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64B1 - 동물 외과수술용 톱 - Google Patents

동물 외과수술용 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64B1
KR102102464B1 KR1020180150114A KR20180150114A KR102102464B1 KR 102102464 B1 KR102102464 B1 KR 102102464B1 KR 1020180150114 A KR1020180150114 A KR 1020180150114A KR 20180150114 A KR20180150114 A KR 20180150114A KR 102102464 B1 KR102102464 B1 KR 10210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aw blade
saw
blade body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102018015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082Inorganic materials
    • A61L31/088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31/084 or A61L31/08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동물 외과수술용 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동물 외과수술용 톱은, 핸들; 상기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레이드 바디부;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톱니가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 바디부에 대해 블레이드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톱날을 필요에 따라 교체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물 외과수술용 톱{Animal Surgical Saw}
본 발명은 소동물(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증 교정수술 등과 같은 외과수술시에 사용되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의식수준은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물병원의 숫자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사람과 달리 4족보행을 하는 반려동물의 경우 슬개골 탈구에 의한 보행장애 질환이 월등히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는 본 쏘(Bone Saw)를 이용하여 무릎뼈 일부를 절단하고 슬개골 고정용 홈을 형성시키는 치료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본 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톱날의 종류(사이즈 변경 등)에 따라 다수의 본 쏘를 별도로 여러개 준비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둘째, 본 쏘의 핸들부위의 재료 물성이 적합하지 않아 본 쏘를 고온스팀멸균기나 EO 가스 멸균기를 통해 살균처리하는 과정에서 변색, 부식, 색소물질의 용출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수술용도구로 재사용이 힘든 문제가 있다.
부연하자면, 종래의 본 쏘는 핸들 부위와 톱날 부위가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톱날 부위만 따로 살균처리가 힘든 구조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과정에서 발생한 부식물질, 색소물질이 톱날 부위에 부착(흡착)되어 수술용 도구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종래의 본 쏘는 별도로 고온스팀 살균 처리하기 힘든 단점을 갖고 있다.
셋째, 장기간 다수회 반복하여 사용하고 나면 톱날 부위가 쉽게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외 동물병원 및 임상수의사들에게 우수한 품질의 본 쏘를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0357호(2014.07.10.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톱날 분리 구조를 채용하여 필요 요구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톱날을 교체 장착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과정에서 변색, 부식, 색소물질의 용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표면처리가 되어 있으며, 톱날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핸들; 상기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레이드 바디부;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톱니가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이 제공된다.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는, 상기 핸들과 분리 가능하며, 핸들에 대해 회전 불가하게 삽입되어 제1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가능한 블레이드 커넥터;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블레이드가 개재되도록 블레이드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블레이드 커버에는 각각 복수의 제1 및 제2 체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체결공과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3 체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공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디, 블레이드 커버에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이용한 결합시 상기 블레이드 바디 및 상기 블레이드 커버에 대한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 결합 유도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위치 결합 유도부는, 상기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블레이드 커버가 일정 이상 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측방향으로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걸림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TiN(티탄질화물)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톱니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에 위치한 초기 경사면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톱날 시작면, 상기 제1 톱날 시작면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1 톱날 중간면, 상기 제1 톱날 중간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톱날 마무리면을 포함하는 제1 톱날부; 상기 제1 톱날부의 제1 톱날 마무리면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톱날 시작면, 상기 제2 톱날 시작면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2 톱날 중간면, 상기 제2 톱날 중간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톱날 마무리면을 포함하는 제2 톱날부; 및 상기 제2 톱날부의 제2 톱날 마무리면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3 톱날 시작면, 상기 제3 톱날 시작면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3 톱날 중간면, 상기 제3 톱날 중간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3 톱날 마무리면을 포함하는 제3 톱날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톱날 마무리면, 제2 톱날 마무리면, 제3 톱날 마무리면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톱니는 상기 제1 내지 제3 톱날부가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톱날 마무리면, 상기 제1 톱날 마무리면, 상기 제2 톱날 마무리면의 순서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물 외과수술용 톱에 의하면, 블레이드 