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374B1 -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 Google Patents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374B1
KR101231374B1 KR1020060128288A KR20060128288A KR101231374B1 KR 101231374 B1 KR101231374 B1 KR 101231374B1 KR 1020060128288 A KR1020060128288 A KR 1020060128288A KR 20060128288 A KR20060128288 A KR 20060128288A KR 101231374 B1 KR101231374 B1 KR 10123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haft
locking
branch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246A (ko
Inventor
방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374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5Overhead end-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01L1/267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with means for varying the timing or the lift of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요구동력이 낮은 아이들시나 저부하의 운전조건에서 엔진의 일부 연소실에 대한 작동을 멈춰 연료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연비의 향상을 도모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에 적용되는 흡/배기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기구가 한 종류의 캠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보다 컴팩트한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몸체부(12)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되고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축(X1)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분지부(14)를 구비한 회동몸체(10)와; 래쉬조절기(5)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유로연결몸체부(22)와,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로부터 상기 중앙몸체부(12)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몸체부(24),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축(X1)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몸체부(26) 및, 상기 하부몸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부(24)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28)을 구비한 고정몸체(20);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에 수용되어 상기 래쉬조절기(5)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받아 상기 고정몸체(20)에 대한 상기 회동몸체(10)의 중앙몸체부(12)의 선회를 구속 및 해제하는 록킹핀(32)과, 상기 록킹핀(32)의 배면을 탄발지지하는 복원 스프링(34)을 구비한 록킹기구(30) 및; 상기 제1 축(X1)의 하부에 면착되는 걸림몸체부(42)와, 상기 걸림몸체부(42)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몸체(10)의 제1 분지부(14)의 후단부와 제2 축(X2)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분지부(44), 상기 제2 분지부(44) 사이에 설치되어 캠(3)과 접촉되는 롤러(46)를 구비한 팔로워(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valve arrangements for cylinder deactivation eng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정상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실린더 휴지를 위한 작동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윤활을 위해 오일공급통로와 오일젯을 구비한 제1 축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윤활구조를 도시한 후방사시도.
본 발명은 실린더 휴지 엔진에 적용되는 흡/배기 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기술은 연비를 개선하고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진의 흡/배기(Breathing)와 관련, 다밸브(Multi-Valve)화에 이어 충진효율(Charging efficiency)을 높이기 위한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엔진의 회전영역에 따라 변화하는 공기의 흡입저항에 맞춰 흡기 다기관의 길이나 단면적을 변경하는 가변 흡기 시스템(Variable Induction System : VIS)과 엔진의 회전영역에 따라 밸브의 개폐시기 및 개폐량을 조절해 오버랩 타이밍을 제어, 실린더 충전량과 잔류 가스량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Variable Valve Timing : VVT), 가변 밸브 리프트 (Variable Valve Lift : VVL), 기통정지(Cylinder DeActivation : CDA)를 들 수 있다.
그 중 CDA 기술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기술로서 주요 특징은 일반 DOHC 엔진의 밸브와는 달리 일반영역에서는 밸브가 엔진의 최적조건에서 열림/닫힘 운동을 하지만, 특정영역(보통은 엔진출력의 필요성이 적은 정속주행시)에서는 밸브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여 실린더 내로의 혼합기(공기+연료)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서 연료의 소모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배기량이 큰 대출력의 가솔린엔진은 차량탑재의 용이성을 위해 V형 엔진(흔히 V6, V8 등) 형식의 엔진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엔진은 출력과 토크가 높아서 가속성능 및 최대속력등의 운전성능은 탁월하지만 연료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정속주행과 같은 경우에는 대용량의 엔진 전체의 출력은 오히려 연료소 모를 크게하므로 저용량의 엔진 정도의 출력만이 필요할 뿐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는 밸브 리프트(Valve Lift)를 구현하는 캠 1개와, 밸브 리프트를 무효화(Zero Lift) 시키는 캠 2개로 모두 3개의 캠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밸브 1개당 3개의 캠을 가져야 하는 불리한 점을 지니고 있었다.
