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207B1 -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207B1
KR101235207B1 KR1020100046760A KR20100046760A KR101235207B1 KR 101235207 B1 KR101235207 B1 KR 101235207B1 KR 1020100046760 A KR1020100046760 A KR 1020100046760A KR 20100046760 A KR20100046760 A KR 20100046760A KR 101235207 B1 KR101235207 B1 KR 10123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edal shaft
sprocket
bicycl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338A (ko
Inventor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문재
주식회사 성재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주식회사 성재아이엔씨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102010004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2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the chain, belt, or the like being laterally shiftable, e.g. using a rear derailleur
    • B62M9/131Front deraille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와 별도로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자전거의 페달이 고정되어 회전되는 페달축; 외주면에 체인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이 제1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스프로킷; 상기 페달축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페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축 기어; 상기 스프로킷 중심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 기어; 및 상기 스프로킷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페달축 기어가 상기 스프로킷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경우에 상기 페달축 기어에 맞물리는 제1연결기어와, 상기 스프로킷 기어에 맞물리는 제2연결기어를 가지는 연결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bicycles}
본 발명은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와 별도로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진다.
상기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는 페달축에 연결된 페달축스프로킷과 뒷바퀴에 연결된 뒤차축스프로킷이 각각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스프로킷으로 구비되어, 체인에 의해 크기가 다른 스프로킷이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의 주행속도가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단변속식 자전거는 페달축스프로킷에 구비된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스프로킷 가운데 어느 한 스프로킷과 뒷차축스프로킷에 구비된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스프로킷 가운데 어느 한 스프로킷이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다가 자전거 핸들 손잡이 일측에 부착된 변속 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체인의 장력이 느슨해지거나 당겨지게 되어 체인의 장력에 맞는 스프로킷과 체인이 맞물리면서 체인이 이동하여 변속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에 있어서 자전거의 속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페달축스프로킷에 구비된 스프로킷의 크기는 커야하고, 뒷차축스프로킷에 구비된 스프로킷의 크기는 작아야 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보다 다양하게 변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구동장치가 요구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에 있어서, 저전거의 속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페달축스프로킷에 구비된 스프로킷의 크기가 매우 커져야 하고, 뒤차축스프로킷에 구비되는 스프로킷의 크기는 작아야 하는데, 이와 같이 스프로킷의 크기를 조절하여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자전거 구동장치를 제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와 별도로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와 별도로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자전거의 페달이 고정되어 회전되는 페달축; 외주면에 체인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이 제1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스프로킷; 상기 페달축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페달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축 기어; 상기 스프로킷 중심부에 구비되는 스프로킷 기어; 및 상기 스프로킷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페달축 기어가 상기 스프로킷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경우에 상기 페달축 기어에 맞물리는 제1연결기어와, 상기 스프로킷 기어에 맞물리는 제2연결기어를 가지는 연결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축 기어와 상기 제1연결 기어의 기어비(gear ratio)는 1보다 크거나, 상기 제2연결 기어와 상기 스프로킷 기어의 기어비(gear ratio)는 1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축 기어는 제2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상기 페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기어는 상기 제1연결기어와 상기 제2연결기어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축 기어, 상기 제1연결기어 및 상기 제2연결기어는 각각 외주면에 다수개의 기어치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기어는 상기 스프로킷의 일면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로킷에는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스프로킷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다단변속식 자전거 구동장치와 별도로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달축 기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페달축 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기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기어가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연결기어가 페달축 기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스프로킷과 스프로킷 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로킷과 스프로킷 기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축 기어가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1)는 페달축(10), 스프로킷(20), 페달축 기어(30), 스프로킷 기어(40), 연결 