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436B1 -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436B1
KR101233436B1 KR1020110095249A KR20110095249A KR101233436B1 KR 101233436 B1 KR101233436 B1 KR 101233436B1 KR 1020110095249 A KR1020110095249 A KR 1020110095249A KR 20110095249 A KR20110095249 A KR 20110095249A KR 101233436 B1 KR101233436 B1 KR 10123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ime
battery
charg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정문규
이한별
임유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09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터리 충전 장치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속도를 산출하고, 배터리를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예상시간을 산출하고,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며, 산출된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력계통의 부하가 낮은 시간대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차량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고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한다. 이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충전시 전력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배터리의 충전은 전력사용이 가장 적은 경부하 시간대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경부하 시간대에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 시간을 설정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타이머를 통해 일률적으로 충전 시작 시간만을 설정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잔량이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고려하여 전력사용이 가장 적은 경부하 시간대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은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충전속도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예상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배터리가 목표 시각에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되도록 목표 시각 및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한다.
또한, 재충전 시작 시작을 산출하는 단계는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목표 시각까지의 시간이 전력계통의 경부하 시간대에 포함되도록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한다.
이때,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에 대응되는 충전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전기자동차로부터 제1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1 충전율을 수신하는 단계, 예비충전시간 동안에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전기자동차로부터 제2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1 충전율과 제2 충전율로부터 산출된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는 예비충전시간 및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충전속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는 전력 공급부 및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부는 전기자동차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충전 제어부는 제1 충전 모드가 입력되면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전기자동차에 전력이 즉시 공급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고, 제2 충전 모드가 입력되면 배터리에 대한 충전속도를 산출하여 충전속도로부터 산출되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예상시간에 따라 전력 공급부를 제어한다.
이때, 충전 제어부는 목표 시각 및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부를 제어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는 충전 속도 연산부 및 시간 연산부를 포함한다. 충전 속도 연산부는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통해 배터리에 대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에 대응되는 충전속도를 산출한다. 시간 연산부는 충전속도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목표 시각 및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한다.
또한, 충전 속도 연산부는 제1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1 충전율 및 제2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산출하고, 제1 시각부터 제2 시각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는 예비충전시간 및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충전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는 재충전 시작 시각에 따라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목표 시각에 상기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장치.
또한, 충전 제어부는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목표 시각까지의 시간이 전력계통의 경부하 시간대에 포함되도록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예비충전을 통한 충전기의 충전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속도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율에 따른 충전예상시간 및 충전 시작 시각을 결정함으로써,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고려하여 전력사용이 가장 적은 경부하 시간대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율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고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 장치(이하에서는 '충전기'라고도 함)(100)는 전기자동차(10)에 장착된 배터리(11)를 충전하는 장치로, 통신부(110), 충전 제어부(120), 및 전력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자동차(10)는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차량으로, 배터리(11), 배터리 관리부(12), 통신부(13), 전력 수급부(14), 및 충전부(15)를 포함한다.
전기자동차(10)의 배터리(11)는 전기자동차(10)의 동력원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전기자동차(10)의 배터리 관리부(12)는 배터리(11)의 충전율을 측정하여 충전율 정보를 생성하고, 배터리(11)의 상태를 감시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 정보를 생성한다.
전기자동차(10)의 통신부(13)는 충전기(100)와 통신하여 배터리 관리부(12)에서 생성된 충전율 정보 및 충전 완료 정보를 충전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기자동차(10)의 통신부(13)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이하에서는 "PLC"라고도 함),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이하에서는 "CAN"이라고도 함) 통신 등의 방식으로 충전기(1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전기자동차(10)의 전력 수급부(14)는 충전기(100)로부터 전력을 수급하고, 수급된 전력을 충전부(15)로 전달한다.
전기자동차(10)의 충전부(15)는 전력 수급부(14)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1)를 충전한다.
충전기(100)의 통신부(110)는 전기자동차(10)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10)로부터 배터리(11)의 충전율 정보, 충전 완료 정보 등을 수신한다.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충전기(100)에 설치된 버튼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충전 모드 정보에 따라 충전기(100)와 연결된 전기자동차(10)의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충전 모드 정보는 제1 충전 모드 및 제2 충전 모드로 분류된다. 이때, 제1 충전 모드는 충전기(100)가 전기자동차(10)에 연결되는 즉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이다. 또한, 제2 충전 모드는 전력계통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낮은 경부하 시간대 또는 전력요금 단가 정보에 따라 전력요금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이다.
충전기(100)의 전력 공급부(130)는 충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전기자동차(1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기자동차(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에 포함된 충전 제어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식부(121), 충전 모드 입력부(122), 충전 속도 연산부(123), 시간 연산부(124), 및 요금 연산부(125)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식부(121)는 전파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에서는 "RFID"라고도 함) 카드 등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RFID 카드를 통해 충전기(100)에 대한 사용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충전 모드 입력부(122)는 충전기(100)에 설치된 버튼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충전 모드 또는 제2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충전 모드 정보를 입력받는다.
