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831B1 - 사이드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831B1
KR101230831B1 KR1020100107308A KR20100107308A KR101230831B1 KR 101230831 B1 KR101230831 B1 KR 101230831B1 KR 1020100107308 A KR1020100107308 A KR 1020100107308A KR 20100107308 A KR20100107308 A KR 20100107308A KR 101230831 B1 KR101230831 B1 KR 10123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pelvic
side airbag
gas
airba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649A (ko
Inventor
박성용
김응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8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8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트림의 하단부가 차량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골반 보호부가 위치한 시트의 하단부와 간섭되더라도 사이드 에어백의 골반 보호부(200)가 예정된 위치로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소개된다. 이러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흉부 보호부(100) 및 골반 보호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흉부 보호부(100)와 골반 보호부(200)로 각각 배분하는 가스 배분격막(300)이 구비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분격막(300)은 막혀있는 측면부(310)와, 위쪽으로 뚫려져 상기 흉부 보호부(100)로 가스를 배분하는 상부 트입부(320)와, 아래쪽으로 뚫려져 상기 골반 보호부(200)로 가스를 배분하는 하부 트임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임부(320)가 상기 골반 보호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310)는 그 중심부가 세로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접혀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쿠션{SIDE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트림의 하단부가 차량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골반 보호부가 위치한 시트의 하단부와 간섭되더라도 사이드 에어백의 골반 보호부가 예정된 위치로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각종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안전벨트 및 에어백 장치 등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압축가스를 순간적으로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주입하여 에어백 쿠션이 빠른 속도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와 탑승자가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나 운전대와 같은 물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근래에는 차량의 정면 충돌 뿐만 아니라 측면 충돌에 대해서도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좌석의 일측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와 탑승자의 흉부와 골반부를 보호한다.
한편, 도 1에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일례가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크게 상측의 흉부 보호부(10)와, 하측의 골반 보호부(20)로 구성되고, 인플레이터(미도시)와 연결된 가스 분출구(H) 전방에는 가스 분출구(H)로부터 분출된 가스를 상기 흉부 보호부(10)와 골반 보호부(20)로 각각 분배하기 위한 가스 배분격막(30)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 배분격막(30)은 막혀있는 측면부(31)와, 위,아래쪽으로 뚫려있는 상부 트임부(32)와, 하부 트입부(33)가 각각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스 분출구(H)로부터 분출된 가스 중 일부는 화살표(A) 방향으로 분출되어 흉부 보호부(10)를 팽창시키고, 일부는 화살표(B) 방향으로 분출되어 골반 보호부(20)를 팽창시킨다.
그런데,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트림의 하단부가 차량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골반 보호부가 위치한 시트의 하단부와 간섭될 경우 골반 보호부(20)가 예정된 위치로 전개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골반부가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된 가스 배분격막을 적용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트림의 하단부가 차량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골반 보호부가 위치한 시트의 하단부와 간섭되더라도 사이드 에어백의 골반 보호부가 예정된 위치로 원활히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흉부 보호부 및 골반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흉부 보호부와 골반 보호부로 각각 배분하는 가스 배분격막이 구비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분격막은 막혀있는 측면부와, 위쪽으로 뚫려져 상기 흉부 보호부로 가스를 배분하는 상부 트입부와, 아래쪽으로 뚫려져 상기 골반 보호부로 가스를 배분하는 하부 트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임부가 상기 골반 보호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는 그 중심부가 세로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접혀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는 함입되어 접혀진 오목부와, 이 오목홈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측면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측면부로 과도한 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측면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일정 압력하에서 끊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따르면,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된 가스 배분격막을 적용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트림의 하단부가 차량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골반 보호부가 위치한 시트의 하단부와 간섭되더라도 사이드 에어백의 골반 보호부가 예정된 위치로 원활히 전개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적용된 가스 배분격막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적용한 경우의 탑승자의 골반부에 작용하는 시간에 따른 하중과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적용한 경우의 탑승자의 골반부에 작용하는 시간에 따른 하중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흉부 보호부(100) 및 골반 보호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흉부 보호부(100)와 골반 보호부(200)로 각각 배분하는 가스 배분격막(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 배분격막(300)은 막혀있는 측면부(310)와, 위쪽으로 뚫려져 상기 흉부 보호부(100)로 가스를 배분하는 상부 트입부(320)와, 아래쪽으로 뚫려져 상기 골반 보호부(200)로 가스를 배분하는 하부 트임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310)는 상기 상부 트임부(320)와 하부 트임부(330)를 제외한 막혀있는 부분 전체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가스 배분격막(300)은 상기 하부 트임부(320)가 상기 골반 보호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처럼 상기 배분격막(300)을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 배분격막(300)과 비교하여 볼 때 하 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한 것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트림(미도시)의 하단부가 차량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골반 보호부(200)가 위치한 시트(미도시)의 하단부와 간섭되더라도 상기 골반 보호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하부 트임부(330)로부터의 가스의 유동이 예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골반 보호부(200)를 하 방향으로 팽창시켜 골반 보호부(200)가 예정된 위치에서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골반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스 배분격막(300)의 횡 방향 둘레 크기를 종래와 동일한 크기로 유지한 채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할 경우 상기 가스 배출구(H)로부터 하부 트임부(330)로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상기 상부 트임부(320)와 하부 트임부(330)로 분출되는 가스 압력에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스 배분격막(300)의 횡 방향 둘레 크기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스 배분격막(300)의 횡 방향 둘레 크기를 축소할 경우 가스 분출구(H)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기 측면부(310)에 고압이 집중되어 경우에 따라 가스 배분격막(30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스 배분격막(300)의 측면부(310)의 중심부가 세로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접혀지도록 하여 함입되어 접혀진 오목부(312)와, 이 오목홈(312)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볼록부(311)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311)를 다수의 연결 부재(S)로 연결하여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배분격막(300)의 횡 방향 둘레 크기가 축소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부(310)로 과도한 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가스 배분격막(300)의 횡 방향 둘레 크기가 확장되어 압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부재(S)는 일정 압력하에서 끊어질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적용한 경우의 탑승자의 골반부에 작용하는 시간에 따른 하중과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적용한 경우의 탑승자의 골반부에 작용하는 시간에 따른 하중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대한 하중 그래프(N1)를 살펴보면, 골반 보호부가 예정된 위치에서 전개되지 못하여 탑승자의 골반부를 보호하지 못한 경우이며, 충돌 초반에 하중이 분산되지 못하여 30msec 이후 피크값(P1)이 3000N에 이르러 하드 컨택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대한 하중 그래프(N2)를 살펴보면, 골반 보호부가 예정된 위치에서 전개되어 충돌 초반인 15msec 부근에서 하중이 분산됨을 알 수 있고, 피크값(P2)도 2500N 정도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흉부 보호부 200 : 골반 보호부
300 : 가스 배분격막 310 : 측면부
311 : 볼록부 312 : 오목부
320 : 상부 트임부 330 : 하부 트임부

