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300B1 - 근채류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근채류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300B1
KR101233300B1 KR1020100049850A KR20100049850A KR101233300B1 KR 101233300 B1 KR101233300 B1 KR 101233300B1 KR 1020100049850 A KR1020100049850 A KR 1020100049850A KR 20100049850 A KR20100049850 A KR 20100049850A KR 101233300 B1 KR101233300 B1 KR 10123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root
ginger
cleaning method
root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283A (ko
Inventor
권기현
김병삼
차환수
이호준
최정희
이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30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Abstract

근채류(根菜類) 세정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근채류 세정방법은 자동으로 이송되는 근채류에 적정압력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근채류를 세척 및 박피하므로, 세척 및 박피된 근채류의 손실율 및 상처율이 저하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근채류 세정방법 {SYSTEM FOR CLEANING UP ROOT CORPS}
본 발명은 근채류(根菜類)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채류란 줄기를 포함한 뿌리를 식용할 수 있는 생강 등과 같은 채소를 말한다.
종래에는 생강 등을 저장통에 넣고 세척수를 뿌려 세척한 후, 세척된 생강을 통돌이에 3시간 이상 침치하여 박피하였다.
이로인해, 생강의 손실율 및 상처율이 매우 높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채류 세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은, 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브러쉬로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이송벨트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근채류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 및 박피하는 세척 및 박피 단계; 세척 및 박피된 근채류를 마이크로버블로 헹구는 헹굼 단계; 헹궈진 근채류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탈수하는 탈수 단계; 탈수된 근채류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은 자동으로 이송되는 근채류에 적정압력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근채류를 세척 및 박피하므로, 세척 및 박피된 근채류의 손실율 및 상처율이 저하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에 사용되는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박피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살균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탈수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수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을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중량변화를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색도변화를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중량변화를 보인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색도변화를 보인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외관변화를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외관변화를 보인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표면을 Microphotograph로 측정한 것을 보인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표면을 Microphotograph로 측정한 것을 보인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근채류(根菜類)를 생강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에 사용되는 세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에 사용되는 세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장치는 프레임(110), 생강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20),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는 세척/박피부(130), 생강을 살균하는 살균부(150), 생강을 탈수하는 탈수부(160) 및 세척수를 정수하는 정수부(170)를 가진다.
미설명 부호 180은 컨트롤판넬이다.
상기 세정장치의 이송부(120)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는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110)에 설치된 제 1 이송벨트(121)와 제 2 이송벨트(123)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이송벨트(121,123)는 각각 메쉬구조로 마련되어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생강은 제 1 이송벨트(121)에 탑재되어 이송된다.
제 2 이송벨트(123)는 세척/박피부(130)가 설치된 부위에 마련되어, 제 1 이송벨트(121)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제 1 이송벨트(121)의 부위에 생강이 탑재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제 2 이송벨트(123)의 부위는 생강을 제 1 이송벨트(121)측으로 눌러서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이송벨트(121,123)는 탄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두께의 생강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장치의 세척/박피부(130)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척/박피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박피부(130)는 제 2 이송벨트(123)가 설치된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세척/박피부(130)는 제 1 이송벨트(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세정장치에는 제 1 이송벨트(121)의 상측에 4개의 세척/박피부(130)가 설치되고, 제 1 이송벨트(121)의 하측에 4개의 세척/박피부(130)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이송벨트(121)의 상측에 설치된 세척/박피부(130)와 하측에 설치된 세척/박피부(130)는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어 대향한다.
각각의 세척/박피부(130)는 제 1 이송벨트(121)의 폭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세척수 유입관(131), 세척수 유입관(131)에 각각 연통 설치되어 생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1 노즐(133)을 가진다. 세척수 유입관(131)은 복수개 마련되고, 각 세척수 유입관(131)에는 복수개의 제 1 노즐(133)이 설치된다.
제 1 노즐(13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생강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생강의 껍질이 박피된다. 이때, 생강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생강은 주로 세척되고, 후반부측에 위치된 1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생강은 주로 박피된다.
세척수 유입관(131)은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노즐(133)은 세척수 유입관(13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대략 100°스윙(Swing)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 1 이송벨트(121)의 상측에 위치된 제 1 노즐(133)과 제 1 이송벨트(121)의 하측에 위치된 제 1 노즐(133)은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스윙한다. 그러면, 제 1 이송벨트(121)의 상측에 위치된 제 1 노즐(13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와 제 1 이송벨트(121)의 하측에 위치된 제 1 노즐(13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호 부딪히면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므로, 더욱 깨끗하게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순차적으로 높여주는 것이 세척율 향상에 바람직하고, 후반부측에 위치된 1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력보다 높여 주는 것이 박피율 향상에 바람직하다.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력은 세척/박피부(130)와 연통된 압축기의 압력, 또는 제 1 노즐(133)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절하면 된다.