즉, 현재의 엔진기술 경향은 같은 성능을 구사하면서도 더욱 작은 사이즈의 엔진을 요구하므로 캠 3개를 지녀야 하는 종래 구조로는 엔진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요구동력이 낮은 아이들시나 저부하의 운전조건에서 엔진의 일부 연소실에 대한 작동을 멈춰 연료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연비의 향상을 도모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에 적용되는 흡/배기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기구가 한 종류의 캠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보다 컴팩트한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몸체부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되고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축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분지부를 구비한 회동몸체와;
래쉬조절기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유로연결몸체부와, 상기 유로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중앙몸체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몸체부, 상기 유로연결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축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몸체부 및, 상기 하부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부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몸체;
상기 유로연결몸체부에 수용되어 상기 래쉬조절기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받아 상기 고정몸체에 대한 상기 회동몸체의 중앙몸체부의 선회를 구속 및 해제하는 록킹핀과, 상기 록킹핀의 배면을 탄발지지하는 복원 스프링을 구비한 록킹기구 및;
상기 제1 축의 하부에 면착되는 걸림몸체부와, 상기 걸림몸체부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몸체의 제1 분지부의 후단부와 제2 축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분지부, 상기 제2 분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캠과 접촉되는 롤러를 구비한 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몸체(10)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몸체부(12)와, 상기 중앙몸체부(12)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길게 연장되고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축(X1)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분지부(14)를 구비한다.
고정몸체(20)는 래쉬조절기(5)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유로연결몸체부(22)와,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중앙몸체부(12)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몸체부(24),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축(X1)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몸체부(26) 및, 상기 하부몸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부(24)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28)을 구비한다.
록킹기구(30)는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에 수용되어 상기 래쉬조절기(5)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받아 상기 고정몸체(20)에 대한 상기 회동몸체(10)의 중앙몸체부(12)의 선회를 구속 및 해제하는 록킹핀(32)과, 상기 록킹핀(32)의 배면을 탄발지지하는 복원 스프링(34)을 구비한다.
팔로워(40)는 상기 제1 축(X1)의 하부에 면착되고 흡/배기밸브(7)와 접촉되는 걸림몸체부(42)와, 상기 걸림몸체부(42)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몸체(10)의 제1 분지부(14)의 후단부와 제2 축(X2)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분지부(44), 상기 제2 분지부(44) 사이에 설치되어 캠 샤프트(1)에 설치된 캠(3)과 접촉되는 롤러(46)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분지부(14)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 축(X1)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 관통구멍(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지부(14)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 축(X2)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 관통구멍(14b)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에는 상기 록킹기구(30)의 록킹핀(32)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a)내에서 상기 록킹핀(32)이 복원 스프링(34)과 함께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22a)의 입구에는 상기 록킹핀(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36)가 장착된다.
