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073B1 -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073B1
KR101234073B1 KR1020050075865A KR20050075865A KR101234073B1 KR 101234073 B1 KR101234073 B1 KR 101234073B1 KR 1020050075865 A KR1020050075865 A KR 1020050075865A KR 20050075865 A KR20050075865 A KR 20050075865A KR 101234073 B1 KR101234073 B1 KR 10123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vibration welding
washing machine
l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526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073B1/ko
Priority to US11/505,491 priority patent/US7971456B2/en
Priority to DE200610038467 priority patent/DE102006038467B4/de
Publication of KR2007002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및 그 터브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진동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터브가 고정되는 하부 유닛과,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에 리어 터브의 전면부가 진동 용착되도록 상기 리어 터브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유닛의 상측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유닛과,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프론트 터브의 내부에 배치된 드럼이 상기 하부 유닛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결합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되며,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도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가 결합되어 부품 비용과 작업 공수가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세탁기, 터브, 드럼, 프론트 터브, 리어 터브, 진동용착장치, 상부 유닛, 하부 유닛, 고정수단

Description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Vibration welding apparatus for washer's tub and tub assembly to be manufactured by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터브가 설치된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브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브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브의 진동용착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브의 진동용착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진동용착장치 52: 터브 어셈블리
60: 터브 62: 프론트 터브
64: 리어 터브 66: 베어링 하우징
68: 제 1 플랜지부 69: 제 2 플랜지부
70: 드럼 74: 회전축
76: 스파이더 78: 피난홈
80: 하부 유닛 82: 하면부
84: 하측 밀착부 90: 상부 유닛
92: 상면부 94: 상측 밀착부
100: 고정수단, 가이드 돌기
본 발명은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및 그 터브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진동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론트 터브가 복잡한 구조로 형성된 경우라도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를 진동 용착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및 그 터브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진동용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터브가 설치된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브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와 세탁물이 수용되는 터브 어셈블리(4)와, 상기 터브 어셈블리(4)에 동력이 전달되어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상기 터브 어셈블리(4)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브 어셈블리(4)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호스(8)와 급수밸브(10) 및 세제공급장치(12)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14)와 배수호스(1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터브 어셈블리(4)는 상기 캐비닛(2)에 탄성부재(17) 및 댐퍼(18)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20)와, 상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브(20)의 세탁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통공(30B)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이 회전됨에 따라 일정 높이로 세탁물을 퍼올린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상기 드럼(30)의 내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리프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브(20)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써, 상기 터브(20)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프론트 터브(22)와, 상기 프론트 터브(22)의 후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브(20)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리어 터브(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터브(22)는 후면부가 개구되고, 전면부에 상기 세탁물이 통과되는 입구(22A)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 터브(24)는 전면부가 개구되고, 후면부에 상기 드럼(30)의 회전축(34)이 관통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26)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터브(22)의 후면부와 리어 터브(24)의 전면부는 중간에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씰(40)이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체결부재(42)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터브(22)의 후면부와 리어 터브(24)의 전면부에는 상기 씰(40)이 설치되는 씰링홈(28)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42)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29)이 외주를 따라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금속 재질의 판금 제품으로써, 전면부에 상기 터브(20)의 입구(22A)와 연통되도록 입구(30A)가 형성되고, 후면부에 상기 회전축(34)이 고정된 스파이더(36)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터브 어셈블리의 제작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터브 어셈블리(4)는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가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드럼(30)은 금속 재질로 판금 성형된다.
