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825B1 - 압축 공기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825B1
KR101236825B1 KR1020100118726A KR20100118726A KR101236825B1 KR 101236825 B1 KR101236825 B1 KR 101236825B1 KR 1020100118726 A KR1020100118726 A KR 1020100118726A KR 20100118726 A KR20100118726 A KR 20100118726A KR 101236825 B1 KR101236825 B1 KR 10123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mber
compressed air
air
sto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129A (ko
Inventor
김병화
김성현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압축 공기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답력(FOOT POWER)을 전달하는 페달부재와, 페달부재의 답력이 전달되어 이동되는 로드부재와, 로드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이동되고 측면의 일부는 관통되어 피스톤부재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공압 발생기와, 실린더부재의 압축 공기를 공압 구동 장치로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에어 공급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 공기 공급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공압 구동 장치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공압을 구동원으로 구동되는 공압용 컨트롤 밸브 또는 액추에이터 등의 다수의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압을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장치들에 공압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압축 공기를 저장소에 저장한다.
그리고, 압축 공기의 공급 필요시에 에어 드라이어(air dryer)를 거쳐 공압을 필요로 하는 공압용 컨트롤 밸브 또는 액추에이터 등의 장치에 공압을 공급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소를 마련해야하여 관련 설비가 과다하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에 사용되는 공압 구동 장치에 공압의 공급 과정을 단순화하고 정확한 공압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답력(FOOT POWER)을 전달하는 페달부재와, 페달부재의 답력이 전달되어 이동되는 로드부재와, 로드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이동되고 측면의 일부는 관통되어 피스톤부재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공압 발생기와, 실린더부재의 압축 공기를 공압 구동 장치로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에어 공급 라인을 포함한다.
실린더부재에는 로드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에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제1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부재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1 에어 스토퍼부와,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제2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부재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하는 제2 에어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 스토퍼부의 작용 반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에어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 스토퍼부는, 실린더부재의 내부측으로 제1 유입홀이 관통되고 실린더부재의 외부측으로 제1 배출홀이 관통되며 제1 유입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블록과, 단차부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결합되어 실린더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와 제1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제1 관로를 차단하도록 가압되는 제1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어 스토퍼부는, 실린더부재의 내부측으로 제2 배출홀이 관통되고 실린더부재의 외부측으로 제2 유입홀이 관통되며 제2 유입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블록과, 단차부에 고정되는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실린더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제2 관로를 차단하도록 가압되는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부재는, 지지블록 상에 포스트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답력이 전달되는 답력부와, 답력부에 연장되며 로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재는 상기 지지블록 상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부재와 실린더부재의 입구부 사이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달부재를 이용하여 공압의 공급 필요시에만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압을 선박의 공압 구동 장치에 공급 가능하여, 공압 공급을 위한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효율적인 공압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페달부재와 공압 발생기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실린더부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블록에 실린더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페달부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스토퍼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된 상태에서 제1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된 상태에서 제2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되어 피스톤부재가 이동된 상태에서 제1 에어스토퍼부와 제2 에어 스토퍼부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페달부재와 공압 발생기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0)는, 답력(FOOT POWER)을 전달하는 페달부재(10)와, 압축 공기(13)를 발생하는 공압 발생기(20)와, 공압 구동 장치(11)로 압축 공기(13)를 전달하는 에어 공급 라인(50)을 포함한다.
공압 구동 장치(11)는 선박에 사용되며 압축 공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소정의 장치, 이를 테면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 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공압 구동 장치(11)는 공지된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그 구성 및 자세한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페달부재(10)는 답력(FOOT POWER)을 후술하는 공압 발생기(20)에 전달하여 압축 공기(13)의 발생을 유도한다.
패달부재(10)는 지지블록(15) 상의 포스트부(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답력이 전달되는 답력부(12)와, 답력부(12)에 연장되며 로드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14)를 포함한다.
