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352B1 -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 Google Patents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352B1 KR101233352B1 KR1020100034569A KR20100034569A KR101233352B1 KR 101233352 B1 KR101233352 B1 KR 101233352B1 KR 1020100034569 A KR1020100034569 A KR 1020100034569A KR 20100034569 A KR20100034569 A KR 20100034569A KR 101233352 B1 KR101233352 B1 KR 101233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t
- csf
- weight
- sodium
- table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M-CSF를 함유하는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양한 치료 효과가 있는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현탁정(dispersible tablet), 비등정(effervescent tablet), 속붕해성 정제 또는 점막점착성 정제와 같은 정제로 물리적 성질의 변화 가능성이 낮고 약제의 화학적·생물학적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며, 환자의 복용 순응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산업상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를 함유하는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양한 치료 효과가 있는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현탁정(dispersible tablet), 비등정(effervescent tablet), 속붕해성 정제 또는 점막점착성 정제와 같은 정제로 물리적 성질의 변화 가능성이 낮고 약제의 화학적·생물학적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며, 환자의 복용 순응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산업상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이하 “GM-CSF”라 함)는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로(Y. Zhang, et al., Eur. J. Pharm. Sci., 28, pp.212-223, 2006), 조혈세포의 분화 촉진과 기능을 강화시키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인간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hGM-CSF)를 함유한 액상 주사제(상품명: Leukine)와 박테리아 유래 유전자 재조합 hGM-CSF를 함유한 분말 주사제(상품명: Leucomax)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문헌 1] Y. Zhang, et al., Eur. J. Pharm. Sci., 28, pp.212-223, 2006
[문헌 2] M. Hejna, et al., Eur. J. Cancer, 37, pp.1994-2002, 2001
[문헌 3] G.M. Sprinzl, et al., Eur. J. Cancer, 37, pp.2003-2009, 2001
[문헌 4] A.W. Burgess, et al., J. Biol. Chem., 252, pp.1998-2003, 1977
[문헌 5] D. Metcalf, et al., J. Cell. Physiol., 111, pp.275-283, 1982
[문헌 6] J.E. Rasko, et al.,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Thomson (Ed), pp.343-369, 1994
[문헌 7] R.C. Rowe, et al.,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Pharmaceutical Press, Fifth Edition, 2006
[문헌 8] D.B. Troy,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Twenty-first Edition, 2005
일반적으로,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이하 “GM-CSF”라 함)는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로(Y. Zhang, et al., Eur. J. Pharm. Sci., 28, pp.212-223, 2006), 조혈세포의 분화 촉진과 기능을 강화시키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미국특허 제6,274,175호), 골수조혈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백혈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시켜 말초혈액 내 백혈구 수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GM-CSF는 이러한 조혈세포 자극효과로 인하여 골수기능이 약화된 환자의 치료에 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신경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어 신경손상을 회복시키는 기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대한민국특허 제10-0740972호), 암환자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나 약물 치료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구강염증(oral mucositis)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M. Hejna, et al., Eur. J. Cancer, 37, pp.1994-2002, 2001; G. M. Sprinzl, et al., Eur. J. Cancer, 37, pp.2003-2009, 2001).
GM-CSF 중에서 특히 인간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on factor; 이하 “hGM-CSF”라 함)는 12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25개의 소수성 리더서열을 포함하고 있고, hGM-CSF는 상피세포, 대식세포(mcrophage), 활성화된 T 세포나 내피세포 등에서 분비되며, 조혈세포의 재생유도와 외부로부터의 감염에 대한 치료 및 백혈병(Myeloid leukemia)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A.W. Burgess, et al., J. Biol. Chem., 252, pp.1998-2003, 1977; D. Met calf, et al., J. Cell. Physiol., 111, pp.275-283, 1982).
그밖에, hGM-CSF는 호중구감소증(neutropenia)과 무형성빈혈(aplastic anaemia)의 치료에 의학적 사용이 증가되고 있고 호중성구백혈구(neutrophil)의 분비를 촉진시켜 골수이식과 관련된 감염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J.E. Rasko, et al.,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Thomson (Ed), pp.343-369, 1994).
