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614B1 - 미세전류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전류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614B1
KR100995614B1 KR1020100027311A KR20100027311A KR100995614B1 KR 100995614 B1 KR100995614 B1 KR 100995614B1 KR 1020100027311 A KR1020100027311 A KR 1020100027311A KR 20100027311 A KR20100027311 A KR 20100027311A KR 100995614 B1 KR100995614 B1 KR 10099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control signal
human body
leve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102010002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614B1/ko
Priority to PCT/KR2011/001343 priority patent/WO201111891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또는 마사지를 위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미세전류(micro current)를 공급하기 위한 미세전류발생장치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장치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와;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과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하며,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전류발생장치{Apparatus for Micro current generating}
본 발명은 치료나 마사지의 용도로 인체에 미세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료나 마사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양과 음의 미세전류를 교차하여 발생시키고,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공급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전류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많은 스트레스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치료나 마사지용으로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미세전류는 마이크로 암페어(㎂) 단위를 가지는 전류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미세전류를 인체의 특정부위(발이나 손목 등)에 공급하면,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마사지나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양말이나 신발 등에 상기 미세전류를 발생하는 장치를 부착하여 판매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발생장치로써 구현된 종래기술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컨트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체의 피부저항은 그 값이 사람마다 다르다. 따라서, 동일레벨의 미세전류를 인체에 공급한다고 해도, 피부저항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은 사람마다 다르게 된다. 즉 피부저항이 큰 인체의 경우에는 실제 인체를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고, 피부저항이 작은 인체의 경우에는 인체를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높아지게 된다. 치료효과가 가장 높은 미세전류의 레벨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이보다 미세전류의 레벨이 높거나 낮아지게 되면, 치료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미세전류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및 음의 의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미세전류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미세전류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또는 마사지를 위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미세전류(micro current)를 공급하기 위한 미세전류발생장치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장치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와;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미세전류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촉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촉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사지나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발생장치를 구비함에 의해, 양의 위상과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교차적으로 발생하고,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가 원하는 레벨범위내의 상태가 되도록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여, 마사지 효과 및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발생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구현예인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동작타이밍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승압부의 다른 구현에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발생장치(100)는 컨트롤부(110), 승압부(120), 및 미세전류 출력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부(110)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S1),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S2),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S3)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부(110)는 상기 미세전류발생장치(100)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110)는 CPU를 가지는 컨트롤칩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컨트롤신호(S1,S2,S3)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승압부(120)는 상기 컨트롤부(110)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응답하여 전원전압(Vdd,Vcc)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130)에 공급한다.
상기 승압부(120)를 구성하는 승압회로는 인덕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하는 DC-DC 컨버터 타입의 승압회로,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차지펌프회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승압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는 상기 승압부(120)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는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S2)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미세전류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로써 마이크로암페어(㎂) 단위의 미세전류를 말한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 중에서 치료효과나 마사지 효과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어느 하나의 전류레벨을 선택하여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0~300㎂의 미세전류 또는 100~150㎂의 미세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하여 상기 미세전류출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S2)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체의 피부저항에 대응하여 변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미세전류출력부(130)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110)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110)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120)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레벨 확인신호는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외에 인체에 실제로 접촉되어 미세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미세전류발생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부(110a)는 컨트롤칩(예를 들면, PIC16F716)(U2), 저항(R4), 커패시터(C4), 전원(Vcc), 전원공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LED(D2)를 포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선구조를 가진다. 