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857B1 -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857B1
KR101230857B1 KR1020110067669A KR20110067669A KR101230857B1 KR 101230857 B1 KR101230857 B1 KR 101230857B1 KR 1020110067669 A KR1020110067669 A KR 1020110067669A KR 20110067669 A KR20110067669 A KR 20110067669A KR 101230857 B1 KR101230857 B1 KR 10123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fresh water
reaction tank
control unit
bran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5947A (en
Inventor
이성학
구명준
김용석
이상혜
이중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857B1/en
Publication of KR2013000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담수공급라인에서 분기되는 제 1 분기라인; 제 1 분기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를 경수화(硬水化)시키는 것으로, 담수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제 1 반응탱크 및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담수에 경도제를 용해시키는 제 2 반응탱크를 포함하는 경도조절부; 경도조절부로 경도제를 투입하는 경도제투입부; 경도조절부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담수공급라인으로 합류시키는 제 2 분기라인; 제 2 분기라인의 합류점 후단에 마련되어, 합류점 후단을 유동하는 담수의 경도(硬度) 및 산성도(酸性度)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경도제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branch line branched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Hardness control unit comprising a first reaction tank for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fresh water and a second reaction tank for dissolving a hardener in fresh wat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by hardening fresh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 Hardnes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hardness agent into the hardness control unit; A second branch line for joining the hardened fresh water to the fresh water supply line in the hardness control unit; A sensor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ranch line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hardness and acidity of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second branch line; An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put amount of the hardener is provided.

Description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본 발명은 경수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담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담수의 경도를 조절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harde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hardening system for a ship installed in a fresh water supply line of a ship to control the hardness of fresh water.

일반적으로 물의 경도(硬度, hardness of water)란 물 속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등의 광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광물질의 양을 산화칼슘의 양으로 환원하여 물 100 mL에 산화칼슘이 1mg이 함유되어 있을 때를 경도 1로 정의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경도가 20도 이상의 물을 경수라고 지칭하며, 경도가 10도 이하인 물을 연수라고 지칭한다.In general, the hardness of water is an indicator of the amount of minerals such as calcium and magnesium in water, and the amount of minerals in water is reduced to the amount of calcium oxide and oxidized to 100 mL of water. When 1 mg of calcium is contained, it is defined as hardness 1. In addition, water having a hardness of 20 degrees or mor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hard water, and water having a hardness of 10 degrees or less is referred to as soft water.

한편, 선박에는 냉각, 음용수 등으로 사용되는 담수를 충당하기 위해, 해수로부터 담수를 생산하는 담수화 설비가 마련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담수화 설비는 해수를 증류시켜 증류수의 형태로 담수를 생산하게 되므로, 담수화 설비에 의해 생산된 담수는 광물질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담수화 설비에 의해 생산된 담수는 매우 낮은 경도를 가지게 된다. 이때, 경도가 지나치게 낮은 담수의 경우, 금속이온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져 배관 부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담수화 설비에 의해 생산된 담수는 경도를 소정범위 내로 조절한 후 배관을 통해 선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hips are provided with a desalination plant that produces fresh water from seawater to cover freshwater used for cooling, drinking water,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desalination plant generally produces fresh water in the form of distilled water by distilling the sea water, so that the fresh water produced by the desalination plant contains almost no minerals. Therefore, the fresh water produced by the desalination plant has a very low hardness. At this time, in case of fresh water having a low hardness, since the solubility to metal ions may increase and cause corrosion of the pipe, fresh water produced by the desalination plant is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hip through the pipe after adjusting the hardnes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ll be.

도 1은 종래의 리하드닝 필터(40)를 사용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선박의 담수화 설비(미도시)에서 생산된 담수는 담수저장탱크(20)에 저장되며, 담수공급라인(10)을 통해 선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담수화 설비에서 생산된 담수는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 배관 부식 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담수공급라인(10)에는 리하드닝 필터(40)가 설치되며, 담수공급라인(10)을 유동하는 담수는 리하드닝 필터(40)를 거쳐 소정정도 경도가 조절된 후 선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using a conventional retarding filter 40. Referring to Figure 1, the fresh water produced in the desalination plant (not shown) of the vessel is stored in the fresh water storage tank 20, it is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hip through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t this time, the fresh water produced in the desalination plant is too low hardness may cause pipe corrosion, etc.,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is provided with a retarding filter 40,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fter the predetermined degree of hardness is adjusted via the retarding filter 40 is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hip.

일반적으로 리하드닝 필터(40)는 내부에 직경 2~7 mm의 돌로마이트(dolomite, CaMg(CO3)2) 알갱이가 채워진 것으로, 리하드닝 필터(40)로 유입된 담수는 돌로마이트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돌로마이트의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이 녹아 경도가 상승하게 된다.In general, the retarding filter 40 is filled with dolomite (CaMg (CO 3 ) 2 ) grains having a diameter of 2 to 7 mm, and the fresh water introduced into the retarding filter 40 forms pores of the dolomite. As it passes, calcium (Ca), magnesium (Mg), and the like of dolomite are melted to increase the hardness.