사이토카인류(cytokines), 특히 분자량이 10 kDa 이상인 사이토카인류의 경구제로 투여할 경우, 효능(efficacy) 및 안정성(stability) 등의 다면적으로 장애가 되어 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프로테오믹 사이토카인류(proteomic cytokines)는 주사제로 투여되어 왔다. 기존의 hGM-CSF를 함유한 제제 또한, 조혈세포의 재생유도, 외부로부터의 감염에 대한 치료 및 화학요법으로 백혈병(Myeloid leukemia) 치료시 발생하는 호중구감소증 치료에 사용되는 효모(yeast) 유래 유전자 재조합(recombinant) hGM-CSF를 함유한 액상 주사제(상품명: Leukine) 및 박테리아 유래 유전자 재조합 hGM-CSF를 함유한 분말 주사제(상품명: Leucomax) 제형이 시판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제는 비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주사제이기 때문에 제조시 제조비용이 높고 환자의 순응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 및 미생물의 오염, 산화, 분해 등과 같은 제제의 변질이 일어나기 쉽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Zhang 등은 누에 번데기(silkworm pupae) 유래 유전자 재조합 GM-CSF를 캡슐에 충진하여 마우스(mouse), 렛트(rat), 비글 견(beagle dog), 원숭이(monkey)를 함유하는 실험동물들을 상대로 경구 투여한 후 위장관에서의 흡수가 가능함을 보고하였으나(Y. Zhang, et al., Eur. J. Pharm. Sci., 28, pp.212-223, 2006), 캡슐제의 경우, 정제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높고 캡슐 재질로 주로 사용되는 젤라틴이 습기에 민감하여 변화되기 쉽고,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보통 15-20%의 수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가수분해를 받기 쉬운 약물의 경우 사용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들을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6,660,258호에 구강 또는 비강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Ferimmune™ excipient tablet을 용제에 현탁시킨 후, 투여시 사이토카인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이 투여 방법은 활성성분인 사이토카인을 별도로 보관했다가 사용시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활성성분과 첨가제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고 투여시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투여 방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암환자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나 약물 치료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구강염증(oral mucositis)의 치료 효과를 타진하기 위하여 분말주사제인 Leucomax을 구강세정제(mouthwash)의 형태로 사용한 예가 있었으나(M. Hejna, et al., Eur. J. Cancer, 37, pp.1994-2002, 2001; G. M. Sprinzl, et al., Eur. J. Cancer, 37, pp.2003-2009, 2001), 분말주사제를 구강세정제로 사용 시 사용상 불편성 문제 즉, 바이알 내용물 전체를 액제로 만들어 놓을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회 사용량의 분말로 분배시 비산(飛散)성 때문에 정확한 용량을 투여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274,175호에 GM-CSF의 연장방출(prolonged release)을 목적으로 하는 미립구 제형과 하이드로겔(hydrogel) 제형이 제시되었지만,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미립구 제형의 경우에는 제조공정 중에 독성이 강한 유기용매 중 하나인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고속혼합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10,000 rpm으로 혼합하는 과정이 제조공정 중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GM-CSF의 생물학적 활성도(bioactivity)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특허에서 사용한 효모 유래 유전자 재조합 hGM-CSF의 경우에는 이러한 가혹한 제조공정에도 불구하고 생물학적 활성도에 문제가 없다고 명시하고는 있지만, 유래가 다른 유전자 재조합 hGM-CSF의 경우 생물학적 활성도가 유지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벼세포 유래 hGM-CSF에 대하여 하기 실험예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물학적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활성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제를 안정한 상태로 보다 쉽게 환자들에게 복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집중 연구하던 중,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이 물리적 성질의 변화 가능성이 낮고 약제의 화학적·생물학적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며, 환자의 복용 순응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한 현탁정(dispersible tablet), 비등정(effervescent tablet), 속붕해성 정제 또는 점막점착성 정제와 같은 정제로 제조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정제”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정제”는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정제”는 현탁정, 비등정, 속붕해성 정제 또는 점막점착성 정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GM-CSF는 활성성분으로서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정제의 제조 공정의 예로서,
본 발명은 (a)(1)GM-CSF와 (2)쓴맛개선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부형제, 발포제, 점막점착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화제, 보습제, 완충제, 항균제, 항산화제 또는 흡수증진제등과 같은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b)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로서 정제 형태로 보관한 후 복용 시 물에 현탁하여 사용하는 현탁정(dispersible tablet), 비등정(effervescent tablet), 구강 내에서 제제 자체가 용해되거나 붕해되어 물 없이도 복용이 가능한 제제인 속붕해성 정제 또는 구강/위장관 점막에 점착하여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점막점착성 정제 등을 함유하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정제를 포괄하는 정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정제”는 쓴맛개선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부형제, 발포제, 점막점착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화제, 보습제, 완충제, 항균제, 항산화제 또는 흡수증진제 등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쓴맛개선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부형제, 발포제, 점막점착제 또는 흡수증진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쓴맛개선제”는, 상업적으로 사람에 사용이 허용되어 있는 모든 쓴맛은폐제(bitter taste masking agent), 감미제 또는 향료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크로스포비돈, 아스파탐(aspartam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구연산, 소마틴(thaumatin), 말티톨(maltitol), 소르비톨, 만니톨, 에리쓰리톨(erythritol), 락티톨(lactitol), 자일리톨, 환원전분당화물, 사카린, 감초추출물, 스테비어(stevia) 감미료, 모그로소시드(mogrososide), 백당, 이성화당, 파라티노스(paratinose),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말토올리고당(malto-oligosaccharide), 프록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대두올리고당, 과당, 자당, 유당, 맥아당, 포도당, 자일로스(xylose), 이성화유당,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물엿 또는 과일향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크로스포비돈, 아스파탐(aspartam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구연산, 소마틴(thaumatin), 말티톨(maltitol), 소르비톨, 만니톨, 에리쓰리톨(erythritol), 락티톨(lactitol), 자일리톨, 환원전분당화물, 사카린, 감초추출물, 스테비어(stevia) 감미료, 모그로소시드(mogrososide), 백당, 이성화당, 또는 과일향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포비돈, 아스파탐(aspartam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구연산, 만니톨, 자일리톨, 또는 과일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쓴맛개선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붕해제”는 정제의 붕해성을 촉진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인산칼슘, 유당, 옥수수전분, 시메치콘(simethicone), 소르비톨,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 결정셀룰로오스(crystalline cellulose), 경질무수규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호화전분(gelatinized starch),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폴리소르베이트 80 (polysorbate 80),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록사머(poloxamer), 포비돈(povidon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또는 침강탄산칼슘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인산칼슘, 옥수수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또는 