기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페달축(10)은 자전거의 페달이 고정되어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기 스프로킷(20)은 외주면에 체인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페달축(10)의 회전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1원웨이 베어링(21)에 의해 페달축(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로킷(20)은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스프로킷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프로킷(20)은 종래의 다단변속식 구동장치의 스프로킷과 마찬가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원웨이 베어링(21)은 스프로킷(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자전거 사용자가 전방으로 페달을 밟을 때에만 페달축(10)의 회전이 스프로킷(20)에 전달되도록 하고 반대로 페달을 밟을 때에는 페달축(10)의 회전이 스프로킷(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원웨이 베어링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페달축 기어(30)는 페달축(10)에 구비되는데, 상기 페달축(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페달축(1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축 기어(30)는 제2원웨이 베어링(31)에 의해 상기 페달축(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내륜, 볼, 외륜으로 이루어지는데, 원웨이 베어링의 경우에는 내륜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2원웨이 베어링(31)은 외륜이 페달축 기어(30)의 내경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볼이 페달축(10)의 외경에 다소 헐겁게 결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페달축 기어(30)는 상기 제2원웨이 베어링(31)에 의해 페달축(10)에 결합됨으로써, 페달축(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페달축 기어(30)가 페달축(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자전거의 손잡이 부분에는 조작레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스프로킷 기어(40)은 스프로킷(2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로킷(20)의 중심부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즉, 상기 페달축 기어(3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 기어(50)에는 페달축 기어(30)가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경우에 상기 페달축 기어(30)에 맞물리는 제1연결기어(51)와, 스프로킷 기어(40)에 맞물리는 제2연결기어(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일측에 상기 스프로킷(2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프로킷(20)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연결 기어(50)의 중심홀은 소정의 베어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축 기어(30)와 상기 제1연결 기어(51)의 기어비(gear ratio)는 1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비는 페달축 기어(30)가 한바퀴 회전될 때 제1연결기어(51)가 한바퀴 이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1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 기어(52)와 상기 스프로킷 기어(40)의 기어비도 1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비는 상기 제2연결 기어(52)가 한바퀴 회전될 때 스프로킷 기어(40)가 한바퀴 이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1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달축 기어(30)와 제1연결 기어(51)의 기어비가 1 이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및 제2연결 기어(52)와 스프로킷 기어(40)의 기어비가 1 이상으로 이루어지면, 스프로킷(20)이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개의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짐과 무관하게 즉, 종래의 다단변속식 구동장치와 무관하게 페달축(10)의 회전보다 스프로킷(20)의 회전이 더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자전거의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1)는 평상시 즉, 페달축 기어(30)가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 페달축 기어(30)와 연결 기어(50)의 제1기어치(51)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경우에는 페달축(10)의 회전력은 제1원웨이 베어링(21)에 의해 직접 스프로킷(2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 등과 같이 선택적으로 페달축 기어(30)가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어 페달축 기어(30)가 연결 기어(50)의 제1기어치(51)와 서로 맞물리게 된 경우에는 페달축(10)의 회전력은 페달축 기어(30), 연결 기어(50) 및 스프로킷 기어(40)를 통해 스프로킷(20)에 전달될 수 있어서, 스프로킷(20)의 회전은 페달축(10)의 회전보다 더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어 자전거의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이때, 스프로킷(20)은 페달축(1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스프로킷(20)이 페달축(10)보다 더 빨리 회전되기 때문에 제1원웨이 베어링(21)에 의해 페달축(10)의 회전력이 스프로킷(2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달축 기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페달축 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달축 기어(30)는 제2원웨이 베어링(31)에 의해 페달축(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원웨이 베어링(31)은 페달축 기어(30)의 내경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원웨이 베어링(31)은 외륜(311)와 볼(31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외륜(311)이 페달축 기어(30)의 내경에 억지끼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312)은 페달축(10)에 다소 헐렁한 상태로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페달축 기어(30)는 페달축(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페달축 기어(30)는 제2원웨이 베어링(31)에 의해 페달축(10)과 회전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축 기어(30)는 외주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기어치(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치(32)의 형태는 베벨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페달축 기어(30)가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한 경우에 제1연결기어(51)에 원활하게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페달축 기어(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소정의 