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720B1 - 파우더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파우더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720B1
KR101236720B1 KR1020110017960A KR20110017960A KR101236720B1 KR 101236720 B1 KR101236720 B1 KR 101236720B1 KR 1020110017960 A KR1020110017960 A KR 1020110017960A KR 20110017960 A KR20110017960 A KR 20110017960A KR 101236720 B1 KR101236720 B1 KR 10123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ir
air inlet
air outlet
powd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180A (ko
Inventor
조명행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7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는, 상류측 단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류측 단부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흡입관과,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는 파우더 용기와,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제1 공기입구 및 상기 파우더 용기와 연통되는 제1 공기출구를 구비하는 제1연결관과, 상기 파우더 용기와 연통되는 제2 공기입구 및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제2 공기출구를 구비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입구는 상기 제2 공기출구의 상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기입구와 상기 제2 공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 부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우더 흡입장치{POWDER INHALER}
본 발명은 파우더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기 내의 파우더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파우더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입을 대고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파우더(powder) 약재가 공기와 함께 체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고안된 파우더 흡입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천식 등의 질환을 알고 있는 환자들에게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1)는 상류측 단부에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하류측 단부에 공기 배출구(12)가 형성된 흡입관(10)과, 내부에 파우더(31)가 수용되는 파우더 용기(30) 및 흡입관(10)과 파우더 용기(30)를 연통시키는 연결관(20)으로 구성된다.
연결관(20)은 흡입관(10)과 연통되는 공기출구(22) 및 파우더 용기(30)와 연통되는 공기입구(21)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흡입관(10)의 공기 배출구(12)에 입을 대고 공기를 빨아들이면, 공기가 공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관(10)으로 빨려들어간다.
이때, 흡입관(10)의 내부에는 압력 변화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파우더 용기(30) 내부의 파우더(31)들이 연결관(20)을 통해 흡입관(10)으로 빨려 올라가 흡입관(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공기 배출구(12)로 이동한다. 공기와 함께 이동한 파우더(31)들은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의 몸 속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공기 압력에 의해 파우더 용기(30) 안에 있는 파우더(31)가 흡입관(10)으로 빨려 올라갈 수 있을 만큼 강한 흡입력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우더를 흡입하는데 매우 큰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우더 용기(30) 안에 있는 파우더(31)들이 공기 중 습기와 결합하여 서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파우더(31)를 흡입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이동 경로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작은 노력으로도 쉽게 파우더를 흡입할 수 있는 파우더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는, 상류측 단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류측 단부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흡입관과,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는 파우더 용기와,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제1 공기입구 및 상기 파우더 용기와 연통되는 제1 공기출구를 구비하는 제1연결관과, 상기 파우더 용기와 연통되는 제2 공기입구 및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제2 공기출구를 구비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입구는 상기 제2 공기출구의 상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기입구와 상기 제2 공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공기입구와 상기 제2 공기출구 사이에서 상기 흡입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차폐 밸브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에는 상기 제1연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연결 밸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밸브와 상기 연결 밸브는 서로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폐 밸브가 상기 흡입관을 폐쇄하면, 상기 연결 밸브가 상기 제1연결관을 개방하고, 상기 차폐 밸브가 상기 흡입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결 밸브가 상기 제1연결관을 폐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기출구는 상기 파우더 용기의 저면과 인접하여 상기 파우더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입구는 상기 파우더 용기의 상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 용기 내부에는 복수의 비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개폐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이동 경로가 개선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우더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파우더의 뭉침 현상이 방지되어 파우더를 흡입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100)는 흡입관(200), 파우더 용기(500), 상기 흡입관(200)과 파우더 용기(500)와 연통되는 제1연결관(300) 및 제2연결관(400)을 포함한다.
흡입관(200)의 일 단부에는 공기 흡입구(210)가 형성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공기 배출구(220)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파우더(510)를 흡입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구(220)에 입을 대고 공기를 흡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입에 의해 공기가 흡입관(200)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 즉, 공기 흡입구(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류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정의한다.
흡입관(200)의 공기 흡입구(210)에는 필터(211)가 결합되어 공기 흡입시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흡입관(200)의 공기 배출구(220)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기 배출구(2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개폐 부재(221)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개폐 부재(221)는 일단부가 흡입관(200)의 내면에 고정되며, 최초 위치(점선 도시)에서 공기 배출구(220)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가 공기 배출구(22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탄성 개폐 부재(221)는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구부러지면서(실선 도시), 공기 배출구(220)를 개방하여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는 동작을 멈추면 탄성 개폐 부재(221)는 그 탄성에 의해 최초 위치로 다시 복귀하여 공기 배출구(220)를 폐쇄한다.