답력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답력이 직접 적으로 전달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발과 접촉되는 면이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14)는 일단은 답력부(12)에서 연장되고 타단은 로드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답력부(12)와 링크부(14)는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답력부(12)에 전달된 답력이 로드부재(21)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압 발생기(20)는 페달부재(10)로부터 답력을 전달받아 압축 공기(13)를 발생시킨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실린더부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발생기(20)는 링크부(14)에 연결되는 로드부재(21)와, 로드부재(21)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부재(23)와, 피스톤부재(23)의 이동시 압축 공기(13)를 배출하는 실린더부재(25)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재(25)의 내부에는 피스톤부재(23)와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의 사이에 스프링부재(27)가 설치된다. 따라서 스프링부재(27)는 답력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 피스톤부재(23)가 실린더부재(25)의 저면(25b)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페달부재(10)의 작동시 피스톤부재(23)는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축 공기(13)를 실린더부재(25)의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제1 포트(25a)는 에어 공급 라인(5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에 근접 위치에는 제2 포트(25f)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포트(25a)와 제2 포트(25f)는 로드부재(21)가 설치되는 실린더부재(25)의 일측면에서 로드부재(21)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포트(25f)는 후술하는 제2 에어 스토퍼부(4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에 대해서는 제1 및 제2 에어 스토퍼부(30,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린더부재(25)는 지지블록(15)에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지지블록에 실린더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페달부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25)는 지지블록(15)의 경사면(15a)에 설치된다. 여기서 실린더부재(25)는 지지블록(15)에 힌지(24)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페달부재(10)가 답력이 전달되어 일측으로 회전되면, 실린더부재(25)는 페달부재(10)의 회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으면 실린더부재(25)는 힌지(24)에 의해 지지블록(15)의 경사면(15a)에 접하도록 다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실린더부재(25)에는 압축 공기(13)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 및 제2 에어 스토퍼부(40)가 각각 설치된다.
제1 에어 스토퍼부(30)는 실린더부재(25)의 내부에서 제1 포트(25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부재(25)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실린더부재(25)의 내부에서 제2 포트(25f)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제1 에어 스토퍼부(30)의 작용 반대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제1 및 제2 에어 스토퍼부(30)(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에어 스토퍼부(30)는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 측에 설치되어, 실린더부재(25) 내부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13)의 배출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제1 에어 스토퍼부(30)는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 측에 설치되며 압축 공기(13)가 이동하는 제1 스토퍼 블록(31)과, 제1 스토퍼 블록(3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스토퍼(33)를 포함한다.
도 5는 제1 스토퍼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 블록(31)은 실린더부재(25)의 내부측으로 제1 유입홀(31a)이 형성되고, 실린더부재(25)의 외부측으로 제1 배출홀(31b)이 형성된다. 제1 유입홀(31a)에는 단차부(31c)가 형성된다. 단차부(31c)는 제1 스토퍼(33)의 설치를 위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스토퍼(33)가 단차부(31c) 면에 접한 상태에서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스토퍼(33)는 제1 스토퍼 블록(31)의 내부에 끼움 결합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스토퍼(33)를 제1 스토퍼 블록(31)의 내부에 끼움 결합할 경우에는, 제1 스토퍼 블록(31)의 내부에 소정의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33)는, 단차부(31c)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33a)과, 제1 프레임(33a)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33b)와, 제1 탄성부재(33b)에 설치되어 제1 유입홀(31a)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제1 밀폐부재(33c)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33a)은 제1 스토퍼 블록(31)의 내부에서 단차부(31c)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내부에 설치 공간의 형성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제1 프레임(33a)은 제1 스토퍼 블록(31) 내부의 형상 변경에 따라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b)는 제1 프레임(33a)의 설치 공간에 압축 공기(13)가 이동 가능하도록 격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3b)는 다수의 와이어(WIRE)가 결합되어 격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재(33b)는 격자 형상의 와이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 스프링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제1 밀폐부재(33c)는 제1 탄성부재(33b)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프레임(33a)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 거리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밀폐부재(33c)는 제1 유입홀(31a)의 용이한 실링을 위해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폐부재(33c)는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유입홀(31a)을 밀폐하고,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될 경우에는 제1 유입홀(31a)을 개방한다.
