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760B1 -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760B1
KR101234760B1 KR1020110047359A KR20110047359A KR101234760B1 KR 101234760 B1 KR101234760 B1 KR 101234760B1 KR 1020110047359 A KR1020110047359 A KR 1020110047359A KR 20110047359 A KR20110047359 A KR 20110047359A KR 101234760 B1 KR101234760 B1 KR 10123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fatigue
fix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233A (ko
Inventor
김향곤
길형준
김동욱
김동우
이기연
문현욱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11004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7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One dimensional, e.g. filaments, wires, rop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중앙 내에서 전선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하면서 전선의 소정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고정부; 상기 테이블의 하부 측에서 전선이 중력방향으로 수직을 유지하여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무게의 하중이 전선 하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무게추; 상기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테이블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의 전선 상부를 파지하는 고정쇠를 구비하여 전선의 좌우 구부림을 반복시키는 회동지지부; 상기 전선이 파지되는 회동지지부를 소정의 각으로 좌우 반복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전선에 구부림 피로를 부여하는 피로인가부; 상기 전선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동 각을 조작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구성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근접센서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눈금 및 숫자가 표시된 각도표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전선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인 피로로 인해 전선의 반단선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 전선의 반단선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전송되는 전기가 차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전선의 전기결함으로 인한 화재 및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데 따른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FATIGUE CHECKING DEVICE OF A WIRE HALF DISCONNECTION}
본 발명은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전선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인 피로로 인해 전선의 반단선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 전선의 반단선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전송되는 전기가 차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선의 전기결함으로 인한 화재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전기 에너지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위를 보호피복으로 보호한 전기도체를 말하는 것으로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전기기기에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시키는 것으로 나선, 절연전선, 케이블 및 코드 등의 총칭을 말한다.
이러한 피로 측정장치는 전선의 두께 및 가닥수를 변형하여 구부림과 같은 다양한 기계적 피로를 적용하여 전선의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전선의 기계적 피로를 적용하는데 반복횟수와 각도조절의 한계가 발생되어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측정값을 얻지 못하게 되어 상기 전선의 반단선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음으로 전송되는 전기가 차단됨은 물론 전기결함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전선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인 피로로 인해 전선의 반단선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 전선의 반단선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전송되는 전기가 차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선의 전기결함으로 인한 화재 및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데 따른 신뢰성이 있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중앙 내에서 전선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하면서 전선의 소정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고정부; 상기 테이블의 하부 측에서 전선이 중력방향으로 수직을 유지하여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무게의 하중이 전선 하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무게추; 상기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테이블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의 전선 상부를 파지하는 고정쇠를 구비하여 전선의 좌우 구부림을 반복시키는 회동지지부; 상기 전선이 파지되는 회동지지부를 소정의 각으로 좌우 반복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전선에 구부림 피로를 부여하는 피로인가부; 상기 전선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동 각을 조작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구성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근접센서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눈금 및 숫자가 표시된 각도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선고정부는 크기가 다른 사각형 형상이 일체형으로 2단 적층되어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력으로부터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적층된 사각형 내측면에 소정의 넓이로 이루어져 밀착되는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전선의 두께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시키는 밀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사각형 외측면에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송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지지부는 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되며, 고정되는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구동모터로 인해 좌우 반복되는 회동몸체; 및 상기 회동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소정 높이에서 전선을 파지하는 "ㄱ"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피로인가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인가되는 전기로 인해 회전력이 발생되어 삽입결합된 상기 회동지지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회동지지부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사각형 형상의 카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센서부는 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고정되는 센서몸체; 및 상기 센서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수동으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센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피로인가부의 구동모터는 근접센서부 높이에 따른 각도 범위를 인식하여 회동지지부를 각도 범위내로 좌우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센서부의 높이 조절에 