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545B1 -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 Google Patents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545B1
KR101236545B1 KR1020077027144A KR20077027144A KR101236545B1 KR 101236545 B1 KR101236545 B1 KR 101236545B1 KR 1020077027144 A KR1020077027144 A KR 1020077027144A KR 20077027144 A KR20077027144 A KR 20077027144A KR 101236545 B1 KR101236545 B1 KR 10123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nk
delete delete
contain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317A (ko
Inventor
정문호
조문증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99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119680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1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2Coding or decoding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하위구간(sub-link)에 대한 교통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은, 수신된 교통정보가 하위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지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위구간 식별자와, 상기 하위구간이 위치해 있는 구간을 식별케하는 정보와, 상기 하위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구간내의 부분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위구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하위구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가 하위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교통정보가 하위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하위구간 식별자가 결정할 수 있게 하면 하위구간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통정보, 도로, 하위구간, 링크, 메시지, sublink, TPEG

Description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sub-links of links}
본 발명은,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교통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디지털 신호 처리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컨텐츠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라디오 및 TV 방송신호가 점차 디지털화되고 있다.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제공함에 따라 TV 또는 라디오 방송신호에 다양한 정보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다양한 정보에는 뉴스, 증권, 날씨 그리고 교통 정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교통정보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정보는 복수의 메시지 세그먼트(Message Segment)와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Message Management Container), 이벤트 컨테이너(Event Container), 및 위치 컨테이너(Location Container)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는 메시지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컨테이너는 혼잡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컴포넌트,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 구간(Link)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컴포넌트,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 구간(Link) 통과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컴포넌트, 상기 제 3 정보에 대응되는 제 3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구간(Link)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신호대역을 동조하여 변조된 교통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 및 상기 교통정보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는 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정보는 복수의 메시지 세그먼트(Message Segment)와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Message Management Container), 이벤트 컨테이너(Event Container), 및 위치 컨테이너(Location Container)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는 메시지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컨테이너는 혼잡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컴포넌트,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 구간(Link)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컴포넌트,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 구간(Link) 통과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컴포넌트, 상기 제 3 정보에 대응되는 제 3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구간(Link)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프레임 일부에 대한 신택스(syntax)이고,
도 2b는 혼잡교통 정보(TPEG-CTT) 메시지를, 도로 소통정보를 실은 상태 컴포넌트를 위주로 하여 그 전송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혼잡교통 정보(TPEG-CTT) 메시지를, 도로구간 정보를 실은 좌표 컴포넌트를 위주로 하여 그 전송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
