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045B1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045B1
KR101234045B1 KR1020060047239A KR20060047239A KR101234045B1 KR 101234045 B1 KR101234045 B1 KR 101234045B1 KR 1020060047239 A KR1020060047239 A KR 1020060047239A KR 20060047239 A KR20060047239 A KR 20060047239A KR 101234045 B1 KR101234045 B1 KR 10123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port
filt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680A (ko
Inventor
안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04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8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신호 송수신부, 스위치부, 듀플렉서, 스위치 제어부, 스위치, 포트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 식의 제 1 송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1 수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2 송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e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2 수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이하 'F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동시에 적용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듀플렉싱(duplexing) 방식을 사용하며, 이와 같은 듀플렉싱 방식은 크게 시간을 기준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듀플렉싱하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과 주파수를 기준으로 업링크(UL: uplink) 및 다운링크(DL: downlink) 전송을 듀플렉싱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TDD 방식은 시간을 사용하는 듀플렉싱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업링크와 다운링크의 주파수는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업링크 시구간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다운링크 시구간을 미리 구분하여 놓고, 상기 업링크 시구간에서는 업링크 신호만을 송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시구간에서는 다운링크 신호만을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하기에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의 신호 송수신부는 신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송신부와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101), 스위치부(103),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105),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07)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101)는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에 포함되며, 기저대역으로부터 무선 처리를 수행한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상기 전력 증폭기(101)는 상 기 수신 신호들을 최종단에서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로 내보낼 수 있도록 전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107)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 포함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저잡음 증폭기(107)는 무선 채널 상의 잡음이 섞여 있는 상기 수신 신호를 잡음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107)의 출력 신호를 무선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수신부는 수신 신호를 복원한다.
상기 대역 통과 필터(105)는 송신부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 즉, 주파수만 정확히 송신하도록 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 중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신호 즉 주파수만 정확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TDD 방식의 송수신기는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에 따라서 송수신용 대역 필터 즉, 대역 통과 필터(105)를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만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스위치부(103)를 통해서 스위칭된다.
상기 FDD 방식은 상기 TDD 방식과 달리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업링크와 다운링크가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듀플렉싱 되는 방식이며, 상기 FDD 방식을 적용한 장치의 구조를 하기에 도 2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또한 신 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송신부와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201), 듀플렉서(205), 저잡음 증폭기(203)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201)는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에 포함되며, 기저대역으로부터 무선 처리를 수행한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상기 전력 증폭기(201)는 상기 수신 신호들을 최종단에서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로 내보낼 수 있도록 전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203)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 포함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저잡음 증폭기(203)는 무선 채널 상의 잡음이 섞여 있는 상기 수신 신호를 잡음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203)의 출력 신호를 무선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수신부는 수신 신호를 복원한다.
상기 듀플렉서(205)는 하나의 안테나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함께 사용하면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205)는 송신과 수신에 따른 송수신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각 송수신 경로 구분을 위해서 내부에 송신 대역 통과 필터(Tx BPF)(207)와 수신 대역 통과 필터(Rx BPF)(209)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DD 방식과 FDD 방식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다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TDD 방식과 FDD 방식을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기들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신호 송수신 기에서 하드웨어 구조가 변경되어야만 통신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서큘레이터부와, 포트의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이하 'F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모두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 송수신부와, 듀플렉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와 듀플렉서 사이의 스위치부를 사용하여 상기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TDD 방식과 FDD 방식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적용 가능한 다른 신호 송수신 방식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큘레이터(circulator)와 임피던스 매칭부(impedance matching part)의 특성을 사용한 상기 스위치부의 구조를 제안하며, 상기한 스위치부를 통해서 상기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큘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세 개의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서큘레이터의 포 트들 중에서 한 포트가 오픈(open) 즉, 무한대의 임피던스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큘레이터는 상기 무한대의 임피던스 값을 갖는 포트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며, 상기 서큘레이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음 방향에 위치한 포트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일예로, 사분 파장 무선 라인(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1
RF Line, 이하 '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2
RF Line'라 칭하기로 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단락 여부에 따라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한쪽이 단락(short)되는 경우 반대쪽은 오픈(open)되고, 한쪽이 오픈 상태가 되면 반대쪽은 단락되어 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특성을 가진 상기 서큘레이터와 임피던스 매칭부를 사용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서큘레이터와 임피던스 매칭부의 동작을 스위치를 통해서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 모놀리식 집적 회로(MMIC: Micro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의 일종인 단일 폴 이중 쓰로우(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이하 'SPDT'라 칭하기로 한다) 스위치, 단일 폴 단일 쓰로우(SPST: Single Pole Single Throw, 이하 'SPST'라 칭하기로 한다)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PIN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기에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TDD 방식과 FDD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 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301), 스위치부(305),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307),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303)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송신부와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301)를 포함하며, 송신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303)를 포함하며, 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301)는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에 포함되며, 기저대역으로부터 무선 처리를 수행한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상기 전력 증폭기(301)는 상기 수신 신호들을 최종단에서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로 내보낼 수 있도록 전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303)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 포함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저잡음 증폭기(303)는 무선 채널 상의 잡음이 섞여 있는 상기 수신 신호를 잡음이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303)의 출력 신호를 무선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수신부는 수신 신호를 복원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하나의 안테나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함께 사용하면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1 필터(309)와 제 2 필터(311)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의 송수신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만약 제 1 필터(309)가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면, 또 다른 필터인 제 2 필터(311)는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나의 필터 즉, 제 1 필터(309) 또는 제 2 필터(311)를 통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필터링한다.
