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882B1 -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 Google Patents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882B1
KR101239882B1 KR1020120004224A KR20120004224A KR101239882B1 KR 101239882 B1 KR101239882 B1 KR 101239882B1 KR 1020120004224 A KR1020120004224 A KR 1020120004224A KR 20120004224 A KR20120004224 A KR 20120004224A KR 101239882 B1 KR101239882 B1 KR 10123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l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8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Abstract

PURPOSE: An aircraft simulation interlink system is provided to maximize the combat strength of an air force. CONSTITUTION: An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link system(10) comprises a V- system(100), a C-system(200), and a data link part(300). The V-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mutually relating aircraft simulators which uses HLA/RTI(High Level Architecture/Run-Time Infrastructure). The C-system implements a tactic simulation model which is delivered to a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and comprises a configuration simulator which simulates a threat unit or countermeasure units in order to configure a synthesis electrical field environment through the tactic simulation model. The data link part defines a data interface of the V-system and the C-system by using KVMF, and mutually relates the V-system and the C-system by mapping data typ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tocol. [Reference numerals] (300) Data link part; (AA) Configuring a synthesis electrical field; (BB) Defining a data interface; (CC) Converting resolution; (DD) Sett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rule

Description

LVC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LVC-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lock system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항공기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simula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based on LVC (Live Virtual Constructive).

실기동 비행 훈련은 항공작전 임무기량 향상에 효과적이지만, 훈련공역 확보 및 사격장 제한, 항공기 운용시간 증가로 인한 기체 수명감소, 적 항공기나 대공포 또는 지대공 미사일 등 실제 전장과 유사한 위협 상황에서의 훈련 수행 곤란, 비행 안전문제 상존, 채프(Chaff)나 플레어(Flare) 등 전자전 수단 및 실무장 운용제한, 훈련시 큰 비용 소모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실기동 비행 훈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의 비행 장치, 즉 항공기 시뮬레이터(Simulator)를 이용한 가상 시뮬레이션이 비행 훈련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 군은 전투원들의 비행기량 숙달 및 항공작전 임무 대비태세 유지를 위해 대부분 실기동 훈련에 의존하고 있으며 무기체계 조작, 운용 및 비상조치 절차 훈련목적으로 시뮬레이터를 일부 활용하고 있다. 종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Simulator)를 이용한 가상 시뮬레이션에 대한 기술은 등록특허 10-0808026, 등록특허 10-0958372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뮬레이터들은 LVC 훈련 개념이 정립되기 이전에 도입된 시뮬레이터들로서 해당 항공기 조작 및 절차 훈련에만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적, 운용적 측면의 한계로 인해 편대, 편대 간 훈련과 같은 팀 전술훈련에는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대전에 있어서 무기체계의 발전, 전투 수행 개념의 변화, 전장 상황의 복잡화 등으로 인해 항공작전 임무환경도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임무훈련의 중점도 변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조종사 개인의 비행 기량 및 무장 운용이 강조되었다면 현대전에 있어서는 성공적인 편대군 임무수행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과 협업 형태의 센서 및 무장 운용 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현대전에서는 조종사 개개인의 기량보다는 팀워크에, 부분적인 최적화보다는 전체적인 최적화에 초점을 둔 임무훈련 실시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실기동 비행훈련 및 단순 가상 비행 시뮬레이션의 제한사항을 해소하고 작전운용개념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훈련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통합적 비행 훈련 수단이 요구된다. Full-flight flight train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mission skills, but it is difficult to conduct training in threat situations similar to real battlefields, such as securing airspace and limiting ranges, reducing aircraft life due to increased aircraft operating time, and enemy aircraft, anti-aircraft or surface-to-air missiles. , Flight safety problems, electronic warfare and chaperons such as Chaff or Flare, and operational restrictions, and costly train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ctual flight training, a virtual simulation using a simulated flight device, that is, an aircraft simulator (Simulator) is used for flight training. Currently, most of our military relies on real-world training to combat combat aircraft mastery and preparation for air operations missions, and uses some simulators to train weapon systems, operate and operate emergency procedures. Techniques for virtual simulation using a conventional aircraft simulator are disclosed in detail, for example, in Patent Nos. 10-0808026, 10-0958372, and the like. However, these simulators were introduced before the LVC training concept was established, focusing only on the aircraft operation and procedural training. Therefore, due to technical and operational limitations, these simulators are not suitable for team tactical training such as formation and flight formation. It is not used at all. In other words, due to the development of weapons systems, changes in the concept of combat execution, and the complexity of the battlefield situation, the mission environment of the aviation operations is changing, and the focus of mission training is also changing. In the past, the emphasis was simply on individual pilot skills and armament operations, but in modern warfare, the importance of a variety of platforms and collaborative sensors and weapons capabilities for successful flight missions is increasing. As a result, in modern warfa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mission training that focuses on teamwork rather than individual pilot skills, and overall optimization rather than partial optimization, thus eliminating the limitations of real-time flight training and simple virtual flight simulation and changing operational concepts. Integrated flight training tools are required to meet new training requiremen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based on LVC (Live Virtual Constructi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은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을 포함하는 V-체계와 상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 각각에 하달할 전술 모의 모델을 구현하는 구성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C-체계 및 상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 각각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상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타입을 맵핑함으로써 상호 간 연동하는 데이터 연동부를 포함한다.LVC-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system including a V-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and a configuration simulator for implementing a tactical simulation model to reac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And a data interworking unit that defines a data interface of each of the V-system and the C-system and interoperates with each other by mapping data types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protocol.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 상호 간에는 HLA/RTI(High Level Architecture/Run-Time Infrastructure)를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may interwork with each other using a high level architecture / run-time infrastructure (HLA / RTI).

