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363B1 -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363B1
KR101232363B1 KR1020100084211A KR20100084211A KR101232363B1 KR 101232363 B1 KR101232363 B1 KR 101232363B1 KR 1020100084211 A KR1020100084211 A KR 1020100084211A KR 20100084211 A KR20100084211 A KR 20100084211A KR 101232363 B1 KR101232363 B1 KR 10123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filter
reservoir
wash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544A (ko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주)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텍 filed Critical (주)토텍
Priority to KR102010008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3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폐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예컨데, 머리카락, 때 등과 같이 피부에서 탈리되는 쓰레기)을 여과하여 양변기의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양변기의 막힘 등과 같은 고장을 예방하고, 특히 세면대에서 발생된 과도한 폐수가 양변기의 저장조에 과도하게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조(1)의 상단에 세면대(2)가 부설되어 세면대(2)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용수로 사용하도록 된 세면대 겸용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조(1)에는 양변기(3)의 용수배출공(4)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공(5)이 구비되어 저장조(1)의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1)의 상단에 마련된 세면대(2)에는 세면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공(9)에 탈부착되며 내부에 다수의 여과재(10)가 수용된 여과망(11)이 구비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A Water closet for water saving}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와 세면대를 일체화함으로서 세면할 때 발생되는 폐수를 양변기의 용수사용하도록 하여 절수하게 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폐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예컨데, 머리카락, 때 등과 같이 피부에서 탈리되는 쓰레기)을 여과하여 양변기의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양변기의 막힘 등과 같은 고장을 예방하고, 특히 세면대에서 발생된 과도한 폐수가 양변기의 저장조에 과도하게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각종 건물의 화장실에는 용변(소변과 대변)을 수압에 의해 정화조로 배출해 내어 악취가 없으면서도 위생적인 양변기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편의가 제공되고 있다.
근자에는 상기한 양변기에 사용되는 용수를 절약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가 제안되고 있다.
즉 일반가정을 비롯한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수세식 양변기의 과다한 물 사용을 제한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된 형태가 다수 제안되었다.
한편 양변기와 더불어 화장실에 비치된 세면대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양변기의 용수로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하도록 구성된 세면대 겸용 양변기가 최근에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세면할 때 발생된 물을 양변기의 수조에 공급하여 양변기의 용수로 사용하게 구성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세면대의 폐수를 용수로 사용하도록 된 양변기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6-59호(명칭: 세면대 일체형 양변기)가 있다.
상기한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6-59호의 세면대 일체형 양변기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급수부가 설치되어 배수를 위한 일정량의 용수가 공급되어 담겨지고 급수 및 용수공급을 위한 레버가 설치된 수조와; 변기본체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수조의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마개가 회동되어 배수를 위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배수 구조체가 구비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면에는 세면대가 설치되고, 세면대에는 공급관에 의해 냉,온수가 공급되며, 세면수를 배수하기 위한 퇴수관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배수구조체는 변기본체의 배수구와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힌지방식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동체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체에는 개폐를 위한 마개가 결합되어 변기본체의 배수구를 마개가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면수를 용수로 사용하도록 된 양변기들에 있어서는, 세면할 때 발생된 폐수에 머리카락, 때 등과 같이 피부에서 탈리되는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양변기의 물구멍을 폐쇄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면대에서 발생된 과도한 폐수가 양변기의 저장조에 과도하게 적체되어 물넘침 등과 같이 비 안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폐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예컨데, 머리카락, 때 등과 같이 피부에서 탈리되는 쓰레기)을 여과하여 양변기의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양변기의 막힘 등과 같은 고장을 예방하고, 특히 세면대에서 발생된 과도한 폐수가 양변기의 저장조에 과도하게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는 저장조의 상단에 세면대가 부설되어 세면대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용수로 사용하도록 된 세면대겸용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조에는 양변기의 용수배출공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공이 구비되어 저장조의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조의 상단에 마련된 세면대에는 세면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에 탈부착되며 내부에 다수의 여과재가 수용된 여과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는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폐수 중에 함유된 머리카락, 때 등과 같이 피부에서 탈리되는 이물질을 여과망으로 여과한 후 양변기의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양변기의 막힘 등과 같은 고장을 예방된다.
그리고 특히 세면대에서 발생된 과도한 폐수는 오버플로우공을 통해 양변기로 양변기로 배출됨으로써 저장조에 용수가 과도하게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일부 확대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는 저장조(1)의 상단에 세면대(2)가 부설되어 세면대(2)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용수로 사용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세면대(2)에서 세면할 때 발생된 폐수가 상기 저장조(1)로 자유낙하되어 저장된 후 양변기(3)의 용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폐수가 재활용되어 물이 절약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 상기한 저장조(1)에는 양변기(3)의 용수배출공(4)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공(5)이 구비되어 저장조(1)의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저장조(1)에는 레버(6)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밸브(7)에 의해 개폐되는 통수공(8)이 구비되어 통수공(8)을 통해 저장조(1)의 물이 용수배출공(4)으로 공급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세면대(2)에서 저장조(1)의 만수위를 오버하는 폐수가 낙하될 경우에 상기 오버플로우공(5)을 통해 양변기(1)로 배출됨으로써, 저장조(1)에 과도한 용수가 충수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저장조(1)의 상단에 마련된 세면대(2)에는 세면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공(9)에 탈부착되며 내부에 다수의 여과재(10)가 수용된 여과망(1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세면대(2)에서 발생된 폐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예컨데, 머리카락, 때 등과 같이 피부에서 탈리되는 쓰레기)이 상기 여과망(11)에 의해 여과되어 저장조(1)로 폐수와 더불어 낙하되지 않기 때문에 양변기(3)의 용수로 사용될 때 양변기(3)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이 침착되거나 구멍 막힘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 상기한 여과망(11)은 내외가 연통되되 세면대(2)에서 배출되는 폐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유통되지 않도록 된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12)을 가지며 상단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마개(13)에 의해 개폐되는 관통공(14)이 구비되고 상단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15)를 가진 통형상의 여과통(16)과, 상기 플랜지부(15)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부(15)와 세면대(2)의 표면과의 사이에 게재되어 밀폐하도록 된 패킹링(17)과, 상기 여과통(16)의 내부에 충진되 다수의 여과재(10)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여과재(10)는 다양한 형태 및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맥반석으로 이루어지며 볼형태로 가공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여과망(11)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2)에 안착되어 사용될 때 상기 패킹링(17)이 플랜지부(15)와 세면대(2)의 표면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방수되어 세면대(2)의 물이 무단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4)을 통해 여과통(16)의 내부로 자유 낙하되는 폐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여과통(16)의 내부에 잔존하고 여과된 폐수는 통공(12)을 통과하여 저장조(1)로 자유 낙하되어 양변기의 용수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된 세면대(2)에서 사용자가 세면을 한 후 폐수(세면물))를 저장조(1)로 배출하면, 폐수는 여과망(11)을 경유하면서 여과되어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에서 물만 저장조(1)로 자유 낙하되어 충수된다.
물론 여과망(11)에 여과되어 포집된 이물질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2)에서 여과망(11)을 분리 한 후 별도로 제거하여 처리하면 된다.
따라서 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양변기(3)로 공급되지 않아 양변기(3)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수가 저장조(1)로 낙하되어 충수되는 중에 과도한 폐수가 유입되면 오버플로우공(5)을 통해 저장조(1)의 만수위를 오버하는 물이 양변기(3)로 배출된다.
즉 저장조(1)의 만수위를 오버하지 않게 물이 저장조(1)에 충수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조(1)에 세면대(2)의 폐수가 충수된 후 사용자가 양변기(3)의 레버(6)를 작동시켜 밸브(7)를 회동시키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에 충수된 물이 통수공(8)을 용수배출공(4)으로 공급되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변을 배출하는 용수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는 사용자가 세면하고 배수되는 폐수를 양변기의 용수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양변기의 고장없이 물을 절약할 수 있다.
1 : 저장조, 2 : 세면대,
3 : 양변기, 4 : 용수배출공,
5 : 오버플로우공, 6 : 레버,
7 : 밸브, 8 : 통수공,
9 : 배출공, 10 : 여과재,
11 : 여과망, 12 : 통공,
13 : 마개, 14 : 관통공,
15 : 플랜지부, 16 : 여과통,
17 : 패킹링.