그러나 종래의 리하드닝 필터(40)는 돌로마이트 알갱이로 인해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돌로마이트 알갱이의 교체 등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충진된 돌로마이트 양에 의존하여 경도 조절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리하드닝 필터(40)를 통과한 담수의 경도가 적정 경도보다 낮을 때에는 수작업으로 돌로마이트 알갱이를 더 충진하는 한편, 경도가 적정 경도보다 높을 때에는 반대로 충진된 돌로마이트 알갱이를 수작업으로 다시 빼내는 과정을 반복하여 경도를 조절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작업상 매우 비효율적이였으며, 정확한 경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돌로마이트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담수의 경도를 설정범위 내로 상승시키기 위하여는 긴 체류시간이 필요하였으며, 필터 시스템으로 인해 담수공급라인(10) 상에 압력강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또한, 부피가 크고 중량물인 리하드닝 필터(40)로 인해 설비의 소형화,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etarding filter 40 has a problem that the clogging phenomenon frequently occurs due to the dolomite grains, and maintenance was very inconvenient because replacement of the dolomite grains had to be made manually by hand. In addition, since hardness is controll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dolomite filled, when the hardness of fresh water passing through the retarding filter 40 is lower than the appropriate hardness, the dolomite grains are manually filled while the hardness i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hardness. When high, the hardness was adjusted by repeating the re-filling of the dolomite grains, which were filled in by hand. Therefore, the work was very inefficien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ecise hardness control. In addition, since the solubility of dolomite is low, a long residence time is required to increase the hardness of fresh water within a set ran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pressure drop occurs on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due to the filter system. In addition, due to the bulky and heavy retarding filter 40,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경도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유지관리가 간편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hard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easy to maintain hardness and easy maintenan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담수공급라인에서 분기되는 제 1 분기라인;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를 경수화(硬水化)시키는 것으로, 상기 담수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제 1 반응탱크 및 상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담수에 경도제를 용해시키는 제 2 반응탱크를 포함하는 경도조절부; 상기 경도조절부로 상기 경도제를 투입하는 경도제투입부; 상기 경도조절부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상기 담수공급라인으로 합류시키는 제 2 분기라인; 상기 제 2 분기라인의 합류점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합류점 후단을 유동하는 담수의 경도(硬度) 및 산성도(酸性度)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경도제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branch line branched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By hardening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comprising a first reaction tank for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the fresh water and a second reaction tank for dissolving the hardness agent in fresh water in which the carbon dioxide is dissolved. Hardness control unit; A hardness agent injecting unit for injecting the hardness agent into the hardness control unit; A second branching line for joining the hardened freshwater in the hardness control unit to the freshwater supply line; A sensor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ranch line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hardness and acidity of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second branch line;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ose of the hardness agent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이때, 상기 제 1 분기라인은, 상기 담수공급라인에서 분기되는 분기점에 마련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ranch line may include a flow control valve provided at a branch point branched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또한, 상기 경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반응탱크 및 상기 제 2 반응탱크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rdness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irst reaction tank and the second reaction tank.

이때, 상기 격벽부는, 상단이 상기 경도조절부의 천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경도조절부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담수이동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the first partition wall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hardness control portion,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partition wall, the lower end is predetermi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ardness control portion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reshwater flow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경도조절부는, 상기 제 2 반응탱크 내에 장착되어 상기 경도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교반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rdness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device unit mounted in the second reaction tank to promote dissolution of the hardness agent.

또한, 상기 경도조절부는, 상기 제 2 반응탱크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분기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반응탱크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상기 제 2 분기라인으로 배출시키는 유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rdness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control unit dispos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action tank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line to discharge the hardened fresh water from the second reaction tank to the second branch line. It may include.

이때,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제 2 분기라인이 연결되는 외부케이싱; 및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중심부에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담수유입구의 둘레 부분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단판이 형성된 내부케이싱을 포함하고,At this time, the flow rate control por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opened, the outer casing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line on the outside; And an inner casing formed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and having a freshwater inlet through which fresh water flows into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reshwater inlet extending upward to form a blocking plate.

상기 외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분기라인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ranch lin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asing and the inner casing.

또한,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는, 상기 외부케이싱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it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또한, 상기 차단판의 상단부는,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의 경사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the inclined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quentially repeated along the edge, it may be formed in a zigzag form.

한편, 상기 경도제투입부는, 상기 경도조절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도제가 저장되는 경도제저장탱크와, 상기 경도제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경도제를 상기 제 2 반응탱크로 안내하는 경도제투입라인과, 상기 경도제투입라인 상에 마련되는 투입량조절밸브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agent injection unit, the hardness agent storage lin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and the hardness agent storage tank, and the hardness agent injection line for guiding the hardness agent stored in the hardness agent storage tank to the second reaction tank. And, it may include a dose adjustment valve provided on the hardness injection lin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분기라인으로 유동하는 담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djust a flow rate of fresh water flowing in the first branch lin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한편, 상기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은, 선박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 1 반응탱크로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p water hardening system,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in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engine of the ship to the first reaction tank; may further include a.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라인은, 일단부에 이산화탄소 기포를 발생시키는 산기장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may be provided with an acid generator unit for generating carbon dioxide bubbles at one end.

또한, 상기 산기장치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라인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 도관과, 상기 제 1 도관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2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user unit may include an annular first condu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its disposed radially to the first conduit.

한편, 상기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담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rine water hardening system, i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nsor unit, the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fresh water; may further include 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도조절부에서 경도제를 직접 용해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경도 조절이 매우 간편하며, 종래의 리하드닝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adjust the hardness using a method of directly dissolving the hardness agent in the hardness control, it is possible to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because it does not use a conventional retarding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도제투입부에 경도제를 충전하기만 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easy to maintain because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just to fill the hardness agent injection portion.

도 1은 종래의 리하드닝 필터를 사용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도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도조절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량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량조절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산기장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rine water hardening system using a conventional retarding filter.
2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rdness control portion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hardness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low control unit shown in FIG.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unit shown i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iffuser unit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marine water harde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선박의 담수화 설비(미도시)에서 생산된 담수는 담수저장탱크(20)에 저장되며, 담수저장탱크(20)와 연결된 담수공급라인(10)을 통해 선박의 각 부분으로 공급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담수공급라인(10)에는 이송펌프(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담수화 설비에서 생산된 담수는 증류수이기 때문에 경도(硬度, hardness of water)가 매우 낮다. 따라서 선박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기 전에 소정범위 내로 경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은 담수공급라인(10) 상에 마련되어 상기와 같은 경도 조절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fresh water produced in the desalination plant (not shown) of the vessel is stored in the fresh water storage tank 20, each part of the ship through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storage tank (20). Supplied. At this time, the transfer pump 30 may be installed in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s necessary. Since freshwater produced in the desalination plant is distilled water, hardness of water is very low. Therefore, the hardness is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efore being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hip. Ship water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to perform the hardness control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는 제 1 분기라인(110), 경도조절부(120), 경도제투입부(130), 제 2 분기라인(140), 센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ship water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anch line 110,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the hardness injection unit 130, the second branch line 140, The sensor unit 150 and the controller 160 are included.

제 1 분기라인(110)은 담수공급라인(10)에서 분기되어, 담수공급라인(10)을 유동하는 담수의 일부를 경도조절부(120)로 우회시킨다. 이때, 제 1 분기라인(110)이 담수공급라인(10)에서 분기되는 분기점(P1)에는 유량조절밸브(111)가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11)는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하는 담수의 유량을 조절하며, 후술할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The first branch line 110 is branched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to bypass a portion of the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n this case,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1 may be provided at the branch point P1 where the first branch line 110 branches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The flow control valve 111 adjusts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flowing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to be described later.

