 소자가 단지 각각의 화소 위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층은 매트릭스가 없는 완면상(完面像) 디자인을 가지며, 그 결과 개별적인 화소는 개별화의 목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표시된 물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수의 제1 및 제2 이미지로부터 수개의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형상 기억 소자로 이루어지며, 또한 형상 기억 효과를 활성화하는 것을 통하여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압전 소자로 이루어지고, 압전 소자의 활성화에 의해 광학층이 형상이 변경되어,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압전기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는 폴리머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제2 디스플레이층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용 전자 메모리(106; 8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및 제2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용 전자 메모리(106; 8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층 또는 광학층을 트리거시키기 위한 RFID 트랜스폰더(846,8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층 또는 광학층을 트리거시키기 위한 RFID 트랜스폰더(846,8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트랜스폰더는 디스플레이 관찰과 광학 관찰에 대한 에너지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의 부가적인 2차원 표시(8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의 부가적인 2차원 표시(8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2차원 표시는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19.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적어도 제1 이미지(228)를 재생하기 위한 가요성 디스플레이층(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2),
    -상기 디스플레이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쇄된 이미지(226),
    -디스플레이층 위에 배치되며, 또한 제1 이미지(228) 및 인쇄된 이미지(226)로부터 3차원 이미지의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가요성 광학층(104; 204; 304; 404; 504; 604; 704)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층은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회전 소자 디스플레이,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087006003A 2005-10-28 2006-10-30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 KR10123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2070A DE102005052070A1 (de) 2005-10-28 2005-10-28 Anzeigevorrichtung
DE102005052070.7 2005-10-28
PCT/EP2006/067947 WO2007048855A1 (de) 2005-10-28 2006-10-30 Dokumen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959A KR20080069959A (ko) 2008-07-29
KR101237223B1 true KR101237223B1 (ko) 2013-02-26

Family

ID=3783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003A KR101237223B1 (ko) 2005-10-28 2006-10-30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1943559B1 (ko)
KR (1) KR101237223B1 (ko)
CN (1) CN101351737B (ko)
AT (1) ATE542164T1 (ko)
DE (1) DE102005052070A1 (ko)
RU (1) RU2431877C2 (ko)
WO (1) WO20070488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596A1 (ko) * 2018-10-22 202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9865B4 (de) * 2006-12-15 2021-01-07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m Sicherheitsmerkmal
DE102007015934B4 (de) * 2007-04-02 2021-04-01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m Sicherheitsmerkmal, Lesegerät und Verfahren zum Lesen eines Sicherheitsmerkmals
DE102007043407A1 (de) 2007-09-12 2009-03-19 Polyic Gmbh & Co. Kg Mehrschichtiger flexibler Folienkörper
DE102007048102A1 (de) * 2007-10-06 2009-04-09 Leonhard Kurz Gmbh & Co. Kg Sicherheitselement zur Kennzeichnung eines Sicherheitsdokument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7050480B4 (de) 2007-10-19 2019-03-21 Bundesdruckerei Gmbh ID-Dokumen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System mit einem ID-Dokument und Verfahren zum Lesen eines ID-Dokuments
DE102007000873A1 (de) * 2007-11-12 2009-06-04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DE102007000887A1 (de) * 2007-11-12 2009-05-14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DE102007000889B8 (de) * 2007-11-12 2010-04-08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DE102007060461A1 (de) * 2007-12-13 2009-06-18 Visumotion Gmbh Anordnung zur räumlichen Darstellung
DE102008000676A1 (de) 2008-03-14 2009-09-17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r emissiven Anzeigevorrichtung
DE102008001149A1 (de) 2008-04-14 2009-10-15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m Speicher und Empfänger-Gerät