도 3a는 도로정보 컴포넌트의 신택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혼잡교통 정보(TPEG-CTT) 메시지를, 도로정보 컴포넌트를 위주로 하여 그 전송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좌표 컴포넌트를 통해 국부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포맷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등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a 내지 5c는 각 도로구간 및 국부구간에 대한 평균속도와 같은 교통정보 를 표시하는 여러가지 유형을 각기 예시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한 가지 사용방법은 교통정보를 위한 현존하는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디지털 방송의 상기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제안들이 방송될 교통정보의 포맷에 대한 표준화의 사용을 의도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다른 제조업자들에 의해 생산되는, 교통정보 방송신호를 같은 방식으로 검출하고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혼잡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방송사의 교통정보 제공서버(100)는, 여러가지 경로, 예를 들어 운영자 입력, 네트워크(101)를 경유한 타 서버 또는 검증(probe) 카(car)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혼잡 교통정보를 재구성하여 차량(200) 등에 탑재된 교통정보 수신단말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가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서버(100)가 무선으로 송출하는 혼잡 교통정보는 컴포넌트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데, 이 컴포넌트 프레임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프레임에 포함된 메시지의 개수 필드(201)와 개수 필드(201)에 기입된 수만큼의 혼잡정보 메시지( 이하, 'TPEG-CTT(Transport Protocol Export Group) 메시지'라 한다. )의 시퀀스(sequence)(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시퀀스(202) 중 하나의 메시지 세그멘트, 즉 TPEG-CTT 메시지는, 도 2b와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짜 및 시간 그리고 메시지의 발생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CTT(Congestion and Travel-Time Information) 컨테이너 그리고 TPEG-CTT 위치 컨테이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CTT 컨테이너의 선단에는 CTT 컨테이너와 TPEG-CTT 위치 컨테이너에 속하는 CTT 컴포넌트의 개수 필드(211)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 필드이후에는 그 개수에 해당하는 CTT 컴포넌트가 이어질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만약 CTT 컴포넌트가 소통 정보를 포함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0x80의 식별자를 가지며, 하나의 CTT 컴포넌트에는 하나 이상의 상태 컴포넌트가 포함된다. 이 상태 컴포넌트에는, 구간 평균속도( 식별자 0x00의 상태 컴포넌트 ), 구간 통과시간( 식별자 0x01의 상태 컴포넌트 ), 그리고 지체도 또는 지체유형에 대한 정보( 식별자 0x03의 상태 컴포넌트 ) 등에 대한 정보가 실려서 전달될 수도 있다. 명세서에 있어서, 특정 ID들은 특정 정보와 연관된 구조들에 대한 할당자로서 설명된다. 할당된 실제값( 예를 들어, 0x80 )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구현예들은 특정 연관정보나 환경들에 대해 다른 값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CTT 컴포넌트는, 식별자에 근거하여 알려질 수도 있는 여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b는 각각 속도와 통과시간 정보를 알리는 0x00과 0x01의 식별자를 갖는 컴포넌트를 예시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다양한 구현예들에 따라, CTT 컴포넌트가 구간(link)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0x90의 식별자를 가지며, 이 역 시 하나의 CTT 컴포넌트에는 하나 이상의 TPEG-CTT 위치 서브 컨테이너(Tpeg_loc_container)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 TPEG-CTT 위치 서브 컨테이너에는, 하나 이상의 TPEG-CTT 위치 컴포넌트가 포함되고, 각 TPEG-CTT 위치 컴포넌트에는, 0x00을 식별자로 갖는 좌표 컴포넌트(Co-ordinate Component)가 하나 이상 포함된다. 이 좌표 컴포넌트에는, 앞서 설명된 상태 컴포넌트에 의해 전달되는 소통정보의 대상이 되는 도로구간( 또는 도로구간들 ), 즉 링크( 또는 링크들 ) ( 링크는 분기점을 양 끝으로 하는 구간으로서 그 내부에는 차량소통을 위한 분기점이 없는 도로단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의 정보가 실리게 되는 데, 이 링크 정보에는, 도로유형( 고속도로, 국도 등 )( 식별자 0x00의 좌표 컴포넌트 ), WGS 84 타입으로도 표현될 수도 있는 좌표 정보( 식별자 0x01의 좌표 컴포넌트 ), 링크 설명 정보( 식별자 0x03의 좌표 컴포넌트 ), 그리고 링크 식별자 정보( 식별자 0x10의 좌표 컴포넌트 ) 등이 실려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0)는 여러 경로를 통해 수집된 현재 교통 정보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교통정보의 db에 따라 현재의 도로 혼잡정보를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여 이렇게 구성된 정보를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로 무선 송출할 수도 있다.
특정 구간에 대해서는 정보가 보다 상세히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도로구간내에 자신의 목적지나 경유지가 있는 경우, 그 도로구간의 종점이 교차로여서 그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차량이 정체됨으로써 해당 도로구간의 평균속도가 낮게 나올 수도 있는 데, 이 때 운전자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예상시각을 그 도 로의 평균속도에 준하여 예측하는 데 이와 같이 예측하게 되면, 예를 들어 자신의 목적지나 경유지가 차량이 정체되어 있는 교차로 인접 구간이전과 같은 경우에는 예측시간의 오차가 상당히 커지게 되므로 운전자는 그 도로구간상에서의 소통정보를 국부적으로 알게 된다면 그로부터 이익을 취할 수가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버(100)는 교통정보를 집중 수집하여 임의 구간내의 하위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의 도로구간(링크)상에서 임의의 국부 구간이 그 나머지 구간과의 소통정보, 예를 들어 평균속도가 일정치, 예를 들어 5m/sec 또는 10m/sec이상 차이나는 경우에는 그 국부 구간에 대한 정보가 동적으로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구현예들에 따라, 도로상의 하나의 완전한 구간(링크)과는 대응되지 않는 가상의 국부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임의 도로구간의 국부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100)는, 도 3a와 같이 구성되는 도로정보 컴포넌트(link_info_component)를 구성할 수도 있고 이렇게 구성된 컴포넌트를 TPEG-CTT 위치 서브 컨테이너(Tpeg_loc_container)에 실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도로정보 컴포넌트에는, 좌표 컴포넌트의 식별자(0x00)와 구별되는 식별자, 예를 들어 0x01이 할당된다.