경도조절부(120)는 제 1 분기라인(110)과 연결되며, 제 1 분기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를 경수화(硬水化) 시킨다. 즉, 경도조절부(120)는 제 1 분기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에 이산화탄소 및 경도제를 순차적으로 용해시켜 담수의 경도를 소정정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경도조절부(120)는 담수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제 1 반응탱크(121, 도 3 참고)와, 담수에 다시 경도제를 용해시키는 제 2 반응탱크(122, 도 3 참고)로 구획될 수 있다. 경도조절부(1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and hardens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110. That is,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may increase the hardness of the fresh water by dissolving carbon dioxide and the hardness agent sequentially in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110. At this time,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s divided into a first reaction tank (121, FIG. 3) for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fresh water, and a second reaction tank (122, FIG. 3) for dissolving the hardness agent in fresh water. Can b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경도제투입부(130)는 경도조절부(120)로 경도제를 투입한다. 이때, 상기 경도제는 담수에 용해되어 경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물질로,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칼슘, 인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도제는 분말 또는 액상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hardness agent input unit 130 inputs the hardness agent in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n this case, the hardness agent is a substance capable of increasing hardness by dissolving in fresh water, and may include calcium carbonate, sodium carbonate, sodium hydrogen carbonate, calcium hydroxide, sodium hydrogen phosphate, sodium phosphate, sodium hydroxi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hardness agent may include both powder or liquid form.

한편, 경도제투입부(130)는 경도제저장탱크(131), 경도제투입라인(132) 및 투입량조절밸브(133)로 형성될 수 있다. 경도제저장탱크(131)는 경도조절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경도제가 저장된다. 경도제투입라인(132)은 경도제저장탱크(131)로부터 경도조절부(120)로 경도제가 투입되는 배관으로, 경도제저장탱크(131)의 하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투입량조절밸브(133)는 경도제투입라인(132)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경도조절부(120)로 투입되는 경도제의 투입량을 조절하며, 후술할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input unit 130 may be formed of a hardness storage tank 131, the hardness input line 132 and the input amount control valve 133. Hardener storage tank 13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the hardness agent is stored. The hardness input line 132 is a pipe into which the hardness agent is injected from the hardness storage tank 131 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and may b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hardness storage tank 131. In addition, the dose adjustment valve 133 is provided on the hardness agent injection line 132, and adjusts the amount of the hardness agent is injected in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to be described later.

제 2 분기라인(140)은 경도조절부(120) 및 담수공급라인(10)과 연결되며, 경도조절부(120)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담수공급라인(10)으로 다시 합류시킨다. 즉, 경도조절부(120)에서 경수화된 담수는 제 2 분기라인(140)을 유동하여 담수공급라인(10)과 제 2 분기라인(140)이 만나는 합류점(P2)으로 배출된다.
The second branch line 140 is connected 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and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nd joins the hard water freshwater from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to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gain. That is, the fresh water that has been hardened by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flows through the second branch line 140 and is discharged to the confluence point P2 where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nd the second branch line 140 meet each other.

센서부(150)는 담수공급라인(10)의 합류점(P2) 후단에 마련되며, 합류점(P2) 후단을 유동하는 담수의 경도 및 산성도(酸性度)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는 담수의 경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150)가 직접적으로 경도를 측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어부(160)가 경도제의 투입량 등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적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센서는 고가의 장비인 바, 피에이치 미터(pH meter) 등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센서부(150)가 산성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아지면 금속이온의 용해도가 높아져 산성을 띄게 되며, 경도가 낮아지면 금속이온의 용해도가 낮아져 염기성을 띄게 되는 바, 센서부(150)는 상기와 같은 산성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담수의 경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부(150)에서 직접적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sensor unit 15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nfluence point P2 of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nd measures the hardness and acidity of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confluence point P2. Ship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hardness of fresh water, the sensor unit 150 directly measures the hardness, and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amount of the hardness agent, etc.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control, in general, the sensor for measuring hardness is an expensive device, and may be configured to indirectly measure the acidity of the sensor unit 150 using a pH meter or the like. That is, in general, when the hardness is increased, the solubility of the metal ions becomes high, and the acidity is increased. When the hardness is low, the solubility of the metal ions is decreased and the alkalinity becomes low, and thus the sensor unit 150 indirectly measures the acidity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hardness of fresh water. However,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case where the hardness is directly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경도제의 투입량을 조절한다. 즉,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경도(또는, 산성도)에 따라, 경도제투입부(130)에 마련된 투입량조절밸브(133)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경도가 기 설정된 최대 경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60)는 투입량조절밸브(133)의 개폐량을 줄여 경도제의 투입량이 감소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경도가 기 설정된 최소 경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60)는 투입량조절밸브(133)의 개폐량을 늘려 경도제의 투입량이 증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adjusts the dose of the hardener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50.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adjust the opening / closing amount of the input amount control valve 133 provided in the hardness agent input unit 130 according to the hardness (or acidity)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For example, when the hardnes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maximum hardness value, the controller 160 may adjust the amount of the hardness agent to be reduced by reducing the opening / closing amount of the dose control valve 133. On the contrary, when the hardnes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minimum hardness value, the controller 160 may increase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dose control valve 133 to adjust the dose of the hardness agent to increase.

또한,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하는 담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경도(또는, 산성도)에 따라, 제 1 분기라인(110)의 분기점(P1)에 마련된 유량조절밸브(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경도가 기 설정된 최대 경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하는 담수의 유량이 줄어들도록 유량조절밸브(111)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경도가 기 설정된 최소 경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하는 담수의 유량이 늘어나도록 유량조절밸브(111)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adjust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flowing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50.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flow control valve 111 provided at the branch point P1 of the first branch line 110 according to the hardness (or acidity)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For example, when the hardnes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hardness valu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low control valve 111 to reduce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flowing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Can be controlled. On the contrary, when the hardnes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5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hardness value,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flow control valve 111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flowing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Can be.