이때, 상기 리어 터브(24)의 후면부에는 베어링 하우징(26)이 삽입 사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 구조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26)이 장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드럼(30)의 후면부에는 회전축(34)이 형성된 스파이더(36)가 장착 고정되고,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리프터(32)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드럼(30)의 후면부는 상기 리어 터브(24)의 베어링 하우징(26)에 형성된 홀에 회전축(34)이 삽입되도록 상기 리어 터브(24)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터브(24)의 전면부에 형성된 씰링홈(28)에 씰(40)이 배치 되고, 상기 프론트 터브(22)의 내부에 상기 드럼(30)의 전면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22)의 후면부가 상기 리어 터브(24)의 전면부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터브(22)의 후면부와 리어 터브(24)의 전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29)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의 위치가 조정된 후 상기 복수개의 체결홀(29)에 체결부재(42)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42)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씰(40)의 밀봉 성능도 확보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 사이에 씰(40)이 배치된 후 복수개의 체결홀(29)에 체결부재(42)가 체결되므로, 상기 터브(20)의 제작시 작업 공수가 증가되어 작업 시간이 증대되고,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42)와 씰(40)의 사용으로 인해 부품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브(20)의 제조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상기 씰(40)이 누락 또는 탈거되거나, 상기 체결부재(42)가 오조립되어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씰(40)이 누락되거나 탈거되면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 사이로 세탁수가 누수되고, 상기 체결부재(42)의 체결력이 저하되면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 사이로 세탁수가 누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가 심하게 진동되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프론트 터브(22)의 후면부와 리어 터브(24)의 전면부에는 상기 씰(40)이 설치되는 씰링홈(28)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42)가 체결되는 체결홀(29)이 형성되므로, 상기 프론트 터브(22)와 리어 터브(24)의 결합 부위가 매우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를 진동 용착시킴으로써 터브를 간편하게 제작하고, 특히 프론트 터브가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더라도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를 진동 용착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및 그 터브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진동용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는 프론트 터브가 고정되는 하부 유닛과,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에 리어 터브의 전면부가 진동 용착되도록 상기 리어 터브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유닛의 상측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유닛과,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프론트 터브의 내부에 배치된 드럼이 상기 하부 유닛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드럼의 전면부에 형성된 입구에 밀착되게 삽 입되어 상기 드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이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드럼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드럼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 복수개가 원형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드럼의 입구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유닛과 상부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 유닛은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의 전면부가 안착되는 하면부와, 상기 프론트 터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하측 밀착부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리어 터브의 전면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 터브의 후면부가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리어 터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측 밀착부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 외주에는 제 1 플랜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터브의 전면부 외주에는 제 2 플랜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제 2 플랜지부는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상측 측면부의 하단과 하측 측면부의 상단에 의해 압착된다.
또한, 상기 리어 터브의 후면부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베어링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축의 타측이 접촉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 상기 드럼의 전면부가 밀착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회전축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피난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는 세탁물이 출입되는 입구가 전면부에 형성된 프론트 터브와,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진동 용착되고 후면부에 베어링 하우징이 장착된 리어 터브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축이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내측에 배치된 드럼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간섭되지 않도록 타측에 외주를 따라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고, 상기 피난홈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브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가 진동 용착되어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60)와, 상기 리어 터브(64)의 후면부에 회전축(74)이 관통되도록 상기 터브(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브(60)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써, 상기 프론트 터브(62)는 상기 터브(60)의 전방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리어 터브(64)는 상기 터브(60)의 후방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전면부에는 세탁물이 통과되는 입구(62A)가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제 1 플랜지부(68)가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리어 터브(64)의 후면부에는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이 관통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7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66)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제 2 플랜지부(69)가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플랜지부(68)와 제 2 플랜지부(69)는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후면부와 리어 터브(64)의 전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용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제 1 플랜지부(68)와 제 2 플랜지부(69)에 의해 용착면이 증가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가 보다 견고하게 겹합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70)은 금속 재질의 판금 제품으로써, 전면부에 상기 터브 (60)의 입구(62A)와 연통되도록 입구(70A)가 형성되고, 후면부의 배면에 상기 회전축(74)이 고정된 스파이더(76)가 장착된다.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에 관통되게 배치되되,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의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상기 회전축(74)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74)의 일측과 베어링 하우징(66)에 의해 상기 드럼(70)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드럼(70)은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66)과 회전축(74)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74)의 타측에 외주를 따라 피난홈(78)이 형성된다.