그리고, 각 도로정보 컴포넌트에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링크에 가상의 링크로서 하위 링크(sub-link)를 할당하는 링크할당 서브 컴포넌트(301) 또는 이미 할당된 서브링크를 취소시키는 링크취소 서브 컴포넌트(30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링크'는, 실제적인 링크일 필요는 없지만 소통정보( 평균속도, 통과시간 등 )를 제공하는 단위로서의 관점에서는 링크와 동일하게 취급될 수도 있다.
링크할당 서브 컴포넌트(301)는, 식별자로서 0x00의 값을 가지며, 서브 링크에 할당하는 서브링크 식별자(ID), 서브 링크가 할당되는 링크( 모(母)링크 )의 식별자, 서브링크의 시점과 종점을 가리키는 좌표정보(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상기 좌표 정보는 각기 4바이트의 위도와 경도의 정보이거나 또는 모링크에 포함되어 있는 형상점(vertex)에서 시점과 종점에 해당하는 양 형상점의 인덱스 정보일 수도 있다. ), 및/또는 서브링크에 할당하는 명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링크취소 서브 컴포넌트(302)는, 식별자로서 0x01의 식별자를 가지며, 취소할 서브 링크 식별자와 그 모링크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0)는 여러 경로를 통해 수집된 현재 교통 정보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교통정보의 db에 따라 현재의 도로 혼잡정보를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여 그 구성된 정보를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로 송출할 수도 있다. 다양한 환경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송출 도중, 임의의 도로구간상에서 국부구간이 기 지정된 임계속도이상, 그 구간상에서의 다른 구간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구간에 서브 링크를 할당하는 링크할당 서브 컴포넌트(301)를 생성할 수도 있고, 그 생성된 정보를 도로정보 컴포넌트(300)에 실어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국부구간의 할당, 그리고 취소에 대한 정보를, 도 3c에 예시한 바와 같이, 0x00을 식별자로 포함하는 좌표 컴포넌트에 실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좌표 컴포넌트에 실려서 전송되는, 도로유형 목록, WGS84, 링크 설명, 그리고 링크식별자와 구분하기 위해 국부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좌표 컴포넌트에는, 예를 들어 0x11, 그리고 0x12가 할당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국부 구간 할당을 위해 필요할 수도 있는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시점과 종점에 대한 WGS84 정보와 국부 구간 설명정보는, 도 2c에 도시된 WGS84 컴포넌트(WGS84 component)와 설명 컴포넌트(descriptor component)에 각각 분산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0)는 서브링크에 대한 소통정보( 평균속도, 구간 통과시간, 지체도 등 )에 대해서는, 다른 링크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만약, 하나의 도로구간내에서 임계속도이상 차이가 나는 국부구간의 길이가 변하게 되면, 즉 최초 할당된 국부구간의 길이의 변화가 일정치 ( 예를 들어 시내도로인 경우 20m )이상되면 상기 서버(100)는, 동일 링크에 대해서, 변화된 길이에 따른 시점과 종점을 갖는 서브 링크를 다시 할당하는 링크할당 서브 컴포넌트( 또는 국부링크 할당 좌표 컴포넌트 )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이 때는, 링크할당 서브 컴포넌트임을 알리는 식별자 0x00 (또는 국부링크 할당 좌표 컴포넌트임을 알리는 0x11) 대신 다른 식별자, 예를 들어 0x02( 또는 0x13 )를 할당함으로써 이미 서브링크가 할당된 모링크에서 서브링크가 재할당됨을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에 알릴 수도 있다. 구간 축소 하위 컴포넌트 또는 구간 이동 하위 컴포넌트의 생성으로써, 하위구간을 축소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유사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임의의 한 도로구간에 대해 서브 링크가 할당된 후에는 그 도로구간에 대한 평균속도 (또는 구간 평균속도)를 서브 링크와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할당된 서브 링크에 대한 소통정보를, 타 링크들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공하는 도중, 할당된 서브 링크에서의 소통정보, 예를 들어 평균속도와 모링크의 나머지 구간상의 평균속도의 차이가 임계속도이하로 떨어지거나 또는 달라지게 되면 상기 서버(100)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서 할당된 서브링크를 취소시키는 서브 컴포넌트(302)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그 생성된 컴포넌트를 도로정보 컴포넌트(300)에 실어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6은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들의 구현예들이다. 다른 시스템들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도 4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송신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등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 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단말기에는,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신호대역을 동조하여 변조된 교통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1), 상기 변조된 교통정보 신호를 복조하여 교통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복조기(2), 상기 복조된 교통정보 신호를 디코딩하여 다양한 교통 정보를 추출하는 TPEG-CTT 디코더(3), 복수의 저궤도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경도, 위도, 고도)를 파악하는 GPS 모듈(8), 각 링크 및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그리고 다양한 그래픽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4),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9), 사용자의 입력, 현재 위치 그리고 추출된 교통정보 등에 근거하여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엔진(5), 필요정보가 임시 저장되는 메모리(5a), 영상 표시를 위한 LCD 패널(7), 그리고 표시할 그래픽에 따른 구동신호를 상기 LCD 패널(7)에 인가하는 LCD 드라이브(6)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9)는 상기 LCD 패널(7)상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상기 튜너(1)는 상기 서버(100)가 송신하는 신호를 동조하고, 상기 복조기(2)는 동조된 신호를 정해진 방식으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TPEG-CTT 