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187B1 -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 Google Patents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187B1
KR101235187B1 KR1020110045836A KR20110045836A KR101235187B1 KR 101235187 B1 KR101235187 B1 KR 101235187B1 KR 1020110045836 A KR1020110045836 A KR 1020110045836A KR 20110045836 A KR20110045836 A KR 20110045836A KR 101235187 B1 KR101235187 B1 KR 10123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sheath
present
blade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988A (ko
Inventor
조휘준
Original Assignee
조휘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휘준 filed Critical 조휘준
Priority to KR102011004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1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3Food related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마에 관련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마에 칼을 보관할 수 있는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에 대한 기술로서, 상기 도마의 어느 일 측면으로부터 칼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대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칼집부; 상기 칼집부가 시작되는 입구부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칼집부로 삽입된 칼날부가 빠지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CHOPPING BOARD WITH SHEATH}
본 발명은 도마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마에 칼을 보관할 수 있는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에 대한 기술이다.
일반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하나가 칼과 도마이며, 요리를 위해 육류나 채소 등을 자르거나 다듬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보통 칼과 도마는 별개로 제공되며 칼은 날카로운 칼날부와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로 형성된다. 도마는 넓직한 판상 형태를 이루며 나무 혹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칼의 칼날부는 끝이 뾰족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조금만 방심하여도 안전사고를 당하기 쉽고, 어린 아이들은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고 못하고 칼을 장난감처럼 가지고 놀다가 큰 사고를 당하기도 한다.
칼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는 칼꽂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칼꽂이는 주방의 개수대 하부측 도어 내면에 다수의 칼을 꽂을 수 있는 칼꽂이를 두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칼꽂이는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누구라도 쉽게 칼을 빼내어 쓸 수가 있다.
한편, 도마의 경우 사용하다 보면 칼자국이 많이 생겨 홈이 파이게 되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물로 깨끗이 씻은 후 잘 말려 보관해야 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도마의 위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물에 자주 노출되고 음식찌꺼기가 붙게 되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세균들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00823호(2002.12.30 등록)의 "3분리 칼도마"가 공지된 바 있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3분리 칼도마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은 세 개로 분리 또는 접합되는 칼도마(2,4,6)가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칼도마 일측면에 칼 갈이부(8)가 형성되고, 다른 칼도마의 밑면에 칼 수납부(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칼도마의 밑면에 칼날부와 손잡이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11)을 두고 뚜껑(13)으로 닫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사용시나 사용 후에는 칼도마를 뒤집어 뚜껑을 열고 칼을 집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게 되고, 하나의 칼만을 보관할 수 있다는 한계도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00823호(2002.12.30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칼을 안전하게 도마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칼집부에 삽입된 칼날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홀더부를 두어서 안전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마가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나 이동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마가 상부체와 하부체로 이루어져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집부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마를 제작시 향균성을 갖는 은(AG)을 첨가시켜서 살균 작용을 통한 위생적인 도마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는, 상기 도마의 어느 일 측면으로부터 칼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대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칼집부; 상기 칼집부가 시작되는 입구부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칼집부로 삽입된 칼날부가 빠지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마는,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제1도마와 제2도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마는,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면서 칼날부가 수용되는 공간인 칼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입구부 상하측에 형성되는 고정링; 일단은 상기 고정링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개폐될 수 있어 다른 하나의 고정링에 연결시킬 수 있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마는, 은(AG)이 함유되어 항균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는 다수의 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도마가 반으로 접힐 수 있어 보관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마가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리될 수 있어 칼집부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마는 그 제작시에 은(AG)을 함유시킴으로써 은에 의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3분리 칼도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마가 반으로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도마가 반으로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100)는 칼집부(200)와 홀더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마(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태가 바람직하며, 도마(100)의 어느 일측면으로부터 칼날부(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대 측면을 향해 칼집부(20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마(100)의 정면부에 4개의 칼집부(200)가 형성되며, 도마(100)의 배면부를 향해 칼집부(200)는 길게 연장된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칼집부(200)는 소정 깊이만큼만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칼집부(200)는 다양한 길이의 칼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정면부로부터 배면부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칼집부(200)는 칼날부(10)를 눕혀서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길고 상하 폭은 좁은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칼집부(200)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 상대적으로 도마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마(100)의 정면에서부터 형성되는 칼집부(200)의 입구부 주위에는 칼집부(200)에 삽입된 칼날부(10)가 빠지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홀더부(300)를 두도록 한다.