홈(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페달축 기어(3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케이스(70, 도9참조)가 상기 홈(33)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기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연결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기어(50)는 제1연결기어(51)와 제2연결기어(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어(51)는 페달축 기어(30)가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한 경우에 상기 페달축 기어(30)에 맞물리는 구성이며, 상기 제2연결기어(52)는 스프로킷 기어(50)에 맞물리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기어(51)와 제2연결기어(52)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페달축 기어(30)에 의해 제1연결기어(51)가 회전하게 되면 제2연결기도(52)도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프로킷 기어(5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기어(51)와 제2연결기어(5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기어(51)의 연장부(512)가 제2연결기어(52)의 내경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53)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기어(51)와 제2연결기어(52)는 각각 외주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기어치(511)와 제2기어치(5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기어치(511)는 페달축 기어(30)의 기어치(32)에 원활하게 맞물리도록 베벨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로킷(2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로킷(20)의 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미도시)에 연결기어(50)의 중심홀이 소정의 베어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일면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연결기어가 스프로킷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일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기어(5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연결기어(50)가 다수개 구비되면, 페달축 기어(30)의 회전력이 연결기어(5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달축 기어(30)와 제1연결기어가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기어(50)와 스프로킷 기어(50)의 맞물림은 3개의 제2연결기어(52)가 동시에 스프로킷 기어(50)에 맞물리게 되어, 연결기어(50)의 회전력이 스프로킷(2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로킷과 스프로킷 기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스프로킷과 스프로킷 기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로킷(20)은 제1원웨이 베어링(21)에 의해 페달축(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원웨이 베어링(21)은 스프로킷(20)의 내경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원웨이 베어링(21)은 외륜(211)과 볼(21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외륜(211)이 스프로킷(20)의 내경에 억지끼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212)은 페달축(10)에 다소 헐렁한 상태로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스프로킷(2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즉, 자전거 사용자가 전방으로 페달을 밟을 때에만 페달축(10)의 회전이 스프로킷(20)에 전달되며, 반대로 페달을 밟을 때에는 페달축(10)의 회전이 스프로킷(20)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페달축 기어(30)가 연결기어(50)에 맞물리게 되어 스프로킷(20)이 회전이 빨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원웨이 베어링(21)에 의해 페달축(10)의 회전력이 직접 스프로킷(20)에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프로킷(20)은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개의 스프로킷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종래의 다단변속식 구동장치와 별도로 자전거의 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로킷 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로킷(20)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2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스프로킷(2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상기 스프로킷 기어(50)는 스프로킷(20)의 중심부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즉, 페달축 기어(3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의 외주면에 기어치(24)를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로킷 기어(50)가 연결기어(50)의 제2연결기어(52)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로킷(20)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스프로킷(20)의 일면 일측에는 연결기어(50)가 구비되는 홈(미도시)과 상기 홈의 중심부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축 기어(3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축 기어(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수단을 일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된다.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은 페달축 기어(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33, 도3참조)에 결합되는 케이스(7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70)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레버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부(60)는 케이스(70)의 일측에 소정의 보스(62)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레러부(60)의 일측은 자전거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와 소정의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 운행 중 자전거의 속도를 더욱 가속시키고자 할 때에는 자전거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조작부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에 의해 레버부(60)가 스프로킷(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레버부(60)에 연결된 케이스(70)는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됨으로써, 페달축 기어(30)가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페달축 기어(30)는 제1연결기어(51)에 맞물리게 되면서, 자전거가 더욱 가속될 수 있다.
