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789B1 -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789B1
KR101235789B1 KR1020100051318A KR20100051318A KR101235789B1 KR 101235789 B1 KR101235789 B1 KR 101235789B1 KR 1020100051318 A KR1020100051318 A KR 1020100051318A KR 20100051318 A KR20100051318 A KR 20100051318A KR 101235789 B1 KR101235789 B1 KR 101235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control signal
human body
leve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699A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PCT/KR2010/0035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40816A2/ko
Publication of KR2010012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41B2400/322M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 내지 마사지 용도로 이용되도록 인체의 발부분에 착용하는 버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발부분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자극함으로써 마사지 내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은, 인체의 발모양으로 형성되고,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충전공간; 상기 공기충전공간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충전공간 내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전도체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자극부재; 및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부재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BOOTEES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본 발명은 치료 내지 마사지 용도로 이용되도록 인체의 발부분에 착용하는 버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발부분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자극함으로써 마사지 내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에 관한 것이다.
발(foot)은 다리의 끝부분에 위치한 신체 부위로서, 26개의 뼈, 39개의 관절, 38개의 근육, 107개의 인대, 그외 수많은 모세혈관과 자율신경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섬세한 인체기관이다. 이러한 발은 발등과 아킬레스건에 각각 한 개씩 두개의 맥박이 뛰고 있으며, 인체의 63곳을 관장하는 경혈이 모여 있다. 그리고, 발은 인체의 균형유지와 체중지탱, 충격흡수, 이동 등 인체에서 발이 차지하는 역할과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발의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보행기능, 발의 펌프기능이다. 특히, 발의 펌프기능은 심장을 도와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으로, 인간이 직립보행을 시작한 이래로 심장의 위치가 지면으로부터 더 높아진 만큼 혈액순환이 더 어려워짐에 따라 원활한 혈액순환을 위하여 발의 펌프기능이 원활하여야 한다. 이에, 발을 제2의 심장기능이라고도 한다.
우리의 생명과 건강은 규칙적인 호흡을 통해 인체에 산소를 공급하고,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모든 기관으로 보내줌으로써 기본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심장이 혈관을 통해 혈액을 보내줌으로써 인체의 모든 기관과 세포군에 산소와 영양분, 호르몬 등을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그것들을 옮겨주고 나면 혈액은 체내에 침전되었던 독소와 노폐물을 회수하면서 심장으로 돌아오게 되고, 이를 되돌리는데 에 필요한 것이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의 펌프기능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족욕, 발바닥 지압 등과 같은 발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당뇨병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전체인구의 10% 가량이 당뇨병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뇨병은 현대인들의 바쁜 스케줄로 인해 생긴 식생활의 변화, 잘못된 음주문화,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나타나면 처음에는 전신에 문제를 일으키지만 점차 신경이나 혈관, 면역계에 이상을 초래해서 신경은 서서히 파괴되고 혈관이 점점 막히게 되면서 몸의 말단에 위치한 발에 가장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 예로 당뇨로 입원한 환자 중 15-20%가 족부 궤양이 나타났음을 제시 할 수 있다. 당뇨환자에서 족부 궤양은 28%에서 절단에 이르는 등 주요한 장애요인이며 이로 인해 천문학적 비용이 소요된다.
