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703B1 -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 Google Patents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703B1
KR101234703B1 KR1020110117576A KR20110117576A KR101234703B1 KR 101234703 B1 KR101234703 B1 KR 101234703B1 KR 1020110117576 A KR1020110117576 A KR 1020110117576A KR 20110117576 A KR20110117576 A KR 20110117576A KR 101234703 B1 KR101234703 B1 KR 10123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ata
link system
message
data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7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Abstract

PURPOSE: An LVC simulation interlink system using a message standard and a data link is provided to innovatively improve DOTLMPF(Doctrine, Organization, Training, Leadership, Material, Personal, Facility) through a combat experiment by providing a training opportunity similar to an actual battle and composing a BL(Battle Lab). CONSTITUTION: A data link system(100) performs data interlin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An L-link system(200) includes a first interlinking message analysis adaptor for analyzing a message between the data link system and heterogeneous live facilities. A V-link system(300) includes a second interlinking message analysis adaptor for analyzing a message between the data link system and heterogeneous virtual simulators. A C-link system(400) includes a third interlinking message analysis adaptor for analyzing a message between the data link system and heterogeneous composition simulators. [Reference numerals] (100) Data link system; (200) L-link system; (300) V-link system; (400) C-link system; (510) Mock exercise/training control system; (530)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and C4I system; (550) Weapon system

Description

메시지표준과 데이터링크를 활용한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LVC simulation linkage system using message standard and data link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시뮬레이션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의 가상 시뮬레이터들과 구성 시뮬레이터들 사이에 표준공유정보를 제공하고 실기동 체계와 이기종의 시뮬레이터들 사이에는 데이터링크를 활용하여 연동할 수 있는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 Virtual Constructiv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standard shared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virtual simulators and configuration simulators, and to provide a real system and heterogeneous simulators. Among th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that can interoperate using data links.

