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329B1 -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 Google Patents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329B1
KR101230329B1 KR1020120025366A KR20120025366A KR101230329B1 KR 101230329 B1 KR101230329 B1 KR 101230329B1 KR 1020120025366 A KR1020120025366 A KR 1020120025366A KR 20120025366 A KR20120025366 A KR 20120025366A KR 101230329 B1 KR101230329 B1 KR 10123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ocket
train unit
temperature sensor
lamp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원
Original Assignee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B29C63/0069Heat treatment of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and being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pipe by a tool which moves inside alo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79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specially adapted for bends, branch units, branching pip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관 등의 내벽에 팽창된 라이닝재에 함침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램프를 갖는 램프 트레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램프 트레인 유닛과 램프 트레인 유닛 간의 접속을 위해 나사로 체결하는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lamp train unit for UV irratiation}
본 발명은 기설관 등의 내벽에 팽창된 라이닝재에 함침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램프를 갖는 램프 트레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램프 트레인 유닛과 램프 트레인 유닛 간의 접속을 위해 나사로 체결하는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은 기설관 내에 삽입되어 견인되면서 라이닝재에 함침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라이닝재를 기설관 내부에 부착 고정시킨다.
그런데, 자외선 램프의 표면온도는 500~700℃ 정도로 매우 높아 라이닝재의 필름이 과열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고, 또한 관 속에서 계속적인 열을 지속으로 제공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램프 트레인 자체가 쇼트 등으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다.
그래서, 종래에는 견인속도나 기설관 내부로 불어주는 압축공기(라이닝재를 관벽으로 밀어주는 역할도 함)로 어느 정도의 과열을 피하고 있지만, 라이닝재의 손상이나 화재의 위험을 피할 수는 없었다.
또한, 램프의 양측에는 램프를 지지하면서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소켓과 브리지관 지지링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되기 때문에, 램프의 열이 브리지관 지지링을 지나 소켓에 전달하여 소켓 내의 전선 등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램프들은 모두 동일한 전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각각의 전력 제어를 하지 않아, 램프와 램프 간의 케이블 이동이 필요가 없다.
또한, 동일한 전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램프 트레인 유닛 간의 커넥터와 같은 접속이 불필요하여 단일의 램프 트레인 유닛으로 A/S 받기가 어려웠다.
또한, 램프 트레인 유닛 간의 연결이 플렉서블 하지 않아 직선관 또는 진원관 이외의 비직선관 또는 비진원관 이동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747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의 램프 트레인 유닛으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후를 지지하는 전방 소켓 및 후방 소켓; 상기 전방 소켓 또는 상기 후방 소켓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수 커넥터; 상기 어느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암 커넥터; 상기 암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암나사 링이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램프 트레인 유닛의 전후방에 수나사가 형성된 암 커넥터와 암나사 링이 설치된 수 커넥터가 배치되어, 램프 트레인 유닛 간의 체결이 편리하여 단일 램프 트레인 유닛의 A/S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은,
상기 수 커넥터는 플렉서블관에 의해 상기 전방 소켓에 연결되되, 상기 플렉서블관은 플렉서블망과 상기 플렉서블망 내부에 탑재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기설관이 굴곡관인 경우에도 이동이 원활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은,
상기 전방 소켓에서 상기 후방 소켓으로 지나는 케이블을 감싸는 복수의 브리지관; 상기 전방 소켓 및 후방 소켓에 체결된 채 상기 복수의 브리관의 전후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링 및 후방 지지링;을 더 포함한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브리지관이 램프 트레인 유닛에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전력을 제어 가능한 케이블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떨어지는 물체로부터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망의 기능도 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램프 트레인 유닛의 전후방에 수나사가 형성된 암 커넥터와 암나사 링이 설치된 수 커넥터가 배치되어, 램프 트레인 유닛 간의 체결이 편리하여 단일 램프 트레인 유닛의 A/S가 편리하다.
수 커넥터는 플렉서블관에 의해 상기 전방 소켓에 연결됨으로써, 기설관이 굴곡관인 경우에도 이동이 원활히 행해진다. 또한,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이 강하면서도 플렉서블망이 견인될 때 끊어지는 것도 방지한다. 또한 플렉서블망이 그 내부를 지나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외부로부터도 보호한다.
복수의 브리지관이 램프 트레인 유닛에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전력을 제어 가능한 케이블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떨어지는 물체로부터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망의 기능도 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을 접속한 램프 트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접속 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4 내지 제6 램프 트레인 유닛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서 이동부재가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지지링의 사시도.