침강탄산칼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또는 침강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붕해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결합제”는 정제를 구성하는 혼합물에 결합력을 주어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호화전분,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폴리비닐알코올, 폴록사머, 포비돈, 탈크,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코포비돈,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젤라틴, 정제쉘락(purified Shellac), 정제수(purified water), 전호화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전분,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이산화규소, 유동파라핀, 유당, 옥수수전분, 에탄올, 에칠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분말셀룰로오스(powdered cellulose), 백당, 미결정셀룰로오스,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메칠셀룰로오스, 메글루민(meglumine), 만니톨, 레시친(lecithin), 꿀(honey), 글리세린, 경화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경질무수규산 또는 결정셀룰로오스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호화전분,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폴리비닐알코올, 포비돈,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코포비돈,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젤라틴, 정제쉘락(purified Shellac), 정제수(purified water), 전호화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 유동파라핀, 유당, 옥수수전분, 에탄올, 에칠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분말셀룰로오스(powdered cellulose), 백당, 미결정셀룰로오스,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메칠셀룰로오스, 메글루민(meglumine), 레시친(lecithin), 꿀(honey), 글리세린, 경화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또는 결정셀룰로오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포비돈,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코포비돈,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젤라틴, 정제수(purified water), 전호화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 또는 결정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부형제”는 정제 내에서 활성성분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황산칼슘, 황납, 홍화유, 호화전분, 합성규산알루미늄, 피마자유,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옥실40경화피마자유,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폴록사머, 포비돈, 포도당, 펙틴, 파라핀, 탈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코포비돈, 카올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침강탄산칼슘, 젤라틴, 전호화전분,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전분,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자일리톨, 자당지방에스텔, 인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이산화규소, 유드라짓, 유당, 옥수수전분, 에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릴알코올, D-소르비톨, 셀락토오스, 세탄올, 산화폴리에칠렌, 산화마그네슘, 산탄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백당, 미결정셀룰로오스, D-만니톨, 루디프레스, 덱스트린, 글리세릴베헤네이트,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구연산, 경질무수규산 또는 결정셀룰로오스로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호화전분,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폴록사머, 포비돈, 포도당, 펙틴,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코포비돈, 카올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침강탄산칼슘, 젤라틴, 전호화전분, 전분,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자일리톨, 인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이산화규소, 유드라짓, 유당, 옥수수전분, 에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릴알코올, D-소르비톨, 셀락토오스, 세탄올, 산화폴리에칠렌, 산탄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백당, 미결정셀룰로오스, D-만니톨, 루디프레스, 덱스트린, 경질무수규산 또는 결정셀룰로오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폴록사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전호화전분,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인산수소칼슘, 유드라짓, 유당, 옥수수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D-만니톨 또는 경질무수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활택제”는 정제 제조시 혼합물의 압축조작을 원활하게 진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탈크, 합성규산알루미늄,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카올린(Kaolin),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텔(sucrose esters of fatty acids), 이산화규소, 옥수수전분, 실리콘액 350 센티스톡스(silicone fluid 350 centistokes), 시메치콘(simethicone), 스테아린산폴리옥실 40 (polyoxyl 40 stearate),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glyceryl monostearate),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릴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규산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경화유(hydrogenated oil, hard fat), 또는 경질무수규산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탈크, 합성규산알루미늄,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카올린(Kaolin), 이산화규소, 시메치콘(simethicone), 스테아린산폴리옥실 40 (polyoxyl 40 stearate),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glyceryl monostearate),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릴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규산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경화유(hydrogenated oil, hard fat), 또는 경질무수규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탈크, 합성규산알루미늄,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이산화규소, 규산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또는 경질무수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발포제”는 물과 작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및 유기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 및 구연산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및 주석산을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점막점착제”는, 생체 점막에 점착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카보필(Polycarbophil), 카보머(carbomer),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히드록시프로필 구아(hydroxypropyl guar), 키토산(chitosan), 카라기난(Carrageenan),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polyhydroxy butyrate), 폴리카프로락톤(poly(e-caprolactone)), 폴리오르소에스테르(poly(ortho esters)),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poly(cyano acrylates)),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zenes), 폴리비닐알콜, 폴리에칠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젤라틴, 포비돈, 또는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필(Polycarbophil), 카보머(carbomer),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히드록시프로필 구아(hydroxypropyl guar), 키토산(chitosan),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폴리오르소에스테르(poly(ortho esters)),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poly(cyano acrylates)),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zenes), 폴리비닐알콜, 폴리에칠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젤라틴, 포비돈, 또는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필(Polycarbophil), 카보머(carbomer),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키토산(chitosan),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폴리비닐알콜, 