디코더(3)는 입력된 복조 신호를, 도 2a 내지 2c, 그리고 도 3a 및 3b (또는 3c)와 같이 구성되어 전송되는 TPEG-CTT 메시지를 추출하여 이를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임시 저장된 각 TPEG-CTT 메시지를 해석하여 그 메시지 내용에 따른 필요한 정보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TPEG-CTT 디코더(3)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정보 및/또는 제어데이터가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에 전달되지만,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서, 이하에서는 비록 다른 정보가 관련되더라도 하위구간 할당을 위한 방법 및 하위구간을 위한 교통정보에 대한 처리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상기 TPEG-CTT 디코더(3)는 각 TEPG 메시지의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내의 날짜/시간, 그리고 메시지 발생시간을 추출하고, '메시지 요소'( 즉, 식별자 )의 정보로부터 후행하는 컨테이너가 CTT 이벤트 컨테이너인지를 파악한다. 만약, CTT 이벤트 컨테이너이면 후술하는 소통정보 및 도로정보에 따른 표시동작이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그 컨테이너내의 CTT 컴포넌트로부터 획득된 정보 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에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식별자들에 근거하여, 상기 교통정보가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내의 다양한 메시지 컴포넌트들내의 상태 또는 하위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를 상기 교통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각각이, 다른 구간들, 복합(composite) 구간들, 위치들 그리고 다른 상태 또는 하위구간 정보와 연관된 식별자들과 연관된 다른 상태 또는 하위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테이너들과 컴포넌트들은 각각, 포함된 정보의 생성시간, 버전번호, 데이터 길이 그리고 식별자들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TPEG-CTT 디코더(3)는, 후행하는 TPEG-CTT 위치 컨테이너로부터, 앞서 추출된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데, 이 위치정보는, TPEG-CTT 위치 컨테이너의 유형(type) 정보에 따라 예를 들어, 시점 및 종점의 위치좌표(경도 및 위도)이거나 링크, 즉 도로구간에 할당된 링크 ID이다. 상기 저장수단(4)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저장수단(4)에 저장되어 있는 각 링크 및 노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된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을 특정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은 수신되는 링크의 위치좌표를 링크 ID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TPEG-CTT 디코더(3)는, 도 3b의 구현예의 경우에는, TPEG-CTT 위치 서브 컨테이너(Tpeg_loc_container)를 통해 식별자 0x01인 도로정보 컴포넌트가 실려 수신되는 지를 확인할 수도 있고, 도로정보 컴포넌트가 존재하면, 그로 부터 각 서브 컴포넌트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검출된 서브 컴포넌트가 서브링크할당 서브 컴포넌트이면( 예를 들어 0x00과 같은 적당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 할당된 서브 링크에 대한 식별자와, 모링크의 식별자, 시점과 종점에 대한 정보, 그리고 링크 설명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추출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에 전달하여 상기 메모리(5a)에 임시링크 엔트리(entry)로서 저장되도록 한다. 만약, 검출된 서브 컴포넌트가 링크취소 서브 컴포넌트이면( 서브 컴포넌트의 식별자가 0x01 ) 그 서브 컴포넌트내의 서브링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식별자를 갖는 임시링크 엔트리의 삭제요청 명령을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에 요청하여 상기 메모리(5a)에서 해당 서브 링크에 대한 엔트리가 삭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c의 구현예의 경우에는, TPEG-CTT 위치 서브 컨테이너내의 식별자 0x00인 TPEG-CTT 위치 컴포넌트내에서 서브링크 할당 좌표 컴포넌트 또는 서브링크 취소 좌표 컴포넌트를 검출할 수도 있고, 그 검출된 컴포넌트의 내용에 따라 상기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은 상기 GPS 모듈(8)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저장수단(4)으로부터 필요한 전자지도의 부분을 독출하여 상기 드라이브(6)를 통해 LCD 패널(7)에 표시한다. 이 때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특정 그래픽 기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은 상기 TPEG-CTT 디코더(3)로부터 수신되는 구간 평균속도 정보( 또는 구간 통과시간 정보 )를, 그 정보를 실은 컨테이너에 후속하는 위치 컨테이너의 위치좌표 또는 링크 ID에 대응하는 구간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는 데, 이 때, 위치 컨테이너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좌표 또 는 링크 ID에 대응하는 링크를 상기 저장수단(4)에서 먼저 찾고 대응 링크가 찾아지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5a)에 저장되어 있는 임시 링크 엔트리들에서 찾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검색과정에 의해 단일의 링크 뿐만 아니라 임시적으로 할당된 국부 구간도 특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된 국부 구간에 대한 소통정보는, 소통정보를 실은 식별자 0x80의 CTT 컴포넌트내의 대응되는 상태 컴포넌트로부터 파악될 수도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엔진(5)이 소통정보, 예를 들어 평균속도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5b와 같이 구간 평균속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방식( 예를 들어, 일반도로인 경우, 붉은색은 시속 0~10km, 오렌지색은 시속 10~20km, 초록색은 시속 20~40km, 파란색은 시속 40km이상 ), 또는 도 5c와 같이 해당 구간에 숫자로서 표시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전자지도 등이 저장된 상기 저장수단(4)이 없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현재 주행경로의 전방에 있는 링크에 대해서만 구간 평균속도( 또는 구간 통과시간 )를 색상( 도 5b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숫자( 도 5c )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이 