상기 개구부(22a)에는 상기 래쉬조절기(5)의 유로(5a)와 연통되는 연결유로(22b)가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a)의 저면부에는 상기 록킹핀(32)과 개구부(22a)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홀(22d)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부(26)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 축(X1)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 관통구멍(26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몸체부(42)에는 상기 제1 축(X1)의 하부에 면착되는 안착홈(42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분지부(44)에는 상기 제2 축(X2)과의 축결합을 위한 제4 관통구멍(44a)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46)의 장착축(46a)을 지지하기 위한 제5 관통구멍(44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축(X1)에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윤활용 오일공급을 위한 오일공급통로(P)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통로(P)에는 상기 제1 축(X1)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오일젯(J)이 형성되는 데, 상기 오일젯(J)은 상기 회동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20) 사이의 접촉부위 및 상기 제1 축(X1)과 상기 팔로워(40) 사이의 접촉부위로 오일을 분사하여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윤활을 도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몸체(20)에는 상기 오일젯(J)중 하나와 연통되는 제5 관통구멍(26b)이 형성되는 데, 상기 제5 관통구멍(26b)은 상기 고정몸체(20)의 하부몸체부(26)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3 관통구멍(26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20) 사이의 섭동부위를 향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캠 샤프트(1)에 설치된 캠(3)의 구동시 상기 팔로워(40)에 설치된 롤러(46)가 가압되어 흡/배기밸브(7)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래쉬조절기(5)를 매개로 상기 록킹기구(30)에 작동유압의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20)의 개구부(22a)에 수용된 상기 록킹핀(32)은 복원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 하게 되고, 상기 록킹핀(32)에 의해 상기 회동몸체(10)의 중앙몸체부(12)의 저면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팔로워(40)는 도 7의 제2 축(X2)을 힌지점(A-A선)으로 하여 상기 걸림몸체부(42)가 하향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흡/배기밸브(7)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실린더의 휴지를 위해 상기 래쉬조절기(5)를 매개로 상기 록킹기구(30)에 작동유압이 공급되면, 도 9 내지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핀(32)은 상기 래쉬조절기(5)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20)의 개구부(22a)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몸체(10)의 중앙몸체부(12)의 저면은 상기 록킹핀(32)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결과, 상기 회동몸체(10)와 상기 팔로워(40)는 각각 도 10의 제1 축(X1)을 힌지점(B-B선)으로 하여 하향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흡/배기밸브(7)의 개방에 아무런 조작력을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팔로워(40)의 걸림몸체부(42)가 제1 축(X1)과 함께 힌지점의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제2 축(X2)과 축결합되는 상기 제2 분지부(44)가 하향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흡/배기밸브(7)의 개방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과정에서 상기 제1 축(X1)에 구비된 오일젯(J)은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일공급통로(P)를 매개로 공급된 오일을 외부로 분사시켜, 상기 회동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20) 사이의 접촉부위 및 상기 제1 축(X1)과 상기 팔로워(40) 사이의 접촉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윤활을 도모하게 된 다. 특히, 상기 제1 축(X1)과 상기 걸림몸체부(42)의 안착홈(42a)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에 의하면, 엔진의 요구동력이 낮은 아이들시나 저부하의 운전조건에서 엔진의 일부 연소실에 대한 작동을 멈춰 연료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연비의 향상을 도모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에 적용되는 흡/배기밸브의 개폐를 위한 밸브기구가 한 종류의 캠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어, 보다 컴팩트한 형태의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배기밸브의 개폐용 밸브기구가 종래에 비해 컴팩트하게 구성됨에 따라 부품의 중량도 줄일 수 있고, 이로부터 연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중앙몸체부(12)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되고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축(X1)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분지부(14)를 구비한 회동몸체(10)와;
    래쉬조절기(5)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유로연결몸체부(22)와,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로부터 상기 중앙몸체부(12)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몸체부(24),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축(X1)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몸체부(26) 및, 상기 하부몸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부(24)를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28)을 구비한 고정몸체(20);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에 수용되어 상기 래쉬조절기(5)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받아 상기 고정몸체(20)에 대한 상기 회동몸체(10)의 중앙몸체부(12)의 선회를 구속 및 해제하는 록킹핀(32)과, 상기 록킹핀(32)의 배면을 탄발지지하는 복원 스프링(34)을 구비한 록킹기구(30) 및;
