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120B1 -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120B1
KR101234120B1 KR1020110055114A KR20110055114A KR101234120B1 KR 101234120 B1 KR101234120 B1 KR 101234120B1 KR 1020110055114 A KR1020110055114 A KR 1020110055114A KR 20110055114 A KR20110055114 A KR 20110055114A KR 101234120 B1 KR101234120 B1 KR 10123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ressure
drainage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100A (ko
Inventor
신현오
박봉남
Original Assignee
박봉남
신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남, 신현오 filed Critical 박봉남
Priority to KR102011005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1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2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kept in open position by means of air or water pressure or by vacu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의 개폐동작을 수행토록 급수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력공간형성수단을 통하여 유입구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패킹을 개방하여 유입구에서 급수구로 향하는 유로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의 일측에서 압력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압력제거수단이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관덮개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급,배수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a control device for water supply and drain with all in one water supply and drain}
본 발명은 유입구의 개폐동작을 수행토록 급수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력공간형성수단을 통하여 유입구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패킹을 개방하여 유입구에서 급수구로 향하는 유로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의 일측에서 압력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압력제거수단이 압력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관덮개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급,배수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변기본체가 구비되고, 변기본체의 세척공간에 위치한 사용자의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면서 세척공간을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조가 변기본체의 후방에 탑재된다.
상기와 같은 수조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종래의 급수장치는 실용신안 제138379호의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의 저수조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부로 개구된 함체상의 몸체(1)가 구비되고, 이 몸체(1)의 상부에는 덮개(2)가 복개되고, 또한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5)와 급수된 물을 변기로 일정량 배수시키는 배수부(6)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급수장치는 공급관(5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외측에서내측으로 안내하여 저수조로 급수시키는 밸브(52)를 구성하고, 지지대(531)의 양측을 따라 플로우트(533)를 일정한 높이식 다단으로 승강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53)를 구성하며, 상기 플로우트(533)를 지지하는 지지대(531)의 하부 일측이 편심으로 축설되어 밸브(5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54)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는, 배수부(6)와 플로우트(553) 및 밸브(52)등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부품수가 증가됨으로써 원가가 상승되고, 설치공간이 증가되어 사용이 제한적이며, 배수부와 밸브(52)의 동작이 별도로 이루어져 정확한 밀폐 및 개방동작이 힘들어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배수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세척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절수효과를 증대하면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급,배수장치가 한몸체로 형성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양변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닫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구의 개폐동작을 수행토록 급수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력공간형성수단을 통하여 유입구를 폐쇄하는 다이어프램패킹을 개방하여 유입구에서 급수구로 향하는 유로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의 일측에서 압력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압력제거수단이 압력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관덮개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급수몸체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넘침조절관을 갖는 상부몸체가 연결되고, 상부몸체의 내측에 압력실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실몸체의 내측에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수위조절관이 연결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공간형성수단은, 수위조절관에 의해 상향이 제한되는 부구, 압력실몸체의 저면에 밀착되어 부구와 유입구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패킹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압력제거수단은, 상기 압력실몸체의 밀폐공간을 제거토록 하면서 배출관덮개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배출관덮개의 상향시 회전되어 압력실몸체에 유동공간을 형성토록 설치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상부몸체와 압력실몸체사이를 통과하여 급수몸체의 측면을 통과한 후 배수관과 연결되는 넘침수유로를 구비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출관덮개는, 상부부구와 하부부구의 조립구조로서 하부부구에 물이 유입되는 가감수유입공이,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넘침수배출구는 급수몸체에 형성되면서 넘침수유로를 갖는 결합턱이 고정토록 측면에 결합홈이 구비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압력실몸체에 다이어프램패킹의 통기공에 삽입되는 안내핀이 돌출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배수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며, 세척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절수효과를 증대하면서 소음을 차단하고, 급,배수장치가 한몸체로 형성되어 원가를 절감하며, 다양한 양변기에 적용하고, 급,배수장치의 닫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급수제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물저장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물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드레인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분해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물저장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물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드레인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장치의 분해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급수몸체(100)에 유입안내공(101)를 통하여 유입공(105)과 구획되는 급수공(10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급수몸체(100)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넘침조절관(131)을 갖는 상부몸체(13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30)의 내측으로 상부몸체(130)에 의해 지지되는 압력실몸체(150)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실몸체(150)의 내측에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수위조절관(155)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30)와 압력실몸체(150)사이를 통과하여 급수몸체(100)의 측면을 통과한 후 배수구(470)와 연결되는 넘침수유로(170)가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급수몸체(100)의 내측에는 유입공(105)의 개폐동작을 수행토압력공간형성수단(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은, 유입공(105)를 폐쇄 및 개방하도록 설치되는 다이어프램패킹(410)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유입공(105)에서 급수공(103)으로 향하는 유로를 형성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의 일측에서 압력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압력제거수단(450)이 배출관(470)를 개폐하는 배출관덮개(49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은, 수위조절관(155)에 의해 상향이 제한되는 부구(430), 압력실몸체(150)의 저면에 밀착되어 부구(430)와 유입공(105)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패킹(41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패킹(410)은 급수몸체(100)에 지지되면서 다이어프램패킹(410)의 저면에 대응토록 설치되는 지지체(415)의 상측에 밀착된다.