일반적으로 LVC 체계(Live, Virtual, Constructive System)는 물리적으로 서로 이격된 실기동(Live), 가상(Virtual) 시뮬레이션, 구성(Constructive) 시뮬레이션을 상호 연동시켜 하나의 합성 전장으로 구성함으로써 실제 전투와 유사한 전투를 모의하는 시뮬레이션 체계이다. 상기 실기동 시뮬레이션이란 실제 장비로 실제 지형에서 실제 전투원이 참여하는 시뮬레이션으로 사격훈련이나 야전 기동훈련 또는 KCTC(Korea Combat Training Center) 과학화 전투훈련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가상 시뮬레이션은 실제 장비의 기능을 정밀하게 모사한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인공적으로 모의되는 가상 전투환경에 운용자가 참여하는 시뮬레이션이다. 또한 상기 구성 시뮬레이션은 전투환경과 실제 장비 및 병력 모두를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모의하는 것으로, 자체적인 모의 논리에 따라 임무수행의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육군의 창조21이나 화랑, 해군의 필승연습, 공군의 창공 또는 보라매 등의 워게임 훈련이 상기 구성 시뮬레이션의 대표적인 예이다. 종래의 군 체계는 LVC 각각의 체계가 상호 연동 되지 않고 단독의 목적만을 고려한 연통형(Stove-pipe) 체계로 개발되어왔다. 상기 실기동 훈련은 비용, 장소, 환경 또는 사회, 정치적 요인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가상 시뮬레이션은 시뮬레이터들을 통해 개인의 장비숙달 위주의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팀 훈련 또는 부대 훈련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시뮬레이션은 모의된 병력이 모의된 시스템을 운용하므로 실제 전장에서의 전투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무형적인 요소(부대의 훈련도나 사기 등)을 반영하기 곤란하며, 훈련에 참가하는 인원이 부대의 주요 지휘관, 참모들로 제한되기 때문에 부대원들에 대한 훈련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LVC-체계는 지금까지의 개별 체계 훈련에서 수행이 곤란하였던 동시 다제대 제병협동 및 합동훈련이 가능한 매우 획기적인 통합 체계로 NCW 전장환경에서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군은 미군의 LVC TENA 기반의 LVC 연동기법이 공개되지 않음으로 인해 각 군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HLA/RTI를 기반으로 연동하려는 제한적 시도를 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In general, the LVC system (Live, Virtual, Constructive System) is similar to the actual battle by combining the physical, spaced Live, Virtual simulation, Constructive Simulation into a single composite battlefield It is a simulation system that simulates combat. The real mobile simulation is a simulation in which real combatants participate in real terrain with real equipment, such as shooting training, field maneuver training, or KCTC (Korea Combat Training Center) scientific combat training. The virtual simulation is a simulation in which an operator participates in a virtual battle environment that is artificially simulated through a simulator that accurately simulates a function of a real equipment.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simulation is to simulate both the combat environment and the actual equipment and troops through the software, calculates and provides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of the mission according to its own simulation logic. Wargame training, such as the creation of an army 21, a gallery, a naval victory practice, an air force's expanse or Borama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simulation. The conventional military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 move-pipe system in which each LVC system does not interwork with each other and considers only a single purpose. The practical training is limited by cost, location, environment or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and the virtual simul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eam training or unit training by providing individual equipment-oriented training through simulators. . In addition, since the simulated troops operate a simulated troops system, it is difficult to reflect important intangible factors (such as the training or morale of the troops) that affect the battle win or loss on the battlefield. Training is limited to troops because they are limited to the main commanders and staff. The LVC-system is a very innovative integrated system that enables simultaneous multidisciplinary service co-operation and joint training, which has been difficult to carry out in individual system training up to now, an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in the NCW battlefield environment. However, since the US military's LVC TENA-based LVC interlocking technique is not disclosed, the Korean military is limited to attempting to link each group's simulation model based on HLA / RTI.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이기종의 가상 시뮬레이터들과 구성 시뮬레이터들 사이에 표준공유정보를 제공하고, 실기동 체계와 이기종의 시뮬레이터들 사이에는 군 표준의 가변형 메시지포맷과 데이터링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동할 수 있는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tandard shared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virtual simulators and configuration simulators, and to utilize a military standard variable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data between the heterogeneous virtual simulators and heterogeneous simulators. It is to provide 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that can be interlock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은 복수의 실기동 장비들로 구성된 실기동체계, 복수의 가상 시뮬레이터들로 구성된 가상체계, 복수의 구성 시뮬레이터들로 구성된 구성체계 상호 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링크체계와 상기 데이터링크체계를 통해 상기 실기동체계를 상기 가상체계 또는 상기 구성체계로 연동시키기 위한 제1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를 구비하는 L-링크 체계와 상기 데이터링크체계를 통해 상기 가상체계를 상기 실기동체계 또는 상기 구성체계로 연동시키기 위한 제2연동메세지해석 어댑터를 구비하는 V-링크체계 및 상기 데이터링크체계를 통해 상기 구성체계를 상기 가상체계 또는 상기 실기동체계로 연동시키기 위한 제3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를 구비하는 C-링크체계를 포함한다.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ata interworking between a real startup syst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al startup equipments, a virtual syst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rtual simulators, and a configuration syst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figuration simulators. A virtual link via the data link system and an L-link system having a first interlocking message interpretation adapter for interfacing the real startup system to the virtual system or the component system through the data link system and the data link system. A V-link system having a second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for interworking with the real startup system or the configuration system, and a link for linking the configuration system to the virtual system or the real startup system through the data link system. Includes a C-Link scheme with three interlocking message interpretation adapters.