이와 같은 탄성 개폐 부재(221)에 의하면, 평상시 흡입관(200)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흡입시 파우더(510)가 과도하게 사용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파우더 용기(500)는 내부에 파우더(510)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510)는 약효를 가지는 의료용 파우더이다. 파우더 용기(500)는 파우더(510)가 모두 소진되면 파우더(510)를 다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파우더 용기(500)는 파우더 흡입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파우더(510)가 소진된 파우더 용기(500)를 제거하고 다른 파우더 용기(500)(즉, 파우더가 충전되어 있는 파우더 용기)로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더 용기(500) 내부에는 복수의 비드(bead)(520)가 넣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드(520)들은 파우더(510)들이 서로 뭉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제1연결관(300)의 양단에는 제1 공기입구(310) 및 제1 공기출구(320)가 형성된다. 제1 공기입구(310)는 흡입관(200)과 연통되어 있으며, 제1 공기출구(320)는 파우더 용기(500)와 연통되어 있다.
제2연결관(400)의 양단에는 제2 공기입구(410) 및 제2 공기출구(420)가 형성된다. 제2 공기입구(410)는 파우더 용기(500)와 연통되어 있으며, 제2 공기출구(420)는 흡입관(200)과 연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300)의 제1 공기입구(310)는 제2연결관(400)의 제2 공기출구(420)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한편, 흡입관(200)의 내부에는, 제1 공기입구(310)와 제2 공기출구(42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 부재(2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부재(230)는 제1 공기입구(310)와 제2 공기출구(420) 사이에서 흡입관(200)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차폐 밸브이다.
또한, 제1연결관(300)에는 상기 제1연결관(300)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연결 밸브(3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 밸브(230)와 연결 밸브(330)는 서로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차폐 밸브(230)가 흡입관(200)을 폐쇄하도록 동작하면, 연결 밸브(330)가 제1연결관(300)을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차폐 밸브(230)가 흡입관(200)을 개방하도록 동작하면, 연결 밸브(330)는 제1연결관(300)을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300)의 제1 공기출구(320)는 파우더 용기(500)의 저면에 인접하여 파우더 용기(500)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400)의 제2 공기입구(410)는 파우더 용기(500)의 상면에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100)를 이용해 파우더(510)를 흡입하는 원리 및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평상시 파우더 흡입장치(100)의 차폐밸브(230)는 개방하고, 연결밸브(330)는 폐쇄한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한다.
파우더(510)를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차폐밸브(230)를 폐쇄한다. 차폐밸브(230)는 연결밸브(330)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차폐밸브(230)를 폐쇄함에 따라 연결밸브(330)는 자동으로 개방된다.
사용자가 공기 배출구(220)에 입을 대고 공기를 빨아들이면, 흡입관(200)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면서, 외부 공기가 공기 흡입구(210)를 통해 빨려들어간다. 공기 흡입구(210)로 유입된 공기는 제1 공기입구(310)를 통해 제1연결관(300)으로 유입되고, 제1 공기출구(320)를 통해 빠져 나가 파우더 용기(500)로 유입된다.
파우더 용기(500)로 유입된 공기는 파우더(510)를 타격하여 비산시키면서 제2 공기입구(410) 쪽으로 유동한다. 이때, 파우더(510)와 같이 섞여 있는 비드(520)들이 함께 요동하면서 뭉쳐 있던 파우더(510)들을 잘게 부수게 된다. 비산한 파우더(510)들은 공기의 흐름에 실려 제2연결관(400)으로 유입되어 제2 공기출구(420)를 통해 흡입관(200) 내부로 유입된다. 흡입관(200) 내부로 유입된 파우더(510)와 공기는 공기 배출구(200)를 통해 사용자 몸 속으로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흡입장치(100)에 따르면, 파우더(510)가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하므로, 유동하는 공기가 파우더(510)를 타격하여 비산시킨다. 비산한 파우더(510)들은 쉽게 공기의 흐름에 실려 사용자 체내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파우더(510)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관(300)의 제1 공기출구(320)는 파우더 용기(500)의 저면에 인접하여 파우더 용기(500)에 연결되므로, 파우더 용기(500) 내부의 파우더(510) 잔류량이 얼마 되지 않는 경우에도, 유동하는 공기가 파우더 용기(500)의 저면에 깔려 있는 파우더(510)를 타격하여 비산시키므로, 파우더(510)를 낭비 없이 흡입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파우더(510)와 함께 파우더 용기(500)에 수용되어 있는 비드(520)는 파우더(510)가 뭉쳐서 굳는 것을 방지하여, 파우더(510) 흡입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1: 파우더 흡입장치
10: 흡입관 11: 공기 흡입구
12: 공기 배출구 20: 연결관
21: 공기입구 22: 공기출구
30: 파우더 용기 31: 파우더
100: 파우더 흡입장치
200: 흡입관 210: 공기 흡입구
211: 필터 220: 공기 배출구
221: 탄성 개폐 부재 230: 차폐 밸브
300: 제1연결관 310: 제1 공기입구
320: 제1 공기출구 330: 연결밸브
400: 제2연결관 410: 제2 공기입구
420: 제2 공기출구 500: 파우더 용기
510: 파우더 520: 비드

Claims (8)