따라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동 각도 범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다양한 전선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인 피로로 인해 전선의 반단선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 전선의 반단선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전송되는 전기가 차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전선의 전기결함으로 인한 화재 및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데 따른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부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의 고정쇠가 상하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부의 센서부재가 상하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가 좌우 반복되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전각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고정부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의 고정쇠가 상하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부의 센서부재가 상하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가 좌우 반복되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전각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는 기계적 피로에 대한 신뢰성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전선(W)의 반단선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반단선이란 전선이 절연피복내에서 단선되어 그 부분에서 단선과 이어짐을 되풀이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심선의 일부가 남아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는 테이블(100), 전선고정부(200), 무게추(300), 회동지지부(400), 피로인가부(500), 근접센서부(600) 및 각도표시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100)은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바닥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도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테이블(100)은 피로 측정장치가 안착되는 상부면에 내측으로 소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테이블(100)은 중앙 내에서 전선(W)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하면서 전선(W)의 소정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고정부(200)가 안착된다.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크기가 다른 사각형 형상이 일체형으로 2단 적층되어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력으로부터 고정상태를 한 쌍의 고정부재(210)가 유지시킨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부에 적층된 사각형 내측면에 소정의 넓이로 이루어져 밀착되는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고정홈(240)이 형성되어 전선(W)의 소정 부분을 밀착부재(220)가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하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사각형 외측면에 원통형 형상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210)를 좌, 우방향으로 이송부재(230)를 통해 이동시킨다.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고정홈(240)에 파지되는 전선(W)의 두께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사각형 형상의 2단으로 적층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수직하게 위치된 전선(W)의 일단부에 무게추(300)를 매달아 매듭지으며,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전선(W)의 소정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무게추(300)는 상기 테이블(100)의 하부 측에서 전선(W)이 중력방향으로 수직을 유지하여 전선고정부(200)를 중심으로 무게의 하중이 전선(W) 하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무게추(300)는 원통형 형상으로 인장력을 줄 수 있으며, 상부면에는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고리에 전선(W)이 매달리게 된다.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테이블(100)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의 전선(W) 상부를 파지하는 고정쇠(430)를 구비하여 전선(W)을 좌우 구부림을 회동지지부(400)가 반복시킨다.
상기 회동지지부(400)는 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테이블(100)의 상부에 고정되며, 고정되는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구동모터(510)로 인해 회동몸체(410)가 좌우 반복된다.
상기 회동몸체(410)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도표시부(7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각도표시부(700)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동몸체(4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착홈(420)에 소정 높이에서 전선(W)을 파지하는 "ㄱ"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쇠(43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쇠(430)는 회동몸체(410)의 장착홈(420)을 이용하여 상하조절이 가능하여 높이가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선(W)은 파지되는 회동지지부(400)를 소정의 각으로 좌우 반복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510)가 구비되어 전선(W)에 구부림 피로를 피로인가부(500)가 부여한다.
상기 피로인가부(500)는 테이블(10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인가되는 전기로 인해 회전력이 발생되어 삽입결합된 상기 회동지지부(400)를 회동시킨다.
상기 피로인가부(500)는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510)의 일측면에 회동지지부(400)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사각형 형상의 카운터(520)가 연결된다.
상기 카운터(520)는 구동모터(510)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따른 내부 소선의 단선율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피로인가부(500)의 구동모터(510)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근접센서부(600) 높이에 따른 각도 범위를 인식하여 회동지지부(400)를 각도 범위내로 좌우 회동시킨다.
상기 전선(W)은 고정되는 전선고정부(200)를 중심으로 회동지지부(400)의 좌우 회동각을 조작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내로 좌우 회동되도록 구성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근접센서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근접센서부(600)는 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400)를 중심으로 양쪽에 센서몸체(610)가 고정된다.
상기 센서몸체(6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620)에 상기 회동지지부(400)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수동으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센서부재(630)가 결합된다.
상기 센서부재(630)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중앙에는 가이드홈(620)의 높이만큼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하 높이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센서부재(630)는 가이드홈(6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센서몸체(6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근접센서부(600)는 높이 조절에 따라 회동지지부(400)의 좌우 회동 각도 범위가 조절된다.
상기 회동지지부(400)의 좌우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눈금 및 숫자가 표시된 각도표시부(700)가 테이블(100)에 고정된다.