홀더부(300)는 칼을 구성하는 칼날부(10)가 칼집부(200)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이며, 이러한 역할을 하는 홀더부(30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부(300)는 칼집부(200)의 입구부(210) 상하측에 하나씩의 고정링(310)을 두도록 하고, 두 고정링(310)에 결합되는 고리(320)가 마련되어 칼집부(200)에 삽입된 칼날부(1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리(320)의 일단은 두 고정링(310) 중 하부측 고정링(310a)에 결합시키고 고리(320)의 타단은 상부측 고정링(310b)에 걸도록 한다. 하부측 고정링(310a)에 연결되는 고리(320)의 일단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측 고정링(310b)에 연결되는 고리(320)의 타단은 개폐되는 형태가 되어 일단 상부측 고정링(310b)에 결합되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조작하지 않으면 고리(320)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홀더부(300)는 칼집부(200)에 삽입된 칼날부(1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의 변형예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100)는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400)로 연결되는 제1도마(100a)와 제2도마(1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마(100)는 보통 길다란 직사각형 형태인데 그 길이로 인해 보관이나 운반에 불편함이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마(100)가 제1도마(100a), 제2도마(100b)의 2부분으로 구분되어 힌지(400)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마(100a)와 제2도마(100b)가 마주보는 측 각 단부의 하부면에 힌지(400)를 설치하여 도마(100)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도마(100a)와 제2도마(100b)가 접힐 때 힌지(400)로 인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제1도마(100a)와 제2도마(100b)는 도면과 같이 그 하부면에 소정의 함몰부(110)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즉, 제1도마(100a)의 일부구간에는 돌출부(120)가 되게 하고, 제2도마(100b)의 일부구간은 함몰부(110)가 되게 하여 접었을 때 돌출부(120)가 함몰부(110)에 끼워져 힌지(40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쉽게 제1도마(100a)와 제2도마(100b)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도마(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칼집부(200)는 내부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성형이 쉽지는 않고, 사용 중 칼집부(200)에 대한 청소도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도마(100)가 상부체(101)와 하부체(102)로 이루어져 이들이 서로 결합되면서 칼날부(10)가 수용되는 공간인 칼집부(200)가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하부체(101,102)에 각각 함몰된 칼날홈(G)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상하부체(101,102)를 결합되게 하면 두 칼날홈(G)이 마주보면서 완전한 칼집부(200)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과 같다.
또한, 하부체(102)에만 칼날홈(G)을 두고 상부체(101)는 편평하게 하여 상부체(101)와 하부체(102)를 결합시키면 칼집부(200)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체(102)에 대해 상부체(101)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그 결합을 해체하여 칼집부(200)를 이루는 칼날홈(G)에 대한 청소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체(102)에 대해 상부체(101)가 결합/분리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는 하부체(102)와 상부체(101)의 각 결합면에 암수를 이루는 결합부(K)를 두어서 하부체(102)에 상부체(101)를 맞추어 밀어넣게 되면 하부체(102)에 상부체(101)가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부(K)는 암수 형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외력을 가해 상부체(101)를 밀어야만 분리될 수 있다. 뜻하지 않게 상부체(101)와 하부체(10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락수단(미도시)을 둘 수도 있다.
