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753B1 - 레이저 조사기 - Google Patents

레이저 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753B1
KR101233753B1 KR1020110016933A KR20110016933A KR101233753B1 KR 101233753 B1 KR101233753 B1 KR 101233753B1 KR 1020110016933 A KR1020110016933 A KR 1020110016933A KR 20110016933 A KR20110016933 A KR 20110016933A KR 101233753 B1 KR101233753 B1 KR 10123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ose
insertion tube
laser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620A (ko
Inventor
양계모
이덕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웰
Priority to KR102011001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753B1/ko
Priority to PCT/KR2011/003568 priority patent/WO2011142632A2/ko
Publication of KR2012009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조사기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삽입관내로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되는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몸체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체의 미관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의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 내부와 연통되는 안내공 또는 안내홈을 통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이 코 내부에 삽입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를 상기 몸체의 상부에 보다 간편하게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삽입관 내로 유입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의 세척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조사기{LASER IRRADIATO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삽입관내로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되는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몸체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체의 미관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의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 내부와 연통되는 안내공 또는 안내홈을 통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이 코 내부에 삽입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를 상기 몸체의 상부에 보다 간편하게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삽입관 내로 유입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의 세척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레이저 조사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된 레이저 의료장비는 대부분 고출력으로 이루어졌으나, 요즘의 레이저 치료기는 저출력 레이저 치료(Low Level Laser Therapy, LLLT)라는 치료 기술을 이용하여,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와 임상실험이 진행 중이며, 이를 이용한 치료법과 의료 장비가 개발 및 상용화되어 대중화 되어있다.
그 중에서도 반도체를 이용한 저출력 레이저 치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저출력 레이저는 조직 혈류 미세순환 구조에 영향을 주며, 피부 혈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세포분열 촉진효과, 세포활성 효과, 면역세포에 대한 효과, 항염증 효과, 혈류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관련 분야에서 이미 임상실험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치료에 쓰이는 레이저의 파장은 가시광선, 적외선 등에 이르기까지 넓은 파장 영역에서 쓰이고 있으며, 각각 파장마다 치료의 효과와 영역이 다른 것이 사실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많은 보고에서 단일 파장으로 치료를 하는 것보다 복수개의 파장으로 치료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다수 발표되었다.
한편, 비염의 대표적인 원인은 콧속 비강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질환 부위가 콧속에 있다.
비염의 레이저 치료는 질환의 원인인 비강점막 염증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치료하는 것인데, 기존의 코 삽입형 비염치료기는 레이저 치료기를 코 내부에 삽입, 조사할 때 코 내부를 전체적으로 폐쇄하게 되어 호흡을 불편해지게 되어 착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레이저 치료기를 항상 파지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치료기의 레이저 조사부를 코 내부에 삽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치료기의 레이저 조사부가 사용자의 코 내부로 레이저를 장시간 조사할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레이저 치료기를 장시간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비염등을 포함한 코질환을 보다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고, 특히 비염 등을 포함한 코질환을 치료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음은 물론 착용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부에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부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부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들숨, 날숨에 의해 방열부와 레이저다이오드부의 온도를 보다 용이하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몸체를 항상 파지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하면서 비염 등을 포함한 코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가 국내등록특허 10-097798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를 사용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코의 내부에 발생되는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몸체의 외주면으로 흘러내려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미관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삽입관내로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되는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몸체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체의 미관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의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 내부와 연통되는 안내공 또는 안내홈을 통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이 코 내부에 삽입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를 상기 몸체의 상부에 보다 간편하게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삽입관 내로 유입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의 세척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레이저 조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 내부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삽입관과 연통되는 안내공 또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측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걸림부내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고정부에 상기 걸림고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되어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와 연결되는 상측이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되고, 하측이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전원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원케이블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상측이 상기 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연결되는 일측 전원케이블과; 사용자의 귀 부위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상측이 상기 몸체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에 연결되는 타측 전원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의 하측과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의 하측을 사용자의 턱 하부면에 밀착고정 또는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삽입관내로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되는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몸체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체의 미관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의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 내부와 연통되는 안내공 또는 안내홈을 통해 상기 삽입부의 삽입관이 코 내부에 삽입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부를 상기 몸체의 상부에 보다 간편하게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삽입관 내로 유입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의 세척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레이저 조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몸체에서 삽입부가 분리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고정부의 걸림고정대가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걸림고정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고정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고정부가 사용자의 후두를 감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고정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전원케이블의 전단부가 레이저 조사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고정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도 16 및 도 17의 고정부가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레이저 조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몸체(10)에서 삽입부(30)가 분리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레이저 조사기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레이저 조사부(20) 및 삽입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 구비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는 사용자의 코 내부의 비염 등을 포함한 질환부위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질환부위를 치료하게 된다.