충전 속도 연산부(123)는 제1 시각(t1)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 및 제2 시각(t2)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을 이용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산출하고, 제1 시각(t1)부터 제2 시각(t2)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는 예비충전시간 및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배터리(11)에 대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을 산출한다.
시간 연산부(124)는 산출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배터리(11)를 미리 정해진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며, 현재 시각과 산출된 충전 시작 시각을 비교하여 산출된 충전 시작 시각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
요금 연산부(125)는 전력요금 단가 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저장된 전력요금 단가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충전 요금을 산출한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충전기(100)가 전기자동차(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모드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충전 모드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0). 여기서, 제2 충전 모드는 전력계통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낮은 경부하 시간대에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미리 저장된 전력요금 단가 정보에 따라 전력요금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이다.
만약, 제2 충전 모드가 입력된 경우,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기자동차(10)에 포함된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율 정보를 요청하여 전기자동차(10)로부터 제1 시각(t1)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1 충전율(S1)을 수신한다(S105).
다음,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배터리(11)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충전되도록 전력 공급부(130)를 제어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한다(S110). 예를 들어,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배터리(11)가 10분 동안만 충전되도록 전력 공급부(130)가 전기자동차(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한다.
이후,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율 정보를 요청하여 전기자동차(10)로부터 제2 시각(t2)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S2)을 수신한다(S115). 여기서, 제2 충전율(S2)은 배터리(11)에 대한 예비충전이 수행된 후에 측정된 값이다.
다음,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제1 충전율(S1)과 제2 충전율(S2)을 이용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충전기(100)의 충전속도(V)를 산출한다(S120). 여기서,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수학식 1에 따라 충전기(100)의 충전속도(V)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100)의 충전속도(V)는 배터리(11)에 대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73537708-pat00001
수학식 1에서, "V"는 충전기(100)의 충전속도를 나타내고, "S1"은 제1 시각(t1)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1 충전율을 나타내고, "S2"는 제2 시각(t2)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을 나타내고, "Δt1"은 예비충전이 수행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예비충전시간을 나타내고, "t1"은 전기자동차(10)에서 제1 충전율(S1)을 측정한 시각을 나타내며, "t2"는 전기자동차(10)에서 제2 충전율(S2)을 측정한 시각을 나타낸다.
이후,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산출된 충전속도(V)를 이용하여 배터리(11)를 미리 정해진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예상시간(Δt2)을 산출한다(S125). 여기서,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수학식 2에 따라 충전예상시간(Δt2)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1073537708-pat00002
수학식 2에서, "Δt2"는 배터리(11)를 미리 정해진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용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예상시간을 나타내고, "S2"는 제2 시각(t2)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을 나타내고, "S3"는 목표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3 충전율을 나타내며, "V"는 충전기(100)의 충전속도를 나타낸다.
다음,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산출된 충전예상시간(Δt2)을 이용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t3)을 산출한다(S130). 여기서,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수학식 3에 따라 배터리(11)가 미리 정해진 목표 시각(t4)에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되도록 재충전 시작 시각(t3)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1073537708-pat00003
수학식 3에서, "t3"는 배터리(11)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을 나타내고, "t4"는 배터리(11)가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되는 목표 시각을 나타내며, "Δt2"는 배터리(11)를 미리 정해진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용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예상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목표 시각(t4)은 재충전 시작 시각(t3)부터 목표 시각(t4)까지의 충전예상시간(Δt2)이 제2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포함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목표 시각(t4)이 제2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충전 모드에 대응되는 시간대는 전력계통의 부하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낮은 경부하 시간대, 또는 전력요금 단가 정보에 따라 전력요금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 해당한다,
이후,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현재 시각(t)과 재충전 시작 시각(t3)을 비교하여 현재 시각(t)이 재충전 시작 시각(t3)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S135).
만약, 현재 시각(t)이 재충전 시작 시각(t3)에 대응되는 경우,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배터리(11)가 충전되도록 전력 공급부(130)를 제어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재충전을 수행한다(S140). 여기서,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전력 공급부(130)가 전기자동차(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 공급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제2 충전 모드가 입력되지 않고 제1 충전 모드가 입력된 경우,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즉시 배터리(11)가 충전되도록 전력 공급부(130)를 제어하여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S145). 이때, 제1 충전 모드는 충전기(100)가 전기자동차(10)에 연결되는 즉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이다.
다음,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기자동차(10)로부터 배터리(11)에 대한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배터리(11)에 대한 충전 요금을 산출한다(S150). 여기서,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충전 요금을 산출하기 전에 전력 공급부(130)를 제어하여 전기자동차(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충전기(100)의 충전 제어부(120)는 미리 저장된 전력요금 단가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율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율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전율(S1)은 제1 시각(t1)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해당하며,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기 이전의 충전율에 해당한다.
제2 충전율(S2)은 제2 시각(t2)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해당하며, 배터리(11)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한 후의 충전율에 해당한다.
제1 시각(t1)부터 제2 시각(t2)까지의 구간은 배터리(11)에 대한 예비충전이 수행되는 예비충전 구간에 해당하고,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속도는 예비충전 구간의 기울기에 해당한다.