상기 피난홈(78)은 상기 회전축(74)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진동되는 폭보다는 깊게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드럼(70)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된 상태에서 용착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축(74)의 일측도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어 상기 베어링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74)의 피난홈(78)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74)과 베어링 사이에는 상기 피난홈(78)에 의해 소정 크기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에 의해 회전축(74)과 베어링 중 어느 하나가 진동되더라도 상기 회전축(74)과 베어링의 충돌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브의 진동용착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브의 진동용착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참고로 앞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는 도 4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후면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62)가 고정되는 하부 유닛(80)과, 상기 하부 유닛(80)의 상측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어 터브(64)의 전면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 터브(64)가 고정되는 상부 유닛(90)과,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내부에 배치된 드럼(70)이 상기 하부 유닛(80)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8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유닛(80)은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전면부가 안착 지지되는 하면부(82)와, 상기 하면부(82)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하측 밀착부(84)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 밀착부(84)는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면부(82)에 복수개가 원형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하측 밀착부(84)는 상기 프론트 터브(62)가 내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동일한 직경으로 상기 하면부(82)에 설치 고정되거나,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가 고정되도록 상기 하면부(82)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밀착부(84)가 하면부(8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외주면에 압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유닛(80)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프론트 터브(62)가 상기 하측 밀착부(84)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크기에 대한 하부 유닛(80)의 공용화가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유닛(90)은 상기 리어 터브(64)의 후면부를 관통한 드럼(70)의 회전축(74)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터브(64)의 후면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상면부(92)와, 상기 리어 터브(64)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측 밀착부(94)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밀착부(94)는 상기 리어 터브(6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면부(92)에 복수개가 원형으로 돌출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리어 터브(64)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상기 리어 터브(64)가 고정되도록 상기 하면부(82)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하부 유닛(80)과 상부 유닛(90)에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유닛(80)과 상부 유닛(90)으로부터 진동 용착된 터브 어셈블리(52)가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유닛(80)과 상부 유닛(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유닛(8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측 밀착부(84)와 상측 밀착부(94)는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제 1 플랜지부(68)와 제 2 플랜지부(69)를 서로 압착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제 1 플랜지부(68)의 하면은 상기 하측 밀착부(84)의 상단에 의해 상측으로 압착되고, 상기 제 2 플랜지부(69)의 상면은 상기 상측 밀착부(94)의 하단에 의해 하측으로 압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00)은 상기 드럼(70)의 전면부에 형성된 입구(70A)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상기 드럼(7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유닛(80)의 하면부(8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00)이다.
즉, 상기 하부 유닛(80)에 프론트 터브(62)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내부에 배치된 드럼(70)은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면부(82)의 상면에 상기 드럼(70)의 전면부가 밀착되고, 상기 드럼(70)의 전면부에 형성된 입구(70A)에 상기 가이드 돌기(100)가 삽입되어 상기 드럼(70)이 상기 하면부(82)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00)는 상기 드럼(70)의 입구(70A)와 동일한 직경으로 상기 하부 유닛(80)의 하면부(82) 상면에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드럼(70)의 입구(70A)와 동일한 직경으로 상기 하부 유닛(80)의 하면부(82) 상면에 복수개가 원 형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면부(82)의 상면에 원형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100)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00)는 상기 하면부(82)에 다양한 크기의 드럼(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70)의 입구(70A)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00)는 드럼(70)의 입구(70A)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된 드럼(70)의 입구(70A) 내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돌기(100)가 형성된 하부 유닛(80)에는 다양한 크기의 입구(70A)를 갖는 드럼(70)이 고정된다.
반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100)가 일정 크기의 직경으로 상기 하면부(82)의 상면에 형성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100)에 의해 고정되는 드럼(70)의 입구(70A) 직경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돌기(100)가 형성된 하부 유닛(80)에는 일정 크기의 입구(70A)를 갖는 드럼(70)만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리어 터브(64)의 후면부에는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이 관통되어 베어링(6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 하우징(6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드럼(70)은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므로,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도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고, 상기 회전축(74)이 베어링 하우징(66)의 베어링(67)과 접촉되는 부위도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드럼(70)의 하측 이동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의 베어링(67) 과 접촉되는 회전축(74)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과 베어링 하우징(66)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피난홈(78)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피난홈(78)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74)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상부 유닛(90)의 진동 폭보다 깊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용착장치를 이용한 터브 어셈블리의 제작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가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드럼(70)은 금속 재질로 판금 성형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터브(62)는 전면부에 입구(62A)가 형성됨과 아울러 개구된 후면부의 외주에 제 1 플랜지부(68)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고, 상기 리어 터브(64)는 후면부에 금속 재질로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66)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개구된 전면부의 외주에 제 2 플랜지부(69)가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드럼(70)은 후면부 중앙부위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의 배면에 회전축(74)이 형성된 스파이더(76)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74)의 외주에는 소정의 깊이로 피난홈(78)이 둘레를 따라 형성하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조된 드럼(70)은 상기 프론트 터 브(62)의 내부에 전면부가 삽입되고, 상기 드럼(70)이 삽입된 프론트 터브(62)는 하부 유닛(80)의 하면부(82)에 안착된다.