폴리에칠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젤라틴, 포비돈, 또는 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흡수증진제”는 활성성분의 생체막 투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구연산, 살리실산나트륨(sodium salicylate), 에칠렌디아민사초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메톡시살리실레이트(methoxy salicylates),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phate), 폴리옥시에칠렌(polyoxyethylene), 폴리옥시에칠렌-9-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9-lauryl ether), 폴리옥시에칠렌-20-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20-cetyl ether), 벤즈알코니움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23-라우릴에테르(23-lauryl ether), 세틸피리디니움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세틸트리메칠암모니움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소디움글리코콜레이트(sodium glycocholate), 소디움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소디움타우로콜레이트(sodium taurocholate), 소디움글리코디옥시콜레이트(sodium glycodeoxy- cholate), 소디움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올레산(ole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라우르산/프로필렌글리콜(lauric acid/propylene glycol), 메칠올레이트(methyloleate),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불포화고리유레아(unsaturated cyclic ureas),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s), 아프로티닌(aprotinin), 아존(azone), 덱스트란설페이트(dextran sulfate), 멘톨(menthol),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설폭사이드류(sulfoxides), 알킬글루코시드류(alkyl glycosides), 키토산-4-치오부칠아마이드(chitosan-4-thiobutylamide), 키토산-4-치오부칠아마이드/지에스에이치(chitosan-4-thiobutylamide/GSH), 키토산-시스테인(chitosan-cysteine), 폴리아크릴산-호모시스테인(poly acrylic acid)-homo- cysteine), 폴리카보필-시스테인(polycarbophil-cysteine), 폴리카보필-시스테인/지에스에이치(polycarbophil-cysteine/GSH), 키토산-4-치오에칠아마이드/지에스에이치(chitosan-4-thioethylamide/GSH), 폴리옥시에틸레이티드 글리코리시드 글리세라이드(polyoxyethylated glycolysed glycerides),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에스테르 장쇄 지방산 혼합물(mixture of glycerol and PEG 1500 esters of long fatty acids) 또는 키토산-4-치오글리콜산(chitosan-4-thio- glycholic acid)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칠렌(polyoxyethylene), 폴리옥시에칠렌-9-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9-lauryl ether), 폴리옥시에칠렌-20-세틸에테르(polyoxyethylene-20-cetyl ether), 벤즈알코니움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23-라우릴에테르(23-lauryl ether), 세틸피리디니움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세틸트리메칠암모니움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소디움글리코콜레이트(sodium glycocholate), 소디움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소디움타우로콜레이트(sodium taurocholate), 소디움글리코디옥시콜레이트(sodium glycodeoxy- cholate), 소디움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올레산(ole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라우르산/프로필렌글리콜(lauric acid/propylene glycol), 메칠올레이트(methyloleate),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설폭사이드류(sulfoxides), 폴리옥시에틸레이티드 글리코리시드 글리세라이드(polyoxyethylated glycolysed glycerides),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에스테르 장쇄 지방산 혼합물(mixture of glycerol and PEG 1500 esters of long fatty acids) 또는 알킬글루코시드류(alkyl glycosides)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우르산/프로필렌글리콜(lauric acid/propylene glycol), 메칠올레이트(methyloleate),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설폭사이드류(sulfoxides), 폴리옥시에틸레이티드 글리코리시드 글리세라이드(polyoxyethylated glycolysed glycerides),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에스테르 장쇄 지방산 혼합물(mixture of glycerol and PEG 1500 esters of long fatty acids) 또는 알킬글루코시드류(alkyl glycosides)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흡수증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착색제를 정제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티탄, 산화철,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aluminium lake)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존제로는 벤조인산,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가능하고 이외에도 보습제, 완충제, 항균제 또는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탁정" 은 GM-CSF 및 쓴맛개선제, 신속한 현탁 과정을 달성하기 위한 붕해제, 결합제, 발포제, 부형제, 안정화제 또는 활택제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GM-CSF는 0.001 내지 50 중량% 이하, 쓴맛개선제는 0.1 내지 99 중량% 이하, 붕해제는 0.1 내지 90 중량%, 결합제는 0.1 내지 50 중량%, 발포제는 0.1 내지 30 중량%, 부형제는 1 내지 80 중량%, 안정화제는 0.01 내지 10 중량%, 활택제는 0.1 내지 20 중량%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등정" 은 GM-CSF 및 발포 과정을 달성하기 위한 발포제, 쓴맛개선제, 붕해제, 결합제, 부형제 또는 활택제 등에서 선택되어지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GM-CSF는 0.001 내지 50 중량% 이하, 발포제는 1 내지 70 중량%, 쓴맛 개선을 위한 첨가제는 1 내지 99 중량% 이하, 붕해제는 0.1 내지 50 중량%, 결합제는 0.1 내지 50 중량%, 부형제는 0.1 내지 30 중량%, 활택제는 0.1 내지 20 중량%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속붕해성 정제" 는 GM-CSF 및 붕해제, 쓴맛개선제, 결합제, 활택제, 부형제 또는 발포제 등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GM-CSF는 0.001 내지 50 중량% 이하, 붕해제는 0.1 내지 50 중량%, 쓴맛 개선제는 1 내지 99 중량% 이하, 결합제는 0.1 내지 50 중량%, 활택제는 0.1 내지 20 중량%, 부형제는 1 내지 80 중량%, 발포제는 1 내지 70 중량%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막점착성 정제" 는 GM-CSF 및 점막점착제, 흡수증진제, 결합제, 활택제, 쓴맛개선제, 부형제 또는 붕해제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인 GM-CSF는 0.001 내지 50 중량% 이하, 점막점착제는 1 내지 99 중량% 이하, 흡수증진제는 0.1 내지 30 중량% 이하, 결합제는 0.1 내지 50 중량%, 활택제는 0.1 내지 20 중량%, 쓴맛개선제는 0.1 내지 50중량% 이하, 부형제는 0.1 내지 50 중량%, 붕해제는 0.1 내지50 중량%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에 이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R.C. Rowe, et al.,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Pharmaceutical Press, Fifth Edition, 2006)에 기술되어 있으며, 정제 제조를 위한 기술은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D.B. Troy,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Twenty - first Edition, 2005)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술된 방법을 함유하는 약제학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GM-CSF를 함유하는 다양한 제제 및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 예로 GM-CSF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현탁정, 비등정, 속붕해성 정제 또는 점막점착성 정제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는 물리적 성질의 변화 가능성이 낮고 약제의 화학적·생물학적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며, 환자의 복용 순응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치료 효과가 있는 GM-CSF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현탁정(dispersible tablet), 비등정(effervescent tablet), 속붕해성 정제 또는 점막점착성 정제와 같은 정제는 물리적 성질의 변화 가능성이 낮고 약제의 화학적·생물학적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며, 환자의 복용 순응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산업상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벼세포 유래 유전자 재조합 hGM-CSF를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탄올의 함량에 따른 생물학적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
1-1.