제 1 노즐(133)은 지그재그형태로 벤딩 형성되는데, 이는 제 1 노즐(133)로 유입된 세척수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분사하기 위함이다. 세척수가 미세하게 분쇄되어 분사되면 생강을 더욱 깨끗하게 세척 및 박피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제 1 노즐(133)에서 분사된 물과 생강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받아서 저장하는 수거통(135)이 설치된다.
도 3의 미설명 부호 141, 143 및 145는 세척수 유입관(131)을 정역회전시켜 제 1 노즐(133)을 스윙시키기 위한, 모터, 연결링크 및 연결바이다.
상기 세정장치의 살균부(150)를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살균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150)는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전해이온수 등과 같은 살균액이 유입되는 복수의 살균액 유입관(151), 각각의 살균액 유입관(151)에 연통 설치되며 살균액을 생강으로 분사하는 제 2 노즐(153), 프레임(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살균액 유입관(151)으로 살균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제 2 노즐(153)에서 분사된 살균액을 받아서 수거하는 살균액 저장통(155)을 포함한다.
살균부(150)는 제 1 이송벨트(121)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정장치의 탈수부(160)를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탈수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부(160)는 제 1 이송벨트(12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관(161), 중앙부측이 압축공기 유입관(161)의 하단부측과 연통되며 압축공기 유입관(16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관(163), 상부측은 회전관(163)과 연통되고 하부측은 제 1 이송벨트(121)를 향하면서 생강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 3 노즐(165)을 가진다.
제 3 노즐(165)은 압축공기 유입관(161)과 평행한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압축공기 유입관(161)을 기준으로, 회전관(163)의 일측에 설치된 제 3 노즐(165)과 타측에 설치된 제 3 노즐(165)은 점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 3 노즐(165)에서 생강으로 공기가 분사되면, 제 3 노즐(165)에서 생강으로 분사되는 공기의 각도에 의하여 회전관(163)이 회전되고, 이로인해 제 3 노즐(165)이 회전한다. 따라서, 생강은 골고루 탈수된다.
상기 세정장치에는 세척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정수하는 정수부(170)가 마련된다. 상기 세정장치의 정수부(170)를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수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박피부(130)의 수거통(135)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개의 필터(137)가 설치되고, 정수부(170)는 수거통(135)과 연통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수부(170)는 하우징(171)을 가진다. 하우징(171)의 하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가 저장된 하우징(171)의 하면측에는 전술한 세척/박피부(130)의 세척수 유입관(131)과 연통되는 연통관(171a)이 설치된다.
하우징(171)의 내부 상부측에는 원통형상의 회전필터(17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회전필터(173)의 후면측을 통하여 수거통(135)의 물이 회전필터(173)의 내부로 유입된다. 회전필터(173)에서 정수되는 세척수의 입도는 100mesh 이하이다.
회전필터(173)는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필터링한다. 그리고, 필터링된 이물질은, 회전필터(173)가 회전하면, 회전필터(17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안내리브(173a)를 회전필터(173)의 전면측으로 이송되어 토출된다.
회전필터(173) 상측의 하우징(171) 부위에는 하우징(171)의 하부측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회전필터(173)로 분사하는 제 4 노즐(175)이 설치된다. 회전필터(173)의 상측에서 회전필터(173)로 세척수가 공급되므로, 회전필터(173)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회전필터(173)의 내부 하면측으로 떨어져서 안내리브(173a)를 따라 회전필터(173)의 전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생강을 세정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생강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수행한 후, 전처리된 생강을 제 1 이송벨트(121)에 탑재하여 이송시키면서, 제 2 이송벨트(123)로 생강을 제 1 이송벨트(121)측으로 눌러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이송벨트(121,123)는 메쉬구조이며, 메쉬 공극율은 제 1 및 제 2 이송벨트(121,123)의 면적 대비 각각 8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20)에서는 세척수를 생강에 분사하여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한다. 세척수는 세척/박피부(130)의 제 1 노즐(133)에서 분사되는데, 생강은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서 주로 세척되고, 후반부측에 위치된 1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서 주로 박피된다.
그리고,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은, 6∼18㎏f/㎠의 범위 내에서, 후반부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은 것이 세척율 향상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반부측에 위치된 1개의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은 전반부측 마지막에 위치된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보다 높은 것이 박피율 향상에 바람직하다.