상기 스위치부(305)는 4개의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307)의 제 1 필터(309)에 연결된 제 3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307)의 제 2 필터(311)에 연결된 제 4 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05)는 스위치 제어부(switch controller)(351), 제 1 스위치(switch)(353), 제 2 스위치(355), 임피던스 매칭부(357), 서큘레이터(359)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351)는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등의 신호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치(353)와 제 2 스위치(355)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부(351)가 결정한 신호 송수신 방식이 FDD 방식인 경우의 신호 송수신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3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3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서큘레이터(359)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 포트로의 경로를 제 1 경로라 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3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두 번째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필터(311)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305)의 제 4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305)는 상기 제 4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1 스위치(353)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4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포트로의 경로를 제 2 경로라 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FDD 방식에 반해 상기 TDD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에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307)의 제 1 필 터(309) 또는 제 2 필터(3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1 필터(309)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의 송신 신호의 흐름은 상기 FDD 방식의 신호 송신 경로와 동일하다.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3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3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서큘레이터(359)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 포트로의 경로는 상기 FDD 방식의 신호 송신과 같이 제 1 경로가 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3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네 번째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1 필터(3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3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305)의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305)는 상기 제 3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서큘레이터(359), 임피던스 매칭부(357), 제 1 스위치(353)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포트로의 경로를 제 3 경로라 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상기 서큘레이터(359), 임피던스 매칭부(357), 제 1 스위치(353)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상기 제 2 포트의 경로 상에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351)는 상기 제 2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4 포트 또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제 3 포트)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353)와, 상기 제 1 스위치(353)와 임피던스 매칭부(357) 사이에 위치하여 접지단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2 스위치(355)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스위치(353)와 제 2 스위치(355)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한 제 1 스위치(353)는 상기 제 4 포트 또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를 스위칭하기 위해서 일예로 SPDT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스위치(355)는 일예로 SPST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부(351)의 제어를 받는 상기 스위치들의 동작을 하기에 표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3
상기 FDD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스위치(353)는 제 4 포트로 스위칭하고, 제 2 스위치(355)는 온(ON)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제 1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TDD 방식을 살펴보면, 스위치의 동작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Tx Mode)인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Rx Mode)인지에 따라서 스위치들이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353)는 제 4 포트로 스위칭되고, 제 2 스위치(355)는 온(ON)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반해 상기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353)는 임피던스 매칭부(357)로 스위칭되고, 제 2 스위치(355)는 오프(OFF)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3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351)가 상기 제 1 스위치(353)와 제 2 스위치(355)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신호와 수신 신호간에 신호의 누설을 방지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기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기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수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401), 스위치부(405), 대역 통과 필터(407), 저잡음 증폭기(403)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송신부와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401)를 포함하며, 송신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403)를 포함하며, 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401), 상기 저잡음 증폭기(403)은 각각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수신부에 포함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내용은 하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하나의 안테나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함께 사용하면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1 필터(409)와 제 2 필터(411)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의 송수신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만약 제 1 필터(409)가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면, 또 다른 필터인 제 2 필터(411)는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나의 필터 즉, 제 1 필터(409) 또는 제 2 필터(411)를 통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필터링한다.