현탁정의
제조(1)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2.
현탁정의
제조(2)
GM-CSF를 함유하는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현탁정의
제조(3)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4.
현탁정의
제조(4)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5.
현탁정의
제조(5)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6.
현탁정의
제조(6)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5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7.
현탁정의
제조(7)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5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8.
현탁정의
제조(8)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5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9.
현탁정의
제조(9)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5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실시예 (중량, mg)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
hGM-CSF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전호화전분 | 6.67 | 8.67 | 10.67 | - | - | - | - | 9.57 | - |
미결정셀룰로오스 | - | - | - | 11.38 | - | - | - | - | 12.37 |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
- | - | - | - | 11.38 | 17.78 | 17.78 | - | - |
크로스포비돈 | 3 | 2 | 2 | 2.45 | 2.45 | 3.83 | 3.83 | 2 | 2 |
만니톨 | 24.7 | 24 | 22 | - | - | - | - | 19 | 16 |
유당 | - | - | - | 20.73 | 20.73 | 32.39 | 32.39 | - | - |
탄산수소나트륨 | - | - | - | - | - | - | - | 5 | 5 |
무수구연산 | - | - | - | - | - | - | - | 4 | 4 |
아스파탐 | - | - | - | 0.43 | 0.43 | 0.67 | 0.67 | - | -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0.6 | 0.3 | 0.3 | 0.57 | 0.57 | 0.89 | 0.89 | - | - |
폴록사머 407 | - | - | - | - | - | - | - | 0.4 | 0.6 |
인산수소나트륨 | - | - | - | - | - | - | - | 0.35 | 0.35 |
실시예 2. GM-CSF를 함유하는 비등정
2-1. 비등정의 제조(1)
GM-CSF를 함유하는 비등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2-2. 비등정의 제조(2)
GM-CSF를 함유하는 비등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비등정의 제조(3)
GM-CSF를 함유하는 비등정을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실시예 (중량, mg) | ||
2-1 | 2-2 | 2-3 | |
hGM-CSF | 0.03 | 0.03 | 0.03 |
NPTAB? | 13.77 | - | - |
크로스포비돈 | 1 | 1.5 | - |
소르비톨 | 4 | 10.27 | 11.77 |
탄산수소나트륨 | 9 | 13 | 13 |
무수구연산 | 7 | 10 | 10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0.2 | 0.2 | 0.2 |
실시예 3.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
3-1.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1)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2.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2)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3.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3)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4.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4)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5.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5)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6.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6)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7.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7)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8.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8)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9.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9)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3-10.
속붕해성
정제의 제조(10)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4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실시예 (중량, mg) |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3-10 | |
hGM-CSF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0.03 |
NPTAB? | 9.59 | 9.59 | 6.09 | 6.09 | - | - | - | - | 16.77 | 12.77 |
유당 | 13.3 | - | 13.3 | 13.3 | - | - | - | 20.14 | - | - |
미결정셀룰로오스 | 7 | - | - | - | - | - | - | 11.38 | - | - |
옥수수전분 | - | 7 | - | - | - | - | - | - | - | - |
전호화전분 | - | - | - | - | 7.67 | 8.67 | 9.67 | - | - | - |
무수구연산 | 1.05 | 1.05 | 1.05 | 1.05 | - | - | - | - | - | 7 |
전분글리콘산나트륨 | 3.5 | 3.5 | 3.5 | - | - | - | ||||
Ludipress? LCE | - | - | 7 | 7 | - | - | - | - | - | - |
침강탄산칼슘 | - | - | 3.5 | 3.5 | - | - | - | - | - | - |
크로스포비돈 | - | - | - | - | 3 | 2.5 | 2 | 2.45 | 1 | 1 |
크로스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나트륨 |
- | - | - | 3.5 | - | - | - | - | - | - |
만니톨 | - | 13.3 | - | - | 23.7 | 23.5 | 23 | - | 7 | 5 |
탄산수소나트륨 | - | - | - | - | - | - | - | - | - | 9 |
아스파탐 | 0.18 | 0.18 | 0.18 | 0.18 | - | - | - | 0.43 | - | -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0.35 | 0.35 | 0.35 | 0.35 | 0.6 | 0.3 | 0.3 | 0.57 | 0.2 | 0.2 |
실시예 4.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
4-1. 점막점착성 정제의 제조(1)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10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4-2. 점막점착성 정제의 제조(2)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10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4-3. 점막점착성 정제의 제조(3)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10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4-4. 점막점착성 정제의 제조(4)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10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4-5. 점막점착성 정제의 제조(5)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hGM-CSF 및 첨가제들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비율로 혼합 후, 타정기(EK0, Korsch, Germany)에 직경 10 mm의 원형 정제 펀치를 장착하여 통상의 타정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 실시예 (중량, mg) | ||||
4-1 | 4-2 | 4-3 | 4-4 | 4-5 | |
hGM-CSF | 0.03 | 0.03 | 0.03 | 0.03 | 0.03 |
Carbopol? 71G | 48 | 48 | 48 | - | - |
포비돈 (K90) | - | - | - | 48 | 48 |
소르비톨 | 23.97 | 23.97 | 23.97 | 23.97 | 23.97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4.8 | 4.8 | 4.8 | 4.8 | 4.8 |
Labrafil? M 2125 CS | 1.6 | - | - | - | - |
Transcutol? HP | - | 1.6 | - | 1.6 | - |
Gelucire? 44/14 | - | - | 1.6 | - | 1.6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1.6 | 1.6 | 1.6 | 1.6 | 1.6 |
실험예
1.