DE102010010448A1 (de) * 2010-03-01 2011-09-01 LÜTH & DÜMCHEN Automatisierungsprojekt GmbH Materialien, die in ihrer optischen Ansicht auf elektrischem oder elektronischem Wege veränderbar sind, un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fbringen von Grafiken auf diese Materialien
US20130093753A1 (en) 2011-10-14 2013-04-18 Nokia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control
DE102011085537A1 (de) * 2011-11-01 2013-05-02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elektronisches System, Verfahren zur Eingabe von Daten in ein Dokument und Verfahren zur Prüfung der Echtheit eines Dokuments
DE102012014877B4 (de) * 2012-07-26 2019-03-14 Giesecke+Devrient Mobile Security Gmbh Tragbarer Datenträger mit Anzeigeeinrichtung und diesbezügliches Herstellungsverfahren
DE202012009560U1 (de) * 2012-10-08 2014-01-09 Oechsler Aktiengesellschaft Ereignisdetektor und Medikamentenspender mit solchem Ereignisdetektor
CN104079688A (zh) * 2013-03-27 2014-10-01 赵立刚 具有柔性显示屏的腕式移动电话机
KR102081328B1 (ko) 2013-05-31 2020-02-26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전환부
RU2528252C1 (ru) * 2013-07-08 2014-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знак" (Фгуп "Гознак") Многослойный документ на бумажной или полимерной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его подлинности
DE102016015173A1 (de) 2016-12-20 2018-06-21 Giesecke+Devrient Mobile Security Gmbh Kartenförmiger Datenträger zum Bereitstellen eines Projektionsmusters
CN112009137A (zh) * 2020-09-03 2020-12-01 中国人民银行印制科学技术研究所 防伪元件及其制作和检测方法、安全物品及其鉴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655A (ja) 1997-02-07 1998-08-18 Toppan Printing Co Ltd 人物像付きカード
US6068183A (en) * 1998-04-17 2000-05-30 Viztec Inc. Chip card system
EP1154398A2 (en) * 2000-05-12 2001-11-14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preformed images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103A (en) 1976-05-04 1979-03-06 Xerox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twisting ball panel display
US4126854A (en) 1976-05-05 1978-11-21 Xerox Corporation Twisting ball panel display
CA1190362A (en) 1982-01-18 1985-07-16 Reiji Ishikawa Method of making a rotary ball display device
CA2027440C (en) 1989-11-08 1995-07-04 Nicholas K. Sheridon Paper-like computer output display and scanning system therefor
US5695346A (en) * 1989-12-07 1997-12-09 Yoshi Sekiguchi Process and display with moveable images
US5493427A (en) * 1993-05-25 1996-02-20 Sharp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display unit with a variable lens
US5717453A (en) * 1995-06-07 1998-02-10 Meso Scale Technology, Inc.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
GB9513658D0 (en) 1995-07-05 1995-09-06 Philips Electronics Uk Ltd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6064424A (en)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5825529A (en) 1996-06-27 1998-10-20 Xerox Corporation Gyricon display with no elastomer substrate
US6428868B1 (en) 1996-06-27 2002-08-06 Xerox Corporation Twisting-cylinder display
KR100377883B1 (ko) * 1997-03-18 2003-03-2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식 표시 장치
GB9715397D0 (en) 1997-07-23 1997-09-24 Philips Electronics Nv Lenticular screen adaptor
WO1999038117A1 (en) * 1998-01-27 1999-07-29 Viztec Inc. Transmitting advertisements to smart cards
US6222513B1 (en) 1998-03-10 2001-04-24 Xerox Corporation Charge retention islands for electric paper and applications thereof
US6753999B2 (en) 1998-03-18 2004-06-22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displays in portable devices and systems for addressing such displays
US6369793B1 (en) * 1998-03-30 2002-04-09 David C. Zimman Printed display and battery
US7854684B1 (en) * 1998-06-24 2010-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US6038059A (en) 1998-10-16 2000-03-14 Xerox Corporation Additive color electric paper without registration or alignment of individual elements
CA2289382C (en) 1998-11-25 2007-03-06 Xerox Corporation Gyricon displays utilizing magnetic addressing and latching mechanisms
WO2001091097A1 (en) * 2000-05-19 2001-11-29 Technology Innovations, Llc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embedded information