상기 C-체계는 상기 전술 모의 모델을 통해 합성 전장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위협 수단 및 대응 수단들을 모의 생성하는 CGF 체계를 더 포함한다.The C-system further includes a CGF scheme that simulates threat means and countermeasures for constructing a synthetic battlefield environment through the tactical simulation model.

상기 데이터 연동부는 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 각각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객체모델 지원 모듈 및 상기 상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타입을 맵팽하여 송수신 규칙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지원 모듈을 포함한다.The data interworking unit includes an object model support module defining data interfaces of the pre-V-system and the C-system, and a protocol support module configured to set transmission / reception rules by mapping data typ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tocols.

상기 객체모델 지원 모듈은 상기 정의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 상호 간의 데이터 해상도를 변환하는 해상도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model suppor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solution adjusting module for converting data resolution between the V-system and the C-system according to the defined data interfac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지원 모듈은 DDS, TCP/IP, UDP, DIS, TADIL-B, ATDL, MDIL 및 HLA/RTI의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ocol support module may support protocols of DDS, TCP / IP, UDP, DIS, TADIL-B, ATDL, MDIL, and HLA / RTI.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은 다양한 소규모, 대규모 편대 비행 훈련 또는 임무 리허설을 실전처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기동 비행훈련의 제한사항을 해소하고, 작전 및 운용 개념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훈련요구를 충족함으로써 우리 공군의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VC-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method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small-scale, large-scale flight formation flight training or mission rehearsal as a practical solution, thereby eliminating the limitations of the actual flight training, operation and operation. By meeting new training demands as the concept changes, we can maximize the combat power of our air for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기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연동부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n LVC (Live Virtual Constructive) 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ata interlocking unit shown in FIG. 1.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기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연동부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LVC-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data interlocking unit shown in FIG. 1.

일반적으로 LVC-체계(LVC-System)는 물리적으로 서로 이격된 실기동 시뮬레이션(Live Simulation), 가상 시뮬레이션(Virtual Simulation) 또는 구성 시뮬레이션(Constructive Simulation)을 상호 연동시켜 하나의 합성 전장으로 구성함으로써 실제 전투와 유사한 전투를 모의하는 시뮬레이션 체계를 의미한다. In general, the LVC-System (LVC-System) is composed of one synthetic battlefield by interlocking physically spaced Live Simulation, Virtual Simulation, or Constructive Simulation. It is a simulation system that simulates similar battles.

상기 실기동 시뮬레이션, 가상 시뮬레이션 및 구성 시뮬레이션을 구현한 체계를 각각 L-체계, V-체계, C-체계라고 하며, 이 중에서 2개 이상의 체계를 상호 연동시켜 조성된 합성 전장 시뮬레이션 연동 훈련 체계를 일반적으로 LVC- 훈련 체계라 한다.The system that implements the above-mentioned real-world simulation, virtual simulation, and configuration simulation is called L-system, V-system, and C-system, respectively. Among them, synthetic electric field simulation interlocking training system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ystems is generally used. This is called LVC-training syste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LVC 기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10)은 V-체계(100), C-체계(200) 및 이들을 연동하기 위한 데이터 연동부(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LVC-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10 includes a V-system 100, a C-system 200, and a data interworking unit 300 for interworking them.

