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630B1 - 터치스크린용 장갑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630B1
KR101235630B1 KR1020110086741A KR20110086741A KR101235630B1 KR 101235630 B1 KR101235630 B1 KR 101235630B1 KR 1020110086741 A KR1020110086741 A KR 1020110086741A KR 20110086741 A KR20110086741 A KR 20110086741A KR 101235630 B1 KR101235630 B1 KR 10123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finger
glove
contact hol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미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김향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김향미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11008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용 장갑(100) 손가락 안쪽 부분은 접촉구멍(130)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구멍(130)은 보조덮개(140)를 탈부착수단으로 주위 외피에 부착하여 접촉구멍(13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손가락의 끝단부와 지문부를 간단하게 노출하여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곧바로 노출된 손가락을 다시 장갑내로 넣을 수 있어서 보온을 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끝단부와 지문부를 노출할 경우 외피의 지문부를 손가락 첫 번째 관절 부위에 위치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할 수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는데 편리하며, 따라서 야외활동, 스포츠 및 레저활동 등에 적합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용 장갑{glove for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장갑을 낀 상태에서 조작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 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휴대용 전자 단말기들이 소형화 및 휴대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소지하는 필수품이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키입력부의 각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원하는 기능키를 눌러야 하는 바, 휴대폰이 점점 소형화되면서 키입력부의 버튼 또한 점점 작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스마트폰은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것으로 정전용량방식은 기존의 터치 패널 방식인 저항막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방식은 쉽게 말해 우리 몸에 있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람이 터치 패널을 터치할 경우, 사람의 몸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터치 패널의 전극영역에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그 구조적인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유리나 플라스틱, 실리콘 재질의 기판 양면에 금속 전도성 물질인 인듐 주석 화합물(Indium-Tin Oxide, ITO)로 이루어진 투명전도막(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을 증착하여 전류가 흐르는 투명전극(전기회로)을 기판에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터치 패널의 표면을 터치하게 되면 사람의 정전기에 의해 투명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량이 변화하게 되고 이렇게 변화된 전류의 량을 인식하여 동작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드시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은 맨손을 이용하지 않으면 조작이 안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겨울철 방한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이거나 작업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작업용 장갑을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들은 휴대폰 조작시마다 장갑을 벗었다가 다시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안신안공보(실용신안등록번호:20-0452963)에는 손가락에 삽입 가능한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외측 전면에 탄성재질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를 제시하고 있으며,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등록특허번호:10-104785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10)와 내피의 손가락 착용부분 끝단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도전부(101)를 포함하고 외피를 피혁으로 형성한 터치패널용 가죽장갑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전자 단말기용 입력부 터치용 도구는 링부재를 엄지, 검지, 또는 엄지, 검지, 중지에 끼워서 패널을 작동하여야만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터치패널용 가죽장갑은 장갑의 외피 재질이 가죽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실용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손가락의 지문부를 간단하게 노출하여 터치스크린을 작동한 다음, 상기 노출된 손가락의 지문부를 장갑 속으로 다시 밀어넣어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손가락이 노출되는 지문부 내면에 전도성 섬유로 직조된 내피를 고정부착하여 손가락을 노출되지 않아도 터치스크린을 작동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장갑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용 장갑(100) 손가락 안쪽 부분은 접촉구멍(130)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구멍(130)은 보조덮개(140)를 탈부착수단으로 주위 외피에 부착하여 접촉구멍(13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손가락의 끝단부와 지문부를 간단하게 노출하여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곧바로 노출된 손가락을 다시 장갑내로 넣을 수 있어서 보온을 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끝단부와 지문부를 노출할 경우 외피의 지문부를 손가락 첫 번째 관절 부위에 위치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할 수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는데 편리하며, 따라서 야외활동, 스포츠 및 레저활동 등에 적합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장갑을 착용하고 절개선 외부로 손가락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손바닥 방향의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사시도