상기 데이터링크체계는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L-링크 체계, 상기 V-링크 체계 또는 상기 C-링크 체계 중 상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는 링크 처리모듈과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기 위한 보안모듈 및 상기 L-링크 체계와 상기 V-링크체계 상호 간의 상기 데이터 교환 또는 상기 L-링크 체계와 상기 C-링크체계 상호 간의 상기 데이터 교환을 위한 메시지 표준을 포함한다.The data link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and a link process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protocol among the L-link scheme, the V-link scheme, or the C-link scheme and the converted data. And a security standard for encrypting / decrypting a message and a message standard for exchanging the data between the L-link scheme and the V-link scheme or for exchanging the data between the L-link scheme and the C-link schem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 표준은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ssage standard may be implemented in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링크체계는 Link-11B, Link-16, Link-22 또는 JTDLS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link system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Link-11B, Link-16, Link-22, or JTDL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표준과 데이터링크를 활용한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은 이종 체계 간 연동이 가능하여 개인병사 훈련으로부터 부대 지휘관 훈련에 이르기까지 실전과 유사한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BL(Battle Lab)을 구성하여 전투실험을 통한 전투발전요소(DOTLMPF : Doctrine, Organization, Training, Leadership, Material, Personal, Facility)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using the message standard and the data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to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similar to those in practice from individual soldier training to unit commander training, and BL (Battle) It is effective to develop DoTLMPF (Doctrine, Organization, Training, Leadership, Material, Personal, Facility) through combat experiments.

또한 데이터링크 및 군 표준의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포맷을 활용하므로 실제 무기체계를 필요한 시점에 LVC 체계와 연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utilizes the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of data link and military standard, so that the actual weapon system can be linked with the LVC system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 체계 연동 방법을 이용한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링크체계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n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using the LVC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ata link system shown in FIG.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 체계 연동 방법을 이용한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링크체계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다.1 shows a block diagram of an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using the LVC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ata link system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10)은 데이터링크체계(100), L-링크체계(200), V-링크체계(300) 및 C-링크체계(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10 includes a data link system 100, an L-link system 200, a V-link system 300, and a C-link system 400. .

데이터링크체계(100)는 L-링크체계(200)와 V-링크체계(300) 또는 V-링크체계(300)와 C-링크체계(400) 또는 C-링크체계(400)와 L-링크체계(200) 사이 연동을 수행한다.The data link system 100 includes the L-link system 200 and the V-link system 300 or the V-link system 300 and the C-link system 400 or the C-link system 400 and the L-link. Perform interworking between systems 200.

일반적으로 데이터링크는 미군의 디지털정보링크(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TADIL)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체계 간 공통 상황인식을 위한 디지털화된 네트워크 통신체계로서 현대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핵심요소이다. In general, the data link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TADIL) of the US military, and is a key element for securing interoperability of modern warfare as a digitalize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on situation recognition among systems.

상기 데이터링크체계(1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110), 데이터를 데이터링크 종류에 따라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변환하는 링크 처리모듈(130), 암호화/복호화를 위한 보안모듈(140), 각 링크 체계들(200, 300 및 400)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메시지 표준(Message Format, 160)을 포함한다.The data link system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link processing module 130 for converting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according to the data link type, a security module 140 for encryption / decryption, It includes a message format (Message Format) 160 for exchanging data between the respective link schemes 200, 300, and 400.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A modu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hardware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each nam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lso refers to computer program code capable of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It may also mean an electron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processor, on which computer program code is capable of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한편, 데이터링크체계(100)의 상기 데이터는 전장공간의 환경 및 물리적 특성 등에 관한 자료로서 적의 취약성 식별 및 표적 설정을 위한 자료, 아군 세력에 대한 위협 및 위협 진행 관련 자료, 피아 전력위치 및 배치정보, 피아 해상 및 공중 항적 정보, 무기 및 센서 상태, 표적 정보, 식별자료, 항법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of the data link system 100 is the data on the environ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ttlefield space, the data for identifying the enemy's vulnerability and target setting, the threat of the friendly forces and threat progress data, the PIA power location and deployment information It may include PIA maritime and airborne track information, weapon and sensor status, target information, identifiers, and navigational data.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링크체계(100)는 Link-11B, Link-16, Link-22 또는 JTDLS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Link-11B는 감시/통제용으로 MCRC(Master Control and Reporting Center)의 통신에 사용되고 비행체, 지상, 함정에서 디지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기술과 표준 메시지 형식을 정의한 통신 시스템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link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Link-11B, Link-16, Link-22, or JTDLS, and the Link-11B may communicate with a master control and reporting center (MCRC) for monitoring / control. It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define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tandard message format for exchanging digital information on aircraft, ground, and ships.