더하여, 상기 압력제거수단(450)은, 상기 압력실몸체(150)의 밀폐공간(S)을 제거토록 하면서 배출관덮개(49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배출관덮개의 상향시 회전되어 압력실몸체에 압력유동공간(S-1)을 형성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덮개(490)는, 상부부구(491)와 하부부구(493)의 조립구조로서 하부부구에 물이 유입되는 가감수유입공(495)이,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49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470)은 급수몸체(100)에서 분리되는 구성으로 배출관(470)과 넘침수유로(170)가 연결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압력실몸체(150)에 다이어프램패킹(410)의 통기공(415)에 삽입되는 안내핀(417)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급수몸체(100)의 내측에 압력형성수단(400)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압력제거수단(450)의 압력개폐변(451)이 개재되는 압력실몸체(15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압력실몸체(150)의 내측에는 부구(430)를 먼저 삽입한 후 수위조절관(155)을 결합하고, 상기 압력실몸체(150)는 급수몸체(100)에 결합되는 상부몸체(130)를 통하여 지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30)의 내측에는 나사결합이나 오링등에 의해 승,하강시 위치결정되는 넘침조절관(131)이 설치되어 급수장치의 오작동으로 물이 넘을 경우 넘침수유로(170)를 통하여 배출관(470) 일측으로 배출된다.
더하여, 상기 압력실몸체(150)에 설치되는 수위조절관(155) 역시 나사결합등에 의해 승,하강시 위치결정토록 되어 승,하강시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는 부구(430)의 상승 정도 즉 압력을 발생시키는 밀폐공간(S)의 부피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공간(S)은, 상부의 부구(430)와 하부의 다이어프램패킹(4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일정한 압력을 갖게 되어 다이어프램패킹(410)을 팽창시킴으로써 유입공(105)을 폐쇄토록 한다.
즉, 상기 유입공(105)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급수공(103)을 통하여 저장공간(T)에 유입되어 일정 수위를 형성토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부력 또는 압력에 의해 부구(430)를 상승시켜 수위조절관(155)을 폐쇄토록 하며, 물이 더 공급될 때 물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패킹(410)을 가압하여 유입안내공(101)을 폐쇄토록 함으로써 저장공간(T) 내측의 물 공급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T)에 유입되는 물은 수위조절관(155)을 상,하향시키는 동작에 의해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수를 위치하여 사용자가 배출관덮개(490)를 담김줄(499)등으로 이용하여 당기게 되면 상기 배출관덮개에 연결되는 압력개폐변(451)을 동작시켜 밀폐공간(S)내측의 압력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배출관덮개(490)가 배출관(470)에서 개방함과 동시에 유입안내공(101)을 통한 물의 유입이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30)와 압력실몸체(150)사이를 통과하여 급수몸체(100)의 측면을 통과한 후 배출관(470)과 연결되는 넘침수유로(170)가 형성되어 넘침조절관(131)를 역류하는 물이 배출관(470) 일측을 통하여 드레인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은, 수위조절관(155)에 의해 상향이 제한되는 부구(430), 압력실몸체(150)의 저면에 밀착되어 부구(430)와 유입공(105)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패킹(41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부구(430)와 다이어프램패킹(410) 사이에서 일정압력이 작용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압력제거수단(450)은, 회전시 압력유동공간(S-1)의 크기가 조절되는 압력개폐변(451)과 그 일측에서 배출관덮개(490)에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가능토록 압력개폐변(451)에서 연장되는 압력실개폐변로드(453)로서 이루어져 상기 압력실몸체(150)의 밀폐공간(S)의 압이 외부로 손실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덮개(490)는, 상부부구(491)와 하부부구(493)의 조립구조로서 하부부구에는 물이 유입되는 가감수유입공(495)이,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497)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가감수유입공(495)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중량에 의해 승,하강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470)는 급수몸체(100)에 형성되면서 넘침수유로(170)가 연결되는 결합턱(107)이 고정토록 측면에 결합홈(47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호 연결이 손쉽게 되면서 넘침수유로(170)가 용이하게 연결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압력실몸체(150)에 다이어프램패킹(410)의 통기공(415)에 삽입되는 안내핀(417)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다이어프램패킹(410)이 정위치에서 승하강하면서 동작토록 되는 것이다.