Claims (3)

  1. 삭제
  2.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흉부 보호부(100) 및 골반 보호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흉부 보호부(100)와 골반 보호부(200)로 각각 배분하는 가스 배분격막(300)이 구비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분격막(300)은 막혀있는 측면부(310), 위쪽으로 뚫려져 상기 흉부 보호부(100)로 가스를 배분하는 상부 트입부(320), 아래쪽으로 뚫려져 상기 골반 보호부(200)로 가스를 배분하는 하부 트임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임부(320)가 상기 골반 보호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310)는 그 중심부가 세로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접혀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310)는 함입되어 접혀진 오목부(312), 이 오목홈(312)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볼록부(3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록부(311)는 상기 측면부(3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연결 부재(S)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S)는 상기 측면부(310)로 과도한 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측면부(3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일정 압력하에서 끊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1020100107308A 2010-10-29 2010-10-29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10123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308A KR101230831B1 (ko) 2010-10-29 2010-10-29 사이드 에어백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308A KR101230831B1 (ko) 2010-10-29 2010-10-29 사이드 에어백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49A KR20120045649A (ko) 2012-05-09
KR101230831B1 true KR101230831B1 (ko) 2013-02-07

Family

ID=4626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308A KR101230831B1 (ko) 2010-10-29 2010-10-29 사이드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8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351A (ja) * 2004-02-12 2005-08-2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6035988A (ja) * 2004-07-26 2006-02-0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7276522A (ja) 2006-04-03 2007-10-2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184595A (ja)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351A (ja) * 2004-02-12 2005-08-2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6035988A (ja) * 2004-07-26 2006-02-0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7276522A (ja) 2006-04-03 2007-10-2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184595A (ja)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49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157B1 (ko) 내장 에어백 장치
US8702120B2 (en) Active bolster deployed from vehicle seat
CN107856631B (zh) 用于车辆的帘式气囊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CN105035016A (zh) 翼形驾驶员安全气囊
US11766985B2 (en) Airbag device
KR102310283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WO2016158022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333937B1 (en) Airbag cover with stress relief features
KR102059687B1 (ko) 사이드 에어백
KR10218290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EP2156997B1 (en) A vehicle safety system
US7441798B2 (en) Curtain airbag device for car
US20180022307A1 (en) Frontal airbag, frontal airbag module and motor vehicle
KR101250413B1 (ko) 통합형 에어백 모듈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1230831B1 (ko)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10254371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220017037A1 (en) Roof mounted airbag
KR100862504B1 (ko) 사이드 에어백 쿠션
US20050127647A1 (en) Side curtain airbag system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JP2018114947A (ja) エアバッグ
KR101327466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