상기 Link-11B는 지상 기반의 방공작전 및 관제를 위한 정보 교환에 주로 사용되며, 전용의 지점 대 지점(Point-to-Point) 데이터링크 연결 구조로 구성되어 전이중 전송 방식(Full Duplex), 즉 양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 가능한 방식을 사용한다.The Link-11B is mainly used for information exchange for ground-based air defense operations and control, and is composed of a dedicated point-to-point data link connection structure, so that it is a full duplex method, that is, bidirectional. In this case, the system can transmit and receive simultaneously.

상기 Link-22는 Link-11과 Link-16의 혼합형으로, Link-11의 성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해상환경에서 기존 Link-16으로 지원할 수 없었던 BLOS(Beyond Line Of Sight) 문제를 해결하며 해상환경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Link-16의 속성을 수정하였다.The Link-22 is a hybrid of Link-11 and Link-16, which not on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Link-11, but also solves the BLOS (Beyond Line Of Sight) problem that cannot be supported by the existing Link-16 in a marine environment. Fixed the attributes of Link-16 which may be a problem in the environment.

상기 Link-22는 HF 대역과 UHF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대역별 사용 가능한 웨이브 폼에 따라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HF 대역에서는 최대 4000Kbps를 지원하며, UHF 대역에서는 최대 12677Kbps 전송률을 지원한다.The Link-22 transmits data through the HF band and the UHF band, and supports up to 4000 Kbps in the HF band in one network and up to 12677 Kbps in the UHF band according to the available waveform for each band.

또한 상기 JTDLS(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는 한국군 전장환경 및 무기체계에 적합하도록 감시체계, 지휘 통제 및 타격체계 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통신 기반체계이다.In addition, the JTDLS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 is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real-time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the surveillance system, command control and strike system suitable for the ROK battlefield environment and weapon systems.

한편 메시지 표준(160)은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 포맷(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상군의 통신환경에서 표준화된 메시지를 기반으로 유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10)의 각각의 링크체계(200, 300 및 400) 상호 간 또는 모의연습/훈련 통제체계(510), 지휘통신통제체계(530) 및 무기체계(550) 사이의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는 표준이다.Meanwhile, the message standard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and each of 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10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a standardized message in a ground military communication environment. Link system (200, 300 and 400) is a standard that can exchange digital data in real time between each other or between the simulation / training control system (510), comm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530 and weapon system (550).

상기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 포맷은 육군 및 해병대를 포함하는 지상군의 모든 감시정찰, 지휘통제 및 타격무기체계에 탑재되어 C2/SA 및 탐지/타격 정보의 근 실시간 전송으로 완벽한 탐지 타격(Sensor to Shooter) 작전수행을 지원한다.The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is mounted on all surveillance reconnaissance, command control, and strike weapon systems of ground forces including the Army and Marine Corps to perform perfect sensor to shooter operation by near real-time transmission of C2 / SA and detection / hit information. Support.

또한 상기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 포맷은 상기 JTDLS와 연동하여 네트워크 중심 운용 환경(Network 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 NCOE)하에 지상 전력과 해상, 항공 전력 간의 합동 작전 수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Korean type variable message format may be linked with the JTDLS to support joint operation between ground power, sea, and air power under a Network 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 (NCOE).