제 1 노즐(133)은 생강의 상하측에서 세척수 유입관(131)을 기준으로 스윙하므로,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생강 등과 같은 부정형의 근채류도 상대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음과 동시에, 깨끗하게 박피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는 세척/박피된 생강을, 별도로 마련된, 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헹구며, 단계(S40)에서는 200ppm 이하의 전해이온수 등과 같은 살균액을 생강에 분사하여 생강을 살균한다. 살균액은 살균부(150)의 제 2 노즐(153)에서 분사된다.
그리고, 단계(S50)에서는 탈수부(160)의 제 3 노즐(165)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생강을 탈수한다. 이때, 탈수 및 후술할 건조단계(S60)를 수행한 후, 생강을 포장하였을 때,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강에 묻어 있는 물의 85%이상을 탈수한다. 제 3 노즐(165)이 회전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생강을 탈수하므로, 생강은 골고루 탈수된다. 이때, 제 3 노즐(165)에 분사되는 공기의 풍속은 35m/s, 분사압력은 3㎏f/㎠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계(S60)에서는 35℃ 이하에서 생강을 열풍건조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방법으로 생강을 세정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본 실험은 이송부(120)의 이송속도를 20∼60㎐,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6∼18㎏f/㎠, 세척/박피부(130)의 스윙속도를 20∼60㎐로 설정하였으며, 세척수는 일반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전후의 생강의 중량변화, 상처율, 세척율, 외관변화 및 Microphotograph를 비교하였다.
이때, 세척/박피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6∼14 kgf/㎠로 하였을 경우는 전반부측에 배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를 이용하여 주로 세척만 한 경우이고, 12∼18㎏f/㎠로 하였을 경우는 4개의 세척/박피부(130)를 이용하여 세척 및 박피를 모두 한 경우이다.
생강의 중량변화는 TS2KK(OHAUS CORPORATION, USA)를 사용하여 세척 전후의 생강의 중량을 측정한 후, 비교한다.
생강의 상처율은 세척 전후 상처가 발생한 생강의 개수를 관능적으로 계수하여 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1
---------(1)
생강의 세척도인 색도변화는 Colory meter(CR2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생강의 세척전후로 3회 반복으로 생강의 외부 색도변화를 측정하고, 외부 색도의 L, a, b 값을 측정한 후 △E값을 계산하여 세척율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2
-----------(2)
L(+Lightness), a(+Redness, -Greenness), b(+Yellowness, -Blueness)
생강의 외관변화는 곰팡이 발생, 연화, 변색 되어진 생강을 관찰한 후 사진촬영하여 나타낸다.
Microphotograph 측정은 생강의 표면 형상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것으로, Microphotograph(EGVM-35B Video micro scope system, EG-tech Co., Anyang, Korea)를 이용하여 160배로 확대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3
표 1의 W1∼W15는 15개의 처리구를 말하고,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는 복수의 세척/박피부(130) 중, 생강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를 생강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 것을 말한다.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생강의 중량변화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구 W1∼W5의 경우는 각각 4.3, 4.1, 5.5, 5.0, 4.8%이고, 처리구 W6∼W10의 경우는 각각 3.4, 3.3, 3.9, 3.4, 7.8%이며, 처리구 W11∼W15의 경우는 2.6, 7.5, 4.5, 7.1, 6.0% 이다.
따라서, 세척/박피부(130)의 세척수 분사압력 대비 중량변화는 대체로 비례관계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세척율을 가진다.
그리고,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생강의 색도변화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리구 W1∼W5의 경우는 색도변화가 각각 34.64, 36.31, 40.63, 39.53, 41.97 이었고, 처리구 W6∼W10의 경우는 색도변화가 각각 29.97, 35.96, 32.94, 39.04, 39.39 이었으며, 처리구 W11∼W15의 경우 색도변화가 각각 41.23, 45.50, 45.42, 43.78, 45.95 이었다.
따라서, 색도변화가 상대적으로 우수하므로, 세척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4
표 2의 P1∼P15는 15개의 처리구를 말하고,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는 복수의 세척/박피부(130) 중, 생강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반부측에 위치된 3개의 세척/박피부(130)를 생강의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 것을 말한다.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생강의 중량변화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구 P1∼P5의 경우는 각각 14.6, 13.8, 12.6, 15.5, 15.8% 이고, 처리구 P6∼P10의 경우는 각각 8.5, 11.7, 9.7, 11.0, 11.3% 이며, 처리구 P11∼P15의 경우는 각각 14.6, 17.0, 15.2, 15.3, 14.0% 였다. 다른 공정인 생강의 상처율을 고려할 때, 처리구 P1∼P5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세척 및 박피가 우수하다.