미세혈관장애, 자유라디칼, 장시간의 고혈당으로 인한 단백질의 당화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이상감각, 괴사, 굳은살, 난치성 무좀 등이 포함된다. 당뇨병에 걸리면 발에 쉽게 상처가 나게 되고, 상처로 인해 감염이 되면 건강한 사람과는 달리 잘 치료가 되지 않고 점점 상부로 번지게 되는데 초기에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병이 급속히 진행하여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당뇨가 계속 진행되면서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신경병증이 나타나는데 그 증상으로 하지의 말단에 감각 신경장애로 인한 이상감각이 나타나 발이 시리고 저리고 화끈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발의 감각이 둔해져서 외상이 쉽게 나타나고 이로 인한 감염등으로 괴저가 생기게 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을 시에는 하지절단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발의 혈액순환의 호전과 신경병성 치료는 당뇨병으로 인한 하지절단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체의 발부분에 착용되어 발바닥, 발등, 발목 등에 미세전류를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인 발 마사지효과 또는 치료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은,
인체의 발모양으로 형성되고,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충전공간;
상기 공기충전공간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충전공간 내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전도체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자극부재; 및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부재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극부재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전도성 원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속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버선을 인체의 발부분에 착용한 상태에서 발바닥, 발등, 발목 등에 미세전류를 전달함으로써 마사지효과 또는 치료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에 적용되는 미세전류발생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구현예인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타이밍도이고,
도 7은 도 4의 승압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은 인체의 발모양으로 형성된 내피(11) 및 외피(12)로 이루어지고, 내피(11) 및 외피(12)는 부도체 재질의 섬유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버선 일측에는 지퍼(16)가 설치되고, 이 지퍼(16)를 통해 그 착용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내피(11) 및 외피(12) 사이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충전공간(13)이 형성되며, 공기충전공간(13)에는 호스(13a)을 통해 공기주입부(14)가 소통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주입부(14)는 공기를 공기충전공간(13) 내로 주입할 수 있는 다양한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공기주입부(14)는 사용시에는 공기충전공간(13)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고, 또한 미사용시에는 공기충전공간(13)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보관 내지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충전공간(13)으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공기에 의한 마사지 효과가 높아진다.
내피(11)의 내측면에 복수의 자극부재(15)가 배치되고, 각 자극부재(15)는 발바닥, 발등, 발목의 경혈점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그외 기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재(15)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등과 같은 전도체로 구성되고, 전도체 재질의 자극부재(15)는 내피(11)의 내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자극부재(15)를 통해 미세전류가 발바닥, 발등, 발목 등에 전달됨으로써 세포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발의 펌프기능은 심장을 도와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극부재(15)는 금사, 은사, 동사 등과 같은 전도성이 양호한 실이 직조 또는 편직된 전도성 원단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전도성 원단의 자극부재(15)는 봉제공정을 통해 내피(11)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극부재(15)에는 미세전류발생기(1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미세전류발생기(150)에 의해 발생된 미세전류가 자극부재(15)를 통해 인체 측에 전달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인체에는 약 0.06㎃ 정도의 미세전류가 흐른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강 상태에 따라 미세전류의 강도가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건강상태가 나쁘면 미세전류의 양이 훨씬 적게 흐르는 현상이 임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인체에 자극을 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전류를 외부에서 자극함으로써 인체 내부의 밸런스에 기여할 수도 있다. 또한, 신체의 감각수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1㎃ 정도의 전류는 충분히 지각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장시간의 통전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전류의 크기는 1㎃ 보다 적은 수 내지 수백 ㎂ 정도의 크기이면 그 마사지 내지 치료에 적합할 것이고, 이러한 미세전류는 지속적인 흐름이 아닌 일정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흘러 전기자극을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전류발생기(150)에 의해 발생된 미세전류가 자극부재(15)를 통해 인체의 발바닥, 발목, 발등 부분의 경혈점 또는 그외 부위에 전달됨으로써 전기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충전공간(13)으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내피(11)의 내측면에 부착된 자극부재(15)가 피부에 더욱 밀착됨으로써 그 전기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자극부재(15)는 음극판 및 양극판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인체의 피부에 음극 전류와 양극 전류를 구분하여 전달함으로써 그 전기자극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세전류발생기(150)의 일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전류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전류발생기(150)는 컨트롤부(310), 승압부(320), 및 미세전류 출력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부(310)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S1),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S2),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S3)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부(310)는 상기 미세전류발생기(150)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310)는 CPU를 가지는 컨트롤칩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컨트롤신호(S1, S2, S3)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승압부(320)는 상기 컨트롤부(310)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응답하여 전원전압(Vdd, Vcc)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에 공급한다.