제1 밀폐부재(33c)는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1 유입홀(31a)을 보다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다. 즉, 제1 밀폐부재(33c)의 볼록한 부분의 일부가 제1 유입홀(31a)에 삽입되어 밀폐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된 상태에서 제1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밀폐부재(33c)는 제1 탄성부재(33b)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어 제1 유입홀(31a)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 유입홀(31a)을 밀폐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된 상태에서는, 제1 밀폐부재(33c)는 압축 공기(13)의 압력에 의해 제1 탄성부재(33b)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13)는 제1 밀폐부재(33c)와 제1 유입홀(31a)의 사이에서 제1 탄성부재(33b)를 통과하여 제1 배출홀(31b)을 통하여 실린더부재(25)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실린더부재(25)의 제2 포트(25f)측에 설치된다.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제2 스토퍼 블록(41) 및 제2 스토퍼(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스토퍼 블록(41)은 제1 스토퍼 블록(31)에 대응하고, 제2 스토퍼(43)는 제1 스토퍼(33)에 대응한다. 이러한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의 장착 방향의 역방향으로 실린더부재(2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스토퍼 블록(41)은 실린더부재(25)의 내부측으로 제2 배출홀(41b)이 형성되며 실린더부재(25)의 외부측으로 제2 유입홀(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유입홀(41a)에는 단차부(41c)가 형성된다. 제2 유입홀(41a)에는 실린더부재(25)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45)는 제2 유입홀(41a)에 설치되거나 실린더부재(25)의 입구부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스토퍼(43)는 제2 프레임(43a)과 제2 탄성부재(43b) 및 제2 밀폐부재(43c)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제2 프레임(43a)과 제2 탄성부재(43b) 및 제2 밀폐부재(43c)는, 전술한 제1 프레임(33a)과 제1 탄성부재(33b) 및 제1 밀폐부재(33c)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제1 스토퍼(33)의 구성과 중복되는 제2 스토퍼(43)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에어 스토퍼부(30)와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설계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일부 형상 및 그 크기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 에어 스토퍼부(40)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의 공기 흐름 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된 상태에서 제2 밀폐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된 상태에서 제2 밀폐부재(43c)는 압축 공기(13)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부재(25)의 제2 포트(25f)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유입홀(41a)을 밀폐한다. 이때, 제2 밀폐부재(43c)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돌출된 일부가 제2 유입홀(41a)로 삽입되어 밀폐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될 경우, 제2 유입홀(41a)을 밀폐하는 것은 압축 공기(13)가 제2 유입홀(41a)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고, 제1 에어스토퍼부(30)의 제1 배출홀(31b) 방향으로 전부 이동되어 에어 공급 라인(50)에 모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피스톤부재(23)는 실린더부재(25)의 제1 포트(25a)에서 멀어지는 저면(25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재(25)의 내부로 공기의 흡입 작용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 밀폐부재(43c)는 공기의 흡입 압력에 의해 제2 탄성부재(43b)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실린더부재(25)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유입홀(41a)과 제2 밀폐부재(43c)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제2 탄성부재(43b)를 통과하여 실린더부재(2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9는 페달부재에 답력이 전달되어 피스톤부재가 이동된 상태에서 제1 에어스토퍼부와 제2 에어 스토퍼부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페달부재의 작동에 따른 공압 발생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페달부재의 답력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면, 피스톤부재(23)는 스프링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부재(25)의 저면(25b) 방향으로 이동된다. 참조 번호 25d는 피스톤부재(23)가 실린더부재(25)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공기의 배출을 위한 드레인 홀이다. 드레인 홀(25d)과 제1 포트(25a) 및 제2 포트(25f) 위치를 보다 상세하세 설명하면, 실린더부재(25)의 로드부재(21)가 설치되는 일측 방향에는 제1 포트(25a) 및 제2 포트(25f)가 형성되고, 실린더부재(25)의 타측의 힌지(24)가 설치되는 부분에 드레인 홀(25d)이 형성된다.
드레인 홀(25d)에는 필터(25e)가 설치되어 이물질이 실린더부재(25)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부재(23)가 실린더부재(25)의 입구부(25a)에서 저면(25b)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린더부재(25)의 내부로 공기 흡입 작용이 발생된다. 즉, 제1 밀폐부재(33c)는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1 유입홀(31a)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2 밀폐부재(43c)는 흡입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 탄성부재(43b)의 압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실린더부재(25)는 제2 유입홀(41a)을 통해 공기가 실린더부재(25)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부재(10)에 답력이 전달되면, 피스톤부재(23)는 실린더부재(25)의 입구부(25a)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재(25)의 내부에는 압축 공기(13)가 생성되어 입구부(25a)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 압축 공기(13)는 제2 에어 스토퍼부(40)에서 제2 밀폐부재(43c)에 차단되어 제2 유입홀(41a)를 통해서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압축 공기(13)는 제1 에어 스토퍼부(30)에서 제1 탄성부재(33b)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 밀폐부재(33c)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에어 스토퍼부(30)에서는 제1 유입홀(31a)과 제1 밀폐부재(33c)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13)는 제1 유입홀(31a)과 제1 밀폐부재(33c)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제1 배출홀(31b)로 배출된다. 제1 배출홀(31b)에서 배출된 압축 공기는 에어 공급 라인(50)으로 공급되어, 공압 구동장치(11)의 구동원으로 사용된다.