한편, 필요에 따라 제어부(160)는 경도제의 투입량 및 제 1 분기라인(110)의 유량을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센서부(150)의 측정값에 따라 일차적으로 제 1 분기라인(110)의 유량이 조절되고, 이차적으로 경도제의 투입량이 조절되어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다단(多段) 제어방식으로 인하여 작동이 확실성이 담보될 수 있으며, 신속한 제어 응답성을 기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both the dose of the hardness agent and the flow rate of the first branch line 110. In this case, the flow rate of the first branch line 110 is first adjus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50, and the input amount of the hardener is secondarily adjusted to allow more precise control. In addition, due to the multi-stage control method, operation can be guaranteed with certainty, and rapid control response can be expec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는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p water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은 제 1 반응탱크(121)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이때,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은 선박의 엔진(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 1 반응탱크(121)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은 제 1 반응탱크(121)에서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이산화탄소 공급원이 요구되지 않으며, 설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은 선박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선내에서 재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온실효과의 원인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supplies carbon dioxide to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n this case,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may supply carbon dioxide in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an engine (not shown) of the vessel to the first reaction tank 121. Therefore, the ship hardening system 10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arbon dioxide source for use in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ship water hardening system 100 can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that is a cause of the greenhouse effect by reusing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engine of the ship in the ship.

한편, 필요에 따라,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에는 배기가스 중의 오염물질(SOx, NOx, 불순물 입자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necessary, a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may be provided with a filtration device (not shown) for removing contaminants (SOx, NOx, impurity particles, etc.) in the exhaust gas.

또한,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은 일단부에 산기장치부(171, 도 3 참고)를 구비할 수 있다. 산기장치부(171)는 제 1 반응탱크(121) 내에서 이산화탄소 기포를 발생시켜, 이산화탄소의 용해를 촉진한다. 산기장비부(17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may be provided with an diffuser unit 171 (see FIG. 3) at one end. The diffuser unit 171 generates carbon dioxide bubbles in the first reaction tank 121 to promote dissolution of carbon dioxid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ffuser equipment 171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은 필터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p water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180.

필터부(180)는 담수공급라인(10) 상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센서부(150)의 후단에 마련된다. 필터부(180)는 경도가 조절된 담수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것으로, 담수 중에 함유된 입자상의 불순물 등을 걸러낸다. 따라서 담수가 선박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담수 중에 함유된 불순물로 인해 배관이 막히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80 is disposed on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nd is specifical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nsor unit 150. The filter unit 180 finally filters fresh water whose hardness is adjusted, and filters out particulate impuritie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fresh water. Therefor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fresh water to each part of the vessel, problems such as clogging due to impurities contained in fresh wat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경도조절부(12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도조절부(12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도조절부(120)의 평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경도조절부(120)는 제 1 반응탱크(121), 제 2 반응탱크(122), 격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reaction tank 121, a second reaction tank 122, and a partition wall part 123.

제 1 반응탱크(121)는 제 1 분기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에 일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 2 반응탱크(122)는 제 1 반응탱크(121)에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담수에 경도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 1 반응탱크(121)와 제 2 반응탱크(122)는 격벽부(12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first reaction tank 121 is for dissolving carbon dioxide primarily in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110, and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s fresh wat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t is for dissolving the hardness agent. In this case, the first reaction tank 121 and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may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123.

본 실시예의 경우, 경도조절부(120)가 평면상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격벽부(123)가 경도조절부(120)의 내측에 환형 형태로 형성되어, 외곽측의 제 1 반응탱크(121)와 중심측의 제 2 반응탱크(122)로 구획된 경우를 예시하였다.(도 4 참고) 다만, 경도조절부(120)나 격벽부(123)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plane, the partition 123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side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the first reaction tank 121 on the outer side And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at the center side are illustrated. (See FIG. 4) However, the shape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or the partition wall part 123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한편, 격벽부(123)는 제 1 격벽(123a), 제 2 격벽(123b), 담수이동유로(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격벽(123a)은 경도조절부(120)의 바닥면(127)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이 천장면(126)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격벽(123b)은 제 1 격벽(123a)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경도조절부(120)의 천장면(126)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격벽(123b)의 하단은 바닥면(127)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The partition 123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123a, a second partition 123b, and a fresh water flow passage 123c. The first partition wall 123a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27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and the top partition wall 123a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12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partition wall 123b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to the first partition wall 123a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126 of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123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27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담수이동유로(123c)는 제 1 격벽(123a)과 제 2 격벽(123b)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반응탱크(121)에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담수가 제 2 반응탱크(122)로 이동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이때, 제 1 격벽(123a)의 상단은 천장면(126)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담수이동유로(123c)의 상단은 제 1 반응탱크(121)와 연통하게 된다. 또한, 제 2 격벽(123b)의 하단은 바닥면(127)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담수이동유로(123c)의 하단은 제 2 반응탱크(122)와 연통하게 된다. 즉, 담수이동유로(123c)는 상단이 제 1 반응탱크(121)와 연통되며, 하단이 제 2 반응탱크(122)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The freshwater flow passage 123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123a and the second partition 123b, and the fresh wat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the first reaction tank 121 moves 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t functions as a passage.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23a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126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upper end of the freshwater flow passage 123c communicates with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23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27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wer end of the freshwater flow passage 123c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at is, the fresh water flow passage 123c has an upp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eaction tank 121 and a low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한편, 경도조절부(120)는 제 2 반응탱크(122)에 장착되는 교반장치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장치부(124)는 제 2 반응탱크(122)에서 경도제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펠러형 교반기(攪拌機), 오어형 교반기, 터빈형 교반기, 나선축형 교반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반장치부(124)로서 제 2 반응탱크(122)의 바닥면(127) 중심측에 프로펠러형 교반기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교반장치부(124)는 오어형 교반기, 터빈형 교반기, 나선축형 교반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반응탱크(122)의 측면부 등에 설치되거나,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device unit 124 mounted 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e stirring device 124 is for promoting dissolution of the hardness agent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and a propeller type stirrer, a OR type stirrer, a turbine type stirrer, a spiral type stirrer, and the like may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where a propeller type stirrer is installed at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27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as the stirring device 124 is illustrated. However, if necessary, the stirring device unit 124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ore type stirrer, a turbine type stirrer, a spiral shaft type stirrer, etc., o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t may be.