GM
-
CSF
를 함유하는 정제의
마손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정제의 마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정제를 각 20정씩 마손도측정기(FAT-20, LABFINE, INC., Korea)를 이용하여 영국약전(British Pharmacopoeia 2007)에 기재된 마손도 측정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모두 마손도가 1% 이하로서 영국약전 규격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1-6, 실시예 4-3 및 실시예 4-4의 마손도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표 5 참조).
실시예 | 마손도(%) | 실시예 | 마손도(%) |
실시예 1-1 | 0.4 | 실시예 3-3 | 0.9 |
실시예 1-2 | 0.7 | 실시예 3-4 | 0.9 |
실시예 1-3 | 0.6 | 실시예 3-5 | 0.6 |
실시예 1-4 | 0.4 | 실시예 3-6 | 0.7 |
실시예 1-5 | 0.3 | 실시예 3-7 | 0.8 |
실시예 1-6 | 0.1 | 실시예 3-8 | 0.6 |
실시예 1-7 | 0.2 | 실시예 3-9 | 0.7 |
실시예 1-8 | 0.3 | 실시예 3-10 | 0.8 |
실시예 1-9 | 0.3 | 실시예 4-1 | 0.4 |
실시예 2-1 | 0.8 | 실시예 4-2 | 0.0 |
실시예 2-2 | 0.8 | 실시예 4-3 | 0.1 |
실시예 2-3 | 0.9 | 실시예 4-4 | 0.1 |
실시예 3-1 | 0.8 | 실시예 4-5 | 0.6 |
실시예 3-2 | 1.0 |
실험예
2.
GM
-
CSF
를 함유하는 정제의 경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정제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정제 각 6정씩 경도계(PTB-411, Pharmatest, Germany)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수준의 경도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4-1, 실시예 4-2 및 실시예 4-3의 경도가 보다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참조).
실시예 | 경도 (kP)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 경도 (kP)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1-1 | 2.4 ± 0.3 | 실시예 3-3 | 1.2 ± 0.4 |
실시예 1-2 | 1.9 ± 0.4 | 실시예 3-4 | 1.0 ± 0.1 |
실시예 1-3 | 1.8 ± 0.2 | 실시예 3-5 | 1.5 ± 0.4 |
실시예 1-4 | 2.2 ± 0.3 | 실시예 3-6 | 1.4 ± 0.3 |
실시예 1-5 | 2.7 ± 0.1 | 실시예 3-7 | 1.5 ± 0.4 |
실시예 1-6 | 2.5 ± 0.1 | 실시예 3-8 | 1.2 ± 0.1 |
실시예 1-7 | 2.7 ± 0.3 | 실시예 3-9 | 1.5 ± 0.2 |
실시예 1-8 | 1.3 ± 0.1 | 실시예 3-10 | 1.0 ± 0.3 |
실시예 1-9 | 1.5 ± 0.2 | 실시예 4-1 | 3.4 ± 0.4 |
실시예 2-1 | 1.7 ± 0.4 | 실시예 4-2 | 4.8 ± 0.6 |
실시예 2-2 | 1.4 ± 0.9 | 실시예 4-3 | 4.4 ± 0.7 |
실시예 2-3 | 1.7 ± 0.1 | 실시예 4-4 | 1.3 ± 0.1 |
실시예 3-1 | 1.1 ± 0.2 | 실시예 4-5 | 0.9 ± 0.1 |
실시예 3-2 | 1.1 ± 0.1 |
실험예
3.
GM
-
CSF
를 함유하는 정제의
붕해시간
측정
3-1.
GM
-
CSF
를 함유하는
현탁정의
붕해시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현탁정의 붕해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제 각 6정씩 붕해시험기(DIT-200, LABFINE, INC., Korea)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모두 3분 이내에 모두 붕해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1-1, 1-2, 1-3, 1-4, 1-8 및 1-9가 각각 20 ± 3, 24 ± 0, 24 ± 1, 18 ± 8, 22 ± 1 및 11 ± 8 초로 나타나 붕해성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7 참조).