상기 V-체계(100)는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을 포함하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 각각은 인공적으로 모의되는 가상 전투환경에서 조종사가 실제처럼 전투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실제 전투기의 기능을 정밀하게 모사한다.The V-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hrough 110-4,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hrough 110-4 is simulated in an artificial battle environment. It accurately mimics the capabilities of real fighters so pilots can engage in combat as if they were real.

즉, 상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 각각은 공중 센서, 지휘통제 및 공격 플랫폼을 모사 할 수 있으며, 해당 조종사는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을 통하여 전투기 또는 기동장비의 조종, 화력 통제 자원 운용, 통신 등과 같은 분야에서 임무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o 110-4 can simulate an aerial sensor, a command control, and an attack platform, and a corresponding pilot can control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o 110-4. This can improve mission proficiency in areas such as maneuvering fighter or maneuvering equipment, fire control resourc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 상호 간에는 HLA/RTI(High Level Architecture/ Run-Time Infrastructure)를 이용하여 상호 연동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o 110-4 may interwork with each other using a high level architecture / run-time infrastructure (HLA / RTI).

상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 각각은 합성 전장에 대한 공통의 뷰를 갖는 3차원 영상 전시기를 구비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hrough 110-4 includes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er having a common view of the composite battlefield.

상기 C-체계(200)는 전투환경과 실제 장비 및 병력 등을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모의하는 구성 시뮬레이터(210)를 포함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개체 단위의 모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모델과 연동하여 전술모의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The C-system 200 includes a configuration simulator 210 that simulates a battle environment, actual equipment, and troops through software, and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interlocks with various analysis models to perform individual unit simulations. By doing so, a tactical simulation model can be implemented.

또한 상기 C-체계(200)는 CGF 체계(Computer Generated Force, 230)를 포함하며, CGF 체계(230)는 합성 전장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실제 전장에서와 같이 수많은 우군과 적군 그리고 중립(neutrals) 개체들, 예를 들어 항공기, 지상의 공격 및 방어 전력, 고정표적, 그리고 실질적인 공중 및 지상의 위협과 대응수단들을 모의 생성하고 생성된 개체들은 각각의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C-system 200 also includes a CGF system (Computer Generated Force, 230), and the CGF system 230 includes numerous herds, enemies and neutral entities as in the actual battlefield to construct a synthetic battlefield environment. For example, aircraft, ground attack and defense power, fixed targets, and actual air and ground threats and countermeasures can be simulated and created entities can perform their respective actions.

상기 C-체계(200)는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과 유사하게 합성 전장에 대한 3차원 영상 전시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C-system 200 may be provided with a 3D image display device for a synthetic battlefield similar to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o 110-4.

한편, 데이터 연동부(300)는 LVC-체계의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토콜이 다른 LVC(Live-Virtual-Constructive) 모델을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data interworking unit 300 is to provide a framework of the LVC-system. More specifically, the data interworking unit 300 serves to interoperate another LVC (Live-Virtual-Constructive) model.

상기 연동과 관련하여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연동부(300)는 객체모델 지원 모듈(310), 프로토콜 지원 모듈(330) 및 사용자 응용 지원 모듈(350)을 포함하며, 객체모델 지원 모듈(310), 프로토콜 지원 모듈(330) 및 사용자 응용 지원 모듈(360) 각각은 데이터 연동, 통신 연동 그리고 사용자 연동을 각각 지원한다.Referring to FIG. 2 again with respect to the interworking, the data interlocking unit 300 includes an object model support module 310, a protocol support module 330, and a user application support module 350. Each of the protocol support module 330 and the user application support module 360 supports data interworking, communication interworking, and user interworking.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A modu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hardware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each nam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lso refers to computer program code capable of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It may also mean an electron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processor, on which computer program code is capable of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 module may mean a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hardware for perfor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연동, 통신 연동 그리고 사용자 연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interworking, communication interworking, and user interworking may be independently operated.

상기 데이터 연동은 상호 운용성을 위해서 서로 다른 체계 간 객체 모델을 정의하는 것으로, 객체모델 지원 모듈(310)은 서로 다른 체계 연동시 필요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서로 다른 체계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포맷과 내용을 공통된 포맷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interworking defines object models between different systems for interoperability, and the object model support module 310 defines data interfaces required for interworking different systems to share message formats and contents used in different systems in common. Make it available as a format.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연동부(300)는 KVMF 메시지 포맷(Korea Variable Message Format)이나 전술데이터 링크(JTDLS, LINK-22)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된 포맷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interworking unit 300 may use the common format using the KVMF message format or the tactical data link (JTDLS, LINK-22).