한편, 경도조절부(120)는 제 2 반응탱크(122) 내에 배치되는 유량조절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control unit 125 disposed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유량조절부(125)는 제 2 반응탱크(122) 내에 배치되며, 제 2 분기라인(140)과 연결되어 제 2 반응탱크(122)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제 2 분기라인(140)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때, 유량조절부(125)는 제 2 반응탱크(122) 내에서 경도제가 충분히 용해된 담수만을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 2 반응탱크(122)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제 2 반응탱크(122)에는 유량조절부(125)를 탱크 상부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Flow control unit 125 is disposed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the fresh water from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rough the second branch line 140 Drain it. At this time, the flow rate control unit 125 is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n order to discharge only fresh water in which the hardener is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Can be. 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not shown) for fixing the flow rate control unit 125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량조절부(125)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량조절부(125)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low control unit 125 shown i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unit 125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유량조절부(125)는 외부케이싱(125a), 내부케이싱(125d)을 포함하고, 외부케이싱(125a)과 내부케이싱(125d) 사이에는 제 2 분기라인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flow control unit 125 includes an outer casing 125a and an inner casing 125d,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branch line between the outer casing 125a and the inner casing 125d. The space portion to be formed can be formed.

외부케이싱(125a)은 상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외측에 제 2 분기라인(140)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케이싱(125a)이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외부케이싱(125a)의 형태가 원통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케이싱(125a)은 상하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담수가 유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형태, 다각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asing 125a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opened, and the second branch line 1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casing 125a has a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n open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outer casing 125a is not limited to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casing 125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as long as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to allow fresh water to flow inward. Can be.

내부케이싱(125d)은 외부케이싱(125a)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구(125b)가 형성된다. 즉, 내부케이싱(125d)는 외부케이싱(125a)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외부케이싱(125a)의 하측 개구부를 일부 폐쇄하고, 중심부에 담수유입구(125b)를 형성한다. 또한, 담수유입구(125b)의 둘레 부분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단판(125c)을 형성한다. 차단판(125c)은 담수유입구(125b)로 유입된 담수의 유동 흐름을 제한하여 제 2 분기라인(140)으로 유입되는 담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부가 외부케이싱(125a)의 상단부에 비해 소정정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판(125c)의 상단부는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판(125c)의 상단부는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의 경사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톱니 형태나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asing 125d extend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25a and has a fresh water inlet 125b through which fre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portion. That is, the inner casing 125d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25a, partially closing the lower opening of the outer casing 125a, and forming a fresh water inlet 125b at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resh water inlet 125b extends upward to form the blocking plate 125c. The blocking plate 125c is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fresh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by restricting the flow of freshwater flowing into the freshwater inlet 125b, and the upper end of which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125a. It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gree lower than.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5c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5c may be form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vertical direction is sequentially repeated along the edge, and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or a zigzag shape as a whole.

한편, 외부케이싱(125a)과 내부케이싱(125d)의 사이에는 공간부(125e)가 형성된다. 즉, 외부케이싱(125a)의 내측면, 내부케이싱(125d)의 하측면, 내부케이싱(125d)의 차단판(125c)에 의해, 외부케이싱(125a)과 내부케이싱(125d) 사이에는 상측이 개구된 형태의 공간부(125e)가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125e)는 차단판(125c)을 월류(源流, overflow)한 담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케이싱(125a)에 연결된 제 2 분기라인(140)과 연통된다.On the other hand, a space 125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ing 125a and the inner casing 125d. That is, the upper side is opened between the outer casing 125a and the inner casing 125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25a,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sing 125d, and the blocking plate 125c of the inner casing 125d. The space portion 125e may be formed. The space part 125e is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fresh water that overflows the blocking plate 125c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branch line 140 connected to the outer casing 125a.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는 유량조절부(125)를 통해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배출되는 담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제 2 반응탱크(122) 내의 담수는 유량조절부(125) 하부측에 형성된 담수유입구(125b)를 통해 유입되며, 유입된 담수는 차단판(125c)을 월류하여 공간부(125e)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차단판(125c)은 상단부가 외부케이싱(125a)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제 2 반응탱크(122)의 수위가 차단판(124c)의 상단부보다 높아지면, 상기와 같은 월류 현상이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차단판(125c)의 상단부로 인해 상기와 같은 월류 현상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편, 공간부(125e)로 흘러내린 담수는 제 2 분기라인(140)을 통해 제 2 반응탱크(122) 밖으로 배출된다.6 shows the flow path of fresh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through the flow control unit 125. Referring to FIG. 6, the fresh water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flows in through the fresh water inlet 125b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low control unit 125, and the introduced fresh water flows over the blocking plate 125c to fill the space. It will flow down to 125e. 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125c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is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125a.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4c, the overflow phenomenon naturally occurs. Can happen. In addition, due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5c formed in a zigzag shape, the overflow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ore smooth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fresh water flowing down into the space 125e is discharged out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rough the second branch line 140.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부(125)는 제 2 반응탱크(122) 내의 담수가 차단판(125c)를 월류하여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배출되는 담수의 유량을 소정정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 2 분기라인(140)이 직접적으로 제 2 반응탱크(122)와 연결되는 경우, 제 2 반응탱크(122) 내의 수압이나 수위에 의하여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배출되는 담수의 유량이 갑작스럽게 증감될 수 있는데 반해, 유량조절부(125)는 차단벽(125c)을 월류하여 공간부(125e)로 흘러내린 담수만이 제 2 분기라인(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정정도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ow controller 125 discharges the fresh water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by overflowing the blocking plate 125c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It is possible to keep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to be constant to a predetermined degree. That is, when the second branch line 14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by the water pressure or the water level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While the abrupt increase and decrease may be performed, the flow rate control unit 125 may flow over the blocking wall 125c so that only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space portion 125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branch line 140.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constantly.

한편,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분기라인(110)은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측에서 담수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분기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는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반응탱크(121)로 유입된 담수는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유동하여 담수이동유로(123c)로 유입되게 되는 바, 담수의 유동경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반응탱크(121)에서 담수에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용해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게 된다.
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first branch line 110 may be arranged to supply fresh water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That is,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110 may be formed to flow in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n this case, the fre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reaction tank 121 flow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to the upper side to be introduced into the freshwater flow passage 123c, thereby forming a long flow path of fresh water. can do. Therefore, the first reaction tank 121 has a time allowance for sufficiently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fresh water.