실시예 | 붕해시간 (초)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1-1 | 20 ± 3 |
실시예 1-2 | 24 ± 0 |
실시예 1-3 | 24 ± 1 |
실시예 1-4 | 18 ± 8 |
실시예 1-5 | 123 ± 32 |
실시예 1-6 | 42 ± 15 |
실시예 1-7 | 78 ± 9 |
실시예 1-8 | 22 ± 1 |
실시예 1-9 | 11 ± 1 |
3-2.
GM
-
CSF
를 함유하는 비등정의
붕해시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비등정의 붕해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정제 각 6정씩 붕해시험기(DIT-200, LABFINE, INC., Korea)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2-3 모두 3분 이내에 모두 붕해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2가 38 ± 1 초로 나타나, 붕해성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8 참조).
실시예 | 붕해시간 (초)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2-1 | 90 ± 33 |
실시예 2-2 | 38 ± 1 |
실시예 2-3 | 101 ± 35 |
3-3.
GM
-
CSF
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의
붕해시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속붕해성 정제의 붕해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정제 각 6정씩 붕해시험기(DIT-200, LABFINE, INC., Korea)를 이용하여 37℃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1 내지 3-10 모두 3분 이내에 붕해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3-8 및 3-10가 각각 24 ± 2, 22 ± 2 초로 나타나 붕해성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9 참조).
실시예 | 붕해시간 (초)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3-1 | 63 ± 15 |
실시예 3-2 | 88 ± 4 |
실시예 3-3 | 78 ± 16 |
실시예 3-4 | 49 ± 10 |
실시예 3-5 | 55 ± 14 |
실시예 3-6 | 59 ± 8 |
실시예 3-7 | 66 ± 2 |
실시예 3-8 | 24 ± 2 |
실시예 3-9 | 70 ± 7 |
실시예 3-10 | 22 ± 2 |
실험예
4.
GM
-
CSF
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의 구강 점착시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점막점착성 정제의 구강 점착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정제 각 5정씩 각각의 피험자 구강 안쪽에 부착시키고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1, 실시예 4-2 및 실시예 4-3이 각각 186.5 ± 55.9, 215.0 ± 67.3 및 217.2 ± 73.6 분으로 나타나 점막점착성 정제의 점착력이 보다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표 10 참조).
실시예 | 구강 점착시간 (분)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4-1 | 186.5 ± 55.9 |
실시예 4-2 | 215.0 ± 67.3 |
실시예 4-3 | 217.2 ± 73.6 |
실시예 4-4 | 23.3 ± 7.4 |
실시예 4-5 | 25.1 ± 1.3 |
실험예
5.
GM
-
CSF
를 함유하는 정제의 약물 함량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정제의 약물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8 내지 1-9에서 제조한 정제 각 10정의 약물 함량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하기 표 11의 분석조건으로 측정하였다(표 11 참조).
실험결과,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8 및 1-9는 각각 97.9 ± 6.2, 99.9 ± 3.5%로 나타나 제제화 과정 중에 약물의 함량이 저하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표 12 참조).
분석조건 | |
분석칼럼 | Superose 12 (SEC HPLC column) |
이동상 | 20mM 인산염 완충액 (pH 7.2) |
유속 | 0.5 ml/min |
분석파장 | 280 nm |
온도 | 상온 |
실시예 | 약물 함량 (%)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1-8 | 97.9 ± 6.2 |
실시예 1-9 | 99.9 ± 3.5 |
실험예
6.
GM
-
CSF
를 함유하는 정제의 생물학적 활성도 측정
GM-CSF를 함유하는 정제의 생물학적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8 및 실시예 1-9의 정제를 각각 9정씩 TF-1 cell에서의 상대적인 생물학적 활성도(proliferation ability)를 하기 표 13의 분석조건을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측정하였다(표 13 참조).
실험결과, 표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GM-CSF를 함유한 정제의 생물학적 활성도는 최소 기준 활성인 2500000 IU/mg보다 높아 생물학적 활성도 측면에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4 참조).
분석조건 | |
세포주(Cell line) | human TF-1 (ATCC #CRL-2003), Leukocyte |
세포배양 배지 (Cell growth medium) |
RPMI 1640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
생물학적 정량 배지 (Bioassay medium) |
RPMI 1640 supplemented with 5% fetal bovine serum |
표준품 | rhGM-CSF standard from NIBSC (88/646) |
세포증식 측정시약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 |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MTS, Promega) |
광학밀도 분석장치 (Optical Density analyze machine) |
Microplate reader Model 680 (BIO-RAD) |
평행성 분석 프로그램 (Software for Analyzing Parallel-Line Assays) |
Parallel line assay 2.0 (Stegmann Systems) |
실시예 | 생물학적 활성도 (IU/mg) (평균 ± 표준편차) |
실시예 1-8 | 3863000 ± 423 |
실시예 1-9 | 5818000 ± 452 |
실험예
7.