바디부에 대해 블레이드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톱날을 필요에 따라 교체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핸들, 블레이드 바디부 및 블레이드가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블레이드를 표면처리하여 TiN(티탄질화물) 코팅층을 생성하고 핸들을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처리를 함으로써, 고온스팀 멸균(살균)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살균 처리시 탈색, 부식, 독성물질 용출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수술용 도구로서의 내구성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에 홈 형태의 정위치 결합 유도부를 더 마련함으로써, 블레이드 바디 및 블레이드 커버에 대한 블레이드의 신속한 정위치 결합을 유도할 수 있고, 결합을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톱날부가 반복적으로 연결되도록 톱니를 형성하고, 제3 톱날 마무리면, 제1 톱날 마무리면, 제2 톱날 마무리면의 순서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톱니의 절삭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삭력 증대와 더불어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외과수술용 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외과수술용 톱에서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외과수술용 톱에서 블레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5의 (a)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외과수술용 톱에서 톱니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외과수술용 톱은 특히 소동물의 정형외과 수술용 전용 기기로서, 슬개골 탈구증에 의한 반려동물의 보행장애 질환을 교정하기 위한 치료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외과수술용 톱(이하, '톱)은 핸들(100), 블레이드 바디부(200) 및 블레이드(300)를 포함한다.
먼저, 핸들(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외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굴곡진 파지홈이 마련된다. 이러한 핸들(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표면에는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처리를 통해 수술 후 살균소독과정에서 부식, 탈색, 독성물질 용출이 발생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00)의 일측에는 블레이드 바디부(200)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10)이 마련되고 측면에는 삽입된 블레이드 바디부(200)를 스크루 체결하기 위한 제1 스크루 체결홀(120)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살균소독과정시 사용자는 스크루를 제거하여 핸들(100)과 블레이드 바디부(200)를 서로 분리한 후 각각 별도로 살균소독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상호 분리 구조를 통해 살균소독 하기 힘든 부분의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그런 부분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상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분리 구조에 따른 위생상 효과는 후술하는 다른 구성간의 분리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바디부(200)는 핸들(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블레이드 커넥터(210), 블레이드 바디(220), 블레이드 커버(230), 제2 체결부재(24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커넥터(210)는 핸들(100)의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삽입시 핸들(100)의 제1 스크루 체결홀(120)과 연통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스크루 체결홀(211)이 형성된다. 제1 스크루 체결홀(120)과 제2 스크루 체결홀(211)이 상호 연통되도록 한 후 별도의 스크루(제1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핸들(100)에 대해 블레이드 커넥터(210)를 고정 결합할 수 있으며, 스크루를 제거하여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커넥터(210)는 핸들(100)에 대해 회전 불가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블레이드 커넥터(210)의 일단에는 수직 절삭면(212)이 마련되고 핸들(100)의 삽입홈(110) 내주면에도 수직 절삭면과 면접촉하여 블레이드 커넥터(2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수직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불가 결합 구조를 통해 핸들에 대한 블레이드 커넥터의 정위치 결합도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 커넥터(210)의 타단에는 블레이드 바디(220)가 마찬가지로 회전 불가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바디 결함홈(213)이 마련된다. 여기서, 블레이드 바디(220)는 블레이드 커넥터(210)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바디(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공(221)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블레이드 바디(220)에 후술하는 블레이드 커버(230), 블레이드(300)가 모두 결합된 전체 상태에서 외면의 특정 부분 돌출이 생기지 않도록 블레이드 바디(220)의 상단 부위에는 단턱부(222)가 마련된다. 여기서 단턱부(222)의 돌출 거리는 블레이드 커버(230)와 블레이드(300)의 각각의 두께의 합과 동일/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커버(230)는 블레이드 바디(220)와의 사이에 블레이드(300)가 개재되도록 블레이드 바디(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커버(230)에는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공(231)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되 제1 체결공(221)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후술하는 블레이드(300)에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체결공(221,231)과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3 체결공(310)이 마련되며, 블레이드 바디(220)에 블레이드 커버(230), 블레이드(300)가 모두 결합된 전체 상태에서 제1 체결공(221), 제2 체결공(231) 및 제3 체결공(310)은 서로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바디부(200)는 제1 내지 제3 체결공(221,231,310)에 관통 삽입되어 블레이드 바디(220), 블레이드 커버(230)에 블레이드(300)를 고정하는 제2 체결부재(240)를 더 포함하며, 체결부재의 나사산과 블레이드 바디(220)의 제1 체결공(22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의 결합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체결부재(240)는 일 예로 헤드부의 외면 돌출을 방지하기 위한 접시머리 볼트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 블레이드(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240)를 통해 블레이드 바디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슬개골 탈구증 교정수술시 무릎뼈 일부를 절개하여 홈을 형성 가능하도록 톱니(3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0)는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일 예로 SUS304)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TiN(티탄질화물) 코팅층(301)이 마련된다.