즉, 메시지 표준(160)은 군 환경에서 존재할 수 있는 데이터들, 예컨대 무기체계 및 작전형태별 각각의 정보교환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시지 표준(160)은 통신망 운용환경에 적합한 통신규약에 따라 응용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정보 송수신시 발생 되는 데이터 오류에 대한 인식 및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규격을 보유한다. That is, the message standard 160 includes data that may exist in the military environment, for example, each information exchange element for each weapon system and operation type, and the message standard 160 is appli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environment. It supports the protocols and network protocols, and has a message processing standard that can recognize and check data errors that occur when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L-링크체계(200)는 복수의 실기동 장비(210-1 ~ 210-N)로 구성된 실기동 체계(Live)를 데이터링크체계(100)를 통해 복수의 가상 시뮬레이터들(310-1 ~ 310-N)로 구성된 가상 체계(Virtual) 또는 복수의 구성 시뮬레이터들(410-1 ~ 410-N)로 구성된 구성 체계(Constructive)로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 체계이다. The L-link system 200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simulators 310-1 to 310 through a data link system 100, which includes a live syst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al starting equipment 210-1 to 210 -N. It is a link system for interworking with a virtual system composed of -N) or a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figuration simulators 410-1 to 410-N.

L-링크체계(200)는 복수의 실기동 장비(210-1 ~ 210-N)와 데이터링크체계(100) 사이의 메시지 해석을 위한 제1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270)를 포함한다.The L-link system 200 includes a first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270 for interpreting a message between the plurality of actual starting equipment 210-1 to 210 -N and the data link system 100.

V-링크체계(300)는 모의 모델에 상응하는 복수의 가상 시뮬레이터들(310-1 ~ 310-N)을 데이터링크체계(100)를 통해 상기 실기동 체계 또는 상기 구성 체계와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 체계이다. The V-link system 300 is a link system for interworking a plurality of virtual simulators 310-1 to 310-N corresponding to a simulation model with the real startup system or the configuration system through the data link system 100. to be.

V-링크체계(300)는 복수의 가상 시뮬레이터들(310-1 ~ 310-N)과 데이터링크체계(100) 사이의 메시지 해석을 위한 제2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370)를 포함한다.The V-link system 300 includes a second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370 for message interpret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virtual simulators 310-1 to 310 -N and the data link system 100.

C-링크체계(400)는 전투환경과 실제 장비 및 병력 등을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모의 모델을 모의하는 복수의 구성 시뮬레이터들(410-1 ~ 410-N)을 데이터링크체계(100)를 통해 상기 가상 체계 또는 상기 실기동 체계와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 체계이다.The C-link system 400 simulates a plurality of configuration simulators 410-1 to 410-N through a data link system 100 that simulates a simulation model through software for a battle environment, actual equipment, and troops. It is a link system for interworking with the system or the real startup system.

C-링크체계(400)는 복수의 구성 시뮬레이터들(410-1 ~ 410-N)과 데이터링크체계(100) 사이의 메시지 해석을 위한 제3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470)를 포함한다.The C-link system 400 includes a third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470 for message interpret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nent simulators 410-1 to 410 -N and the data link system 100.

따라서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10)의 상기 L-링크체계(200), V-링크체계(300), C-링크체계(400) 각각은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연동 메시지 해석 어댑터(270, 370 및 470)를 이용하여 데이터링크체계(100)를 통해 자신과 다른 링크체계와 연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of the L-link scheme 200, V-link scheme 300, and C-link scheme 400 of 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10 includes the interworking message interpretation adapters 270, 370, and 470 included therein. It can be linked to itself and other link system through the data link system 100 using the ().

결국 데이터링크체계(100)의 메시지 표준(160)은 L-링크체계(200), V-링크체계(300) 및 C-링크체계(400) 각각이 포함하는 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270, 370, 470)를 통해 해석되어 상기 링크체계 상호 간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Eventually, the message standard 160 of the data link system 100 includes the interworking message analysis adapters 270, 370, which are included in the L-link system 200, the V-link system 300, and the C-link system 400, respectively. 470 is interpreted to enable interworking between the link systems.