그리고,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생강의 색도변화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리구 P1∼P5이 경우는 색도변화가 각각 34.64, 36.31, 40.63, 39.53, 41.97이고, 처리구 P6∼P10의 경우는 색도변화각 각각 44.11, 45.88, 45.81, 46.11, 49.47이며, 처리구 P11∼P15의 경우 색도변화가 각각 45.26, 47.16, 45.95, 45.89, 47.94 이다. 다른 공정인 생강의 상처율을 고려할 때, 처리구 P1∼P5의 경우가 색도변화가 가장 우수하므로, 세척율이 가장 우수하다.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생강의 상처율 변화는 표 3과 같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5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하였을 때의 생강의 상처율은,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처리구 W4, W5, W11, W12, W15의 경우 상처가 생긴 생강이 각각 1개씩 발생하였고, 처리구 W14의 경우 상처가 생긴 생강이 2개 발생하였다.
표 3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생강의 상처율도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우수하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6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생강의 상처율은, 표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처리구 P1, P11, P15의 경우 상처가 생긴 생강이 각각 1개씩 발생하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처리구 P1∼P5의 경우 상처율이 우수하고, 처리구 P5∼P10의 경우 상처는 발생하지 않지만 색도변화가 미흡하며, 처리구 P11∼P15의 경우 높은 압력으로 상처가 생긴 생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1에 표시된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표 2에 표시된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의 외관을 전자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곰팡이 발생, 연화, 변색된 생강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색도변화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1에 표시된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표 2에 표시된 조건으로 생강을 세척 및 박피하였을 때, 생강의 표면을 Microphotograph 측정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7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척/박피부(130)의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15㎏f/㎠인 경우는 이송부(120)의 이송속도가 증가하여도 중량변화율이 큰 차이가 없고,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증가하면 중량변화율이 감소하므로 세척효과가 양호하다.
그리고,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20㎏f/㎠ 일 때 생강의 세척은 우수하나, 생강의 표면 일부가 손상될 수 있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8
세척에 사용되는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생강의 세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송부(120)의 이송속도를 30Hz,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스윙속도를 40Hz로 고정한 후,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을 10㎏f/㎠에서 20㎏f/㎠까지 5단계로 변화시켜, 생강의 세척전과 세척후의 중량, 중량변화율, 색도, 손상율을 분석하였다.
표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증가할수록 중량변화율은 완만하게 감소하고, 색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색도는 색차계로 세척전과 세척후의 생강 표면의 L, a, b 값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낸 것으로, 값이 높을수록 흰색에 가까우며, 세척율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09
세척에 사용되는 전반부측의 3개의 제 1 노즐(133)의 스윙속도가 생강의 세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송부(120)의 이송속도를 30Hz, 전반부측의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을 ㎏f/㎠ 고정한 후,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스윙속도를 20Hz에서 60Hz까지 5단계로 변화시켜 세척전과 후의 생강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표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스윙속도가 증가하여도 중량변화율 및 색도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어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스윙속도가 세척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34162843-pat00010
생강의 박피에 사용되는 후단부측 1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생강의 박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송부(120)의 이송속도를 30Hz, 후반부측 1개의 제 1 노즐(133)의 스윙속도를 40Hz,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을 15㎏f/㎠ 로 고정하고, 후반부측 1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을 20㎏f/㎠에서 30㎏f/㎠까지 5단계로 변화시키며 생강의 박피전과 후의 중량, 중량변화율, 색도, 손상율을 분석하였다.
표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후반부측 1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이 25이상에서는 색도변화에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후반부측 1개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은 20㎏f/㎠ 이하가 적합하다.