한편, 블레이드(300)는 수술전용 기기이므로 위생 관리에 관한 부분이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어떤 환경이나 조건에서도 부식이 되거나 탈색 또는 유해성분이 용출되서는 안되는 규제 사항이 있다. 전술한 부식, 탈색, 유해성분 용출이 발생할 경우 수술도구로서 사용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블레이드(300) 표면에 TiN(티탄질화물) 코팅층(301)을 형성시켜 부식, 탈색, 유해성분 용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표면 경도 증가에 따른 절삭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블레이드(300)의 다양한 장착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형상 및 길이 조건에 따라 제3 체결공(310)은 1개 또는 2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300)에는 제2 체결부재(240)를 이용한 결합시 블레이드 바디(220) 및 블레이드 커버(230)에 대한 블레이드(300)의 신속한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가 더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는 제2 체결부재(240)를 통해 블레이드 바디(220)와 블레이드 커버(230)가 일정 이상 선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240)가 하측 또는 측방향으로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걸림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제2 체결부재(240), 즉 스크루를 이용하여 블레이드 바디(220)와 블레이드 커버(230)를 일정 이상 가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선 결합되어 있는 제2 체결부재(240)의 측방으로 블레이드(300)를 이동시켜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 즉 걸림홈이 제2 체결부재(240)에 걸리도록 한다.
이후, 나머지 제2 체결부재(240)를 이용하여 블레이드 바디(220), 블레이드 커버(230)에 대해 블레이드(3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를 통해 블레이드(300)의 정위치 결합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므로 전체적인 정위치 결합을 더욱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00)의 분리시에도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에 걸림되어 있지 않은 제2 체결부재(240)를 체결분리하고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에 걸림된 제2 체결부재를 일정 이상만 분리하면 블레이드(300)를 쉽게 분리/이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형태의 걸림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블레이드(300)를 블레이드 바디(22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시켜 일반적인 홈과 제2 체결부재(240) 중 일부(도면상 중앙에 위치한 부재)가 서로 걸리도록 하여 결합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후크 형태의 걸림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블레이드(300)를 블레이드 바디(220)의 측방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240) 중 일부가 후크 형태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블레이드(30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톱니(330)는 실질적으로 절삭 대상체(즉, 뼈)의 절삭 대상면(뼈의 외면, 뼈에 형성한 홈 내면 등)에 접촉하여 절삭하는 부분으로서, 뼈와의 접촉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켜 결국 절삭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330)는 블레이드(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톱날부(350), 제2 톱날부(360) 및 제3 톱날부(370)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제1 톱날부(350)는 블레이드(300)의 선단에 위치한 초기 경사면(351)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톱날 시작면(352), 제1 톱날 시작면(352)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1 톱날 중간면(353), 제1 톱날 중간면(353)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톱날 마무리면(354)을 포함한다.