본발명은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용 장갑(100) 손가락 안쪽 부분은 접촉구멍(130)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구멍(130)은 보조덮개(140)를 탈부착수단으로 주위 외피에 부착하여 접촉구멍(13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구멍(130) 내부에는 전도성 내피(12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전도성 내피(120)는 망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테이퍼(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장갑을 착용하고 절개선 외부로 손가락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손바닥 방향의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장갑(100)은 손가락 끝단부(113)를 따라 ‘∩’형상의 절개선(116)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벨크로테이프(150)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되고, 상기 절개선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이격되어 손가락 첫 번째 관절부위에 벨크로테이프(150)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되어 손가락 끝단부가 노출되면 상기 절개선의 벨크로테이프와 손가락 첫 번째 관절 부위에 고정된 벨크로테이프가 서로 부착되어 손가락 끝단부와 지문부(115)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용 전도성 장갑은 손가락 끝단부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지문부(115)에 지름이 20~40 mm인 원형 또는 다각형의 접촉구멍(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구멍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벨크로테이프(150)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되며, 상기 접촉구멍에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보조덮개(140)가 상기 접촉구멍을 외부로 덮으며, 상기 보조덮개는 벨크로테이프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된 손톱부(114)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접촉구멍을 접한 외피(110) 내면으로 전도성 섬유가 포함된 전도성 내피(120)가 박음질되거나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내피는 통공이 뚫려 있는 망사, 니트, 폴라플리스 형태로 직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장갑(100)은 절개선(116)과 상기 절개선을 따라 고정된 벨크로테이프(150)가 구비된 외피(11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에 접촉구멍(130)을 형성하거나, 전도성 내피(120)와 보조덮개(140)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용 장갑(100)의 외피(110) 손가락 끝단부(113)를 따라 ‘∩’형상의 절개선(116)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선을 따라 벨크로테이프(150)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되어서 착용자의 손가락 끝단부와 지문부(115)가 외부로 노출되었다가 상기 벨크로테이프를 서로 부착하게 되면 노출되었던 손가락의 일부가 외피 내로 덮히게 된다.
또한, 착용자의 손가락 끝단부와 지문부가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 외피(110)의 지문부(115)가 터치를 하기에 불편하게 되면 절개선을 따라 부착된 ‘∩’형상의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벨크로테이프와 대응되는 손가락 첫 번째 관절과 두 번째 관절 사이에 벨크로테이프를 서로 부착하면 손가락의 노출부위가 넓어지며 지문부에 걸쳐 있을 수 있는 외피가 손가락 첫 번째 관절과 두 번째 관절 사이에 부착되어 터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형상의 절개선의 길이는 손가락 지문부 중앙이 노출될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며,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외피의 재질에 따라 상기 절개선의 길이가 5~10 %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용 장갑의 외피가 신축성과 복원성이 떨어지는 소재로 제작하면 절개선의 길이가 연장이 되어야 하고, 잘 늘어나고 다시 본래의 크기로 되돌아가는 탄력이 있는 폴리우레탄이 포함된 소재인 경우에는 절개선의 길이가 축소가 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착용부분 끝단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지문부에 지름이 20~40 mm인 원형 또는 다각형의 접촉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구멍을 접한 외피 내면으로 전도성 섬유가 포함된 전도성 내피가 박음질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전도성 내피와 터치스크린이 접촉하여 손가락이 노출되지 않아도 터치스크린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구멍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벨크로테이프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되며, 상기 접촉구멍에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보조덮개(140)가 상기 접촉구멍의 외부를 덮으며, 상기 보조덮개는 벨크로테이프가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된 손톱부(114)에 부착될 수 있어서 상기 보조덮개가 탈착된 경우 보조덮개를 분실하지 않게 한다.
상기 전도성 섬유가 포함된 전도성 내피는 전도성을 갖는 전도사(電導絲)로 제작된 합성섬유로 형성되는데, 터치패널을 접촉하는 부분인 엄지, 검지, 중지의 착용부분 끝단의 손바닥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합성섬유의 직조형태는 전도사로 제작된 통공이 뚫려 있는 망사, 니트, 폴라플리스(polapoli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사는 폴리에스터계 또는 나일론계 합성섬유의 표면에 은, 구리, 카본, 니켈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를 도금처리하여 피복층을 형성하고, 이와같은 피복층을 통하여 전도성을 갖게 된 것으로, 이와 같은 전도사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모양과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모양으로 가공이 쉽고 가벼우며 저항이 적은 특성이 있으며, 상기 전도사의 제작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엄지, 검지, 중지의 지문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접촉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구멍 하부에 전도성 내피를 부착함으로써 터치패널 조작시 상황에 따라 한 손가락에서 세 손가락을 사용하며, 터치스크린 휴대폰의 경우 수신통화를 하기 위한 경우는 터치폰의 하단에 위치한 해제부분을 엄지 또는 검지 중 한 손가락의 지문부에 노출된 전도성 내피와 상기 해제부분을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하여 통화를 하거나, 여러 개의 터치포인트를 접촉 가능하게 하여 멀티터치가 쉽게 된다.