도 7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플렉서블관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휘기 전후를 나타낸 도.
도 9는 램프 트레인 유닛의 소켓과 지지링 사이의 단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램프 트레인 유닛의 소켓 내부에 내장된 단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램프 트레인 유닛의 브리지관의 단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2의 제2 및 제3 램프 트레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을 접속한 램프 트레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속 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4 내지 제6 램프 트레인 유닛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이동부재가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지지링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플렉서블관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휘기 전후를 나타낸 도이고, 도 9는 램프 트레인 유닛의 소켓과 지지링 사이의 단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램프 트레인 유닛의 소켓 내부에 내장된 단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램프 트레인 유닛의 브리지관의 단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2의 제2 및 제3 램프 트레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10)은 다수의 램프 트레인 유닛(100~600)으로 구성하여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램프 트레인 유닛은 제1 내지 제6의 램프 트레인 유닛(100~600)으로 구성하여 있다.
먼저, 제4 내지 제6의 램프 트레인 유닛(400)(500)(600)을 설명하는데, 3개가 동일한 구성의 유닛이기 때문에 제4 램프 트레인 유닛(400)을 설명하고 제5 및 제6 램프 트레인 유닛(500)(600)은 500단위, 600단위로만 표현하고 십 단위는 제4 램프 트레인 유닛(400)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램프 트레인 유닛(400)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410), 램프(410)의 전후 양단을 지지하는 전방 소켓(430a) 및 후방 소켓(430b), 전방 소켓(430a)에서 후방 소켓(430b)으로 지나는 케이블을 감싸는 복수의 브리지관(450), 전방 소켓(430a) 및 후방 소켓(430b), 전방 소켓(430a)에 체결된 채 복수의 브리지관(450)의 전후 양단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링(470a) 및 후방 지지링(470b)을 포함한다.
전방 소켓(430a) 및 후방 소켓(430b) 각각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케이블 등이 수납되게 전면이 개방된 수납통(431a)(431b)과, 수납통(431a)(431b)의 전면을 개폐하는 덮개(433a)(433b)로 이루어진다.
수납통(431a)(431b)은 후면이 막힌 측벽(431a')(431b')과, 이 측벽(431a')(431b')의 가장자리에서 전면으로 연장 돌출한 연장관(431a'')(431b'')으로 구성하여 있다.
측벽(431a')(431b')의 중앙에는 램프(410)의 전후 양단이 삽입될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31a')(431b')의 주변에는 케이블 출납용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431a')(431b')에 형성된 관통공들의 위치는 후술된 전후방 지지링(470a)(470b)의 관통공과 맞대는 위치는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관(450) 각각에는 카메라용 케이블, 표면온도센서용 케이블, 분위기온도센서용 케이블, 각 램프의 전력용 케이블 등이 지나가게 다리를 놓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브리지관(450) 각각의 전후 양단은 전방 지지링(470a)과 후방 지지링(470b)에 고정되어 있다.
전후방 지지링(470a)(470b)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램프(410)의 전후 양단이 통과되는 통과공(471)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브리관(450)의 전후 양단이 지지되면서 케이블이 인출되는 관통공(473)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방 지지링(470a)(470b)은 전후방 소켓(430a)(430b)에 나사 체결된다.
한편, 복수의 브리지관(450)은 도 4와 같이 길이방향의 평면으로 볼 때 나선상으로 감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브리관(450)의 전단은 전방 지지링(470a)의 90도 간격으로 4개 설치되고, 각각의 브리지관(450)의 후단도 90도 간격으로 4개 설치되지만, 전단의 90도 간격 사이에 설치되고 그 양단을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비틀어져 4개 전체를 길이방향 평면으로 볼 때 나선상을 감긴 형태로 배치되어 복수의 브리지관(450) 사이의 간격이 보다 촘촘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브리지관(450)의 나선상 배치는 램프(410)에서 나오는 온도에 의한 열변형이나 관 내부에서의 시공 중의 외부충격에 대해 휘는 것에 저항하는 정도 보강재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 있어서 브리지관(450) 각각은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파이프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전후방에 배치된 연결부의 커넥터에 연결된다.
즉, 전방 소켓(430a)에는 수 커넥터(440a), 후방 소켓(430b)에는 암 커넥터(440b)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수 커넥터(440a)는 플렉서블관(460)에 의해 전방 소켓(430a)에 연결된다.