또한,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 또한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측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이산화탄수 공급라인(170)으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담수에 용해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may also be arranged to supply carbon dioxi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n such a case, the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and has sufficient time allowance to be dissolved in fresh water.

덧붙여,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은 일단부에 산기장치부(171)를 구비할 수 있다. 산기장치부(171)는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제 1 반응탱크(122) 내에 배치되며, 이산화탄소 기포를 발생시켜 제 1 반응탱크(122) 내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diffuser 171 at one end. The diffuser unit 17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and disposed in the first reaction tank 122 to generate carbon dioxide bubbles to promote dissolu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first reaction tank 122. have.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산기장치부(171)의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of the diffuser 171 shown in FIG. 3.

도 7을 참고하면, 산기장치부(170)는 제 1 도관(171a)과, 복수개의 제 2 도관(17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도관(171a)은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과 연결되는 것으로, 환형(環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도관(171b)은 복수개가 제 1 도관(171a)의 원주를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도관(171a)으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다수의 기포 형태로 배출시킨다. 이때, 제 2 도관(171b)은 보다 미세한 크기의 이산화탄소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모세관과 같은 가느다란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iffuser unit 170 may be formed of a first conduit 171a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its 171b. The first conduit 171a is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and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conduits 171b may be dispos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duit 171a and discharge carbon dioxide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duits 171a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bubbles. In this case, the second conduit 171b may be formed of a thin tube such as a capillary tube in order to generate finer carbon dioxide bubbles.

도 7에 도시된 화살표는 산기장치부(171)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동경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고하면,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으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제 1 도관(171a)을 따라 유동하여, 제 1 도관(171a)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제 2 도관(171b)를 통해 제 1 반응탱크(121) 내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 2 도관(171b)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산화탄소는 다수의 작은 기포 형태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와 담수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의 용해가 촉진될 수 있다.Arrows shown in FIG. 7 indicate a flow path of carbon dioxide introduced into the diffuser 171. Referring to the arrow shown in FIG. 7, the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flows along the first conduit 171a, so that the second conduit 171b radially disposed in the first conduit 171a. Through the first reaction tank 121 is discharge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conduit 171b is formed in plural,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mall bubbles. Therefore, the contact area of carbon dioxide and fresh water can be increased, thereby promoting the dissolution of carbon dioxide.

그러나 산기장치부(17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수 있는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However, the shape of the diffuser unit 171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forms in which carbon dioxide may be discharged are possible.

한편,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유량조절부(125) 및 제 2 분기라인(140)은 제 2 반응탱크(122)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담수이동유로(123c)를 통해 제 2 반응탱크(122)의 하부측으로 유입된 담수는 제 2 반응탱크(122)의 상부측으로 유동하여, 유량조절부(125) 및 제 2 분기라인(140)을 통해 담수공급라인(10)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 2 반응탱크(122)로 유입된 담수에 경도제가 용해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flow rate controller 125 and the second branch line 1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n this case, the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rough the fresh water flow passage 123c flows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unit 125 and the second branch. It is discharged to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through the line 140. Therefore, it may have a sufficient time to dissolve the hardener in the fresh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낙차에 의해 제 2 반응탱크(122) 내의 담수가 자연스럽게 제 2 분기라인(140)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 2 분기라인(140)에는 제 2 저장탱크(122)의 담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펌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resh water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s naturally formed to flow along the second branch line 140 due to a drop, but the second branch line 140 is provided as necessary. A suction pump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to suck fresh water from the second storage tank 122.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marine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화살표는 담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담수의 유동경로를 따라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Arrows shown in Figures 2 and 3 represent the flow path of fresh wat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operation process of the water hardening system 100 for ships along the flow path of fresh water shown in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선박의 담수화 설비(미도시) 등에서 생산된 담수가 담수저장탱크(20)에 저장된다. 이때, 담수저장탱크(20)에 저장된 담수는 증류수의 일종으로 경도가 매우 낮은 상태이다.First, referring to FIG. 2, fresh water produced in a desalination facility (not shown) of a ship is stored in a freshwater storage tank 20. At this time, the freshwater stored in the freshwater storage tank 20 is a kind of distilled water, which has a very low hardness.

담수저장탱크(20)에 저장된 담수는 이송펌프(30)를 통해 담수공급라인(10)을 유동하게 된다. 담수공급라인(10)을 유동하는 담수가 제 1 분기라인(110)이 분기되는 분기점(P1)에 도달하면, 유량조절밸브(P1)에 의해 일부는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하고, 나머지는 계속하여 담수공급라인(10)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The fresh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storage tank 20 flows through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through the transfer pump 30. When the fresh water flowing in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reaches the branch point P1 where the first branch line 110 branches, part of the fresh water flows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by the flow control valve P1. The remainder will continue to flow along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한편,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한 담수는 경도조절부(120)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branch line 110 is introduced in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분기라인(110)을 따라 유동한 담수는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에 의해 제 1 반응탱크(121)에는 이산화탄소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반응탱크(121)의 하부측으로 유입된 담수는 제 1 반응탱크(121)의 상부측으로 유동하는 동안, 이산화탄소가 용해되게 된다. 이때,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에는 이산화탄소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산기장치부(171)가 장착될 수 있다. 산기장치부(171)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fresh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branch line 110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At this time, carbon dioxide is supplied to the first reaction tank 121 by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Therefore, while the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flows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carbon dioxide is dissolved. At this time,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may be equipped with an acid generator unit 171 to promote the dissolution of carbon dioxide. Since the diffuser unit 171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와 같이 담수에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면, 탄산칼슘 등의 경도제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즉, 제 1 반응탱크(121)로 유입된 담수는 전처리 과정으로 이산화탄소 용해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로 인해, 제 2 반응탱크(122)에서 경도제의 용해가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fresh water as described above, solubility in a hardness agent such as calcium carbonate increases. That is, the fre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reaction tank 121 undergoes a carbon dioxide dissolution process as a pretreatment process, thereby dissolving the hardener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한편, 제 1 반응탱크(121)의 상부측으로 유동한 담수는 제 1 격벽(123a)을 월류하여 담수이동유로(123c)로 유입된다. 또한, 담수이동유로(123c)로 유입된 담수는 제 1 격벽(123a) 및 제 2 격벽(123b)를 따라 하부측으로 유동하여 제 2 반응탱크(122)의 하부측으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esh water flow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121 flow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wall (123a) flows into the fresh water flow passage (123c). In addition, the freshwater flowing into the freshwater flow passage 123c flows downward along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123a and 123b and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이때, 제 2 반응탱크(122)에는 경도제투입부(130)에 의해 탄산칼슘 등의 경도제가 투입되며, 제 2 반응탱크(122)로 유입된 담수는 상기와 같은 경도제가 용해되어 경도가 상승하게 된다. 즉, 제 2 반응탱크(122)의 하부측으로 유입된 담수는 제 2 반응탱크(122)의 상부측으로 유동하는 동안 경도제가 용해되게 되며, 이로 인해, 담수의 경도가 상승한다. 이때, 제 2 반응탱크(122)에 장착된 교반장치부(124)는 제 2 반응탱크(122) 내에서 와류(渦流) 등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경도제의 용해를 촉진시킨다.At this time, a hardness agent such as calcium carbonate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by the hardness agent injecting unit 130, and the fresh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dissolves the hardness agent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hardness. Done. That is, the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s dissolved in the hardness agent while flow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hereby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fresh water. At this time, the stirring device unit 124 attached 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forms a vortex or the like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o promote dissolution of the hardness agent as described above.