제2 시각(t2)부터 제3 시각(t3)까지의 구간은 충전 대기 구간에 해당한다.
제3 충전율(S3)은 제3 시각(t3)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해당하며, 제2 충전율(S2)과 동일하다. 이때, 제3 시각(t3)은 배터리(11)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재충전 시작 시각에 해당한다.
제4 충전율(S4)은 제4 시각(t4)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해당하며, 배터리(11)에 대한 목표 충전율에 해당한다.
제3 시각(t3)부터 제4 시각(t4)까지의 구간은 배터리(11)에 대한 재충전이 수행되는 재충전 구간에 해당하고, 재충전 구간의 기울기는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속도에 대응된다.
제5 충전율(S5)는 제5 시각(t5)에 측정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해당하며,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11)의 충전율에 해당한다.
제4 시각(t4)부터 제5 시각(t5)까지의 구간은 배터리(11)를 보호하기 위해 충전 전력을 감소시켜 배터리(11)에 대한 충전을 완료하는 구간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가 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기자동차
11: 배터리
12: 배터리 관리부
13: 통신부
14: 전력 수급부
15: 충전부
100: 배터리 충전 장치, 충전기
110: 통신부
120: 충전 제어부
121: 사용자 인식부
122: 충전 모드 입력부
123: 충전 속도 연산부
124: 시간 연산부
125: 요금 연산부
130: 전력 공급부

Claims (12)

  1.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충전예상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에 따른 상기 배터리의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에 대응되는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가 목표 시각에 상기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되도록 상기 목표 시각 및 상기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시작 시작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상기 목표 시각까지의 시간이 전력계통의 경부하 시간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제1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1 충전율을 수신하는 단계;
    예비충전시간 동안에 상기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제2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충전율과 상기 제2 충전율로부터 산출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예비충전시간 및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7. 전기자동차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공급부; 및
    제1 충전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고, 제2 충전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충전속도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예상시간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 대한 예비충전을 통해 상기 배터리에 대한 단위시간당 충전율 변화량에 대응되는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충전 속도 연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목표 시각 및 상기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재충전을 시작하는 시각에 대응되는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며,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충전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목표 시각 및 상기 충전예상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시간 연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전 속도 연산부는
    제1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1 충전율 및 제2 시각에 측정된 배터리 충전율에 대응되는 제2 충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각부터 상기 제2 시각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는 예비충전시간 및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속도를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상기 목표 시각에 상기 목표 충전율까지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부터 상기 목표 시각까지의 시간이 전력계통의 경부하 시간대에 포함되도록 상기 재충전 시작 시각을 산출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0110095249A 2011-09-21 2011-09-21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23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49A KR101233436B1 (ko) 2011-09-21 2011-09-21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49A KR101233436B1 (ko) 2011-09-21 2011-09-21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436B1 true KR101233436B1 (ko) 2013-02-14

Family

ID=4789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49A KR101233436B1 (ko) 2011-09-21 2011-09-21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4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5896A (zh) * 2014-07-28 2014-12-03 浙江大学 一种用于内燃发电增程式电动车的整车能量管理控制器
WO2015046656A1 (ko) * 2013-09-30 2015-04-02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의 경제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90124870A (ko) 2018-04-27 2019-11-06 한국전력공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086386A (ko) 2021-12-08 2023-06-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2025A (ja) 2008-12-11 2010-06-24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2025A (ja) 2008-12-11 2010-06-24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656A1 (ko) * 2013-09-30 2015-04-02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의 경제충전 장치 및 방법
EP3054552A4 (en) * 2013-09-30 2016-11-02 Korea Electric Power Corp DEVICE AND METHOD FOR THE ECONOMIC CHARGING OF AN ELECTRONIC VEHICLE
CN104175896A (zh) * 2014-07-28 2014-12-03 浙江大学 一种用于内燃发电增程式电动车的整车能量管理控制器
KR20190124870A (ko) 2018-04-27 2019-11-06 한국전력공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086386A (ko) 2021-12-08 2023-06-15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34258B (zh) 无线地输送功率的方法、输送设备以及输送控制系统
EP3386061B1 (en) Battery charging devic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charging method
EP2685597B1 (en) Char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8768549B2 (en) Battery maintenance system
EP3282546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4321947B (zh) 充电速率优化
EP2685598B1 (en) Charge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10015123B (zh) 充放电管理装置
CN105103402A (zh) 电池设备
US20130134940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KR101233436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40094362A (ko) 전기차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3262380A (zh) 便携式电子装置和向其中使用的充电电池恢复电力的方法
US20160111908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845455A (zh) 电动汽车蓄电池充电控制方法及装置
US20140375273A1 (en) Drive control device, drive control method and drive control program
CN105324884A (zh) 用于控制充电电力的方法、用于控制充电电力的系统和程序
EP2574492B1 (en) Power switching apparatus
KR20190097392A (ko)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6386A (ko) 전기차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0298B1 (ko) 전기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390911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51048B1 (en) Battery maintenance system
CN102801197A (zh) 终端和终端的充电控制方法
JP2020048317A (ja)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