상기 스위치부(405)는 4개의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407)의 제 1 필터(409)에 연결된 제 3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407)의 제 2 필터(411)에 연결된 제 4 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405)는 스위치 제어부(451), 제 1 스위치(459), 제 2 스위치(455), 임피던스 매칭부(457), 제 1 서큘레이터(461), 제 2 서큘레이터(453)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451)는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등의 신호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치(459)와 제 2 스위치(455)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부(451)가 결정한 신호 송수신 방식이 FDD 방식인 경우의 신호 송수신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4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4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461)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 포트로의 경로를 제 1 경로라 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4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두 번째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필터(411)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405)의 제 4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405)는 상기 제 4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서큘레이터(453)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4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포트로의 경로를 제 2 경로라 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FDD 방식에 반해 상기 TDD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에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407)의 제 1 필터(409) 또는 제 2 필터(4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1 필터(409)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의 송신 신호의 흐름은 상기 FDD 방식의 신호 송신 경로와 동일하다.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4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4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461)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 포트로의 경로는 상기 FDD 방식의 신호 송신과 같이 제 1 경로가 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4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네 번째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1 필터(4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4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405)의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405)는 상기 제 3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1 서큘레이터(461), 임피던스 매칭부(457), 제 2 서큘레이터(453)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포트로의 경로를 제 3 경로라 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 서큘레이터(461), 임피던스 매칭부(457), 제 2 서큘레이터(453)는 상기 제 3 경로 상에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451)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461)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457) 사이에 위치하여 접지단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1 스위치(459)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457)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453) 사이에 위치하여 접지단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 2 스위치(455)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스위치(459)와 제 2 스위치(45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위치(459)와 제 2 스위치(455)는 일예로 SPST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부(451)의 제어를 받는 상기 스위치들의 동작을 하기에 표 2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4
상기 FDD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제 1 스위치(459)는 온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스위치(455)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제 1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TDD 방식을 살펴보면, 스위치의 동작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인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인지에 따라서 스위치들이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459)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스위치(455)는 온(ON)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반해 상기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459)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스위치(455)는 오프(OFF)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3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451)가 상기 제 1 스위치(459)와 제 2 스위치(455)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신호와 수신 신호간에 신호의 누설을 방지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기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기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송수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501), 스위치부(505), 대역 통과 필터(507), 저잡음 증폭기(503)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송신부와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501)를 포함하며, 송신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503)를 포함하며, 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501), 상기 저잡음 증폭기(503)은 각각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수신부에 포함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내용은 하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하나의 안테나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함께 사용하면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1 필터(509)와 제 2 필터(511)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의 송수신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만약 제 1 필터(509)가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면, 또 다른 필터인 제 2 필터(511)는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나의 필터 즉, 제 1 필터(509) 또는 제 2 필터(511)를 통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필터링한다.
상기 스위치부(505)는 4개의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507)의 제 1 필터(509)에 연결된 제 3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507)의 제 2 필터(511)에 연결된 제 4 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505)는 스위치 제어부(551), 스위치(557),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9), 제 2 임피던스 매칭부(555), 제 1 서큘레이터(561), 제 2 서큘레이터(553)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551)는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등의 신호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557)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부(551)가 결정한 신호 송수신 방식이 FDD 방식인 경우의 신호 송수신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5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5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561)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 포트로의 경로를 제 1 경로라 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5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두 번째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필터(511)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505)의 제 4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505)는 상기 제 4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서큘레이터(553)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4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포트로의 경로를 제 2 경로라 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FDD 방식에 반해 상기 TDD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신과 수신에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507)의 제 1 필터(509) 또는 제 2 필터(5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1 필터(509)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의 송신 신호의 흐름은 상기 FDD 방식의 신호 송신 경로와 동일하다.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5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5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561)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 포트로의 경로는 상기 FDD 방식의 신호 송신과 같이 제 1 경로가 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5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네 번째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1 필터(5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5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505)의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505)는 상기 제 3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1 서큘레이터(561),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9),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5), 제 2 서큘레이터(553)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포트로의 경로를 제 3 경로라 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 서큘레이터(561),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9),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5), 제 2 서큘레이터(553)는 상기 제 3 경로 상에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차례로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551)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9)와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555) 사이에 위치하여 접지단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557)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557)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557)는 일예로 SPST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부(551)의 제어를 받는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하기에 표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5
상기 FDD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스위치(557)는 온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제 1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TDD 방식을 살펴보면, 스위치의 동작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인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인지에 따라서 스위치가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스위치(557)는 온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반해 상기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스위치(557)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3 경로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551)가 상기 스위치(557)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신호와 수신 신호간에 신호의 누설을 방지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기에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기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송수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601), 스위치부(605), 대역 통과 필터(607), 저잡음 증폭기(603)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의 송신을 담당하는 송신부와 신호의 수신을 담당하는 수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601)를 포함하며, 송신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603)를 포함하며, 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601), 상기 저잡음 증폭기(603)은 각각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수신부에 포함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내용은 하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듀플렉서(607)는 하나의 안테나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함께 사용하면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607)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1 필터(609)와 제 2 필터(611)를 포함한다.