제 2 반응탱크(122)에서 경도제가 용해되어 경수화된 담수는, 제 2 반응탱크(122)의 상부측에 마련된 유량조절부(125)를 통해 제 2 분기라인(140)으로 유동한다. 유량조절부(125)를 통해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담수가 유동하는 경로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도 6 참고)The fresh water in which the hardener is dissolved and hardened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flows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through the flow control unit 125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Since the fresh water flows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through the flow control unit 125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ee FIG. 6).

한편,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제 2 분기라인(140)으로 유동한 담수는 합류점(P2)에서 담수공급라인(10)을 유동하는 담수와 다시 합류된다. 이때, 센서부(150)는 합류점(P2) 후단을 유동하는 담수의 경도(또는, 산성도)를 측정하며,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유량조절밸브(111) 및 투입량조절밸브(133)를 제어한다. 제어부(160)의 제어 기작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again to Figure 2, the fresh water flowing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is joined again with fresh water flowing in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t the confluence point (P2).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50 measures the hardness (or acidity) of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confluence point P2, and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low control valve 111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50. And the dose control valve 133. Since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controller 16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끝으로, 센서부(150)를 통과한 담수는 필터부(180)를 거쳐 최종적으로 입자상 불순물 등이 걸러지게 되며, 담수공급라인(10)을 따라 선박의 각 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Finally, the fresh water passing through the sensor unit 150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180 and finally particulate impurities, and is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ship along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100)은 경도조절부(120)에서 경도제를 직접 용해시킴으로 인해, 경도 조절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담수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 배관 부식 등을 일으키거나, 반대로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 금속 침전 등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도제투입부(130)에 경도제를 충전하기만 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하다. 덧붙여, 경도제를 직접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종래의 리하드닝 필터(40, 도 1 참고)와 같이 필터링 시스템에 의한 압력강하 등이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부피가 크고 중량물인 리하드닝 필터(40)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설비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hip water hard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directly dissolves the hardness agent in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t is very easy to control the hardness. Therefore, the hardness of the fresh water is too high to cause pipe corrosion or the like, on the contrary, the hardness is too low to prevent the metal precipitation. In addition, maintenance can be very easy because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just by filling the hardness agent injection unit 130. In addition, there is no fear that a pressure drop by a filtering system, such as a conventional retarding filter 40 (see FIG. 1), may be generated by directly dissolving the hardness agent, and the retarding filter 40 may be bulky and heav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equipment by not using).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110: 제 1 분기라인 130: 경도제투입부
111: 유량조절밸브 131: 경도제저장탱크
120: 경도조절부 132: 경도제투입라인
121: 제 1 반응탱크 133: 투입량조절밸브
122: 제 2 반응탱크 140: 제 2 분기라인
123: 격벽부 150: 센서부
124: 교반장치부 160: 제어부
125: 유량조절부 170: 이산화탄소 공급라인
126: 천장면 171: 산기장치부
127: 바닥면
100: marine water hardening system
110: first branch line 130: hardness agent injection portion
111: flow control valve 131: hardness agent storage tank
120: hardness control unit 132: hardness agent injection line
121: first reaction tank 133: input amount control valve
122: second reaction tank 140: second branch line
123: partition wall 150: sensor
124: stirring device 160: control unit
125: flow rate control unit 170: carbon dioxide supply line
126: ceiling surface 171: diffuser unit
127: bottom

Claims (15)