상기 몸체(10)와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는 국내등록특허 10-0977985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의 상측 내부 일측과 상측 내부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의 코 내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삽입부(30)내로 유입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의 외주면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상기 몸체(10)의 상측 내부 일측과 상측 내부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경우,
상기 몸체(10)는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일체형성되는 하부몸체(10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00)는 상부판(도 7의 100a)과 측판(도 7의 10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00a)은 투명재질의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판(100b)은 상기 상부판(100a)의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판(100a)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100b)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몸체(101)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일체형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01)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01)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는 상기 측판(100b)의 내측에 형성되는 하측이 개방된 수용공간(100c)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삽입관(310), 하부판(320) 및 측판(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관(310)은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측 삽입관(311) 및 타측 삽입관(3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310)의 상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경우,
상기 삽입관(310)의 내부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각각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삽입관(31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는 사용자의 코 내부의 비염 등을 포함한 질환부위로 레이저를 조사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의 상부몸체(100)내에 수용될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조사하는 레이저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투명재질의 상기 상부판(100a)과 상기 삽입관(310)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310)은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하부판(320)은 상기 삽입관(310)의 하부에 수평구비된다.
상기 하부판(320)의 상부면 일측에 상기 일측 삽입관(311)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320)의 상부면 타측에 상기 타측 삽입관(312)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330)은 상기 하부판(320)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3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측판(33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사용자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측판(330)의 표면에는 상기 삽입관(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안내공(331) 또는 안내홈(33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331)은 원형형상 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332)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사각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332)은 상기 측판(3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사용자의 호흡에 필요한 상기 몸체(10)의 외부공기는 상기 안내공(331) 또는 상기 안내홈(332)을 지나 상기 삽입관(310) 내부를 각각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면 중심부와 후면 중심부에는 각각 걸림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0)는 전측 걸림부(111)와 후측 걸림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걸림부(111)의 일단부와 상기 전측 걸림부(111)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10)의 전면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몸체(10)의 전면 중심부에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걸림부(112)의 일단부와 상기 후측 걸림부(112)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10)의 후면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몸체(10)의 후면 중심부에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0)의 전면 중심부와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0)의 후면 중심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내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340)가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340)는 상기 전측 걸림고정부(341)와 후측 걸림고정부(3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걸림고정부(341)는 전측걸림고정판(341a)과 전측걸림돌기(34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고정판(341a)의 상측은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0)의 전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고정판(341a)의 하측은 상기 전측 걸림부(111)의 내측에 사용자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돌기(341b)는 상기 전측걸림고정판(341a)의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전측걸림고정판(341a)의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돌기(341b)는 단면형상이 역직각삼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돌기(341b)의 상부면은 상기 전측 걸림부(111)의 하부면 중심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전측 걸림부(111)의 하부면 중심부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걸림고정부(342)는 후측걸림고정판(342a)과 후측걸림돌기(34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고정판(342a)의 상측은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0) 후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고정판(342a)의 하측은 상기 후측 걸림부(112)의 내측에 사용자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돌기(342b)는 상기 후측걸림고정판(342a)의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후측걸림고정판(342a)의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돌기(342b)는 단면형상이 역직각삼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돌기(342b)의 상부면은 상기 후측 걸림부(112)의 하부면 중심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후측 걸림부(112)의 하부면 중심부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면 중심부와 후면 중심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110)와,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0)의 전면 중심부와 후면 중심부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10)내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상기 걸림고정부(34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30)를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보다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고정부(340)에는 상기 걸림고정부(3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50)가 일체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50)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상 등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50)는 전측돌기(351)와 