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920B1 -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920B1
KR101234920B1 KR1020110029630A KR20110029630A KR101234920B1 KR 101234920 B1 KR101234920 B1 KR 101234920B1 KR 1020110029630 A KR1020110029630 A KR 1020110029630A KR 20110029630 A KR20110029630 A KR 20110029630A KR 101234920 B1 KR101234920 B1 KR 10123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value
ground
trains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241A (ko
Inventor
김자영
류명선
박채정
조찬호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1002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9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pedals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1/00Contro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Abstract

이동 폐색방식에서 각 열차의 절대 위치를 이용하여 열차간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는,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열차 위치값 산출부;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및 상기 제1 열차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열차의 버퍼값을 산출하는 제1 버퍼값 산출부;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및 상기 제2 열차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열차의 버퍼값을 산출하는 제2 버퍼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열차간 간격 조절을 위한 이동권한(Permissive Movement Area)을 산출하는 이동권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Trains}
본 발명은 열차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열차간 간격 제어에 관한 것이다.
고정된 선로를 주행하는 대표적인 이동체인 열차는 자동 운전 및 플랫폼에서의 정밀 정차를 위해 그 제어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열차 제어 기술에는 고정 폐색 방식과 이동 폐색 방식이 있다. 고정 폐색 방식은, 열차 선로변의 궤도 회로인 블록 단위로 열차의 검지 및 제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블록에 열차가 들어오면 해당 블록 전체가 폐색되고, 다른 열차는 폐색되어 있는 블록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후행 열차는 선행 열차가 점유하고 있는 특정 블록의 다음 블록을 자동 열차 보호(Automatic Train Protection: ATP, 이하 ATP라 함) 정지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ATP 정지점이란 후행하는 열차가 운행할 수 있는 최대 목표점으로 정의된다.
다음으로, 이동 폐색 방식은 열차의 실제 위치를 기준으로 폐색 구간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폐색 구간이 일정하지 않고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적인 블록이 없이 선로 상에 열차가 실제 점유하고 있는 위치만 폐색 구간이 된다. 따라서, 열차가 이동하게 되면 폐색 구간도 열차의 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행 열차는 선행 열차의 후미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을 자동 열차 보호 ATP 정지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폐색 방식을 이용한 열차 제어에서는, 특정 블록의 후미를 ATP 정지점으로 설정하면 되므로, 현재 열차가 점유하고 있는 블록만 확인되면 ATP 정지점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폐색 방식을 이용한 열차 제어에서는, 고정 폐색 방식을 이용한 열차 제어에서와는 달리 운행되고 있는 열차의 현재 위치가 정확하게 확인되어야 하기 때문에 ATP 정지점 설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 폐색방식에서 각 열차의 절대 위치를 이용하여 열차간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열차의 버퍼값 및 안전 거리를 고려하여 열차간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룬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는,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열차 위치값 산출부;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및 상기 제1 열차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열차의 버퍼값을 산출하는 제1 버퍼값 산출부;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및 상기 제2 열차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열차의 버퍼값을 산출하는 제2 버퍼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열차간 간격 조절을 위한 이동권한(Permissive Movement Area)을 산출하는 이동권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은, 제1 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1 지상자의 위치값 및 상기 제1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상기 제1 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제2 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2 지상자의 위치값 및 상기 제2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상기 제2 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과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에서 상기 제1 열차의 버퍼값, 상기 제2 열차의 버퍼값, 및 미리 정해진 안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산함으로써 이동 권한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권한을 상기 제1 및 제2 열차 중 후행 열차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폐색 구간 단위가 아닌 점제어 방식으로 각 열차의 절대 위치를 이용하여 열차간 간격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간 간격을 제어함에 있어서 각 열차의 버퍼값 및 안전거리를 고려하여 열차의 이동 권한을 산출하기 때문에 열차의 충돌이나 탈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열차 운행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정 폐색 방식에서 자동 열차 보호 구역의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이동 폐색 방식에서 자동 열차 보호 구역의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 신호 장치가 적용된 열차 운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열차간 간격 제어를 위한 이동 권한 산출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 신호 장치가 적용된 열차 운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열차간 간격 제어를 위한 이동 권한 산출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300)는, 후행열차(400)와 선행열차(410)간의 간격을 제어하기 위해, 후행열차(400) 및 선행열차(410)의 절대적 위치값을 이용하여 후행열차(400)의 이동권한(Permissive Movement Area)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권한을 후행열차(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300)는,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지상 신호 장치(420)에 포함될 수 있다. 지상 신호 장치(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행열차(400) 및 선행열차(410)가 운행되는 선로(430) 변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상 신호기(422a~422n)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지상 신호 장치(420)는, 지상 신호기(422a~422n)와 제1 및 제2 차상 신호기(404, 414)를 통해 제1 및 제2 차상 신호 장치(402, 412)로부터 전달되는 열차(400, 410)의 속도 및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열차(400, 410)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열차 운행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지상 신호 장치(420)는, 생성된 열차 운행 정보를 지상 신호기(422a~422n) 및 제1 및 제2 차상 신호기(404, 414)를 통해 제1 및 제2 차상 신호 장치(402, 412)로 전달한다.