상기 하면부(82)에 상기 드럼(70)이 삽입된 프론트 터브(62)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터브(60)와 드럼(70)의 입구(70A)를 통해 가이드 돌기(100)가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드럼(70)의 입구(70A)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100)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드럼(70)의 입구(70A)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00)에 의해 상기 드럼(70)의 전면부가 지지되어 상기 드럼(70)은 하부 유닛(80)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고정된다.
즉,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시 상기 드럼(70)은 하부 유닛(80)의 하면부(82) 상면에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면부(82)에 입구(70A)가 밀착되고, 상기 드럼(70)의 입구(70A) 내주면은 상기 가이드 돌기(100)에 의해 밀착 고정되어 상기 상부 유닛(90)이 진동되더라도 상기 드럼(70)은 가이드 돌기(1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부(82)에 상기 드럼(70)이 삽입된 프론트 터브(62)가 안착 고정되면, 상기 하면부(82)에 설치된 복수개의 하측 밀착부(84)가 이동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하측 밀착부(84)에 의해 프론트 터브(62)가 상기 하부 유닛(8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터브(64)는 상부 유닛(90)의 상면부(9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상측 밀착부(94)가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유닛(9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리어 터브(64)는 상기 상면부(92)와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을 관통하는 드럼(70)의 회전축(74)이 배치되도록 상기 상면부(92)의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리어 터브(64)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 유닛(90)에 고정된 리어 터브(64)의 전면부에 상기 하부 유닛(80)에 고정된 프론트 터브(62)의 후면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80)이 상측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 1 플랜지부(68)와 제 2 플랜지부(69)는 상기 하측 밀착부(84)와 상측 밀착부(94)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은 상기 리어 터브(64)의 베어링 하우징(66)을 관통하여 상기 리어 터브(64)와 상면부(9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플랜지부(68)가 형성된 프론트 터브(62)의 후면부가 상기 제 2 플랜지부(69)가 형성된 리어 터브(64)의 전면부에 밀착되면, 상기 상부 유닛(90)이 전후, 좌우로 고속 진동되어 상기 프론트 터브(62)의 후면부와 리어 터브(64)의 전면부가 용착된다.
즉, 상기 상부 유닛(90)에 의해 리어 터브(64)가 고속으로 진동됨에 따라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접촉면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사출물이 용융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 유닛(90)이 진동됨에 따라 상기 리어 터브(64)도 함께 진동되고, 상기 리어 터브(64)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66)도 전후, 좌우 방향으로 고속 진동된다.
그러나, 상기 드럼(70)의 회전축(74)은 상기 가이드 돌기(100)에 의해 상기 하면부(82)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이나, 상기 드럼(7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축(74)의 피난홈(78)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66)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이 진동되더라도 상기 피난홈(78)에 의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66)과 회전축(74)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66)과 회전축(74)의 간섭과 충돌이 상기 피난홈(78)에 의해 방지되면, 상기 베어링 하우징(66)과 회전축(74)의 충돌로 인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66)과 회전축(74)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70)이 유동되면서 상기 하부 유닛(80)과 프론트 터브(62) 등에 부딪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 돌기(10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가 진동 용착되면, 상기 하측 밀착부(84)와 상측 밀착부(94) 중 어느 하나가 풀린 후 상기 하부 유닛(80)이 하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터브 어셈블리(52)가 진동용착장치(50)로부터 탈거된다.