후측돌기(3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돌기(351)는 상기 걸림고정부(340)의 전측 걸림고정부(341)의 전측걸림고정판(341a)의 중심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돌기(352)는 상기 걸림고정부(340)의 후측 걸림고정부(342)의 후측걸림고정판(342a)의 중심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34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기(350)는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와 접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부(34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기(350)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걸림부(110)에 상기 걸림고정부(340)를 걸림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걸림고정부(340)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2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30)의 하부면이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 내부에서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은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내로 유입되어 상기 돌출턱(1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코 내부에서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안내공(331) 또는 상기 안내홈(332)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고정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고정부(40)의 걸림고정대(420)가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되어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된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을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는 각각 상기 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측 연결관(도 1, 도 2, 도 4, 도 6의 610)과 타측 연결관(도 1, 도 2, 도 4, 도 6의 620)으로 구성되는 연결관(도 1, 도 2, 도 4, 도 6의 6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60)의 일측 연결관(610)과 타측 연결관(6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60)의 일측 연결관(610)의 상부외주면과 하부외주면 및 상기 연결관(60)의 타측 연결관(620)의 상부외주면과 하부외주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상하측이 개방된 일측 가이드슬릿(도 1, 도 2, 도 4, 도 6의 611) 및 타측 가이드슬릿(612)으로 구성되는 가이드슬릿(6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는 연결대(410)와 걸림고정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대(410)는 사용자의 얼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연결대(411) 및 타측 연결대(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연결대(411)의 전단부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연결대(411)는 제 1일측 연결대(411a), 제 2일측 연결대(411b), 일측 가이드판(411c) 및 일측 가이드돌기(411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연결대(411a)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연결대(411b)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연결대(411b)의 일단부는 상기 제 1일측 연결대(411a)의 전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판(411c)은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판(411c)은 상기 제 2일측 연결대(411b)의 타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판(411c)은 상기 연결관(60)의 일측 연결관(610)내에 사용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돌기(411d)는 상기 일측 가이드판(411c)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돌기(411d)는 상기 일측 가이드슬릿(61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대(412)의 전단부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대(412)는 제 1타측 연결대(412a), 제 2타측 연결대(412b), 타측 가이드판(412c) 및 타측 가이드돌기(412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연결대(412a)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연결대(412b)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연결대(412b)의 타단부는 상기 제 1타측 연결대(412a)의 전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판(412c)은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판(412c)은 상기 제 2타측 연결대(412b)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판(412c)은 상기 연결관(60)의 타측 연결관(620)내에 사용자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돌기(412d)는 상기 타측 가이드판(412c)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돌기(412d)는 상기 타측 가이드슬릿(612)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대(420)는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사용자의 귀부위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일측 걸림고정대(421) 및 타측 걸림고정대(4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걸림고정대(421)와 타측 걸림고정대(422)는 각각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걸림고정대(421)의 상부 전측은 상기 연결대(410)의 일측 연결대(411)의 제 1일측 연결대(411a)의 후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걸림고정대(422)의 상부 전측은 상기 연결대(410)의 타측 연결대(412)의 제 1타측 연결대(412a)의 후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코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이 사용자의 코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410)의 후단부에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상부를 축결합시키는 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50)는 고정볼트(510)와 너트(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10)는 상기 연결대(410)의 후단부와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상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520)는 상기 고정볼트(51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볼트(510)는 일측 고정볼트(511)와 타측 고정볼트(5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볼트(511)는 상기 연결대(410)의 일측 연결대(411)의 제 1일측 연결대(411a)의 후단부와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일측 걸림고정대(421)의 상부 전측을 수평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볼트(512)는 상기 연결대(410)의 타측 연결대(412)의 제 1타측 연결대(412a)의 후단부와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타측 걸림고정대(422)의 상부 전측을 수평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520)는 일측 너트(521)와 타측 너트(5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너트(521)는 상기 일측 고정볼트(51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일측 연결대(411a)의 후단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너트(522)는 상기 타측 고정볼트(512)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기 제 1타측 연결대(412a)의 후단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50)를 통해 상기 연결대(410)의 후단부에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상부가 보다 용이하게 축결합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1은 걸림고정대(420)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너트(520)의 밀착고정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상부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하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하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후 사용자는 상기 너트(520)를 사용하여 하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도 10의 실선화살표 참조.)