100...급수몸체 105...유입공
131...넘침수조절관 150...압력실몸체
155...수위조절관 170...넘침수유로
410...다이어프램패킹 470...배출관
490...배출관덮개

Claims (7)

  1. 급수몸체(100)에 유입안내공(101)를 통하여 유입공(105)과 구획되는 급수공(103)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몸체(100)의 상부에 부구(430)의 상승을 제한하는 압력실몸체(150)가 지지되고,
    상기 급수몸체(100)의 내측에는 다이어프램패킹(410)을 통한 유입안내공(101)의 개폐동작에 의해 부구(430)와 다이어프램패킹(410)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토록 하거나 유입공(105)에서 급수공(103)으로 향하는 유로를 형성토록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의 일측에는 밀폐공간에 작용하는 압력을 제거토록 설치되는 압력제거수단(450)이 배출구(470)를 개폐하는 배출관덮개(49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몸체(100)의 상부에는 분리설치되는 압력실몸체(150)를 지지토록 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넘침조절관(131)을 갖는 상부몸체(1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몸체(150)의 내측에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하면서 부구(430)가 지지되는 수위조절관(15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30)와 압력실몸체(150)사이를 통과하여 급수몸체(100)의 측면을 통과한 후 배출관(470)과 연결되는 넘침수유로(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공간형성수단(400)은, 수위조절관(155)에 의해 상향이 제한되는 부구(430), 압력실몸체(150)의 저면에 밀착되어 부구(430)와 유입공(105)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패킹(41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어프램패킹(410)은 급수몸체(100)에 지지되면서 다이어프램패킹(410)의 저면에 대응토록 설치되는 지지체(415)의 상측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거수단(450)은, 상기 압력실몸체(150)의 밀폐공간(S)에서 회전시 압력유동공간(S-1)의 크기가 조절되는 압력개폐변(451)과 그 일측에서 배출관덮개(490)와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가능토록 되는 압력실개폐변로드(453)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덮개(490)는, 상부부구(491)와 하부부구(493)의 조립구조로서 하부부구에 물이 유입되는 가감수유입공(495)이,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49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KR1020110055114A 2011-06-08 2011-06-08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KR10123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14A KR101234120B1 (ko) 2011-06-08 2011-06-08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14A KR101234120B1 (ko) 2011-06-08 2011-06-08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00A KR20120136100A (ko) 2012-12-18
KR101234120B1 true KR101234120B1 (ko) 2013-02-22

Family

ID=4790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114A KR101234120B1 (ko) 2011-06-08 2011-06-08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1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227A (ja) * 1996-01-12 1997-07-29 Inax Corp ボールタップ
KR20090026007A (ko) * 2007-09-06 2009-03-11 윤윤현 좌변기 절수용 배수 개폐밸브
KR20090049485A (ko) * 2007-11-13 2009-05-18 이규동 양변기의 물내림 작동장치
JP2009293259A (ja) 2008-06-04 2009-12-17 Inax Corp ボールタ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227A (ja) * 1996-01-12 1997-07-29 Inax Corp ボールタップ
KR20090026007A (ko) * 2007-09-06 2009-03-11 윤윤현 좌변기 절수용 배수 개폐밸브
KR20090049485A (ko) * 2007-11-13 2009-05-18 이규동 양변기의 물내림 작동장치
JP2009293259A (ja) 2008-06-04 2009-12-17 Inax Corp ボールタ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00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4307A1 (en) Suction device for enhancing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iphon of the toilet and the method thereof
CN102418377B (zh) 一种带有增压排水装置的马桶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JP2006274540A (ja) 便器用洗浄水タンク装置
JP2016501994A5 (ko)
KR101024365B1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CN109972704A (zh) 一种智能马桶用加热水箱
JP2009275364A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KR101234120B1 (ko) 급,배수 일체형 급,배수 제어장치
CN201125443Y (zh) 一种排水阀
JP5242073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及び吸気装置の吸気方法
KR100953175B1 (ko) 변기 소음 감소 장치
CN213597135U (zh) 一种改善噪音的马桶排水装置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CN210263268U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JPH10196837A (ja) 給水制御装置
CN210315847U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CN110332346A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压力止水进水阀
CN202577518U (zh) 并联式双阀装置及便器
KR101339989B1 (ko) 배출유량 조절형 부구를 갖는 배수장치
CN213174028U (zh) 一种改善噪音的水箱排水装置
CN210507671U (zh) 一种阀座可拆卸的马桶水箱进水阀
CN202324120U (zh) 一种用于坐便器的储压水箱
CN218264146U (zh) 一种补水器及马桶的排水装置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