또한 객체모델 지원 모듈(310)은 상기 정의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따라 이종 체계 사이의 데이터 해상도(Resolution)를 변환하는 해상도 조정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model support module 310 may further include a resolution adjustment module 320 for converting data resolution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according to the defined data interface.

상기 해상도 조정 모듈(320)은 데이터 해상도가 다른 모델들의 해상도에 따라 고 레벨에서 저 레벨로 또는 저 레벨에서 고 레벨로 해당 데이터를 적절히 변환시킬 수 있다.The resolution adjusting module 320 may appropriately convert the data from a high level to a low level or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according to resolutions of models having different data resolutions.

이때, 상기 데이터 해상도란 데이터의 해상도란 단순한 디스플레이용 해상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모델의 데이터 해상도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data resolution does not mean a resolution for a display, but a data resolution of a model that can be processed internally.

예를 들어, 제1 항공기 시뮬레이터(110-1)의 해상도와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이 이루는 항공기 편대의 해상도는 서로 다르며, 상대적으로 제1 항공기 시뮬레이터(110-1)의 해상도가 상기 항공기 편대의 해상도보다 고 레벨이다.For example, the resolution of the first aircraft simulator 110-1 and the plane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o 110-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ircraft simulator 110-1 is relatively different. ) I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aircraft flight.

따라서 객체모델 지원 모듈(310)은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변환뿐만 아니라 데이터 해상도의 변경을 수행하여 전송 데이터 간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차이를 수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bject model support module 310 may correct a difference in information that may occur between transmission data by changing the data resolution as well as changing the data interface.

상기 통신 연동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커니즘을 각 체계에 맞게 정의하는 것으로, 프로토콜 지원 모듈(330)은 서로 다른 체계에서 달리 운용되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제한 없이 통신 방식에 무관하게 내부적인 처리만을 담당하도록 독립적인 구조 형태로 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working defines a mechanism for delivering a message to each system, and the protocol support module 330 is independent so as to be responsible only for internal processing regardless of the communication method without limitation on various protocols operating differently in different systems. It can be operated in structural form.

실시 예에 따라 프로토콜 지원 모듈(330)은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TCP/IP, UDP(User Datagram Protocol), DIS(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TADIL(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B, ATDL(Army Tactical Data Link), MDIL(Medium Digital Information Link), HLA(High Level Architecture simulation)/RTI 등 다양한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타입을 맵핑하여 송수신 규칙을 설정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ocol support module 330 may include a data distribution service (DDS), a TCP / IP, a user datagram protocol (UDP), a 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DIS), a TAD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B, and an army tactical ATDL. Transmit / receive rules are set by mapping data types according to various protocols such as Data Link), MDIL (Medium Digital Information Link), and High Level Architecture simulation (HLA) / RTI.

사용자 응용 지원 모듈(360)은 상기 프레임워크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 부분을 담당한다. The user application support module 360 is in charge of a support part for making the framework useful.

즉, 데이터 연동부(300)는 V-체계(100)의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110-1 내지 110-4)과 C-체계(200)에 대한 데이터 연동, 통신 연동 그리고 사용자 연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at is, the data interlocking unit 300 supports data interworking, communication interworking, and user interworking for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110-1 to 110-4 and the C-system 200 of the V-system 100. Play a rol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C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은 개별 전투기 조종사 중심의 훈련으로부터 확장하여, C-체계(200)로부터 제공되는 합성 전장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소규모, 대규모 편대 비행 훈련 또는 임무 리허설을 실전처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우리 공군의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LVC-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method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individual fighter pilot-centered training, various small, large squadron flight according to the synthetic battlefield scenario provided from the C-system 200 Training or mission rehearsals can be performed as if they were in practice, which would maximize the combat power of our air for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
100: V-체계
110-1 내지 110-4 : 항공기 시뮬레이터
130: 3차원 영상 전시기
200: C-체계
210: 구성 시뮬레이터
230: CGF 체계
300: 데이터 연동부
310: 객체모델 지원 모듈
320: 해상도 조정 모듈
330: 프로토콜 지원 모듈
360: 사용자 응용 지원 모듈
10: aircraft simulation interlock system
100: V-system
110-1 to 110-4: aircraft simulator
130: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200: C-system
210: configuration simulator
230: CGF system
300: data linkage
310: object model support module
320: resolution adjustment module
330: protocol support module
360: User Application Support Module

Claims (6)