담수공급라인(10)에서 분기되는 제 1 분기라인(110);
상기 제 1 분기라인(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담수를 경수화(硬水化)시키는 것으로, 상기 담수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제 1 반응탱크(121) 및 상기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담수에 경도제를 용해시키는 제 2 반응탱크(122)를 포함하는 경도조절부(120);
상기 경도조절부(120)로 상기 경도제를 투입하는 경도제투입부(130);
상기 경도조절부(120)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상기 담수공급라인(10)으로 합류시키는 제 2 분기라인(140);
상기 제 2 분기라인(140)의 합류점(P2)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합류점(P2) 후단을 유동하는 담수의 경도(硬度) 및 산성도(酸性度)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150); 및
상기 센서부(150)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경도제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A first branch line 110 branched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By hardening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branch line 110, the first reaction tank 121 for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the fresh water and the agent for dissolving the hardness agent in fresh wat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Hardness control unit 120 including a reaction tank 122;
A hardness agent input unit 130 for injecting the hardness agent into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A second branch line 140 for joining the fresh water that has been hardened by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to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A sensor unit 150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confluence point P2 of the second branch line 140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hardness and acidity of the fresh water flow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confluence point P2; And
And a control unit (160) for adjusting the input amount of the hardness agent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라인(110)은,
상기 담수공급라인(10)에서 분기되는 분기점(P1)에 마련되는 유량조절밸브(111)를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nch line 110,
Water hardening system for a ship comprising a flow control valve 111 is provided at the branch point (P1) branched from the fresh water supply line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도조절부(120)는,
상기 제 1 반응탱크(121) 및 상기 제 2 반응탱크(122)를 구획하는 격벽부(123)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Water hardening system for a ship further comprises a partition wall portion (123) for partitioning the first reaction tank (121) and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123)는,
상단이 천장면(126)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격벽(123a);
상기 제 1 격벽(123a)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하단이 바닥면(127)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격벽(123b); 및
상기 제 1 격벽(123a) 및 상기 제 2 격벽(123b) 사이에 형성되는 담수이동유로(123c);를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artition 123 is,
A first partition 123a having an upper end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rface 12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partition wall 123b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123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lower e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27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freshwater flow passage (123c)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123a)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23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도조절부(120)는,
상기 제 2 반응탱크(122) 내에 장착되어 상기 경도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교반장치부(124)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And a stirring device unit (124) mounted in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o promote dissolution of the harde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도조절부(120)는,
상기 제 2 반응탱크(122)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분기라인(140)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반응탱크(122)에서 경수화된 담수를 상기 제 2 분기라인(140)으로 배출시키는 유량조절부(125)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It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to discharge the hard water fresh water from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Ship water harden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flow control unit 125 to.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125)는,
상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제 2 분기라인(140)이 연결되는 외부케이싱(125a); 및
상기 외부케이싱(125a)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중심부에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구(125b)가 형성되고, 상기 담수유입구(125b)의 둘레 부분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단판(125c)이 형성된 내부케이싱(125d)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싱(125a)과 상기 내부케이싱(125d)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분기라인(140)과 연통되는 공간부(125e)가 형성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low control unit 125,
An outer casing (125a) having an upper and lower surfac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ut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line (140); And
I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25a), the fresh water inlet (125b) is formed in the fresh water inlet in the center,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resh water inlet (125b) is extended to the blocking plate (125c) It includes the formed inner casing 125d,
A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having a space portion 125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ranch line 140 between the outer casing 125a and the inner casing 125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25c)의 상단부는,
상기 외부케이싱(125a)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5c,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125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25c)의 상단부는,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의 경사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5c,
The inclined surface of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im is sequentially repeated, the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formed in a zigzag 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도제투입부(130)는,
상기 경도조절부(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도제가 저장되는 경도제저장탱크(131)와,
상기 경도제저장탱크(131)에 저장된 상기 경도제를 상기 제 2 반응탱크(122)로 안내하는 경도제투입라인(132)과,
상기 경도제투입라인(132) 상에 마련되는 투입량조절밸브(133)을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rdness agent injection unit 130,
A hardness agent storage tank 131 disposed above the hardness control unit 120 and storing the hardness agent;
A hardener injection line 132 for guiding the hardener stored in the hardener storage tank 131 to the second reaction tank 122;
Water hardening system for a ship comprising an input amount control valve (133) provided on the hardness input line (1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50)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분기라인(110)으로 유동하는 담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60,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50, hardening system for ships to adjust the flow rate of fresh water flowing to the first branch line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박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 1 반응탱크(121)로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을 더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in exhaust gas generated from an engine of the vessel to the first reaction tank (1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은,
일단부에 이산화탄소 기포를 발생시키는 산기장치부(171)가 구비된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Ship water hardening system is provided with an air diffuser unit 171 for generating carbon dioxide bubbles at one en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부(171)는,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라인(17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환형(環形)의 제 1 도관(171a)과,
상기 제 1 도관(171a)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2 도관(171b)을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diffuser unit 171,
An annular first conduit 171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rbon dioxide supply line 170;
Hardening system for ship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conduits (171b) radially disposed in the first conduit (171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50)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담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80);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경수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nsor unit 150, the filter unit 180 for filtering the fresh water; Hardening system for ships further comprising.
KR1020110067669A 2011-07-08 2011-07-08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KR101230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69A KR101230857B1 (en) 2011-07-08 2011-07-08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69A KR101230857B1 (en) 2011-07-08 2011-07-08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47A KR20130005947A (en) 2013-01-16
KR101230857B1 true KR101230857B1 (en) 2013-02-07

Family

ID=4783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669A KR101230857B1 (en) 2011-07-08 2011-07-08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85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770A (en) * 1992-05-07 1994-06-03 Takashi Koyama Adjusting method of water quality
JP2000176466A (en) * 1998-12-10 2000-06-27 Kyushu Hitachi Maxell Lt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hardness regulating function
KR100770024B1 (en) * 2006-01-11 2007-10-30 주식회사 삼영건설기술공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water real-time for reducing pipe corrosion in a water supply pipe
KR20100038573A (en) * 2008-10-06 2010-04-15 삼건세기(주) Rehardening filter for a vess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770A (en) * 1992-05-07 1994-06-03 Takashi Koyama Adjusting method of water quality
JP2000176466A (en) * 1998-12-10 2000-06-27 Kyushu Hitachi Maxell Lt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hardness regulating function
KR100770024B1 (en) * 2006-01-11 2007-10-30 주식회사 삼영건설기술공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water real-time for reducing pipe corrosion in a water supply pipe
KR20100038573A (en) * 2008-10-06 2010-04-15 삼건세기(주) Rehardening filter for a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47A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6171A1 (en) Geyser pump
JPWO2018131650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system
RU2638897C2 (en) Method of multiphase pump operation and its arrangement
JP6236347B2 (en) Separation apparatus and separation method
KR101230857B1 (en) Control system of hardness of water for ship
CN109661377A (en) Anaerobic purification device with variable water column
KR101757544B1 (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vice
US10780368B2 (en) Submerged combustion apparatus
EP1566498B1 (en) Method of pumping wastewater, and wastewater pump
KR20140095589A (en) Submarine with an installation for bringing gas out of a submarine
JP5546330B2 (en) Foam separator
JP6797053B2 (en) Crystallization method and crystallization equipment
JP2020081998A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JP2003236305A (en)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and oil-water separation method
JP7052427B2 (en) Muddy water treatment equipment
JP2014050820A (en) Decarboxylation processing unit
KR200415266Y1 (en) Accurately water height store control system
JP6034241B2 (en) Evaporator
JP2006329101A (en) Fuel supply device
KR102219083B1 (en) Automatic sprayer for water treatment agent
KR102299773B1 (en) Simple water supply system combining detachable type power generation module
US20240076220A1 (en) Method of Wastewater Treatment and Apparatus for its Realization
JP2021186730A (en) Water treatment device, water treatment system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4088609B2 (en) Oil-water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24035431A (en)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method and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