상기 주파수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의 송수신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만약 제 1 필터(609)가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면, 또 다른 필터인 제 2 필터(611)는 수신 신호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나의 필터 즉, 제 1 필터(609) 또는 제 2 필터(611)를 통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필터링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4개의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607)의 제 1 필터(609)에 연결된 제 3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607)의 제 2 필터(611)에 연결된 제 4 포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605)는 스위치 제어부(651), 제 1 서큘레이터(667),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9),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 제 2 서큘레이터(657),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 제 1 스위치(671), 제 2 스위치(663), 제 3 스위치(653), 제 4 스위치(661)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651)는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등의 신호 송수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스위치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위치(671), 제 2 스위치(663), 제 3 스위치(653), 제 4 스위치(661)들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한 스위치들을 사용하여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4개의 경로를 구성하고, 상기 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 상응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3포트의 제 1 경로와,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4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2 포트의 제 2 경로와, 상기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3 포트에서 상기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제 2 포트의 제 3 경로와,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포트에서 상기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제 4 포트의 제 4 경로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경로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는 신호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서큘레이터(667),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9)를 통해서 출력된다.
상기 제 2 경로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신호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 상기 제 2 서큘레이터(657), 상기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를 통해서 출력된다.
상기 제 3 경로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5), 제 1 서큘레이터(667),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 제 2 서큘레이터(657),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 4 경로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는 제 1 서큘레이터(667),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 제 2 서큘레이터(657),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671)는 제 3 포트와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9) 사이에 접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663)는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657) 사이에 접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3 스위치(653)는 상기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와 상기 제 2 포트 사이에 접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4 스위치(661)는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 사이에 접지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스위치 제어부(651)의 동작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스위치들은 일예로 SPST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하기에서는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상기 도 6의 신호 송수신 장치가 신호 송수신 기법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가 결정한 신호 송수신 방식이 FDD 방식인 경우의 송수신 신호의 흐름이 나타나있다.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6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667),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9)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듀플렉서(6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6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듀플렉서(6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필터(611)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6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605)의 제 4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제 4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657), 상기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605) 내부에서 송신 신호는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서 송신되고,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67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위치(663)는 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스위치(653)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스위치(66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2 스위치(663)만이 온 동작하여 상기 제 2 스위치가(663)이 접지단에 접지(ground)되면,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로 인해서 상기 제 2 포트에서는 오픈 상태로 보이므로 누설 되는 송신 신호가 신호 수신 경로로 입력되지 않는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1 송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TDD 방식은 상기 FDD 방식에 비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607)의 제 1 필터(609) 또는 제 2 필터(6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1 필터(609)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6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667),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71)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듀플렉서(6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6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605) 내부에서 송신 신호는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서 송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67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위치(663)는 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스위치(653)는 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스위치(66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스위치(663)와 상기 제 3 스위치(653)를 온동작하여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와, 상기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3)으로 인해 상기 송신 신호는 신호 수신 경로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1 수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TDD 방식은 상기 FDD 방식에 비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607)의 제 1 필터(609) 또는 제 2 필터(6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1 필터(609)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듀플렉서(6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1 필터(6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6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605)의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제 3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9)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667),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 상기 제 2 서큘레이터(657),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605) 내부에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3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제 1 수신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67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위치(663)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스위치(653)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스위치(661)는 온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 4 스위치(661)만을 온 동작하도록하여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에서 제 2 서큘레이터(657)로 유입되는 경로가 오픈 상태가 되어 수신 신호는 수신 경로로 들어가게 된다. 