플렉서블관(46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망(461)과, 플렉서블망(461) 내부에 고정되는 스프링(463)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서블망(461)은 휘지만 끊어지지 않는 성질이 있는 강선 등을 꼬아 만든 망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망(461) 내부에는 수 커넥터(44a)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지나가는 통로로서, 관 내부에서 시공할 때 외부에서 케이블에 떨어져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스프링(463)은 램프 트레인을 견인할 때 플렉서블망(461)이 인장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심한 경우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프링(463)은 플렉서블망(461)이 늘어나거나 구부러질 때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게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암 커넥터(440b)는 후방 덮개(433b)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수 커넥터(440a)는 다른 램프 트레인 유닛의 암 커넥터와 체결되고, 암 커넥터(44b)는 다른 램프 트레인 유닛의 수 커넥터와 체결된다.
즉, 수 커넥터(440a)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암나사 링(441a)이 설치되고, 암 커넥터(440b)의 외주에는 다른 암나사 링과 체결되는 수나사(44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 체결 방식의 조립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A/S 등이 편리하다.
한편, 지지링(470a)(470b)에는 도 5와 같이 이동부재(480)가 착탈되는 홈(475)가 형성되어 있다.
홈(47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430a)(430b)의 측벽(431a')(431b')과 접하는 후측면과 상면이 개방된 형상이다.
또한, 각 홈(475)은 지지링(470a)(470b)의 반경방향으로 향하도록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려가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홈(475)의 전면과 후면에는 이동부재(480)의 돌기(482)가 걸리는 걸림홈(475a)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481)는 다리(481) 내부에 탑재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재(480)는 홈(475)에 착탈되는 다리(481)와, 다리(481)에 설치되는 제1바퀴(483), 제2바퀴(485), 제1바퀴(483)에 대해 제2바퀴(485)가 비틀림 가능하게 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487)으로 구성하여 있다.
비틀림코일스프링(487)의 구성에 의하여, 관의 내경 사이즈에 따라 제2바퀴(485)가 닿아 구르거나, 제1바퀴(485)와 제2바퀴(483)가 같이 닿아 구르거나 한다.
한편, 전후방 지지링(470a)(470b) 사이에는 램프(410)를 보호하는 램프보호관(415)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보호관(415)은 시공 중 외부에서 램프(410)에 충격을 줄 우려가 있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램프보호관(415)의 전후 양단은 전후방 지지링(470a)(470b)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브래킷(417)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브래킷(417)에는 램프(410)와 공기와 통기가 통하는 통기공(41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램프(410)에서 나오는 온도가 매우 높아, 그 주변에 있는 소켓이나 브리지관 등에 있는 케이블 등과 같은 전기적인 요소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9와 같이, 전방 소켓(430a)과 전방 지지링(470a) 사이 및 후방 소켓(430b)과 후방 지지링(470b) 사이에 전방 단열판(420a) 및 후방 단열판(420b)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단열판(420a) 및 후방 단열판(420b)은 램프 트레인 유닛(400)에서 볼 때 외장형이다.
그런데, 외장형 단열판(420a)(420b)이 소켓(430a)(430b)과 지지링(470a)(470b)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외장형 단열판(420a)(420b)의 일면과 홈(475)의 후측면이 접하게 된다.
이렇게 접한 상태에서, 이동부재(480)가 홈(475)에 삽입되면 외장형 단열판(420a)(420b)의 일면과 닿거나 마찰 등으로 손상을 주거나 하여 내구성을 떨어트릴 수 있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소켓(430a)(430b) 내부에 단열판(425a)(425b)이 내장 설치되는 것도 좋다.
즉, 단열판(425a)(425b)은 측벽(431a',431b')의 내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물론, 연장관(431a'',431b'')의 원주내면에도 단열판이 설치되어도 좋다.
다른 한편, 브리지관(450)의 내부에도 케이블이 있는데, 램프(410)의 직하에 설치되어, 받는 온도가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단열띠 형태의 단열재(455)가 브리지관(450)에 감긴 것이 좋다.
물론, 브리지관(450)의 외주면에 단열재로 코팅한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제4 램프 트레인 유닛(400)의 구성은 제5 및 제6 램프 트레인 유닛(500)(600)과 동일하다.
제6 램프 트레인 유닛(600)의 암 커넥터(640b)은 권취릴에 있는 케이블의 수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어, 이 케이블이 램프 트레인을 뒤로 당기면서 라이닝재의 수지를 경화시킨다.