10 : 페달축 20 : 스프로킷
30 : 페달축 기어 40 : 스프로킷 기어
50 : 연결 기어

Claims (8)

  1. 자전거의 페달이 고정되어 회전되는 페달축(10);
    외주면에 체인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축(10)의 회전력이 제1 원웨이 베어링(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스프로킷(20);
    상기 페달축(10)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축(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페달축(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축 기어(30);
    상기 스프로킷(20)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페달축 기어(10)와 연결 기어(50)를 통해 전달되는 페달축(10)의 회전력을 스프로킷(20)에 전달하는 스프로킷 기어(40); 및
    상기 스프로킷(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페달축 기어(30)가 상기 스프로킷(20)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경우에 상기 페달축 기어(30)에 맞물리는 제1 연결 기어(51)와, 상기 스프로킷 기어(40)에 맞물리는 제2 연결 기어(52)를 가지며, 상기 페달축 기어(30)와 맞물릴 경우 페달축 기어(30)를 통해 전달되는 페달축(10)의 회전력을 스프로킷 기어(40)로 전달하는 연결 기어(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축 기어(30)와 상기 제1 연결 기어(51)의 기어비(gear ratio)는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기어(52)와 상기 스프로킷 기어(40)의 기어비(gear ratio)는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축 기어(30)는 제2 원웨이 베어링(31)에 의해 상기 페달축(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50)는 상기 제1 연결 기어(51)와 상기 제2 연결 기어(52)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축 기어(30), 상기 제1 연결 기어(51) 및 상기 제2 연결 기어(52)는 각각 외주면에 다수 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어(50)는 상기 스프로킷(20)의 일면에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20)에는 크기가 다른 다수 개의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20100046760A 2010-05-19 2010-05-19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123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760A KR101235207B1 (ko) 2010-05-19 2010-05-19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760A KR101235207B1 (ko) 2010-05-19 2010-05-19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338A KR20110127338A (ko) 2011-11-25
KR101235207B1 true KR101235207B1 (ko) 2013-02-20

Family

ID=4539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760A KR101235207B1 (ko) 2010-05-19 2010-05-19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2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0471A (en) 1980-02-29 1981-09-21 Hisamasa Ogawa Interior finish transmission gear for bicycle
JPH0872778A (ja) * 1994-09-05 1996-03-19 Hisashi Ozaki 自転車駆動装置
KR200205778Y1 (ko) 2000-07-07 2000-12-01 주식회사스틸스 무체인식 자전거의 변속장치
KR100934344B1 (ko) * 2009-07-16 2009-12-29 김봉환 자동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0471A (en) 1980-02-29 1981-09-21 Hisamasa Ogawa Interior finish transmission gear for bicycle
JPH0872778A (ja) * 1994-09-05 1996-03-19 Hisashi Ozaki 自転車駆動装置
KR200205778Y1 (ko) 2000-07-07 2000-12-01 주식회사스틸스 무체인식 자전거의 변속장치
KR100934344B1 (ko) * 2009-07-16 2009-12-29 김봉환 자동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338A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5562B2 (ja) 自転車強制変速装置
US10793223B2 (en) Bicycle transmission hub
US10343748B2 (en) Electronic rear derailleur for bicycle
TWI566982B (zh) 輪轂嵌入式多段變速器
KR101053764B1 (ko) 무체인 자전거용 기어변속장치
KR102084081B1 (ko) 자전거용 다단기어 변속모터
KR100983985B1 (ko) 자전거용 변속장치
KR100915378B1 (ko) 자전거의 속도변환장치
JP2007146986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JP2006306360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101235207B1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JP5120901B2 (ja) モータ及びペダリング兼用変速機
US10800486B2 (en) Damping transmission device
JP2005126046A (ja) 回転ギヤシフトを行う自転車の変速ハブ構造
KR101065348B1 (ko)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
KR20110043559A (ko) 자전거와 페달보트의 동력전달장치및 체인기어
KR200433316Y1 (ko)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JP2005306267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101793789B1 (ko) 다단 변속 자전거
TW201514057A (zh) 二輪載具結構(二)
EP3333455A1 (en) Damping transmission device
TW201514058A (zh) 二輪載具結構(三)
KR101095757B1 (ko) 자전거와 페달보트의 동력전달장치및 체인기어
JP2005280591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20090039699A (ko) 자전거와 페달보트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