된 상태인 상기 걸림고정대(420)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고정대(420)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하부를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하부방향으로 원을 그리듯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걸림고정대(420)는 상기 연결대(410)의 후단부를 사용자의 귀부위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도 10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로 인해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이 사용자의 코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상기 몸체(10)는 사용자의 인중부위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걸림고정대(420)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하부를 상기 걸림고정대(420)의 상부방향으로 원을 그리듯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걸림고정대(420)는 상기 연결대(410)의 후단부를 사용자의 귀전방방향으로 밀게 되고(도 10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로 인해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이 사용자의 코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상기 몸체(10)는 사용자의 인중부위에 약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고정대(420)를 통해 사용자의 인중부위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10)의 밀착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2는 고정부(4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고정부(40)가 사용자의 후두를 감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는 연성재질의 'C'형상의 케이블(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430)의 전단부 일측과 전단부 타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430)의 전단부 일측과 전단부 타측에는 각각 앞서 상술한 외주면에 상기 일측 가이드돌기(411d)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일측 가이드판(411c) 및 외주면에 상기 타측 가이드돌기(412d)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타측 가이드판(412c)가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430)의 후단부는 사용자의 후두를 감싼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인중부위에 상기 몸체(10)가 보다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4는 고정부(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전원케이블(440)의 전단부가 레이저 조사부(20)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케이블(440)은 제 1전원케이블(441)과 제 2전원케이블(4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전원케이블(441)은 'C'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전원케이블(441)의 전단부 일측과 전단부 타측은 각각 상기 몸체(10)의 일측 연결관(610) 내부와 타측 연결관(62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원케이블(441)의 후단부는 사용자의 후두를 감싼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원케이블(442)의 전단부는 상기 제 1전원케이블(441)의 후단부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원케이블(442)의 후단부는 배터리 등을 포함한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전원은 상기 제 2전원케이블(442), 상기 제 1전원케이블(441)을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레이저 조사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고정부(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도 16 및 도 17의 고정부(40)가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케이블(440)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40)의 상측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원케이블(440)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40)의 하측은 도 18 및 도 19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으로 흘러내린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케이블(440)은 일측 전원케이블(443)과 타측 전원케이블(4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의 상측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일측 연결관(61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444)의 상측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타측 연결관(62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7, 도 18의 a), 도 1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의 하측과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444)의 하측을 사용자의 턱 하부면에 밀착고정 또는 도 18의 b) 및 도 1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0)를 사용하여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의 하측과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444)의 하측을 사용자의 턱 하부면에 각각 보다 용이하게 밀착고정 또는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20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부재(70)로써,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과 타측 케이블(444)의 하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과 타측 케이블(444)의 길이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공지된 케이블 타이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과 타측 케이블(444)의 하측을 사용자의 턱 하부면에 밀착고정 또는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70)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C'형상의 일측 상하이동부재(710)와, 'C'형상의 타측 상하이동부재(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하이동부재(710)는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을 감싼 상태로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의 길이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사용자의 턱 하부면과 접하거나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 방향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상하이동부재(720)는 상기 일측 상하이동부재(7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상하이동부재(720)는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444)을 감싼 상태로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444)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여 사용자의 턱 하부면과 접하거나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 방향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내로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되는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 내부에 발생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릴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몸체(10)의 외관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30)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안내공(331) 또는 안내홈(332)을 통해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이 코 내부에 삽입된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삽입부(30)를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안착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삽입관(310)내로 유입된 콧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의 세척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몸체, 20; 레이저조사부,
30; 삽입부.