이상의 실험예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세정방법에 사용되는 세척/박피부(130)의 제 1 노즐(133)의 분사압력은 세척만 할 경우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133)의 압력은 8∼12㎏f/㎠가 적정하고, 세척 및 박피를 할 경우 전반부측 3개의 제 1 노즐의 압력은 14∼18㎏f/㎠, 후반부측 1 개의 제 1 노즐(133)의 압력은16㎏f/㎠가 적정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브러쉬로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이송벨트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근채류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 및 박피하는 세척 및 박피 단계;
    세척 및 박피된 근채류를 마이크로버블로 헹구는 헹굼 단계;
    헹궈진 근채류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탈수하는 탈수 단계;
    탈수된 근채류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수행하고,
    근채류는 메쉬구조의 제 1 이송벨트에 탑재되어 이송되고,
    상기 제 1 이송벨트에 탑재된 근채류는 상기 제 1 이송벨트의 상측에 설치된 메쉬구조의 제 2 이송벨트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송벨트측으로 눌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벨트의 메쉬 공극율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벨트의 면적 대비 각각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근채류의 세척 및 박피는 복수의 제 1 노즐을 각각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박피부에 의하여 세척 및 박피되고,
    상기 세척/박피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압력은 8∼12㎏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박피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압력은 근채류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반부측에 후반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근채류의 세척 및 박피는 복수의 제 1 노즐을 각각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박피부에 의하여 세척 및 박피되고,
    근채류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반부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세척/박피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압력은 14∼18㎏f/㎠이고, 최후반부에 배치된 1 개의 상기 세척/박피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압력은 16㎏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전반부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세척/박피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압력은 전반부측에서 후반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박피부의 제 1 노즐은 스윙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박피부의 제 1 노즐은 100°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10.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단계와 상기 탈수 단계 사이에는 근채류를 살균하는 단계가 개재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11. 삭제
  12.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단계는 생강에 묻어 있는 물의 85%이상을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풍속은 35m/s이고, 분사압력은 3㎏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14.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15.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벨트의 이송속도는 20∼60㎐이고, 상기 세척/박피부의 스윙속도는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세정방법.
KR1020100049850A 2010-05-27 2010-05-27 근채류 세정방법 KR10123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50A KR101233300B1 (ko) 2010-05-27 2010-05-27 근채류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50A KR101233300B1 (ko) 2010-05-27 2010-05-27 근채류 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83A KR20110130283A (ko) 2011-12-05
KR101233300B1 true KR101233300B1 (ko) 2013-02-14

Family

ID=4549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50A KR101233300B1 (ko) 2010-05-27 2010-05-27 근채류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02B1 (ko) * 2012-03-19 2014-02-13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미생물의 제거 효율이 높은 근채 가공 방법
US11904366B2 (en) * 2019-03-08 2024-02-20 En Solución, Inc.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concentration of microbubbles and nanobubbles of a solution for treatment of a product
KR102444503B1 (ko) * 2020-11-30 2022-09-16 박의태 오브젝트의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선택적 이물 타케팅 세척 시스템
CN113647649B (zh) * 2021-08-25 2022-07-05 河南天源海汇药物研究有限公司 一种青蒿加工用清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51B1 (ko) * 2006-05-08 2007-01-05 한국식품연구원 과실류 및 과채류 표면세척방법 및 표면세척시스템
JP2009284883A (ja) * 2008-06-02 2009-12-10 Miura Co Ltd 農作物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51B1 (ko) * 2006-05-08 2007-01-05 한국식품연구원 과실류 및 과채류 표면세척방법 및 표면세척시스템
JP2009284883A (ja) * 2008-06-02 2009-12-10 Miura Co Ltd 農作物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83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171B1 (ko) 근채류 세정시스템
KR101233300B1 (ko) 근채류 세정방법
HUE033551T2 (en) Equipment for field crop cleaning
CN207430784U (zh) 一种铝型材清洗喷涂干燥装置
KR101307558B1 (ko) 원주형 근채류의 신선편이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CN105361202A (zh) 一种用于薯片生产的原料预处理用节水设备
CN107413721A (zh) 一种医疗器械清洗烘干装置
KR20130001190A (ko) 야채류 가공장치
CN207839456U (zh) 一种玉米循环清洗装置
CN108687028A (zh) 一种等静压油去除系统
CN205682315U (zh) 肉类加工专用消毒装置
ITMO20100325A1 (it)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prodotti ortofrutticoli
CN208440705U (zh) 冲压连线水基清洗机
CN208356527U (zh) 一种高效反渗透膜的清洗设备
CN214431618U (zh) 辣椒清洗装置
CN205701565U (zh) 一种医疗器材分级清洗干燥设备
CN108162245A (zh) 一种塑料产品加工用清洗设备
CN204335741U (zh) 气泡清洗、漂烫、挑选和输送一体机
CN204682466U (zh) 用于水果批量清洗的流水线
CN208300906U (zh) 一种水果低破损清洗装置
CN209749756U (zh) 一种诺丽果发酵前处理的装置
CN102948916A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清洗去皮机
CN205074288U (zh) 一种用于spa槽的高压水刀系统
CN112753747A (zh) 一种酱卤肉原料的清洗设备
CN205624189U (zh) 一种高效猪毛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