한편, 에어 공급 라인(5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공기(13)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51)와, 압축 공기(13)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53)와, 압축 공기(13)를 비상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5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페달부재 11...공압 구동 장치
12...답력부 13...압축 공기
14...링크부 15...지지블록
15a..경사면 17...포스트부
20...공압 발생기 21...로드부재
23...피스톤부재 25...실린더부재
25a..제1 포트 25b..저면
27...스프링부재 30...제1 에어 스토퍼부
31...제1 스토퍼 블록 31a..제1 유입홀
31b..제1 배출홀 31c..단차부
33...제1 스토퍼 33a..제1 프레임
33b..제1 탄성부재 33c..제1 밀폐부재
40...제2 에어 스토퍼부 41...제2 스토퍼 블록
41a..제2 유입홀 41b..제2 배출홀
43...제2 스토퍼 43a..제2 프레임
43b..제2 탄성부재 43c..제2 밀폐부재
50...에어 공급 라인 53...체크밸브
55...드레인 밸브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답력(FOOT POWER)을 전달하는 페달부재;
    상기 페달부재의 답력이 전달되어 이동되는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이동되고 측면의 일부는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로드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에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형성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공압 발생기;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압축 공기를 공압 구동 장치로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에어 공급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1 에어 스토퍼부;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하는 제2 에어 스토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 스토퍼부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측으로 제1 유입홀이 관통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부측으로 제1 배출홀이 관통되며, 상기 제1 유입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블록; 및 상기 단차부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관로를 차단하도록 가압되는 제1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제1 스토퍼;
    를 포함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4. 답력(FOOT POWER)을 전달하는 페달부재;
    상기 페달부재의 답력이 전달되어 이동되는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이동되고 측면의 일부는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부재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로드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에 제1 포트 및 제2 포트가 형성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공압 발생기;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압축 공기를 공압 구동 장치로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에어 공급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부재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1 에어 스토퍼부;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 내부의 압축 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 공기는 유입하는 제2 에어 스토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에어 스토퍼부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측으로 제2 배출홀이 관통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부측으로 제2 유입홀이 관통되며, 상기 제2 유입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블록; 및 상기 단차부에 고정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관로를 차단하도록 가압되는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재는,
    지지블록 상에 포스트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답력이 전달되는 답력부; 및
    상기 답력부에 연장되며 상기 로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
    를 포함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지지블록 상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입구부 사이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KR1020100118726A 2010-11-26 2010-11-26 압축 공기 공급 장치 KR10123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26A KR101236825B1 (ko) 2010-11-26 2010-11-26 압축 공기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26A KR101236825B1 (ko) 2010-11-26 2010-11-26 압축 공기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29A KR20120057129A (ko) 2012-06-05
KR101236825B1 true KR101236825B1 (ko) 2013-02-25

Family

ID=4660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26A KR101236825B1 (ko) 2010-11-26 2010-11-26 압축 공기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48B1 (ko) * 2020-11-16 2023-03-30 최창현 에어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458A (en) * 1977-05-13 1981-09-15 E. J. Price (Developments) Limited Foot pumps
KR860000524Y1 (ko) * 1984-06-20 1986-04-07 고창원 수동 공기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458A (en) * 1977-05-13 1981-09-15 E. J. Price (Developments) Limited Foot pumps
KR860000524Y1 (ko) * 1984-06-20 1986-04-07 고창원 수동 공기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29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286A (en) High flow valve
CN102971148B (zh) 液体供应装置
JP6455472B2 (ja) 水分配装置のスイッチング構造
RU2016145952A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ентиляции с применением цифрового клапанного позиционера
JP2009533154A5 (ko)
HK1130314A1 (en) A reagent cartridge
KR200476105Y1 (ko) 밸브체의 위치 고정 구조체
KR101236825B1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US20140371874A1 (en) Vacuum suction structure of ankle joint and support barrel of artificial limb
ATE469859T1 (de) Steuereinheit und füllkopfvorrichtung
EP1726723A3 (en) Working machine
ATE432844T1 (de) Kraftstoffbehälterverschluss
RU2014145512A (ru) Осушитель воздуха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101589625B1 (ko)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CN105889032B (zh) 空气压缩机的压缩筒出气构造
CN102039993B (zh) 一种用于救生气囊的引射装置
KR101113142B1 (ko) 고점성 공압펌프 구동장치
KR100772019B1 (ko) 사각형 게이트 밸브
KR200443459Y1 (ko) 서랍형 진공보관장치 및 진공개폐밸브
JP4425230B2 (ja) 空気注入/排出装置
CN203670928U (zh) 一种止逆电磁气阀
KR101240517B1 (ko) 유체 제어용 멀티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에어 매트
KR101358801B1 (ko) 게이트 밸브
CN209892805U (zh) 一种橡皮舟充气阀
JP6540235B2 (ja) 打込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