상기 컨트롤칩(U2)은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를 가지는 컨트롤 신호의 발생기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110a)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S1),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S2),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S3)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110a)는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a)에서 제공되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MC)를 수신하여 상기 승압부(120a)의 승압전압(VC)의 레벨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상기 승압전압(VC)의 레벨 컨트롤은 상기 제3컨트롤 신호를 통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부(110a)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하여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인체접촉단자(P1,P2)가 인체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체의 피부저항의 범위는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가 피부저항에 대응되는 어느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인체접촉단자(P1,P2)가 인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부(110a)는 전원이 공급되면, 우선적으로 상기 인체접촉단자(P1,P2)가 인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해서 확인하고, 미세전류 발생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통해서 인체에 접촉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미세전류 발생장치를 통한 미세전류 발생을 수행하고, 이후에 미세전류의 실제 인체공급레벨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부(110a)는 이동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구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전원전압은 배터리(battery)를 통해 공급받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압부(120a)는 상기 컨트롤부(110a)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의해 스위칭이 반복되는 스위칭소자(Q7)와, 인덕터(L1), 정류 및 리플방지, 승압전압의 저장을 위한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C2), 및 저항(R10)을 구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선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소자(Q7)는 트랜지스터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MOSFET을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압부(12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단(10)을 다단으로 구성한 DC-DC 컨버터 타입의 승압회로를 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스팅(boosting) 회로 등 다양한 승압회로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a)는 복수의 저항들(R1,R6,R2,R7,R8,R9)을 이용한 복수의 전압분배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들(Q1,Q2,Q3,Q4,Q5,Q6)을 이용하여 미세전류를 인체접촉단자(P1,P2)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들(Q1,Q2,Q3,Q4,Q5,Q6)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MOSFET을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들(Q1,Q2,Q3,Q4,Q5,Q6) 중 일부 스위칭소자들(Q6,Q3)은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컨트롤되고, 일부 스위칭소자들(Q5,Q4)은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컨트롤되고, 나머지 스위칭소자들(Q1,Q2)은 제1노드(n1)의 전압 즉 상기 승압전압(VC)에 의해 컨트롤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인체접촉단자(P1,P2)는 인체의 특정부위(치료를 요하거나 마사지를 원하는 부위)에 장착되어 제1인체접촉단자(P1)를 통해 인가되는 미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2인체접촉단자(P2)로 되돌아오도록 하거나, 상기 제2인체접촉단자(P2)를 통해 인가되는 미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여 제1인체접촉단자(P1)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컨트롤신호 및 미세전류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기본으로 하고 도 3의 타이밍도를 통해 도 2의 미세전류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미세전류발생장치(100)의 미세전류 출력부(130a)의 인체접촉단자(P1,P2)가 인체의 특정부위에 장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미세전류 발생장치(100)가 동작한다.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컨트롤부(110a)에서는 상기 미세전류출력부(130a)에 인체접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 또는 통상적인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를 발생하고,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를 수신하여 상기 인체접촉단자(P1,P2)가 실제로 인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통상적인 인체의 피부저항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의 레벨이 위치하게 되면 인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컨트롤부(110a)에는 상기 승압부(120a)에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공급한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는 승압을 위해 폭과 주기가 조절된 컨트롤 신호이다.
상기 제3컨트롤 신호(S3)가 인가되면,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120a)의 스위칭소자(Q7)는 온/오프된다.
상기 스위칭소자(Q7)가 턴온(turn-on) 되면, 상기 인덕터(L1)의 전류는 증가하기 시작하고, 상기 다이오드(D1)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bias)가 걸리므로 오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L1) 전압은 상기 전원전압(Vcc,Vdd)과 동일해진다.
다시 상기 제3컨트롤신호(S3)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7)이 턴 오프(tura-off)되면, 상기 인덕터(L1)의 전류는 감소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덕터(L1)의 전압은 극성이 바뀌어 상기 전원전압과 합쳐진다. 이 전압은 커패시터(C1)에 저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다이오드(D2)에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되어 온(On) 되고, 상기 커패시터(C2)는 상기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저장하며, 상기 출력전압 즉 승압전압(VC)의 맥동(리플)을 제거해 준다.