시분할 시스템에서 수신 모드에서는 송신 신호가 없고 전력 증폭기 등을 오프 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므로 송수신 경로간 고립(isolation) 특성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2 송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TDD 방식은 상기 FDD 방식에 비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607)의 제 1 필터(609) 또는 제 2 필터(6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2 필터(611)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송신부는 송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605)의 제 1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송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 1 서큘레이터(667),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665), 상기 제 2 서큘레이터(657)상기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를 통해서 상기 제 3 포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듀플렉서(607)는 상기 제 3 포트에서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필터(609)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 후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605) 내부에서 송신 신호는 상기 제 4 경로를 통해서 송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671)는 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위치(663)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스위치(653)는 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스위치(66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제 1 스위치(671)와 제 3 스위치(653)를 온 동작하여 제 1 임피던스 매칭부(669)로 인해 송신 신호는 제 1 서큘레이터(667)과 제 2 서큘레이터(657)로 전송되어 서큘레이터 방향 특성을 따라 제 4 경로가 생성된다. 제 3 스위치는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는 누설 송신 전력이 수신 경로로 입력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7e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의 제 2 수신 모드 동작에 따른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e를 참조하면, 상기 TDD 방식은 상기 FDD 방식에 비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두개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607)의 제 1 필터(609) 또는 제 2 필터(6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상기 제 2 필터(611)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듀플렉서(607)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필터(611)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607)는 상기 필터링을 수행한 수신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605)의 제 4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605)는 상기 제 4 포트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상기 제 4 임피던스 매칭부(659)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657), 상기 제 3 임피던스 매칭부(655)를 통해서 제 2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2 포트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605) 내부에서 수신 신호는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서 수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제 1 수신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67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위치(663)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스위치(653)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4 스위치(661)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들을 모두 오프 상태로 두어 수신 신호가 제 1 서큘레이터(667)과 제 2 서큘레이터(657)를 통해 수신 경로로 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이 경우도 수신모드에서는 송신 신호가 없고 전력 증폭기를 오프 시키는 등의 조치로 인해 송수신 경로간 고립(isolation)특성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써큘레이터 특성으로 최소한의 격리도는 갖게된다.
따라서 상기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부(651)의 제어를 받는 상기 스위치들의 동작을 하기에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6
상기 FDD 방식의 스위치들의 동작과, 상기 제 1 필터(609)를 사용하는 TDD 방식의 제 1 송신 모드의 스위치들의 동작, 상기 제 1 필터(609)를 사용하는 TDD 방식의 제 1 수신 모드의 스위치들의 동작, 상기 제 2 필터(611)를 사용하는 TDD 방식의 제 2 송신 모드의 스위치들의 동작, 상기 제 2 필터(611)를 사용하는 TDD 방식의 제 2 수신 모드의 스위치들의 동작을 상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에서 송수신 경로간에 큰 고립도(isolation)을 갖도록 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의 변경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구조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로 시스템 방식을 변경하여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 변경시 제작비용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8)

  1.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과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기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사용하는 신호 송수신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서큘레이터부와, 포트의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임피던스 매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은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 또는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주파수에 상응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대역 통과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에 연결된 제 1 포트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듀플렉서의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에 연결된 제 2 포트를 통해 출력하도록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는 송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와,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에 상응하는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에 연결된 제 1 포트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제 1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로 출력하도록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듀플렉서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필터와 연결된 제 4 포트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에 연결된 제 2 포트를 통해 출력하도록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 1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 그리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서큘레이터부와,
    상기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 2 포트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 2 필터와 연결된 제 4 포트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연결된 제 1 스위치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1 스위치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사분파장(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7
    ) 무선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단일 폴 이중 쓰로우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단일 폴 단일 쓰로우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상기 제 4 포트와 제 2 포트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ON)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3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수신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오프(OFF)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 1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 그리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포트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 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 2 필터와 연결된 제 4 포트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2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서큘레이터부와,
    상기 제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사분파장(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8