  1. 상류측 단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류측 단부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흡입관;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는 파우더 용기;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제1 공기입구 및 상기 파우더 용기와 연통되는 제1 공기출구를 구비하는 제1연결관;
    상기 파우더 용기와 연통되는 제2 공기입구 및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제2 공기출구를 구비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입구는 상기 제2 공기출구의 상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기입구와 상기 제2 공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공기입구와 상기 제2 공기출구 사이에서 상기 흡입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차폐 밸브이고,
    상기 제1연결관에는 상기 제1연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연결 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 밸브와 상기 연결 밸브는 서로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폐 밸브가 상기 흡입관을 폐쇄하면, 상기 연결 밸브가 상기 제1연결관을 개방하고,
    상기 차폐 밸브가 상기 흡입관을 개방하면, 상기 연결 밸브가 상기 제1연결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흡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출구는 상기 파우더 용기의 저면과 인접하여 상기 파우더 용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입구는 상기 파우더 용기의 상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흡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용기 내부에는 복수의 비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흡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흡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흡입장치.
KR1020110017960A 2011-02-28 2011-02-28 파우더 흡입장치 KR10123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960A KR101236720B1 (ko) 2011-02-28 2011-02-28 파우더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960A KR101236720B1 (ko) 2011-02-28 2011-02-28 파우더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180A KR20120098180A (ko) 2012-09-05
KR101236720B1 true KR101236720B1 (ko) 2013-02-25

Family

ID=4710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960A KR101236720B1 (ko) 2011-02-28 2011-02-28 파우더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7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66B1 (ko) * 1993-07-30 2002-07-02 에른스트 회를린 분말흡입기
KR200429424Y1 (ko) * 2006-08-09 2006-10-23 이창연 약물 흡입기구
US20090293873A1 (en) * 2005-02-23 2009-12-03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US20100326438A1 (en) * 2008-02-05 2010-12-3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ry powder inha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66B1 (ko) * 1993-07-30 2002-07-02 에른스트 회를린 분말흡입기
US20090293873A1 (en) * 2005-02-23 2009-12-03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KR200429424Y1 (ko) * 2006-08-09 2006-10-23 이창연 약물 흡입기구
US20100326438A1 (en) * 2008-02-05 2010-12-3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ry powder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180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9757B2 (en) Dry powder inhalers with partial dosage delivery
CN101641129B (zh) 定量吸入器的改进以及与定量吸入器有关的改进
US11167097B2 (en) Dry powder inhaler and inhalation actuated mechanism thereof
TWI627976B (zh) 吸入器
CN102245239B (zh) 吸入装置和分配药物的方法
US6286506B1 (en) Inhalation device
US20120160241A1 (en) Upgraded inhalator for powder preparations
MX2012012464A (es) Inhalador individual con capsula.
HK1074411A1 (en) Dry powder inhaler
CN107847692B (zh) 用于高剂量药物递送的粉末舱
WO2006100934A1 (ja) 吸入器
US20120298106A1 (en) Dispenser and method for entraining powder in an airflow
EA028926B1 (ru) Медицинский мундштук для порошкового медикамента
US20130276783A1 (en) Filtering powder medicament inhaler and application
KR101236720B1 (ko) 파우더 흡입장치
CN210044626U (zh) 一种带有回流结构的新式雾化器
CN202020763U (zh) 滤出药粉吸入器
KR200429424Y1 (ko) 약물 흡입기구
CN202028009U (zh) 药粉吸嘴放置盒及应用
CN102553038B (zh) 药粉吸嘴放置盒
WO2014164175A3 (en) Metered dose nebulizer
RU2460548C1 (ru) Ингалятор "курительная трубка" потапова-краснова
CN215461018U (zh) 具有提醒功能的雾化吸入器
US20180200461A1 (en) Dry Powder Inhaler Apparatus
WO2017006075A1 (en) Dry powder inhal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