한편, 지상 신호 장치(430)는 열차의 속도 및 위치 정보와 열차 운행 정보를 종합 사령실(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상 신호 장치(430)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부(310), 위치값 산출부(320), 제1 버퍼값 산출부(330), 제2 버퍼값 산출부(340), 및 이동 권한 산출부(350)를 포함한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후행열차(400)에 탑재된 제1 차상 신호 장치(402)로부터 제1 지상자(미도시)의 식별 정보, 후행열차(400)의 이동 거리, 및 후행열차(400)에 탑재된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선행열차(410)에 탑재된 제2 차상 신호 장치(412)로부터 제2 지상자(미도시)의 식별정보, 선행열차(410)의 이동 거리, 및 선행열차(410)에 탑재된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지상자 및 제2 지상자는 선로에 설치되어 후행열차(400) 또는 선행열차(410)에 탑재된 제1 및 제2 차상자(미도시)에 의해 각각 검지됨으로써 후행열차 또는 선행열차(410)의 위치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것이고, 지상자의 식별정보란 각각의 지상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전에 각 지상자마다 부여되어 있는 ID일 수 있다. 이러한 지상자의 식별정보는 각 지상자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행열차(400) 및 선행열차(410)의 이동거리는 제1 지상자 또는 제2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부터 각 열차(400, 410)가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후행열차(400) 및 선행열차(410)의 이동거리는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 및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에 의해 각각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란 각 열차에 탑재되어 있는 타코 제너레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써 후술할 타고 제너레이터의 오차값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이동권한 산출부(360)에 의해 산출된 후행열차(400)의 이동권한을 후행열차(400)에 탑재된 제1 차상 신호 장치(402)로 전달한다.
여기서, 후행열차(400)의 이동권한이란, 선행열차(410)의 위치를 고려할 때 후행열차(400)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정지점 거리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위치값 산출부(320)는, 후행열차(400)의 절대 위치값과 선행열차(410)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값 산출부(320)는 제1 지상자의 위치값 및 제1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후행열차(400)의 이동 거리를 합산함으로써 후행열차(400)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고, 제2 지상자의 위치값 및 제2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선행열차(410)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선행열차(410)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상자의 위치값은 제1 지상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제1 지상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제2 지상자의 위치값은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제2 지상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지상자 또는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1 지상자 또는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제1 지상자 또는 제2 지상자의 위치값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지상자 또는 제2 지상자의 위치값을 제1 차상 신호 장치(402) 또는 제2 차상 신호 장치(412)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1 버퍼값 산출부(330)는, 후행열차(400)에 탑재된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오차값 및 후행열차(400)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후행열차(400)의 제1 버퍼값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버퍼값 산출부(330)는,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오차값과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을 합산함으로써 제1 버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오차값은 열차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컨대, 1000m)를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연산 오차값 및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하드웨어 정밀도 기준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위치 분해능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은 제1 지상자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와 제1 지상자를 벗어난 RFID 인식 가능 영역의 합의 2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버퍼값 산출부(330)는,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연산 오차값과 제1 타코 제너레이터(406)의 위치 분해능값과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을 모두 합산하여 제1 버퍼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버퍼값 산출부(340)는, 선행열차(410)에 탑재된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오차값 및 선행열차(410)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행열차(410)의 제2 버퍼값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버퍼값 산출부(340)는,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오차값과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을 합산함으로써 제2 버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오차값은 열차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컨대, 1000m)를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연산 오차값 및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하드웨어 정밀도 기준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위치 분해능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은 제2 지상자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와 제2 지상자를 벗어난 RFID 인식 가능 영역의 합의 2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버퍼값 산출부(340)는,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연산 오차값과 제2 타코 제너레이터(416)의 위치 