상기 승압부(320)를 구성하는 승압회로는 인덕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하는 DC-DC 컨버터 타입의 승압회로,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차지펌프회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승압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는 상기 승압부(320)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는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S2)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미세전류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로써 마이크로암페어(㎂) 단위의 미세전류를 말한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 중에서 치료효과나 마사지 효과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전류레벨을 선택하여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0~300㎂의 미세전류 또는 100~150㎂의 미세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하여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S2)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체의 피부저항에 대응하여 변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310)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310)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320)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레벨 확인신호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인체에 실제로 인체에 접촉되어 미세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도 5는 도 4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구현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부(310a)는 컨트롤칩(예를 들면, PIC16F716)(U2), 저항(R4), 커패시터(C4), 전원(Vcc), 전원공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LED(D2)를 포함하여 도 5와 같은 결선구조를 가진다. 상기 컨트롤칩(U2)은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를 가지는 컨트롤 신호의 발생기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310a)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S1),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S2),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S3)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310a)는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에서 제공되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MC)를 수신하여 상기 승압부(320a)의 승압전압(VC)의 레벨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상기 승압전압(VC)의 레벨 컨트롤은 상기 제3컨트롤 신호를 통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310a)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하여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체의 피부저항의 범위는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가 피부저항에 대응되는 어느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체접촉단자(P1, P2)는 자극부재(15)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부(310a)는 전원이 공급되면, 우선적으로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해서 확인하고, 미세전류 발생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해서 인체에 접촉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한 미세전류 발생을 수행하고, 이후에 미세전류의 실제 인체공급레벨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부(310a)는 이동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구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전원전압은 배터리(battery)를 통해 공급받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압부(320a)는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의해 스위칭이 반복되는 스위칭소자(Q7)와, 인덕터(L1), 정류 및 리플방지, 승압전압의 저장을 위한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 C2), 및 저항(R10)을 구비하여 도 5와 같은 결선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소자(Q7)는 트랜지스터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MOSFET을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압부(32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단(10)을 다단으로 구성한 DC-DC 컨버터 타입의 승압회로를 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스팅(boosting) 회로 등 다양한 승압회로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는 복수의 저항들(R1, R6, R2, R7, R8, R9)을 이용한 복수의 전압분배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들(Q1, Q2, Q3, Q4, Q5, Q6)을 이용하여 미세전류를 인체접촉단자(P1, P2)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들(Q1, Q2, Q3, Q4, Q5, Q6)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MOSFET을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들(Q1, Q2, Q3, Q4, Q5, Q6) 중 일부 스위칭소자들(Q6, Q3)은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컨트롤되고, 일부 스위칭소자들(Q5, Q4)은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컨트롤되고, 나머지 스위칭소자들(Q1, Q2)은 제1노드(n1)의 전압 즉 상기 승압전압(VC)에 의해 컨트롤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는 인체의 특정부위(치료를 요하거나 마사지를 원하는 부위)에 장착되어 제1인체접촉단자(P1)를 통해 인가되는 미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2인체접촉단자(P2)로 되돌아오도록 하거나, 상기 제2인체접촉단자(P2)를 통해 인가되는 미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1인체접촉단자(P1)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컨트롤신호 및 미세전류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의 타이밍도를 통해 도 5의 미세전류발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150)의 미세전류 출력부(330a)의 인체접촉단자(P1, P2)가 인체의 특정부위에 장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미세전류발생기(150)가 동작한다.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는 상기 미세전류출력부(330a)에 인체접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 또는 통상적인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를 발생하고,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수신하여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가 실제로 인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통상적인 인체의 피부저항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의 레벨이 위치하게 되면 인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컨트롤부(110a)에는 상기 승압부(320a)에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공급한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는 승압을 위해 폭과 주기가 조절된 컨트롤 신호이다.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컨트롤부(310a)에는 상기 승압부(320a)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공급한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는 승압을 위해 폭과 주기가 조절된 컨트롤 신호이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가 인가되면,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320a)의 스위칭소자(Q7)는 온/오프된다.