운행할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전방의 링크들이 아닌, 그 운행경로에 포함되는 링크들에 대해서 구간 평균속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5a)에 저장되어 있는 임시링크 엔트리에 해당하는 소통정보, 즉 국부구간에 대한 소통정보가 수신되면, 그 임시링크 엔트리가 지정하는 서브링크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5c에 예시된 바( 'A'로 마크된 부분 )와 같이, 모 링크와 구분되는 소통정보를 색상, 그래픽 또는 숫자로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의 단말기가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링크 또는 지정된 경로상의 링크 또는 서브링크들에 대해 수신된 소통정보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지정된 링크 또는 지정된 경로상의 링크들 중 하나가 서브 링크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로 구간중의 '특정 구간'( 도 3b의 링크 할당 서브 컴포넌트( 또는 설명 컴포넌트 )의 서브링크 명칭에 대응하는 합성음 )은 속도 nn입니다."와 같은 방식으로 출력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내용은, 하나의 도로구간에 대해서도 평균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국부 구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소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그 구간내에서 도착하고자 하는 지점이 국부 구간에 속해있는 지 아닌지에 따라 대략의 도착 예상시각을 알 수 있게 한다.
앞서 제시된 설명에서, 평균속도가 언급된 곳에서, 그 것은 실제 또는 예측된 평균속도로 해석되거나, 예를 들어, 실제 또는 예상된 통과시간( 예를 들어, 구간을 통과하는 데 소요되는 ), 혼잡추이 및/또는 혼잡량과 같은 상태 또는 컴포넌트 기반 정보로써 대체되거나 보충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0)

  1. 교통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교통정보를 디코딩(Decod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정보는 복수의 메시지 세그먼트(Message Segment)와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Message Management Container), 이벤트 컨테이너(Event Container), 및 위치 컨테이너(Location Container)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는 메시지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컨테이너는 혼잡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컴포넌트, 상기 혼잡추이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 구간(Link)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컴포넌트, 상기 구간 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 구간(Link) 통과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컴포넌트, 상기 구간 통과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제 3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구간(Link)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상기 링크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유형 컴포넌트(Road Type Component), WSG84 포맷으로 표현되는 좌표 컴포넌트, 상기 링크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설명 컴포넌트, 및 상기 링크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식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는 상기 이벤트 컨테이너 및 상기 위치 컨테이너에 포함된 컴포넌트(Component)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의 처리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도로정보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로정보 컴포넌트는 상기 링크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링크에 할당되는 하위 링크(Sub Link)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의 처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교통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신호대역을 동조하여 변조된 교통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 및
    상기 교통정보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는 디코더;
    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정보는 복수의 메시지 세그먼트(Message Segment)와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Message Management Container), 이벤트 컨테이너(Event Container), 및 위치 컨테이너(Location Container)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는 메시지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컨테이너는 혼잡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컴포넌트, 상기 혼잡추이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 구간(Link)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컴포넌트, 상기 구간 속도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 구간(Link) 통과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컴포넌트, 상기 구간 통과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제 3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구간(Link)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처리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상기 링크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유형 컴포넌트(Road Type Component), WSG84 포맷으로 표현되는 좌표 컴포넌트, 상기 링크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설명 컴포넌트, 및 상기 링크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식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처리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세그먼트는 상기 이벤트 컨테이너 및 상기 위치 컨테이너에 포함된 컴포넌트(Component)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의 처리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컨테이너는 도로정보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로정보 컴포넌트는 상기 링크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링크에 할당되는 하위 링크(Sub Link)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의 처리장치.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77027144A 2005-05-18 2006-05-18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KR101236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197105P 2005-05-18 2005-05-18