그리고 도마(100)는 나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소정량의 은(AG)을 합성수지에 첨가시켜서 제조하여 항균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은(AG)의 항균 특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인 바,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은을 함유하는 도마는 주방 위생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는 주방용 칼과 도마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도마 100a: 제1도마
100b: 제2도마 110 : 함몰부
120 : 돌출부 101 : 상부체
102 : 하부체 G : 칼날홈
K : 결합부 200 : 칼집부
210 : 입구부 300 : 홀더부
310 : 고정링 320 : 고리
310a: 하부측 고정링 310b: 상부측 고정링
400 : 힌지

Claims (5)

  1. 도마(100)에 있어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400)로 연결되는 제1도마(100a) 및 제2도마(100b)와,
    상기 제1도마(100a) 및 제2도마(100b) 각각은 하부체(102)와 상부체(101)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체(102)와 상기 상부체(101)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암수 형태를 이루는 결합부(K)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마(100a) 및 제2도마(100b)의 어느 일측면으로부터 칼날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대 측면을 향해 칼집부(200)가 형성되고,
    상기 칼집부(200)가 시작되는 입구부(210)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칼집부(200)로 삽입된 칼날부가 빠지지 않도록 구속시키는 홀더부(300)가 마련되되, 상기 홀더부(300)는 상기 입구부(210) 상하측에 형성되는 고정링(310)과, 일단은 상기 고정링(310)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연결되며 타단은 개폐될 수 있어 다른 하나의 고정링(310)에 연결시킬 수 있는 고리(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45836A 2011-05-16 2011-05-16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KR10123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36A KR101235187B1 (ko) 2011-05-16 2011-05-16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36A KR101235187B1 (ko) 2011-05-16 2011-05-16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88A KR20120127988A (ko) 2012-11-26
KR101235187B1 true KR101235187B1 (ko) 2013-02-25

Family

ID=4751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836A KR101235187B1 (ko) 2011-05-16 2011-05-16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396A (ko) 2018-05-25 2019-12-04 김규민 걸이 도마 칼집
CN114794929A (zh) * 2021-01-18 2022-07-29 浙江吉祥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可放置刀具的砧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743Y1 (ko) * 2003-10-04 2004-01-07 기희봉 은이온이 첨가된 주방용 항균도마
KR200349733Y1 (ko) * 2004-01-31 2004-05-12 신봉국 야외용 도마
KR20040085635A (ko) * 2003-04-01 2004-10-08 피앤드피엔지니어링(주) 길이 조절 가능한 휴대용 도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635A (ko) * 2003-04-01 2004-10-08 피앤드피엔지니어링(주) 길이 조절 가능한 휴대용 도마
KR200337743Y1 (ko) * 2003-10-04 2004-01-07 기희봉 은이온이 첨가된 주방용 항균도마
KR200349733Y1 (ko) * 2004-01-31 2004-05-12 신봉국 야외용 도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88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55021S1 (en) Cutting device for small food
KR101235187B1 (ko) 칼집이 형성되는 도마
KR200471608Y1 (ko) 도마
CN206383178U (zh) 蔬菜剪刀
CN202162822U (zh) 安全菜刀
WO2014132161A2 (zh) 食物切削装置
CN202053279U (zh) 用于刀具的保护套
CN203424851U (zh) 一种胶砧板碟
KR101157115B1 (ko) 냉장고 케이스 및 선반의 항균매트 및 이의 제조공법
KR20200001324U (ko) 가정용 수저세트로 보관 가능한 수저통
CN202137784U (zh) 装有刀具的菜墩
CN103213147A (zh) 一种蔬菜水果切条器
CN204970992U (zh) 一种新型的多功能菜板
USD756745S1 (en) Latch lock
CN204292251U (zh) 一种切菜护手器
CN202567912U (zh) 一种新型的刨刀
CN202234993U (zh) 刀具放置装置
KR20140003397U (ko) 칼 위생과 음식을 쉽게 담을 수 있는 도마
JP2012217835A (ja) 安全まな板
KR200274245Y1 (ko) 주방용 도마 및 칼꽂이
CN204218762U (zh) 一种切片工具
CN201767835U (zh) 一种多功能菜板
JP5754790B1 (ja) 押さえ格子盤付イカ千切り器
KR20160079225A (ko) 칼 가이드가 달린 도마
CN104799721A (zh) 一种多功能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