상기 스위칭소자(Q7)가 턴온(turn-on) 되면, 상기 인덕터(L1)의 전류는 증가하기 시작하고, 상기 다이오드(D1)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bias)가 걸리므로 오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L1) 전압은 상기 전원전압(Vcc, Vdd)과 동일해진다. 다시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7)이 턴 오프(tura-off)되면, 상기 인덕터(L1)의 전류는 감소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L1)의 전압은 극성이 바뀌어 상기 전원전압과 합쳐진다. 이 전압은 커패시터(C1)에 저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다이오드(D2)에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어 온(On) 되고, 상기 커패시터(C2)는 상기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저장하며, 상기 출력전압 즉 승압전압(VC)의 맥동(리플)을 제거해 준다.
다음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커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의 2배에 해당되는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C2)에 저장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1노드(n1)에는 전원전압(Vcc, Vdd)보다 수배~수십배 높은 승압전압(VC)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원전압이 3V라고 가정할 경우에 30V의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이보다 높은 레벨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컨트롤부(310a)의 제3컨트롤신호(S3)의 폭과 주기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Q7)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상기 승압전압(VC)은 원하는 레벨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는 제1컨트롤신호(S1) 및 제2컨트롤신호(S2)를 발생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 및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컨트롤부(310a)의 전원전압의 공급과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기 까지는 의미가 없으므로, 여기서는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의 위상과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에 공급하게 되면, 양의 위상 만을 가지는 미세전류의 경우보다 치료 및 마사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주기와 일정듀디비(duty ratio)를 가지는 펄스(pulse)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초의 주기를 가지고 150ms의 시간동안에는 일정전압레벨을 가지고, 나머지 시간동안에는 0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 일뿐 치료 또는 마사지의 효과적 측면을 고려하여 주기나 듀티비가 일정시간단위로 변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기나 듀티비가 다른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와는 일정위상차를 가지는 형태로 일정주기와 일정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와 일정위상차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형태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가 일정전압레벨을 가지는 시간구간(t1)에는 0의 전압레벨을 가져야 하고,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이 0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시간구간(T-t1)의 일부구간에서 일정전압레벨을 가지는 파형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의 펄스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의 펄스는 중복되지 않게 발생된다. 즉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 Q3)가 턴온되는 시점과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온되는 시점이 달라야 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 Q3)가 턴온되었다가 다시 턴 오프되는 시점에 바로 이어서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 Q3)가 턴온되었다가 다시 턴 오프되고 일정시간이후에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의 펄스 발생시점을 컨트롤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치료나 마사지 효과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는 상기 승압전압(VC)이 일정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저항(R1, R6)의 전압분배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Q1)를 턴온시키게되고, 저항(R2, R7)의 전압분배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Q2)를 턴온 시키게 된다. 이는 스위칭소자(Q5, Q6)가 턴 오프 상태일 때 가능하며, 승압전압(VC)이 일정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해도,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가 턴 온되게 되면, 스위칭소자(Q2)는 턴 온되고 스위칭소자(Q1)는 턴 오프되며,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가 턴 온 되면, 스위칭소자(Q1)는 턴 온되고 스위칭소자(Q2)는 턴 오프된다.