US60/681,971 2005-05-18
KR1020050099532A KR20060119680A (ko) 2005-05-18 2005-10-21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50099532 2005-10-21
PCT/KR2006/001860 WO2006123903A1 (en) 2005-05-18 2006-05-18 Fourniture d'information de trafic comprenant des sous liaisons de liais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317A KR20080017317A (ko) 2008-02-26
KR101236545B1 true KR101236545B1 (ko) 2013-02-22

Family

ID=3743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144A KR101236545B1 (ko) 2005-05-18 2006-05-18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3) EP2216763B1 (ko)
KR (1) KR101236545B1 (ko)
CA (1) CA2608710C (ko)
WO (1) WO2006123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9463B (zh) * 2023-03-28 2023-07-14 松立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动态时空关联学习的交通流量预测与停车场选址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959A (ko) * 1997-09-19 1999-04-06 김영환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60081A (ja) 1997-11-27 1999-06-18 Alpine Electron Inc ナビゲーション方法
US6741932B1 (en) 2002-04-16 2004-05-25 Navigation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using real-time traffic broadcasts with navig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4466B1 (en) * 1996-11-28 2001-11-27 Mannesmann Ag Method and terminal unit for the spatial allocation of information referring to one location
DE19651143B4 (de) * 1996-12-10 2013-07-25 T-Mobile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Verkehrsinformation
WO2000039774A2 (de) * 1998-12-14 2000-07-06 Mannesmann Ag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segmentübergreifender ereignisse durch segmente
DE19914041A1 (de) * 1999-03-27 2000-09-2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Information von Autofahrern
DE19933970A1 (de) * 1999-07-20 2001-01-2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Codierung straßenübergreifender Verkehrsbehinderungen
DE10101349B4 (de) * 2001-01-13 2007-08-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Meldung von Verkehrsstörungen
DE10304546A1 (de) * 2003-02-04 2004-08-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erkehrsrelevanter Informationen sowie Gerät zur Auswer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959A (ko) * 1997-09-19 1999-04-06 김영환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60081A (ja) 1997-11-27 1999-06-18 Alpine Electron Inc ナビゲーション方法
US6741932B1 (en) 2002-04-16 2004-05-25 Navigation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using real-time traffic broadcasts with navig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6296B1 (en) 2009-12-09
WO2006123903A1 (en) 2006-11-23
EP2124210A1 (en) 2009-11-25
EP2124210B1 (en) 2010-08-25
KR20080017317A (ko) 2008-02-26
CA2608710A1 (en) 2006-11-23
EP2216763B1 (en) 2011-12-28
EP2216763A2 (en) 2010-08-11
CA2608710C (en) 2015-08-18
EP1886296A1 (en) 2008-02-13
EP2216763A3 (en) 2010-10-06
EP1886296A4 (en)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853B2 (en)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sub-links of links
KR101235771B1 (ko) 구간에 대한 형상점 데이터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의 제공과그 정보의 이용
KR100862574B1 (ko) 대중 교통수단의 이용가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A2609189C (en)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traffic congestion tendency and using the same
KR101236546B1 (ko) 통합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KR20060119739A (ko) 구간 통과시간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방법 및 장치
KR20060119743A (ko) 구간 속도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및 장치
KR20070077020A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35770B1 (ko) 혼잡상태의 예측에 관한 교통정보의 제공과 그 정보의 이용
KR101236545B1 (ko) 구간의 하위 구간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의 제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