제2 톱날부(360)는 제1 톱날부(350)의 제1 톱날 마무리면(354)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톱날 시작면(362), 제2 톱날 시작면(362)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2 톱날 중간면(363), 제2 톱날 중간면(363)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톱날 마무리면(364)을 포함한다.
또한 제3 톱날부(370)는 제2 톱날부(360)의 제2 톱날 마무리면(364)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3 톱날 시작면(372), 제3 톱날 시작면(372)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3 톱날 중간면(373), 제3 톱날 중간면(373)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3 톱날 마무리면(37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삭대상체(예로 뼈)에 대한 톱니(330)의 절삭력(접촉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톱날 마무리면(354), 제2 톱날 마무리면(364), 제3 톱날 마무리면(374)의 길이(L1, L2, L3)는 서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3 톱날 마무리면(374), 제1 톱날 마무리면(354), 제2 톱날 마무리면(364)의 순서로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절삭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삭력 증대와 더불어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핸들 200: 블레이드 바디부
210: 블레이드 커넥터 220: 블레이드 바디
221: 제1 체결공 230: 블레이드 커버
231: 제2 체결공 300: 블레이드
301: 코팅층 310: 제3 체결공
320: 정위치 결합 유도부 330: 톱니
350: 제1 톱날부 360: 제2 톱날부
370: 제3 톱날부

Claims (8)

  1. 핸들(100);
    상기 핸들(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레이드 바디부(200);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톱니(330)가 형성되는 블레이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200)는,
    상기 핸들(100)과 분리 가능하며, 핸들에 대해 회전 불가하게 삽입되어 제1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가능한 블레이드 커넥터(210);
    상기 블레이드 커넥터(210)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 바디(220);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220)와의 사이에 상기 블레이드(300)가 개재되도록 블레이드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커버(23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220) 및 상기 블레이드 커버(230)에는 각각 복수의 제1 및 제2 체결공(221,231)이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3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3 체결공(310)이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 바디부(2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공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 바디(220), 블레이드 커버(230)에 상기 블레이드(3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제2 체결부재(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300)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240)를 이용한 결합시 상기 블레이드 바디(220) 및 상기 블레이드 커버(230)에 대한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가 상기 블레이드(300)의 단부 근방에 더 마련되되,
    상기 정위치 결합 유도부(320)는, 상기 복수의 제2 체결부재(240)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블레이드 커버가 일정 이상 선 결합되어 블레이드 바디, 블레이드 커버 및 하나의 제2 체결부재가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제2 체결부재의 측방으로 접근하여 상기 하나의 제2 체결부재에 회전 걸림되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갖는 후크 형태의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TiN(티탄질화물) 코팅층(30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330)는,
    상기 블레이드(300)의 선단에 위치한 초기 경사면(351)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1 톱날 시작면(352), 상기 제1 톱날 시작면(352)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1 톱날 중간면(353), 상기 제1 톱날 중간면(353)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톱날 마무리면(354)을 포함하는 제1 톱날부(350);
    상기 제1 톱날부의 제1 톱날 마무리면(354)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톱날 시작면(362), 상기 제2 톱날 시작면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2 톱날 중간면(363), 상기 제2 톱날 중간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톱날 마무리면(364)을 포함하는 제2 톱날부(360); 및
    상기 제2 톱날부의 제2 톱날 마무리면에 연결되고 절삭 대상체의 절삭대상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제3 톱날 시작면(372), 상기 제3 톱날 시작면에 대해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3 톱날 중간면(373), 상기 제3 톱날 중간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3 톱날 마무리면(374)을 포함하는 제3 톱날부(37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톱날 마무리면(354), 제2 톱날 마무리면(364), 제3 톱날 마무리면(374)의 길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3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톱날부(350,360,370)가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톱날 마무리면(374), 상기 제1 톱날 마무리면(354), 상기 제2 톱날 마무리면(364)의 순서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외과수술용 톱.