제1 램프 트레인 유닛(100)에는 최전방에 카메라(100)가 장착된 자외선 조사 유닛이고, 제2 램프 트레인 유닛(200)에는 표면온도센서부(201)가 장착된 유닛이고, 제3 램프 트레인 유닛(300)은 분위기온도센서부(301)를 갖는 유닛을 제외하고는, 제4 내지 제6 램프 트레인 유닛(400 내지 6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1 램프 트레인 유닛(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링(170a)에 카메라(10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101)는 시공 중에 기설관 내부의 전방 상황을 외부에서 계속 모니터링 하여 램프 트레인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표면온도센서부(201)는 표면온도센서(203)와, 이 표면온도센서용 소켓(205)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분위기온도센서부(301)는 분위기온도센서(303)와, 이 분위기온도센서용 소켓(30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표면온도센서부(201)는 원적외선을 관 내벽의 라이닝재에 조사하여 그 표면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부의 제어부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분위기온도센서부(301)는 관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감지하여 외부의 제어부에 전달한다.
따라서, 표면온도의 계속적인 감시를 통해 라이닝재의 양호한 경화를 모니터링 할 뿐만 아니라, 관 내부의 분위기 공기 온도를 감시하여 램프 트레인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6 램프 트레인 유닛(100 내지 600)은 제1 내지 제5 연결부(10 내지 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동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 연결부(10)는 제1 램프 트레인 유닛(100)의 후방에 설치된 제1암 커넥터(140b), 제2 램프 트레인 유닛(200)의 전방과 표면온도센서부(201)의 후방 사이에 연결되는 제1-1플렉서블관(260b), 제1암 커넥터(140b)와 연결되는 제1수 커넥터(240a), 표면온도센서부(201)의 전방과 제1수 커넥터(240a)를 연결하는 제1-2플렉서블관(26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연결부(10)의 플렉서블관(260)은 표면온도센서부(201)의 전후방에 연결된 제1-1플렉서블관(260b) 및 제1-2플렉서블관(26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표면온도센서부(201)는 램프 트레인 유닛(100 또는 200)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어 온도로부터 덜 영향을 받는다.
제2 연결부(20)도 제1 연결부(10)와 마찬가지로, 제2 램프 트레인 유닛(200)의 후방에 설치된 제2암 커넥터(240b), 제3 램프 트레인 유닛(300)의 전방과 분위기온도센서부(301)의 후방 사이에 연결되는 제2-1플렉서블관(360b), 제2암 커넥터(240b)와 연결되는 제2수 커넥터(340a), 분위기온도센서부(301)의 전방과 제2수 커넥터(340a)를 연결하는 제2-2플렉서블관(36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연결부(20)의 플렉서블관(360)은 분위기온도센서부(301)의 전후방에 연결된 제2-1플렉서블관(360b) 및 제2-2플렉서블관(36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분위기온도센서부(301)도 램프 트레인 유닛(200 또는 300)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어 온도로부터 덜 영향을 받는다.
제3 연결부(30)는 제3암 커넥터(340b)와 제3수 커넥터(440a), 제4 연결부(40)는 제4암 커넥터(440b)와 제4수 커넥터(540a), 제5 연결부(50)는 제5암 커넥터(540b)와 제5수 커넥터(640a)의 접속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5 연결부(10 내지 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커넥터(140b 내지 540b)에 수 커넥터(240a 내지 640b)를 밀어 끼운 후 암나사 링(241 a 내지 641a)을 돌려 수나사(141b 내지 541b)에 체결하면 된다.