분해능값과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을 모두 합산하여 제2 버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타코 제너레이터 오차값은 각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300)가 제1 버퍼값 산출부(330) 및 제2 버퍼값 산출부(34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후술할 이동권한 산출부(350)에 의한 후행열차의 이동권한 산출시, 후행열차(400)에 대한 제1 버퍼값 또는 선행열차(410)에 대한 제2 버퍼값 중 어느 하나만을 반영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1 버퍼값 산출부(330) 및 제2 버퍼값 산출부(340)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동권한 산출부(360)는,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 중 적어도 하나와, 후행열차(400)의 절대 위치값, 및 선행열차(410)의 절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후행열차(400) 및 선행열차(410)의 열차간 간격 조절을 위한 후행열차(400)의 이동권한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권한 산출부(360)는, 후행열차(400)의 절대 위치값과 선행열차(410)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에서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을 감산함으로써 후행열차(400)의 이동 권한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권한 산출부(360)는, 후행열차(400)의 이동권한산출시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을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 중 어느 하나만을 반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권한 산출부(360)는,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를 추가로 이용하여 후행열차(400)의 이동권을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권한 산출부(360)는, 후행열차(400)의 절대 위치값과 선행열차(410)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에서 제1 버퍼값, 제2 버퍼값, 및 안전거리를 감산함으로써 후행열차(400)의 이동 권한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안전거리는, 각 열차의 무게에 반비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열차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열차의 슬립거리는 짧아지고 열차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열차의 슬립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열차의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안전거리는 짧아져도 되기 때문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권한 산출부(360)는, 후행열차(400)의 절대 위치값과 선행열차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인 열차간 거리(L)에서, 제1 버퍼값, 제2 버퍼값, 및 안전거리를 감산함으로써 후행열차(400)의 이동권한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후행열차(400)는 도 5에 도시된 ATP 정지점(S)까지만 운행이 허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러한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은 상술한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행열차 및 선행열차로부터 각 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1 또는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 제1 또는 제2 지상자 검지 이후의 각 열차의 이동 거리, 및 각 열차에 탑재된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S600).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열차에 탑재된 타코 제너레이터의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열차의 정보를 수신하고, 각 열차와 타코 제너레이터의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로부터 각 열차에 탑재되어 있는 타코 제너레이터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후행열차 및 선행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한다(S6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행열차의 절대 위치값은 후행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1 지상자의 위치값 및 제1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후행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고, 선행열차의 절대 위치값은 선행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2 지상자의 위치값 및 제2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선행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상자의 위치값은 제1 지상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위치정보이고 제2 지상자의 위치값은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후행열차에 대한 제1 버퍼값, 선행열차에 대한 제2 버퍼값, 및 미리 정해진 안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와 후행열차의 절대 위치값, 및 선행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후행열차의 이동 권한을 산출한다(S6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행열차의 이동권한은 후행열차의 절대 위치값과 선행 열차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에서 제1 버퍼값, 제2 버퍼값, 및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를 차감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버퍼값은, 후행열차에 탑재된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과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을 합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은 열차가 미리 정해진 거리(예컨대, 1000m)를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타코 제너레이터의 연산 오차값 및 타코 제너레이터의 하드웨어 정밀도 기준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위치 분해능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은 제1 지상자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와 제1 지상자를 벗어난 RFID 인식 가능 영역의 합의 2배 값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은 제2 지상자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와 제2 지상자를 벗어난 RFID 인식 가능 영역의 합의 2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후행열차의 이동권한을 후행 열차에 전송한다(S630). 이동권한을 전달 받은 후행열차의 차상 신호 장치는 전달된 이동권한을 이동 가능한 최대 이동 거리로 인식하여 운행하게 된다.