상기 전도성 내피를 부착하는 부분은 엄지, 검지, 중지 착용부분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착용부분 외에 다른 손가락 착용부분에도 부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발명의 장갑재질은 면, 가죽, 고무 장갑등 비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진 대다수의 장갑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손가락의 끝단부와 지문부를 간단하게 노출하여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곧바로 노출된 손가락을 다시 장갑내로 넣을 수 있어서 보온을 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끝단부와 지문부를 노출할 경우 외피의 지문부를 손가락 첫 번째 관절 부위에 위치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할 수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작동하는데 편리하며, 따라서 야외활동, 스포츠 및 레저활동 등에 적합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터치스크린용 장갑 110 : 외피
111 : 손등면 112 : 손바닥면
113 : 손가락 끝단부 114 : 손톱부
115 : 지문부 116 : 절개선
120 : 전도성 내피 130 : 접촉구멍
140 : 보조덮개 150 : 벨크로테이프

Claims (3)

  1. 삭제
  2. 터치스크린용 장갑(100) 손가락 안쪽 부분은 접촉구멍(130)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구멍(130)은 보조덮개(140)를 탈부착수단으로 주위 외피에 부착하여 접촉구멍(130)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접촉구멍(130) 내부에는 전도성 내피(12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전도성 내피(120)는 망사인 것이며, 또한,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테이퍼(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장갑
  3. 삭제
KR1020110086741A 2011-08-29 2011-08-29 터치스크린용 장갑 KR10123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741A KR101235630B1 (ko) 2011-08-29 2011-08-29 터치스크린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741A KR101235630B1 (ko) 2011-08-29 2011-08-29 터치스크린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630B1 true KR101235630B1 (ko) 2013-02-20

Family

ID=4789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741A KR101235630B1 (ko) 2011-08-29 2011-08-29 터치스크린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2079A (zh) * 2021-09-18 2021-11-16 裴仁军 一种导电材料、制备工艺及电容屏辅助触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527Y1 (ko) 2000-11-24 2001-06-15 라복주 손가락의 일부 노출 기능을 구비한 장갑의 구조
KR200321660Y1 (ko) * 2003-05-02 2003-07-31 이호상 손가락부 개폐 장갑
KR200388596Y1 (ko) 2005-04-04 2005-06-29 이우근 손가락 부분이 개폐되는 장갑
KR101047853B1 (ko) 2011-01-07 2011-07-08 장두식 터치패널용 가죽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527Y1 (ko) 2000-11-24 2001-06-15 라복주 손가락의 일부 노출 기능을 구비한 장갑의 구조
KR200321660Y1 (ko) * 2003-05-02 2003-07-31 이호상 손가락부 개폐 장갑
KR200388596Y1 (ko) 2005-04-04 2005-06-29 이우근 손가락 부분이 개폐되는 장갑
KR101047853B1 (ko) 2011-01-07 2011-07-08 장두식 터치패널용 가죽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2079A (zh) * 2021-09-18 2021-11-16 裴仁军 一种导电材料、制备工艺及电容屏辅助触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021B2 (en) High tactility glove system
US9003567B2 (en) Hand covering with tactility features
US20100090966A1 (en) Capacitive Sensor Gloves
US20110016609A1 (en) Hand Covering with Conductive Portion
KR101047853B1 (ko) 터치패널용 가죽장갑
US2012032462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ulti-Layered Weatherproof Touchscreen Glove
JP3160211U (ja) 手袋
KR20120005719U (ko)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US9480291B2 (en) Glove accessory
US20130291280A1 (en) Finger glove for electronics device
JP3164392U (ja) 手袋
US20170127737A1 (en) Partial glove for protection of touchscreens
US20120299810A1 (en) Fingertip Input Device
KR101235630B1 (ko) 터치스크린용 장갑
CN202680583U (zh) 触摸屏手套
JP3168219U (ja) 手袋
CN204930472U (zh) 一种触屏式手套
KR101181973B1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KR20110000060U (ko)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 터치용 스티커
KR20120044676A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조작용 장갑
CN210222710U (zh) 一种穿戴手掌式鼠标
CN207855092U (zh) 可拆卸手套指贴和触屏手套
KR101130554B1 (ko) 정전식 터치스크린용 장갑
CN202603695U (zh) 触摸导电手套
CN212994521U (zh) 一种触屏手机指套以及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