다음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커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의 2배에 해당되는 전압이 상기 커패시터(C2)에 저장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1노드(n1)에는 전원전압(Vcc,Vdd)보다 수배~수십배 높은 승압전압(VC)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원전압이 3V라고 가정할 경우에 30V의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이보다 높은 레벨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컨트롤부(110a)의 제3컨트롤신호(S3)의 폭과 주기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Q7)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상기 승압전압(VC)은 원하는 레벨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110a)에서는 제1컨트롤신호(S1) 및 제2컨트롤신호(S2)를 발생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 및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컨트롤부(110a)의 전원전압의 공급과 동시에 발생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기 까지는 의미가 없으므로, 여기서는 상기 승압전압(VC)이 원하는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의 위상과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에 공급하게 되면, 양의 위상 만을 가지는 미세전류의 경우보다 치료 및 마사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주기와 일정듀티비(duty ratio)를 가지는 펄스(pulse)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초의 주기를 가지고 150ms의 시간동안에는 일정전압레벨을 가지고, 나머지 시간동안에는 0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 일뿐 치료나 마사지의 효과적 측면을 고려하여 주기나 듀티비가 일정시간단위로 변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기나 듀티비가 다른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와는 일정위상차를 가지는 형태로 일정주기와 일정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형태의 파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와 일정위상차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형태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2컨트롤신호(S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1)가 일정전압레벨을 가지는 시간구간(t1)에는 0의 전압레벨을 가져야 하고,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이 0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시간구간(T-t1)의 일부구간에서 일정전압레벨을 가지는 파형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의 펄스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의 펄스는 중복되지 않게 발생된다. 즉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Q3)가 턴온되는 시점과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Q4)가 턴온되는 시점이 달라야 한다.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Q3)가 턴온되었다가 다시 턴 오프되는 시점에 바로 이어서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Q4)가 턴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Q3)가 턴온되었다가 다시 턴 오프되고 일정시간이후에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Q4)가 턴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의 펄스 발생시점을 컨트롤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치료나 마사지 효과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a)는 상기 승압전압(VC)이 일정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저항(R1,R6)의 전압분배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Q1)를 턴온시키게되고, 저항(R2,R7)의 전압분배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Q2)를 턴온 시키게 된다. 이는 스위칭소자(Q5,Q6)가 턴 오프 상태일 때 가능하며, 승압전압(VC)이 일정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해도,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스위칭소자(Q6)가 턴 온되게 되면, 스위칭소자(Q2)는 턴 온되고 스위칭소자(Q1)는 턴 오프되며,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가 턴 온 되면, 스위칭소자(Q1)는 턴 온되고 스위칭소자(Q2)는 턴 오프된다.
미세전류 공급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신호(S1) 및 상기 제2컨트롤신호(S2)가 인가되면, 미세전류 공급이 시작된다.
상기 제1컨트롤 신호(S1)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6,Q3)가 턴 온되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5,Q4)가 턴 오프되면, 스위칭소자(Q2)가 턴 온되어, 미세전류는 상기 제1노드(n1)에서 스위칭소자(Q2) 및 인체접촉단자(P1)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고, 인체에 공급된 미세전류는 인체접촉단자(P2) 및 스위칭소자(Q3), 저항(R8,R9)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5,Q4,Q1)는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턴 오프 상태이다. 이때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는 도 3의 인체접촉단자의 미세전류 그래프(P1-P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컨트롤신호(S1)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Q6,Q3)가 턴 오프되고, 상기 제2컨트롤신호(S2)에 의해 스위칭소자(Q5,Q4)가 턴 온되면, 스위칭소자(Q1)이 턴 온되어, 미세전류는 상기 제1노드에서 스위칭소자(Q1) 및 인체접촉단자(P2)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고, 인체에 공급된 미세전류는 인체접촉단자(P1) 및 스위칭소자(Q4), 저항(R8,R9)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6,Q3,Q2)는 상기 제1컨트롤신호(S2)에 의해 턴 오프 상태이다. 이때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는 도 3의 인체접촉단자의 미세전류 그래프(P1-P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마다 피부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은 인체마다 다르다. 따라서, 마사지 또는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레벨범위 내의 미세전류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체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전류 출력부(130a)에서는 인체접촉단자(P1.P2)를 통해 회수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저항(R8,R9)를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 또는 미세전류에 대응되는 전압을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MC)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는 상기 저항(R8,R9)을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를 상기 컨트롤부(110a)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저항(R8,R9)의 전압분배를 통해 분배된 전압레벨을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는 상기 컨트롤부(110a)의 컨트롤칩(U2)으로 제공되며, 상기 컨트롤부(110a)에서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MC)가 제공되면, 이를 분석하여, 인체에 실제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상태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내에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지만, 원하는 레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컨트롤신호(S3)를 통해 상기 승압부(120a)의 승압전압(VC)의 레벨을 컨트롤하게 된다.