본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310: 데이터 송수신부
320: 위치값 산출부 330: 제1 버퍼값 산출부
340: 제2 버퍼값 산출부 350: 이동권한 산출부
400: 후행열차 410: 선행열차
420: 지상 신호 장치 430: 선로

Claims (14)

  1.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열차 위치값 산출부;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및 상기 제1 열차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열차의 버퍼값을 산출하는 제1 버퍼값 산출부;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및 상기 제2 열차의 위치 검지를 위해 이용된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열차의 버퍼값을 산출하는 제2 버퍼값 산출부; 및
    상기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열차간 간격 조절을 위한 이동권한(Permissive Movement Area)을 산출하는 이동권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위치값 산출부는,
    상기 제1 지상자의 위치값 및 상기 제1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상기 제1 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지상자의 위치값 및 상기 제2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상기 제2 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권한 산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에서 상기 제1 버퍼값 및 제2 버퍼값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이동 권한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차상 신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지상자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열차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차상 신호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 상기 제2 열차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열차 또는 제2 열차 중 후행열차에 탑재된 차상 신호 장치로 상기 이동 권한을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은, 상기 제1 또는 제2 열차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연산 오차값 및 상기 제1 또는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하드웨어 정밀도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 분해능 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은, 상기 제1 또는 제2 지상자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 또는 제2 지상자를 벗어난 RFID 인식 영역의 합의 2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권한 산출부는, 열차의 무게에 반비례하도록 결정된 열차의 안전거리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이동권한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차상 신호 장치 또는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차상 신호 장치에 상기 제1 또는 제2 열차의 운행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지상 신호 장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9. 제1 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1 지상자의 위치값 및 상기 제1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상기 제1 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제2 열차에 의해 검지된 제2 지상자의 위치값 및 상기 제2 지상자가 검지된 이후 상기 제2 열차의 이동 거리를 합산하여 상기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열차의 절대 위치값과 상기 제2 열차의 절대 위치값의 차이값에서 상기 제1 열차의 버퍼값, 상기 제2 열차의 버퍼값, 및 미리 정해진 안전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산함으로써 이동 권한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권한을 상기 제1 및 제2 열차 중 후행 열차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값은, 상기 제1 열차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제1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상기 제1 타코 제너레이터의 하드웨어 정밀도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 분해능값, 및 상기 제1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버퍼값은, 상기 제2 열차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오차값, 상기 제2 타코 제너레이터의 하드웨어 정밀도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 분해능값, 및 상기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지상자의 응동 범위값은, 상기 제1 또는 제2 지상자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 또는 제2 지상자를 벗어난 RFID 인식 영역의 합의 2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거리는, 열차의 무게에 반비례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차상 신호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지상자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열차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1 열차에 탑재된 제1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차상 신호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지상자의 식별정보, 상기 제2 열차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제2 열차에 탑재된 제2 타코 제너레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간 간격 제어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29630A 2011-03-31 2011-03-31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630A KR101234920B1 (ko) 2011-03-31 2011-03-31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630A KR101234920B1 (ko) 2011-03-31 2011-03-31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241A KR20120111241A (ko) 2012-10-10
KR101234920B1 true KR101234920B1 (ko) 2013-02-19

Family

ID=4728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630A KR101234920B1 (ko) 2011-03-31 2011-03-31 열차간 간격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910A (ja) * 1995-09-18 1997-03-25 Central Japan Railway Co 移動閉そく方式の列車停車位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76909A (ja) * 1995-09-18 1997-03-25 Central Japan Railway Co 移動閉そく方式の列車停車位置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00039356A (ko) * 1998-12-12 2000-07-05 김봉택 위치정보지상자를 이용한 인공지능형 열차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23397A (ko) * 2009-08-31 2011-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신호 폐색 내 열차위치 정밀검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910A (ja) * 1995-09-18 1997-03-25 Central Japan Railway Co 移動閉そく方式の列車停車位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76909A (ja) * 1995-09-18 1997-03-25 Central Japan Railway Co 移動閉そく方式の列車停車位置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00039356A (ko) * 1998-12-12 2000-07-05 김봉택 위치정보지상자를 이용한 인공지능형 열차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23397A (ko) * 2009-08-31 2011-03-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신호 폐색 내 열차위치 정밀검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241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153B2 (en) Vehicle on-board controller centered train control system
KR101145699B1 (ko) Ertms형의 열차 통제 방법 및 장치
US9669853B2 (en) Train control system
DK3038879T3 (en)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a rail vehicle
AU2014100572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warnings at vehicle crossings
CN109552367B (zh) 基于通信与主动识别相结合的列车行驶防护系统及方法
KR102118672B1 (ko) 열차 제어 방법 및 열차 제어 시스템
JP6296676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WO2010004673A1 (ja) 列車制御システム
JP4573864B2 (ja) 軌道上移動体制御装置および進出方向検出装置
US11235789B2 (en) Train control system and train control method including virtual train stop
US2021007033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Railbound Vehicles on a Railway System
CN107531261B (zh) 对在cbtc(基于通信的列车控制系统)列车控制和列车安全系统中行驶的有轨车辆进行定位的方法和设备
EP2614983A2 (en) Train control system
CN113085959B (zh) 一种磁浮列车准确停车方法及系统
CN103693078A (zh) 目标距离模式的列车自动防护方法
KR101039769B1 (ko) 철도신호 폐색 내 열차위치 정밀검지방법
JP6391463B2 (ja) 車両速度検出装置およ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並びに列車
CN108725517A (zh) 列车协同运行控制系统、控制方法及列车车载设备
JP4121897B2 (ja) 軌道上移動体制御装置および進出方向検出装置
US11458999B2 (en) On-board control apparatus and platform-door control system
US11479282B2 (en) Method, vehicle device and controller for operating a track-bound traffic system
US10449983B2 (en) Method for commanding a railway level crossing protection system
JP2013107434A (ja) 車上装置、及び、自列車位置認識方法
CN113247052A (zh) 一种列车定位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