Claims (7)

  1. 몸체(10)와;
    사용자의 코 내부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레이저조사부(20)와;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되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삽입관(310)과, 상기 삽입관(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판(320)과, 상기 하부판(320)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판(32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삽입관(310)과 연통되는 안내공(331) 또는 안내홈(332)이 형성되는 측판(330)으로 구성되는 삽입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이저 조사부(20)가 조사하는 레이저는 상기 삽입관(310) 내부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코 내부로 조사되고,
    사용자의 호흡에 필요한 상기 몸체(10)의 외부공기는 상기 안내공(331) 또는 상기 안내홈(332)을 지나 상기 삽입관(310) 내부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상기 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120)의 상부면에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30)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상기 돌출턱(120)의 내측에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내로 유입된 사용자의 코 내부에서 발생된 콧물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걸림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0)의 측판(3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걸림부(110)내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3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되어 사용자의 코 내부로 삽입된 상기 삽입부(30)의 삽입관(310)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와 연결되는 상측이 사용자의 귀부위에 걸림고정되고, 하측이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전원케이블(4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440)은 사용자의 귀부위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상측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에 연결되는 일측 전원케이블(443)과;
    사용자의 귀 부위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상측이 상기 몸체(10)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레이저 조사부(20)에 연결되는 타측 전원케이블(444);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전원케이블(443)의 하측과 상기 타측 전원케이블(444)의 하측을 사용자의 턱 하부면에 밀착고정 또는 사용자의 턱 하부면 하측방향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사기.
  6. 삭제
  7. 삭제
KR1020110016933A 2010-05-14 2011-02-25 레이저 조사기 KR10123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33A KR101233753B1 (ko) 2011-02-25 2011-02-25 레이저 조사기
PCT/KR2011/003568 WO2011142632A2 (ko) 2010-05-14 2011-05-13 레이저 조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33A KR101233753B1 (ko) 2011-02-25 2011-02-25 레이저 조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20A KR20120097620A (ko) 2012-09-05
KR101233753B1 true KR101233753B1 (ko) 2013-02-15

Family

ID=4710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933A KR101233753B1 (ko) 2010-05-14 2011-02-25 레이저 조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775Y1 (ko) * 2001-02-21 2001-10-06 안승만 휴대용 이비인후과질환 치료기
KR200380310Y1 (ko) * 2004-11-11 2005-03-29 주식회사 평창웰빙칠백 휴대용 비염치료기
KR100977985B1 (ko) * 2010-05-14 2010-08-25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775Y1 (ko) * 2001-02-21 2001-10-06 안승만 휴대용 이비인후과질환 치료기
KR200380310Y1 (ko) * 2004-11-11 2005-03-29 주식회사 평창웰빙칠백 휴대용 비염치료기
KR100977985B1 (ko) * 2010-05-14 2010-08-25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조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20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484B1 (ko) 반려동물용 광치료 브러쉬
US20120265274A1 (en) Device for hair grown stimulation
WO2007130465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superficial venous malformations like spider veins
KR101554721B1 (ko) 구강용 광조사 장치
WO2009014312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skin
JP6834032B2 (ja) ライトセラピーを利用した顔面着用型鼻炎治療装置
KR101194961B1 (ko) 개방형 귀 치료 모듈
US10350429B2 (en) Laser device for intracranial illumination via oral or nasal foramina access
US9579177B2 (en) Dental and medical devices with light source and antimicrobial solution
KR101834267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US20150018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 vivo irradiation of blood
KR101955479B1 (ko) 안면 착용형 비염치료 장치
KR101233753B1 (ko) 레이저 조사기
US20180207443A1 (en) Light Irradiation Device for Teeth Whitening
KR200461052Y1 (ko) 처치용 검이경
CN211796843U (zh) 一种多用途光纤激光手具
CN213491560U (zh) 鼻炎治疗仪
US20220288415A1 (en) Tip section for use in phototherapy
KR102091249B1 (ko) 눈마스크가 구비되는 산소공급 led 피부 마스크
KR100935805B1 (ko) 비강 매몰형 광 조사장치
US20190388103A1 (en) Customizable surgical bone-cutting jigsaw puzzle-type guide device and customizable surgical bone-cutting guide-traction-suction device
US11813474B2 (en) Cosmeti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PL light source having a band pass filter equivalent to a specified wavelength laser light source for providing cosmetic treatment of skin tissue
WO2017223331A1 (en) Selective skin treatments utilizing laser-equivalent intense pulsed light devices
KR102117210B1 (ko) 산소가 분사될 수 있는 미용 커버 마스크
KR102102464B1 (ko) 동물 외과수술용 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