HLA/RTI(High Level Architecture/Run-Time Infrastructure)를 이용하여 상호 연동하는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을 포함하는 V-체계;
상기 복수의 항공기 시뮬레이터들 각각에 하달할 전술 모의 모델을 구현하고 상기 전술 모의 모델을 통해 합성 전장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위협 수단 및 대응 수단들을 모의 생성하기 위한 구성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C-체계; 및
KVMF를 이용하여 상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 각각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상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타입을 맵핑함으로써 상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를 상호 연동하는 데이터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연동부는,
상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 각각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V-체계 및 상기 C-체계 상호 간의 데이터 해상도를 변환하는 객체모델 지원 모듈; 및
상기 상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타입을 맵팽하여 송수신 규칙을 설정하는 프로토콜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LVC(Live Virtual Constructive)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
A V-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interworking using High Level Architecture / Run-Time Infrastructure (HLA / RTI);
A C-system including a configuration simulator for implementing a tactical simulation mod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ircraft simulators and for generating threat means and corresponding means for constructing a synthetic battlefield environment through the tactical simulation model; And
And a data interworking unit for defining the data interface of each of the V-system and the C-system using KVMF and interworking the V-system and the C-system by mapping data types according to corresponding protocols. ,
The data interlocking unit,
An object model support module for defining a data interface of each of the V-system and the C-system and converting data resolutions between the V-system and the C-system according to the defined data interface; And
And a protocol support module configured to set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rule by mapping a data typ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toc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지원 모듈은,
DDS, TCP/IP, UDP, DIS, TADIL-B, ATDL, MDIL 및 HLA/RTI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LVC 기반의 항공기 시뮬레이션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ocol support module,
LVC based aircraft simulation interworking system supporting protocols of DDS, TCP / IP, UDP, DIS, TADIL-B, ATDL, MDIL and HLA / RTI.
KR1020120004224A 2012-01-13 2012-01-13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KR101239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24A KR101239882B1 (en) 2012-01-13 2012-01-13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24A KR101239882B1 (en) 2012-01-13 2012-01-13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882B1 true KR101239882B1 (en) 2013-03-06

Family

ID=4818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224A KR101239882B1 (en) 2012-01-13 2012-01-13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8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08B1 (en) * 2015-09-07 2017-11-1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Live, virtual and constructiv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perimentation and training of unmanned aircraft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78B1 (en) * 2009-12-07 2011-03-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KR101041854B1 (en) * 2010-11-24 2011-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live virtual constructive joint simulat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interworking module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78B1 (en) * 2009-12-07 2011-03-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KR101041854B1 (en) * 2010-11-24 2011-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live virtual constructive joint simulat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interworking module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08B1 (en) * 2015-09-07 2017-11-1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Live, virtual and constructiv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perimentation and training of unmanned aircraft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8758A1 (en) Training methods and systems
US20100003652A1 (en) Mission training center instructor operator st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CN115620579A (en) Simulation training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092717B1 (en) Embedded Training System of Aircraft
KR101239882B1 (en)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US118685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training within three-dimensional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KR101194053B1 (en) Lvc simulaton interfacing system using data link
Bezdek et al. Live, virtual & constructive simulation for real time rapid prototyping, experimentation and testing using network centric operations
McCabe Operator-in-the-loop experimentation: Providing combat utility measures
Reitz et al. Distributed Live/Virtual Environments to Improve Joint Fires Performance
KR102655962B1 (en) Remote Drone Tactical Training System
Szulinski et al. The US Air Force Distributed Mission Operations–A Premier Application of Distributed Modeling and Simulation in ‘Training The Way We Fight’
KR102005062B1 (en) a multi-resolution war-game training system using the Multi-Join Proxy Framework for multi-resolution war-game
Reitz et al. Bridging the Joint Close Air Support Training Gap
KR101234703B1 (en) Lvc simulation linkaging system using message format and data link
Tadjdeh Marines to Modernize Training Facilities
Lechner et al. Integrated live virtual constructive technologies applied to tactical aviation training
White Interoperability of Networked Simulation Systems for Distributed Fire Support Coordination Training
Mevassvik et al. JADE-An Experimenting in Distributed Simulation Based Joint Tactical Training
van der Wiel J-ROADS Air Defence Simulation Support during the 2006 JPOW IX Missile Defence Exercise
Wiel J-ROADS Air Defence Simulation Support during the 2006 JPOW IX Missile Defence Exercise
Keuning Embedded Training and LVC
Jense et al. Electronic Battlespace Facility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lark et al. Incorporating Intelligent Computer Generated Forces in a Human-in-the-Loop Simulation: Phase One–Establishment of a Research Testbed
Zalcman et al. USAF Distributed Mission Operations, an ADF Synthetic Range Interoperability Model and an AOD Mission Training Centre Capability Concept Demonstrator-What Are They and Why Does RAAF Need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