또한 메시지 표준(160)의 특징은 표준화된 메시지 양식에서 실제로 전송될 자료가 포함되는 데이터 항목만을 전송메시지로 구성하여 실제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크기를 고정형 메시지 양식에 비해 작게 함으로써 제한된 통신용량을 갖는 통신기를 통해서도 디지털 통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ssage standard 160 is to configure a communication message having a limited communication capacity by configuring only the data items that contain the data to be actually transmitted in the standardized message format to reduce the size of the actually transmitted message compared to the fixed message format Digital communication is also possible.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V-링크체계(300)와 C-링크체계(400)의 연동 또는 상기 V-링크체계(300) 내의 시뮬레이터들 상호 간이나 C-링크체계(400) 내의 시뮬레이터들 상호 간에는 HLA/RTI(High Level Architecture/Run-Time Infrastructure)를 이용하여 연동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link system 300 and the C-link system 400 interwork or simulators in the V-link system 300 or simulators in the C-link system 400. They can also interwork with each other using HLA / RTI (High Level Architecture / Run-Time Infrastructure).

상기 HLA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군사용 모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 요소, 디자인 룰, 인터페이스 등에 관한 전반적인 아키텍쳐이고, 상기 RTI는 HLA 페더레이션(Federation)의 수행 과정 동안에 일반적인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분산 소프트웨어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The HLA is an overall architecture of the components, design rules, interfaces, etc. of the military simulation system using the network, and the RTI is a set of distributed software that provides a general service interfac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HLA federation. .

즉, RTI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의 장비(시뮬레이터) 간의 상호 연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HLA의 인터페이스규격을 구현하여 분산 환경에서 이기종의 시뮬레이터간 상호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이다.In other words, the RTI i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simulation devices (simulator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RTI implements an interface specification of the HLA to enable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imulator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공통 통신을 통해 서로 상호 작용하는 시뮬레이션의 표준 프로토콜 집합으로 정의한 RPR-FOM(Realtime Platform Reference-Federation Object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에 적용한다.It is applied to the simulator by utilizing the Realtime Platform Reference-Federation Object Model (RPR-FOM), which is defined as a standard protocol set of simulation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common communication of simulation data.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표준 및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LVC 시뮬레이션 연동 방법은 이종 링크체계들 간 연동이 가능하여 개인병사 훈련으로부터 부대지휘관훈련에 이르기까지 실전과 유사한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BL을 구성하여 전투실험을 통한 전투발전요소(DOTLMPF)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LVC simulation interworking method using the message standard and the data li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link systems to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similar to those in practice from individual soldier training to incident commander training. By constructing the combat development factor (DOTLMPF) through the battle experiment has the effect that can be developed significantly.

나아가 데이터링크 및 군 표준의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 포맷을 활용하므로 실제 무기체계를 필요한 시점에 LVC 체계와 연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it utilizes the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of data link and military standards, so that the actual weapon system can be linked with the LVC system when necessar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
100: 데이터링크체계
110: 통신모듈
130: 링크 처리모듈
140: 보안모듈
160: 메시지 표준
200: L-링크체계
270: 제1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
300: V-링크체계
370: 제2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
400: C-링크체계
470: 제3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
510: 모의연습/훈련 통제체계
530: 지휘통신통제체계
550: 무기체계
10: LVC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100: data link system
110: communication module
130: link processing module
140: security module
1 60: message standard
200: L-link system
270: first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300: V-link system
370: second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400: C-link system
470: third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510: practice / training control system
530: comm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550: weapon system

Claims (2)