이때 핀과 핀 홀이 동일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수 커넥터(240a 내지 640b)에는 위치결정홈(A)이, 암 커넥터(140b 내지 540b)에는 위치결정돌기(B)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은 상하수도 기설관은 물론 관상 라이닝재의 보수용 배관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10~10 : 제1 내지 제5 연결부
100~600 : 제1 내지 제6 램프 트레인 유닛
101 : 카메라 201 : 표면온도센서부
203 : 표면온도센서 205 : 표면온도센서용 소켓
301 : 분위기온도센서부 303 : 분위기온도센서
305 : 분위기온도센서용 소켓 410 : 램프
415 : 램프보호관 417 : 지지브래킷
419 : 통기공 420a,420b : 외장형 단열판
425a,425b : 내장형 단열판 430a,430b : 전후방 소켓
431a,431b : 수납통 431a',431b' : 측벽
431a'',431b'' : 연장관 433a,433b : 덮개
440a : 수 커넥터 440b : 암 커넥터
441a : 암나사 링 441b : 수나사
450 : 브리지관 455 : 단열재
460 : 플렉서블관 461 : 플렉서블망
463 : 스프링 470a,470b : 전후방 지지링
471 : 통과공 473 : 관통공
475 : 홈 475a : 걸림홈
480 : 이동부재 481 : 다리
452 : 걸림돌기 483 : 제1바퀴
485 : 제2바퀴 487 : 비트림코일스프링
A : 위치결정홈 B : 위치결정돌기

Claims (3)

  1.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후를 지지하는 전방 소켓 및 후방 소켓;
    온도센서부;
    상기 전방 소켓에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후방 소켓에 설치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방 소켓과 상기 온도센서부를 연결하는 제1플렉서블관, 수 커넥터, 상기 온도센서부와 상기 수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플렉서블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암나사 링이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소켓에서 상기 후방 소켓으로 지나는 케이블을 감싸는 복수의 브리지관;
    상기 전방 소켓 및 후방 소켓에 체결된 채 상기 복수의 브리지관의 전후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링 및 후방 지지링;을 더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KR1020120025366A 2012-03-13 2012-03-13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KR10123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66A KR101230329B1 (ko) 2012-03-13 2012-03-13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366A KR101230329B1 (ko) 2012-03-13 2012-03-13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329B1 true KR101230329B1 (ko) 2013-02-15

Family

ID=4789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366A KR101230329B1 (ko) 2012-03-13 2012-03-13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440A (ko) * 2017-08-01 2020-03-16 우한 이지-사이트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자외선 경화 파이프라인 복구 로봇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6784A1 (en) * 1991-03-22 1992-10-01 Inpipe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of lining a passageway
JP2000104330A (ja) 1998-09-29 2000-04-11 Fumito Hinuma 管内面補修装置
WO2001018444A1 (de) 1999-09-09 2001-03-15 Uv Reline.Tec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anieren der undichten wände von rohrleitungen mit kleinen durchmessern
WO2001022432A1 (en) 1999-09-24 2001-03-29 Thames Water Services Limited Apparatus for curing an ultraviolet light curable repair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6784A1 (en) * 1991-03-22 1992-10-01 Inpipe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of lining a passageway
JP2000104330A (ja) 1998-09-29 2000-04-11 Fumito Hinuma 管内面補修装置
WO2001018444A1 (de) 1999-09-09 2001-03-15 Uv Reline.Tec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anieren der undichten wände von rohrleitungen mit kleinen durchmessern
WO2001022432A1 (en) 1999-09-24 2001-03-29 Thames Water Services Limited Apparatus for curing an ultraviolet light curable repair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440A (ko) * 2017-08-01 2020-03-16 우한 이지-사이트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자외선 경화 파이프라인 복구 로봇 및 시스템
KR102362088B1 (ko) 2017-08-01 2022-02-14 우한 이지-사이트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자외선 경화 파이프라인 복구 로봇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1249B (zh) 可定位照明系统和方法
US20150355429A1 (en) Assembly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ES2628305T3 (es) Conjunto de empalme con manguito pantalla
CN104903644A (zh) 照明系统
NZ583058A (en) Optical fibre cable with sheath embedded in between tubes surrounding a centred tension member
KR101230329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ES2441077T3 (es) Procedimiento de restitución del blindaje electromagnético individual de cables eléctricos de un cable trenzado en un conector eléctrico
KR101218169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KR101218170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KR101218171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KR101218172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KR101218167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KR101218173B1 (ko)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
RU2012116574A (ru) Кожух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ника, оснащенный датчиками тока
KR101539723B1 (ko) 소관경 관로 내부 조사장치
CN113639212A (zh) 一种链环、链式灯、链式灯的装配方法及其应用
TWM601594U (zh) 管道內視鏡之頭端與可撓頸部之組合結構
CN220382618U (zh) 杆状安全工器具及杆状安全工器具的收纳结构
CN204119339U (zh) 一种辐射监控保护装置
JP2003337288A (ja) 管内点検具
JP7354759B2 (ja) 落下防止ワイヤ、及びランプユニット
WO2023175961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215569885U (zh) 一种链环、链式灯以及一种安全护栏
WO2021136186A1 (zh) 发光组件和灯具
JP2009075199A (ja) 直線接続クロ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