KR1020180150114A 2018-11-28 2018-11-28 동물 외과수술용 톱 KR10210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14A KR102102464B1 (ko) 2018-11-28 2018-11-28 동물 외과수술용 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14A KR102102464B1 (ko) 2018-11-28 2018-11-28 동물 외과수술용 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464B1 true KR102102464B1 (ko) 2020-04-20

Family

ID=7046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114A KR102102464B1 (ko) 2018-11-28 2018-11-28 동물 외과수술용 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802A (ja) * 1989-08-11 1991-03-27 Yuum Kogyo:Kk 替刃鋸の柄
JPH11169379A (ja) * 1997-12-16 1999-06-29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手術用メス
KR100402823B1 (ko) * 2000-09-02 2003-10-22 이희영 구강내 골절단용 직선 왕복톱
KR20080004786U (ko) * 2007-04-17 2008-10-22 최창옥 교체가능한 톱날을 갖는 목재용 톱
KR101420357B1 (ko) 2012-08-16 2014-07-16 박형호 외과용 톱
WO2016134030A2 (en) * 2015-02-19 2016-08-25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urgical saw and complementary saw blade, the blade including lock teeth formed out of material that deforms when the blade is secured to the saw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802A (ja) * 1989-08-11 1991-03-27 Yuum Kogyo:Kk 替刃鋸の柄
JPH11169379A (ja) * 1997-12-16 1999-06-29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手術用メス
KR100402823B1 (ko) * 2000-09-02 2003-10-22 이희영 구강내 골절단용 직선 왕복톱
KR20080004786U (ko) * 2007-04-17 2008-10-22 최창옥 교체가능한 톱날을 갖는 목재용 톱
KR101420357B1 (ko) 2012-08-16 2014-07-16 박형호 외과용 톱
WO2016134030A2 (en) * 2015-02-19 2016-08-25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urgical saw and complementary saw blade, the blade including lock teeth formed out of material that deforms when the blade is secured to the sa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199B2 (en) Surgical saw system including a reciprocating saw blade cartridge
US20230277201A1 (en) Ergonomic forceps tool
AU2013276763B2 (en) Instrument holder and grip for a medical, particularly a surgical, instrument
RU26921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карпального канала кисти руки человека
MX2022011804A (es) Uso de agentes para el tratamiento de condiciones respiratorias.
US20200352581A1 (en) Osteotomy protection and guidance device
KR102102464B1 (ko) 동물 외과수술용 톱
US20160059427A1 (en) Cutting tool
JP2010502243A (ja) 医療デバイス
US20150351798A1 (en) Needle Aponeurotomy Apparatus and Method
US6386873B1 (en) Dental tool
BR0312929A (pt) Uso de um composto, e, métodos de tratamento, prevenção ou alìvio de uma doença, distúrbio ou condição de um corpo de animal vivo, e da degeneração macular relacionada com a idade de um corpo de animal vivo
WO2014083525A2 (en) Low friction surgical cutting system
JPH0614938B2 (ja) 骨プレート
Mithun et al. Infection Control in Orthodontics: A Review.
KR101811272B1 (ko) 비후성 심근증 수술용 기구
JP2020532361A (ja) 外科用ドリルガイド
US20140065572A1 (en) Anti-Rotation Instrument
US20170079735A1 (en) Surgical instrument intended to receive a cutting tool in a removable manner, surgical k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hoi Case series: successful resuscitation of severe facial injuries caused by a chainsaw
US20210196478A1 (en) Apparatus for use in surgery
US11285581B2 (en) Hand tool
KR100515401B1 (ko) 골절치료를 위한 철심삽입용 보조장치
CN215079864U (zh) 膝关节置换术中后交叉韧带及周围骨质的保护器
JP6646762B2 (ja) 骨除去器具のガイド保護エレメントおよびこのエレメントを備える骨除去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