Claims (3)

  1. 삭제
  2. 저장조의 상단에 세면대가 부설되어 세면대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용수로 사용하도록 된 세면대겸용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조에는 양변기의 용수배출공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공이 구비되어 저장조의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의 상단에 마련된 세면대에는 세면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에 탈부착되며 내부에 다수의 여과재가 수용된 여과망이 구비되며;
    상기한 여과망은 내외가 연통되되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폐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유통되지 않도록 된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며 상단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단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진 통형상의 여과통과,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세면대의 표면과의 사이에 게재되어 밀폐하도록 된 패킹링과,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 충진되 다수의 여과재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3. 삭제
KR1020100084211A 2010-08-30 2010-08-30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KR101232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11A KR101232363B1 (ko) 2010-08-30 2010-08-30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11A KR101232363B1 (ko) 2010-08-30 2010-08-30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44A KR20120020544A (ko) 2012-03-08
KR101232363B1 true KR101232363B1 (ko) 2013-02-13

Family

ID=4612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211A KR101232363B1 (ko) 2010-08-30 2010-08-30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496A (ja) 1999-10-28 2001-05-08 Inax Corp トイレ設備
KR20050021396A (ko) * 2005-01-19 2005-03-07 홍호명 생활하수 재활용 장치
KR100532249B1 (ko) 2002-11-19 2005-12-01 (주)한일이에스티 욕조 및 세면기의 폐수를 재활용 한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KR100673818B1 (ko) 2006-02-17 2007-01-25 (주)물사랑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496A (ja) 1999-10-28 2001-05-08 Inax Corp トイレ設備
KR100532249B1 (ko) 2002-11-19 2005-12-01 (주)한일이에스티 욕조 및 세면기의 폐수를 재활용 한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KR20050021396A (ko) * 2005-01-19 2005-03-07 홍호명 생활하수 재활용 장치
KR100673818B1 (ko) 2006-02-17 2007-01-25 (주)물사랑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544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984Y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CN201406715Y (zh) 节水洗脸盆
CN107835881A (zh) 提升盥洗废水回用率的冲水马桶系统装置
KR20150002057U (ko) 세면수 재활용 변기 세척밸브절수장치
KR100673818B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KR101232363B1 (ko) 세면대 겸용 절수형 양변기
KR101734203B1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100507168C (zh) 便池配套用的低位中水回收利用装置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907308B1 (ko) 생활폐수를 재활용하는 수세식 변기
KR100744762B1 (ko) 세면수 재활용 세면대 구조
CN111350244B (zh) 卫生间节水系统
KR20080097548A (ko) 세면수 재활용 세면대 구조
CN202865931U (zh) 卫生间废水利用装置
CN201033884Y (zh) 楼房中水回收利用装置
KR200356290Y1 (ko)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20090117035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CN216007158U (zh) 一种集成优化的防臭下水器
KR100432272B1 (ko) 기능성트랩 소재구
CN203583600U (zh) 节能环保排水系统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02375529B1 (ko) 세면수 재활용 절수기
CN2811423Y (zh) 坐便器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