미세전류 공급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신호(S1) 및 상기 제2컨트롤신호(S2)가 인가되면, 미세전류 공급이 시작된다.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6, Q3)가 턴 온되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5, Q4)가 턴 오프되면, 스위칭소자(Q2)가 턴 온되어, 미세전류는 상기 제1노드(n1)에서 스위칭소자(Q2) 및 인체접촉단자(P1)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고, 인체에 공급된 미세전류는 인체접촉단자(P2) 및 스위칭소자(Q3), 저항(R8, R9)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5, Q4, Q1)는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턴 오프 상태이다. 이때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는 도 6의 미세전류 그래프(P1-P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6, Q3)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 Q4)가 턴 온되면, 스위칭소자(Q1)이 턴 온되어, 미세전류는 상기 제1노드에서 스위칭소자(Q1) 및 인체접촉단자(P2)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고, 인체에 공급된 미세전류는 인체접촉단자(P1) 및 스위칭소자(Q4), 저항(R8, R9)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6, Q3, Q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2)에 의해 턴 오프 상태이다. 이때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는 도 6의 미세전류 그래프(P1-P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마다 피부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은 인체마다 다르다. 따라서, 마사지 또는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레벨범위 내의 미세전류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체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330a)에서는 인체접촉단자(P1, P2)를 통해 회수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저항(R8, R9)를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 또는 미세전류에 대응되는 전압을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MC)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는 상기 저항(R8, R9)을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를 상기 컨트롤부(310a)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고, 도 5와 같이 저항(R8, R9)의 전압분배를 통해 분배된 전압레벨을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는 상기 컨트롤부(310a)의 컨트롤칩(U2)으로 제공되며, 상기 컨트롤부(310a)에서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가 제공되면, 이를 분석하여, 인체에 실제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상태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내에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지만, 원하는 레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통해 상기 승압부(320a)의 승압전압(VC)의 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상기 승압전압(VC)의 레벨이 컨트롤되게 되면, 상기 인체접촉단자(P1, P2)를 통해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변동되게 되고, 상기 컨트롤부(310a)를 통한 컨트롤은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
11: 내피 12: 외피
13: 공기충전공간 14: 공기주입부
150: 미세전류 발생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인체의 발모양으로 형성되는 부도체 재질의 내피 및 외피,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충전공간, 상기 공기충전공간에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충전공간 내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부,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자극부재, 및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부재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전도성 원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속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KR1020100051318A 2009-06-01 2010-05-31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KR10123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3505 WO2010140816A2 (ko) 2009-06-01 2010-06-01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32 2009-06-01
KR20090048132 200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99A KR20100129699A (ko) 2010-12-09
KR101235789B1 true KR101235789B1 (ko) 2013-02-21

Family

ID=4350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18A KR101235789B1 (ko) 2009-06-01 2010-05-31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7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18B1 (ko) 2017-07-03 2018-08-29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190027318A (ko) 2018-08-21 2019-03-14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WO2019168229A1 (ko) * 2018-02-28 2019-09-06 (주)피앤씨산업 전기 발팩 세트
KR20210001482A (ko) * 2019-06-28 2021-01-06 뉴로엔(주) 전기자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03B1 (ko) * 2011-06-09 2011-12-13 김미승 주파수 패턴을 이용한 전기 자극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040Y1 (ko) * 2004-08-17 2004-11-09 김종곤 족욕 신발
KR20050123068A (ko) * 2005-12-08 2005-12-29 주식회사 지맨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040Y1 (ko) * 2004-08-17 2004-11-09 김종곤 족욕 신발
KR20050123068A (ko) * 2005-12-08 2005-12-29 주식회사 지맨 기능성 신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18B1 (ko) 2017-07-03 2018-08-29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WO2019168229A1 (ko) * 2018-02-28 2019-09-06 (주)피앤씨산업 전기 발팩 세트
KR20190027318A (ko) 2018-08-21 2019-03-14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210001482A (ko) * 2019-06-28 2021-01-06 뉴로엔(주) 전기자극 장치
KR102433960B1 (ko) * 2019-06-28 2022-08-22 뉴로엔(주) 전기자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99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788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EP3740278B1 (e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US6226552B1 (e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KR100454667B1 (ko) 승압회로를구비한전기수송주입장치
US3344792A (en) Method of muscular stimulation in human beings to aid in walking
KR101235789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CN201625339U (zh) 康复治疗装置
KR100994208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US20130090712A1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system, and use thereof
KR101040683B1 (ko) 무릎관절 치료 아대
KR101235783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CN205683401U (zh) 一种便携手机操控的多功能微电流刺激仪
KR20120099925A (ko) 자극패치를 가진 미세전류자극장치
KR100558764B1 (ko) 기능성 신발
KR101235786B1 (ko)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KR10123578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WO2011118918A2 (ko)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KR101235790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신발
KR100995614B1 (ko) 미세전류발생장치
KR101235785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KR100310305B1 (ko) 휴대형 전기 자극기
WO2010140818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WO2010140816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WO2011014021A2 (ko) 미세전류 자극용 신발
JP3217355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