GM
-
CSF
용액에서의 에탄올 함량에 따른 생물학적 활성도 측정
벼세포 유래 유전자 재조합 hGM-CSF 용액에서의 에탄올 함량에 따른 약물의 생물학적 활성도 측정은 상기 실험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함량이 10% 이상인 경우 생물학적 활성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벼세포 유래 유전자 재조합 hGM-CSF는 제조과정중에 유기용매에 노출되었을 때 약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00014874
[부처명]
지식경제부
[연구사업명]
바이오의료기기전략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식물로부터 생산된 단백질 활용성 제고
[주관기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관]
2007년 08월 01일 ~ 2011년 07월 31일
Claims (16)
- GM-CSF를 활성성분으로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며, 쓴맛개선제 0.1 내지 99 중량%, 붕해제 0.1 내지 90 중량% 및 발포제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며, 현탁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염증 치료용 정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쓴맛개선제는 크로스포비돈, 아스파탐(aspartam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구연산, 소마틴(thaumatin), 말티톨(maltitol), 소르비톨, 만니톨, 에리쓰리톨(erythritol), 락티톨(lactitol), 자일리톨, 환원전분당화물, 사카린, 감초추출물, 스테비어(stevia) 감미료, 모그로소시드(mogrososide), 백당, 이성화당, 파라티노스(paratinose),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말토올리고당(malto-oligosaccharide), 프록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대두올리고당, 과당, 자당, 유당, 맥아당, 포도당, 자일로스(xylose), 이성화유당,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물엿 또는 과일향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쓴맛개선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염증 치료용 정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붕해제는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크로스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cross-linke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인산칼슘, 유당, 옥수수전분, 시메치콘(simethicone), 소르비톨,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 결정셀룰로오스(crystalline cellulose), 경질무수규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호화전분(gelatinized starch), 폴리에칠렌글리콜6000, 폴리소르베이트 80 (polysorbate 80),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록사머(poloxamer), 포비돈(povidon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또는 침강탄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붕해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염증 치료용 정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나트륨 및 유기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발포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염증 치료용 정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GM-CSF를 활성성분으로 정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며, 쓴맛개선제 0.1 내지 99 중량%, 붕해제 0.1 내지 90 중량% 및 발포제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며, 현탁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염증 치료용 정제인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34987 | 2009-04-22 | ||
KR1020090034987 | 2009-04-22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5502A Division KR20130020760A (ko) | 2009-04-22 | 2012-12-27 |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6537A KR20100116537A (ko) | 2010-11-01 |
KR101233352B1 true KR101233352B1 (ko) | 2013-02-25 |
Family
ID=434035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4569A KR101233352B1 (ko) | 2009-04-22 | 2010-04-15 |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
KR1020120155502A KR20130020760A (ko) | 2009-04-22 | 2012-12-27 |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5502A KR20130020760A (ko) | 2009-04-22 | 2012-12-27 |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2333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11674A (zh) * | 2012-10-26 | 2013-02-06 | 武汉科技大学 | 稳定的多层膜结构泡沫剂及其制备方法 |
CN105535984B (zh) * | 2015-12-31 | 2018-07-27 | 重庆工商大学 | 红薯淀粉作为药物崩解剂的应用 |
CN108409998B (zh) * | 2018-03-30 | 2021-03-19 | 福建省灿辉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固态环保发泡剂及其制备方法 |
CN108543061A (zh) * | 2018-04-11 | 2018-09-18 | 郑向鹏 | 一种促进口腔和/或食管黏膜修复的缓释药片及其制备方法 |
WO2020002650A1 (en) * | 2018-06-29 | 2020-01-02 | Targovax Asa | A formul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2317A (ko) * | 1998-03-31 | 2001-05-25 | 아스타 메디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 비등성 제형 |
US6274175B1 (en) * | 1995-10-12 | 2001-08-14 | Immunex Corporation | Prolonged release of GM-CSF |
US6355270B1 (en) * | 1999-01-11 | 2002-03-12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Particles for oral delivery of peptides and proteins |
-
2010
- 2010-04-15 KR KR1020100034569A patent/KR101233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5502A patent/KR201300207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74175B1 (en) * | 1995-10-12 | 2001-08-14 | Immunex Corporation | Prolonged release of GM-CSF |
KR20010042317A (ko) * | 1998-03-31 | 2001-05-25 | 아스타 메디카 아크티엔게젤샤프트 | 비등성 제형 |
US6355270B1 (en) * | 1999-01-11 | 2002-03-12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Particles for oral delivery of peptides and protei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0760A (ko) | 2013-02-28 |
KR20100116537A (ko) | 2010-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60061B2 (en) | Corticosteroid containing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compositions for eosinophilic esophagitis | |
KR101233352B1 (ko) | 유전자 재조합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정제 | |
US20090124639A1 (en) | valacyclovir formulations | |
US20220193010A1 (en) | Methods of using dipivefrin | |
EP3915547A1 (en) | Transmucosal dosage forms of remdesivir | |
US20210369619A1 (en) | Transmucos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ntiviral drugs | |
US20220304934A1 (en) | Brivaracetam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 |
US20190209551A1 (en) | Oral dosage forms for oxygen-containing active agents and oxyl-containing polymer | |
KR20200066664A (ko) | 세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 |
US11389413B2 (en) | Methods of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ymoquinone | |
US20130143912A1 (en) | Sublingual zolpidem formulations | |
EP3915548A1 (en) | Transmucos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ntiviral drugs | |
CN102885794B (zh) | 一种口含干扰素片剂及其制备方法 | |
WO2006028362A1 (es) | Composición farmacéutica de liberación prolongada de hidralazina y su uso como apoyo para el tratamiento del cánc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