상기 승압전압(VC)의 레벨이 컨트롤되게 되면, 상기 인체접촉단자(P1,P2)를 통해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변동되게 되고, 상기 컨트롤부(110a)를 통한 컨트롤은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사지나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발생장치를 구비함에 의해, 양의 위상과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를 교차적으로 발생하고, 인체에 실제로 공급되는 미세전류가 원하는 레벨범위내의 상태가 되도록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여, 마사지 효과 및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110a : 컨트롤부 120,120a : 승압부
130,130a : 미세전류 출력부

Claims (6)

  1. 치료 또는 마사지를 위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미세전류(micro current)를 공급하기 위한 미세전류발생장치에 있어서: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장치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승압하여 원하는 레벨의 승압전압을 발생하는 승압부와;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촉되는 인체접촉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구비하되,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었다가 회수되는 미세전류를 체크하여 인체에 실제로 공급된 미세전류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범위내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컨트롤 신호를 통해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함에 의해,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가 인체에 공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는 0~1000㎂(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전류레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발생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발생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발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촉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촉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발생장치.
KR1020100027311A 2010-03-26 2010-03-26 미세전류발생장치 KR10099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11A KR100995614B1 (ko) 2010-03-26 2010-03-26 미세전류발생장치
PCT/KR2011/001343 WO2011118919A2 (ko) 2010-03-26 2011-02-25 미세전류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11A KR100995614B1 (ko) 2010-03-26 2010-03-26 미세전류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614B1 true KR100995614B1 (ko) 2010-11-22

Family

ID=4340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11A KR100995614B1 (ko) 2010-03-26 2010-03-26 미세전류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5614B1 (ko)
WO (1) WO201111891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88B1 (ko) 2009-06-01 2013-02-21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KR101703700B1 (ko) * 2015-08-06 2017-02-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KR101892518B1 (ko) 2017-07-03 2018-08-29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190027318A (ko) 2018-08-21 2019-03-14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07Y1 (ko) 2005-07-19 2005-12-01 서길주 Usb 저주파 안마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138A (en) * 1996-11-27 1998-10-06 Suzuki; James Y. Multi-channel, interferential wave, micro current device and methods for treatment using micro current
US6035236A (en) * 1998-07-13 2000-03-07 Bionergy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US6408211B1 (en) * 2000-06-16 2002-06-18 Newcare Products, Llc Microcurrent therapy device
WO2002087692A1 (en) * 2001-04-26 2002-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cosmetic skin conditioins
CA2926344C (en) * 2001-10-17 2018-06-19 Compex Technologies, Inc.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timulator
CN101184524A (zh) * 2005-04-28 2008-05-21 卡罗·科尔公司 微型表皮弹性刺激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07Y1 (ko) 2005-07-19 2005-12-01 서길주 Usb 저주파 안마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88B1 (ko) 2009-06-01 2013-02-21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KR101703700B1 (ko) * 2015-08-06 2017-02-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WO2017023134A1 (ko) * 2015-08-06 2017-02-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기기
KR101892518B1 (ko) 2017-07-03 2018-08-29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KR20190027318A (ko) 2018-08-21 2019-03-14 김유곤 미세전류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8919A3 (ko) 2012-02-09
WO2011118919A2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788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KR101040683B1 (ko) 무릎관절 치료 아대
KR100995614B1 (ko) 미세전류발생장치
KR101235786B1 (ko)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KR101235783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KR10123578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101235789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Urso et al. An Ultra High-Frequency 8-Channel Neurostimulator Circuit With $\text {68}\% $ Peak Power Efficiency
KR20120099925A (ko) 자극패치를 가진 미세전류자극장치
JP7434430B2 (ja) 電源回路、電源装置及びマイクロカレントフェイスマスク
KR101235785B1 (ko)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JP4757897B2 (ja) 干渉波装置とそれに用いる正弦波発生回路
KR20190135450A (ko) 미세전류발생장치
KR20200083425A (ko) 미세전류발생장치
KR20140065257A (ko) 미세전류발생장치
WO2010140818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WO2010140816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WO2010140819A2 (ko)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Eroglu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igh Voltage Source for Biphasic Electrical Stimulators
WO2010140823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van Dongen et al. A switched-mode multichannel neural stimulator with a minimum number of external components
KR100245133B1 (ko) 저주파 치료기
WO2010140820A2 (ko)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WO2010140822A2 (ko)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20240068447A (ko) 멀티 자극을 위한 2채널 전기자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