    상기 제1 축(X1)의 하부에 면착되고 흡/배기밸브(7)와 접촉되는 걸림몸체부(42)와, 상기 걸림몸체부(42)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몸체(10)의 제1 분지부(14)의 후단부와 제2 축(X2)을 매개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분지부(44), 상기 제2 분지부(44) 사이에 설치되어 캠(3)과 접촉되는 롤러(46)를 구비한 팔로워(40)로 구성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지부(14)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 축(X1)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 관통구멍(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지부(14)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 축(X2)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 관통구멍(1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몸체부(22)에는 상기 록킹기구(30)의 록킹핀(32)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a)내에서 상기 록킹핀(32)이 복원 스프링(34)과 함께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22a)의 입구에는 상기 록킹핀(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3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2a)에는 상기 래쉬조절기(5)의 유로(5a)와 연통되는 연결유로(22b)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a)의 저면부에는 상기 록킹핀(32)을 통해 누설되는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홀(2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부(26)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 축(X1)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 3 관통구멍(2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몸체부(42)에는 상기 제1 축(X1)의 하부에 면착되는 안착홈(4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지부(44)에는 상기 제2 축(X2)과의 축결합을 위한 제4 관통구멍(44a)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46)의 장착축(46a)을 지지하기 위한 제5 관통구멍(4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축(X1)에는 내부에 축방향으로의 오일공급을 위한 오일공급통로(P)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통로(P)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 축(X1)의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동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20) 사이의 접촉부위 및 상기 제1 축(X1)과 상기 팔로워(40) 사이의 접촉부위에 대한 윤활을 위한 오일젯(J)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0)에는 상기 오일젯(J)과 연통되는 제5 관통구멍(26b)이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5 관통구멍(26b)은 상기 하부몸체부(26)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3 관통구멍(26a)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KR1020060128288A 2006-12-15 2006-12-15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KR10123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288A KR101231374B1 (ko) 2006-12-15 2006-12-15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288A KR101231374B1 (ko) 2006-12-15 2006-12-15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246A KR20080055246A (ko) 2008-06-19
KR101231374B1 true KR101231374B1 (ko) 2013-02-07

Family

ID=3980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288A KR101231374B1 (ko) 2006-12-15 2006-12-15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3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4023A (en) 1987-01-08 1989-07-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alve oper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248919A (ja) * 1993-02-26 1994-09-06 Takashi Hikit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US5544626A (en) 1995-03-09 1996-08-13 Ford Motor Company Finger follower rocker arm with engine valve deactivator
JP2003254024A (ja) 2002-02-26 2003-09-10 Delphi Technologies Inc スプール状のローリフトローラを有するツーステップ・ローラフィンガカムフォロ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4023A (en) 1987-01-08 1989-07-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alve oper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248919A (ja) * 1993-02-26 1994-09-06 Takashi Hikit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US5544626A (en) 1995-03-09 1996-08-13 Ford Motor Company Finger follower rocker arm with engine valve deactivator
JP2003254024A (ja) 2002-02-26 2003-09-10 Delphi Technologies Inc スプール状のローリフトローラを有するツーステップ・ローラフィンガカムフォロ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246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2158B1 (en) SOHC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396024B2 (ja) シリンダヘッド構造
EP0583583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vehicle
JPH0316483B2 (ko)
JP3546994B2 (ja) 内燃機関の動弁制御装置の油路構造
US6619247B2 (en) Valve operating control system for engine
CN102787877A (zh) 具有油路的内燃发动机及用于运行该内燃发动机的方法
US6575127B2 (en) Valve operating control system in engine
KR100872640B1 (ko) 캠 샤프트 마찰 저감을 위한 오일 공급 통로
US20040244751A1 (en) Deactivating valve lifter
KR101339207B1 (ko) 가변 캠 시스템
JP3750704B2 (ja) エンジンの弁作動装置
US7082918B2 (en) Oil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ngines with hydraulic cylinder deactivation
US20020035989A1 (en) Engine fuel pump mounting structure
KR101231374B1 (ko) 실린더 휴지 엔진의 밸브기구
US6959675B2 (en)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55771B1 (ko) 실린더 휴지 엔진 및 그 유압 제어방법
JP6581039B2 (ja) V型エンジン
US7441523B2 (en) Variable valv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57107B2 (en)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9269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590970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855767B1 (ko) 실린더 휴지 엔진
JP3358960B2 (ja) Sohc型内燃機関
JPH066163Y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