상기 터브 어셈블리(52)에 모터가 장착될 경우,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에 회전축(74)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드럼(7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가 회전축(74)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진동용착장치(50)는 상기 상부 유닛(90)에 리어 터브(64)가 고정되어 전후, 좌우로 진동되고 상기 하부 유닛(80)에 프론트 터브(62)가 고정되어 상하로 승강되므로, 상기 리어 터브(64)가 고속으로 진동되면서 상기 프론트 터브 (62)와 리어 터브(64)가 진동 용착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 터브(62)가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프론트 터브(62)와 리어 터브(64)의 진동 용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및 그 터브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진동용착장치는 하부 유닛에 고정된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에 상부 유닛에 고정된 리어 터브의 전면부가 밀착되고 상기 상부 유닛이 진동됨에 따라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가 진동 용착되므로,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결합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되며,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도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가 결합되어 부품 비용과 작업 공수가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가 진동 용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터브의 강성과 밀봉성능이 향상되고,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유닛에 의해 리어 터브가 전후, 좌우로 진동되면서 상기 하부 유닛이 프론트 터브에 용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리어 터브가 고속으로 진동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 터브가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가 용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는 상기 리어 터브의 베어링 하우징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피난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드럼이 고정수단에 의해 하부 유닛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터브가 진동되더라도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회전축의 충돌이 피난홈에 의해 방지되어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회전축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프론트 터브가 고정되는 하부 유닛과;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에 리어 터브의 전면부가 진동 용착되도록 상기 리어 터브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유닛의 상측에 진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유닛과;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프론트 터브의 내부에 배치된 드럼이 상기 하부 유닛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드럼의 전면부에 형성된 입구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상기 드럼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드럼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드럼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 복수개가 원형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드럼의 입구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과 상부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은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프론 트 터브의 전면부가 안착되는 하면부와, 상기 프론트 터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하측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리어 터브의 전면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 터브의 후면부가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리어 터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측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 외주에는 제 1 플랜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터브의 전면부 외주에는 제 2 플랜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제 2 플랜지부는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상측 측면부의 하단과 하측 측면부의 상단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어 터브의 후면부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베어링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축의 타측이 접촉되도록 상기 하부 유닛의 저면에 상기 드럼의 전면부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회전축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12. 세탁물이 출입되는 입구가 전면부에 형성된 프론트 터브와;
    상기 프론트 터브의 후면부에 전면부가 진동 용착되고 후면부에 베어링 하우징이 장착된 리어 터브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축이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내측에 배치된 드럼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간섭되지 않도록 타측에 외주를 따라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프론트 터브와 리어 터브의 진동 용착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고,
    상기 피난홈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KR1020050075865A 2005-08-18 2005-08-18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KR10123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65A KR101234073B1 (ko) 2005-08-18 2005-08-18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US11/505,491 US7971456B2 (en) 2005-08-18 2006-08-17 Tub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DE200610038467 DE102006038467B4 (de) 2005-08-18 2006-08-17 Bottichanordnung und Waschmaschine, die diese enthä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65A KR101234073B1 (ko) 2005-08-18 2005-08-18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26A KR20070021526A (ko) 2007-02-23
KR101234073B1 true KR101234073B1 (ko) 2013-02-15

Family

ID=4365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865A KR101234073B1 (ko) 2005-08-18 2005-08-18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835A (ja) * 1995-09-21 1997-03-31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立体形状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10323900A (ja) 1997-05-27 1998-12-08 Mishima Daiji 振動溶着装置
JP2004222756A (ja) 2003-01-20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のバランサの組立方法
KR20060120823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의 용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835A (ja) * 1995-09-21 1997-03-31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立体形状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10323900A (ja) 1997-05-27 1998-12-08 Mishima Daiji 振動溶着装置
JP2004222756A (ja) 2003-01-20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のバランサの組立方法
KR20060120823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의 용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26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456B2 (en) Tub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1738009B1 (en) Drum assembly i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417778B1 (ko) 세탁기, 세탁기의 이너터브 및 그 조립방법
US9481958B2 (en) Washing machine
EP361389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JPH09786A (ja) 噴射ノズル組立体を具備した洗濯機
JP4710539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2420606B1 (en) Motor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234073B1 (ko)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터브 어셈블리
EP3653776B1 (en) Tub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KR101176124B1 (ko) 세탁기 터브의 진동용착장치
EP387566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53777B1 (en) Tub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10552167B (zh) 洗衣机
KR20070115300A (ko) 드럼세탁기
KR102530175B1 (ko) 세탁기
KR100960067B1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US11306425B2 (en) Washing machine
KR101715798B1 (ko) 드럼세탁기
KR101386505B1 (ko) 드럼세탁기
CN113355859A (zh) 洗涤物处理设备
CN115976786A (zh) 洗衣机
KR20000009335A (ko) 드럼형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