상기 각도표시부(70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중심에 바늘침이 장착되어 상기 바늘침의 회전으로 통해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각도표시부(700)는 상기 전선고정부(200)와 회동지지부(400)의 사이에 개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W)은 하부에 무게추(300)로 인해 수직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전선(W)의 일부 상부를 회동지지부(400)의 고정쇠(430)에 파지되어 전체적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피로인가부(500)의 구동모터(510)는 삽입결합된 회동지지부(400)를 회전시켜 상기 회동지지부(400)의 양쪽에 고정된 근접센서부(600)의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시킨다.
상기 회동지지부((400)는 좌우 회동이 테이블(100)에 안착된 각도표시부(700)의 바늘침과 동시에 회전되어 눈금과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회동지지부(400)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지지부(400)는 피로인가부(500)의 구동모터(510)의 회전으로 인해 양쪽에 고정된 근접센서부(600)의 센서부재(630)에까지 좌우 회동된다.
상기 근접센서부(600)는 구동모터(510)와 연동되어 근접센서부(600)의 센서부재(630)가 위치한 높이로 회동지지부(400)가 좌우 회동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는 미리 공장에서 조립되어 모듈화된 것이다.
상기 전선고정부(200)는 다양한 크기의 전선(W)을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지지부(400)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선(W)이 고정쇠(430)에 고정시키면서 하부에는 무게추(300)를 매달아 수직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수직을 유지하는 전선(W)이 상기 전선고정부(200)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선(W)의 소정 부분을 가압하여 단단하게 고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지지부(400)는 고정쇠(430)에 전선(W)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지지부(400)에 삽입결합된 피로인가부(500)의 구동모터(510)를 이용하여 좌우 회동을 반복하여 전선(W)의 구부림으로 인한 피로를 회전횟수 및 회전각이 측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센서부(600)는 구동모터(510)와 연동되어 센서부재(630)가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근접센서부(600)는 센서부재(63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회동지지부(400)의 회전각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회동지지부가 좌우 회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전선의 구부림을 통해 몇번의 회동과 회전각으로부터 반단선이 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는 측정되는 전선이 접속플러그에 연결된 상태에서 피로 측정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선의 면적에 소선이 가늘고 다수의 소선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지 아니면 소선의 굵기가 굵고 소량의 소선을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강도가 좋은지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테이블 200 - 전선고정부
210 - 고정부재 220 - 밀착부재
230 - 이송부재 240 - 고정홈
300 - 무게추 400 - 회동지지부
410 - 회동몸체 420 - 장착홈
430 - 고정쇠 500 - 피로인가부
510 - 구동모터 520 - 카운터
600 - 근접센서부 610 - 센서몸체
620 - 가이드홈 630 - 센서부재
700 - 각도표시부 W - 전선

Claims (7)

  1.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중앙 내에서 전선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하면서 전선의 소정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고정부;
    상기 테이블의 하부 측에서 전선이 중력방향으로 수직을 유지하여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무게의 하중이 전선 하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무게추;
    상기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테이블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의 전선 상부를 파지하는 고정쇠를 구비하여 전선의 좌우 구부림을 반복시키는 회동지지부;
    상기 전선이 파지되는 회동지지부를 소정의 각으로 좌우 반복 회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전선에 구부림 피로를 부여하는 피로인가부;
    상기 전선이 고정되는 전선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동 각을 조작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구성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근접센서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눈금 및 숫자가 표시된 각도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는,
    크기가 다른 사각형 형상이 일체형으로 2단 적층되어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력으로부터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적층된 사각형 내측면에 소정의 넓이로 이루어져 밀착되는 일단부에 유선형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전선의 두께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시키는 밀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사각형 외측면에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송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되며, 고정되는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구동모터로 인해 좌우 반복되는 회동몸체; 및