    ) 무선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단일 폴 단일 쓰로우 스위치 또는 핀 다 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오프 동작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3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동작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장치는 신호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를 모두 오프 동작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 1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 그리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2 필터와 연결된 제4 포트와, 제2 임피던스 매칭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2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서큘레이터부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 2 포트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2 포트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와,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들은 사분파장(
    Figure 112006036902730-pat00009
    ) 무선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단일 폴 단일 쓰로우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3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송신부와 연결된 제 1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 1 필터와 연결된 제 3 포트, 그리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의 수신부와 연결된 제 2 포트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듀플렉서의 제2 필터와 연결도니 제4 포트와, 제2 임피던스 매칭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2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서큘레이터부와,
    상기 제 3 포트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 2 포트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2 포트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3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 사이에서 단락 여부에 따라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4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1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3 포트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2 서큘레이터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2 포트와 상기 제 4 서큘레이터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3 스위치와,
    상기 제 3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제 4 포트 사이에서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4 스위치와,
    상기 신호 송수신 방법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들은 사분파장(
    Figure 112006036902730-pat00010
    ) 무선 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단일 폴 단일 쓰로우 스위치 또는 핀 다이오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4.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3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4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6.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3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3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3 스위치 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4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8.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3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4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9.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 방식이 상기 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4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제 4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50.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송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온 동작 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3 스위치를 온 동작하여 접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4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51.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신호 수신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3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 4 스위치를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KR1020060047239A 2006-05-25 2006-05-25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3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39A KR101234045B1 (ko) 2006-05-25 2006-05-25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39A KR101234045B1 (ko) 2006-05-25 2006-05-25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680A KR20070113680A (ko) 2007-11-29
KR101234045B1 true KR101234045B1 (ko) 2013-02-15

Family

ID=3909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239A KR101234045B1 (ko) 2006-05-25 2006-05-25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406B2 (en) * 2013-07-19 2018-04-17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comprising a transceiver capable of removing self-interference and method therefor
KR102197339B1 (ko) * 2014-02-12 2020-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드 전환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
WO2023022262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299A (ja) 1996-09-09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時分割多重fdd/tddデュアルモード無線機および時分割多重tddデュアルバンド無線機
US20010021178A1 (en) 1998-05-08 2001-09-13 Barabash Darrell W. Filtering method to allow FDD and TDD operation in PCS transreceivers
KR20040078699A (ko) * 2002-02-20 2004-09-1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모바일 멀티모드 단말기와 그 단말기에 사용하기 위한송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0715A (ko) * 2003-04-11 2005-12-22 에프코스 아게 무선 전송 시스템용 프론트엔드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299A (ja) 1996-09-09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時分割多重fdd/tddデュアルモード無線機および時分割多重tddデュアルバンド無線機
US20010021178A1 (en) 1998-05-08 2001-09-13 Barabash Darrell W. Filtering method to allow FDD and TDD operation in PCS transreceivers
KR20040078699A (ko) * 2002-02-20 2004-09-1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모바일 멀티모드 단말기와 그 단말기에 사용하기 위한송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0715A (ko) * 2003-04-11 2005-12-22 에프코스 아게 무선 전송 시스템용 프론트엔드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680A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7337B2 (ja) 減衰補償に用いるモジュール式回路装置
US10135482B2 (en) Wireless transceiver with remote frontend
US9853802B2 (en) Radio frequency circuit and mobile terminal
KR100966518B1 (ko) 다중 대역 이동 단말기들을 위한 다목적 rf 프론트-엔드
US9413416B2 (en) Transmit and receive RF multiplexer
US9287918B2 (en) High-frequency front-end circuit
EP0923811B1 (en) Circulator usage in time division duplex radios
US10111115B2 (en) Front end system with lossy transmission line between front end module and transceiver
US20040204037A1 (en) RF front-end for dual-band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N102404021A (zh) 双工放大模块、射频前端模块和多模终端
US20180123621A1 (en) Multi-mode multi-band transceiver,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radio frequency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014041A (ko) 스위칭 유닛을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애플리케이션
GB2396273A (en) RF front end for dual band wireless transceiver module
JP5638468B2 (ja) 信号切替装置
US20230344451A1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13138A (ko) 복수 방식을 지원하는 증폭기 및 그 증폭 방법
US7729448B2 (en) Frontend module having two inputs for the reception of transmitted signals
KR10123404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601781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noise in wireless transceiver
US9843342B2 (en) Tunable RF transmit/receive multiplexer
CN112929039B (zh) 一种高频模块及通信装置
JP2002016448A (ja) 無線周波数増幅器回路及び受信チェーン回路
KR10124987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80108546A (ko) 송수신기에서의 수신 방법, 수신기, 송수신기 및 집적 회로
KR100854189B1 (ko) 프론트엔드 모듈 및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