GB2374222A (en) * 2000-07-21 2002-10-09 Lee Scott Friend Imaging and tracking apparatus
GB0025886D0 (en) * 2000-10-23 2000-12-06 Murray Nicholas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ransfer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ing a coating
JP2002176660A (ja) * 2000-12-08 2002-06-21 Univ Tokyo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20030065665A1 (en) * 2001-09-28 2003-04-03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JP3848152B2 (ja) * 2001-12-20 2006-11-22 株式会社東芝 多機能icカード
US6853412B2 (en) * 2002-02-28 2005-02-08 Eastman Kodak Company Transaction card with memory and polymer dispersed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EP1514157A2 (en) 2002-03-25 2005-03-16 Gyricon Media, Llc Electronically controllable sign comprising reflective electrophoretic medium
JP3969252B2 (ja) * 2002-08-27 2007-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画像平面画像切換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7196692B2 (en) * 2002-09-30 2007-03-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put device provided with windabl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US7712673B2 (en) * 2002-12-18 2010-05-11 L-L Secure Credentialing, Inc. Identification document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of bearer
DE10339076B4 (de) * 2003-08-26 2007-10-31 Seereal Technologies Gmbh Autostereoskopisches Multi-User-Display
DE10344384B4 (de) * 2003-09-23 2008-07-10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s Authentifizierungsmerkmals eines rotierenden optischen Datenträgers und digitaler Datenträger
KR101136398B1 (ko) * 2004-10-23 2012-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102004054365A1 (de) * 2004-11-10 2006-08-24 Xetos Ag Vorrichtung zur Stereobildbetra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655A (ja) 1997-02-07 1998-08-18 Toppan Printing Co Ltd 人物像付きカード
US6068183A (en) * 1998-04-17 2000-05-30 Viztec Inc. Chip card system
EP1154398A2 (en) * 2000-05-12 2001-11-14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preformed images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596A1 (ko) * 2018-10-22 202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45239A (ko) * 2018-10-22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20579B2 (en) 2018-10-22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 light unit comprising shape memory material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600961B1 (ko) * 2018-10-22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959A (ko) 2008-07-29
EP2426544A2 (de) 2012-03-07
EP2426544A3 (de) 2012-04-18
ATE542164T1 (de) 2012-02-15
CN101351737A (zh) 2009-01-21
DE102005052070A1 (de) 2007-05-03
EP1943559B1 (de) 2012-01-18
CN101351737B (zh) 2011-12-14
RU2431877C2 (ru) 2011-10-20
EP2426544B1 (de) 2014-03-19
EP1943559A1 (de) 2008-07-16
WO2007048855A1 (de) 2007-05-03
RU2008121234A (ru)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223B1 (ko) 표시장치를 구비한 문서
KR101432856B1 (ko) 광학 송신기를 구비하는 문서
JP5380755B2 (ja) 文書、及び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
EP2471027B1 (en) A document with an integrat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 same
CA2614064C (en) Activatable optical layer
US10150325B2 (en)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MX2009000071A (es) Documento de seguridad o de valor con al menos dos dispositivos de visualizacion.
CN101213578A (zh) 包含集成电路和显示系统的安全文档
US10150326B2 (en) Hybrid document with variable state
KR101589014B1 (ko) 통합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문서
US10386690B2 (en) Media with recessed e-paper display
CN201082605Y (zh) 带有3d光栅的金融卡
CN101990675B (zh) 带发射型显示设备的文件
KR101588670B1 (ko) 통합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문서
US20210339552A1 (en) Hybrid documents with electronic indicia
CN207624019U (zh) 一种基于动态密码的三维防伪标签
CN207541644U (zh) 一种基于动态密码的球形防伪标签
CN109117912A (zh) 一种基于动态密码的球形防伪标签
WO2016018257A1 (en) Display device
EP4291416A2 (en) Security document
JP2008217287A (ja) Idカード
CN109117915A (zh) 一种基于动态密码的三维防伪标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