    상기 회동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소정 높이에서 전선을 파지하는 "ㄱ"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인가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인가되는 전기로 인해 회전력이 발생되어 삽입결합된 상기 회동지지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회동지지부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사각형 형상의 카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부는,
    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고정되는 센서몸체; 및
    상기 센서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수동으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센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인가부의 구동모터는 근접센서부 높이에 따른 각도 범위를 인식하여 회동지지부를 각도 범위내로 좌우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부의 높이 조절에 따라 회동지지부의 좌우 회동 각도 범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KR1020110047359A 2011-05-19 2011-05-19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KR10123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59A KR101234760B1 (ko) 2011-05-19 2011-05-19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59A KR101234760B1 (ko) 2011-05-19 2011-05-19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33A KR20120129233A (ko) 2012-11-28
KR101234760B1 true KR101234760B1 (ko) 2013-02-22

Family

ID=4751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359A KR101234760B1 (ko) 2011-05-19 2011-05-19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20B1 (ko) * 2018-07-26 2019-02-08 신동군 케이블 내구성 시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77B1 (ko) *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2153022B1 (ko) * 2014-06-10 202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쇼트 발생 테스트 장치
KR102521918B1 (ko) * 2016-03-22 2023-04-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금속시스 파단 시험장치, 금속시스 파단 시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의 금속시스 변형률 결정방법
CN107727521B (zh) * 2017-10-31 2024-04-12 西南交通大学 一种接触网吊弦疲劳试验方法和装置
CN107796703B (zh) * 2017-11-17 2024-03-26 济南晶恒电子有限责任公司 轴向引线器件的引出端及密封处强度检测装置及方法
CN109323940A (zh) * 2018-08-02 2019-02-12 天津航天瑞莱科技有限公司 基于液压振动台的母线疲劳试验装置以及试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539A (ja) 1986-12-12 1988-06-22 Fuji Electric Co Ltd てこ式クリ−プ試験機
JP2005077321A (ja) 2003-09-02 2005-03-24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状材料の折曲げ適性の評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ための測定装置
JP2007333610A (ja) 2006-06-16 2007-12-27 Fujitsu Ltd ケーブル柔軟性測定装置
JP4453980B2 (ja) 2005-11-01 2010-04-21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ホース曲げ剛性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539A (ja) 1986-12-12 1988-06-22 Fuji Electric Co Ltd てこ式クリ−プ試験機
JP2005077321A (ja) 2003-09-02 2005-03-24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状材料の折曲げ適性の評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ための測定装置
JP4453980B2 (ja) 2005-11-01 2010-04-21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ホース曲げ剛性測定装置
JP2007333610A (ja) 2006-06-16 2007-12-27 Fujitsu Ltd ケーブル柔軟性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20B1 (ko) * 2018-07-26 2019-02-08 신동군 케이블 내구성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33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60B1 (ko) 전선 반단선 피로 측정장치
JP5714656B2 (ja) 活線用具試験装置及び活線用具試験方法
KR101780960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2457816B1 (ko) 송전용 불량애자 검출 장치
CN110143484B (zh) 一种扁平漆包线的成品检验自动化标记设备
CN106768545B (zh) 一种应用于定子引线端子的测力装置
CN104316878B (zh) 塑壳电池极柱与盖板间绝缘检测装置及其检测工装
CN202002857U (zh) 弯折机
CN107993827B (zh) 台架式变压器引接线装配装置及该引接线装配方法
CN210741745U (zh) 一种磁吸式压力传感性能检测设备
CN211235337U (zh) 一种电缆反复弯曲试验机
CN206960268U (zh) 一种电源线弯折寿命检测设备
CN108286956B (zh) 一种光伏变压器用铜线自动测径装置
CN210690216U (zh) 线材摇摆试验机
CN210442517U (zh) 一种可以检测线束扎带有无的治具
KR101783856B1 (ko) 커넥터 비틀림 삽입력 시험장치
CN209841521U (zh) 导线测试设备
KR101830410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9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KR101830408B1 (ko) 와이어하네스의 다용도 측정자
CN102879140B (zh) 一种测定条状食品扭曲力的装置
CN105158095B (zh) 一种电缆柔性测试装置
CN216595196U (zh) 一种试验悬吊装置及具有其的垂直高压试验平台
CN218584531U (zh) 一种多功能汽车线束检测装置
CN201787905U (zh) 一种用于汽车线束下线机电线长度的测量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