이종 체계들 상호 간의 데이터 연동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링크체계;
이기종의 실기동 장비들 및 상기 이기종의 실기동 장비들과 상기 데이터링크체계 사이의 메시지 해석을 위한 제1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를 포함하는 L-링크 체계;
이기종의 가상 시뮬레이터들 및 상기 이기종의 가상 시뮬레이터들과 상기 데이터링크체계 사이의 메시지 해석을 위한 제2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를 포함하는 V-링크체계; 및
이기종의 구성 시뮬레이터들 및 상기 이기종의 구성 시뮬레이터들과 상기 데이터링크체계 사이의 메시지 해석을 위한 제3연동메시지해석 어댑터를 포함하는 C-링크체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링크체계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L-링크 체계, 상기 V-링크 체계 또는 상기 C-링크 체계 중 상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는 링크 처리모듈과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기 위한 보안모듈 및 상기 L-링크 체계, 상기 V-링크체계 및 상기 C-링크 체계 상호 간의 상기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한국형 가변형 메시지 포맷으로 구현되는 메시지 표준을 포함하는 LVC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
A data link system for performing data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An L-link system including heterogeneous real mobile devices and a first interlocking message analysis adapter for message interpretation between the heterogeneous real mobile devices and the data link system;
A V-link system comprising heterogeneous virtual simulators and a second interlocking message interpretation adapter for message interpretation between the heterogeneous virtual simulators and the data link system; And
And a C-link system including heterogeneous configuration simulators and a third interlocking message interpretation adapter for interpreting messages between the heterogeneous configuration simulators and the data link system.
The data link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link processing module for converting the data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protocol among the L-link scheme, the V-link scheme, or the C-link scheme and the converted data. And a security module for encrypting / decoding a message standard implemented in a Korean variable message format for exchanging data between the L-link scheme, the V-link scheme, and the C-link scheme.
삭제delete
KR1020110117576A 2011-11-11 2011-11-11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KR101234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576A KR101234703B1 (en) 2011-11-11 2011-11-11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576A KR101234703B1 (en) 2011-11-11 2011-11-11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703B1 true KR101234703B1 (en) 2013-02-19

Family

ID=4789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576A KR101234703B1 (en) 2011-11-11 2011-11-11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70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54B1 (en) * 2010-11-24 2011-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live virtual constructive joint simulat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interworking modul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54B1 (en) * 2010-11-24 2011-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live virtual constructive joint simulat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interworking module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507B1 (en) Lvc interoperatiblity test method and appartus for weapon system modeling simulation
KR102362150B1 (en) Data sharing system for aircraft training
CN108733897B (en) Attack-defense countermeasure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method based on architecture model
US20060178758A1 (en) Training methods and systems
US8336775B2 (en) Aerospace-ground integration testbed
KR102031923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grated Test for Interworking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CN114818396B (en) Network security shooting range system and drilling method for satellite navigation system
KR101092717B1 (en) Embedded Training System of Aircraft
KR101194053B1 (en) Lvc simulaton interfacing system using data link
KR1017091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yber training
KR101234703B1 (en)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KR102375012B1 (en) Tactical data link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Vautrinot Sharing the Cyber Journey
KR101239882B1 (en)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KR101471916B1 (en) Method for Message format conversion and communication/transmission module development between HLR/RTI based confederation data and C4I system
Woodcock The joint forces air command problem: is network-centric warfare the answer?
KR102569716B1 (en) Datalink integrated analysis system and datalink integrated analysis method
Kimler et al.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Considerations for Tactical Data Link Systems
Phister Jr et al. Military Applic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Bruzzone et al. Degraded operational environment: Integration of social network infrastructure concept in a traditional military C2 system
Tolk Modeling Communications, Command, and Control
Zalcman et al. USAF Distributed Mission Operations, an ADF Synthetic Range Interoperability Model and an AOD Mission Training Centre Capability Concept Demonstrator-What Are They and Why Does RAAF Need Them?
Saarelainen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 dismounted future force warrior by means of improved situational awareness
Lemmers et al. Mission Training through Distributed Simulation for Joint and Combined Air Operations
Cha et al. The hierarchical federation architectur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ROK and US si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