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737B1 -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737B1
KR101229737B1 KR1020110030901A KR20110030901A KR101229737B1 KR 101229737 B1 KR101229737 B1 KR 101229737B1 KR 1020110030901 A KR1020110030901 A KR 1020110030901A KR 20110030901 A KR20110030901 A KR 20110030901A KR 101229737 B1 KR101229737 B1 KR 10122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ring
shaped metal
wire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147A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3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73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40Devices insertable in the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7Electrodes for the digestive system
    • A61N1/0512An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61N1/0524Vagin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프로브는 고정몸체부에 횡방향으로 신축절개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한 상태에서 이에 전선이 직접 접속되는 링형 금속밴드를 끼움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시키는 한편, 링형 금속밴드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각각 면취부를 형성한 후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위한 진동모터의 장착상태가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링형 금속밴드의 유동을 방지하여 링형 금속밴드를 표면을 제외한 고정몸체부와 전선의 외표면에 절연성수지의 몰딩 처리로 몰딩피복부를 형성시 그 몰딩피복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프로브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에 따른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결합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진동모터의 위치 불안정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면서, 특히 프로브가 여성의 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진동에 의한 자극효과를 통해 요실금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Probe Apparatus for urinary incontinence curer}
본 발명은 여성의 체내에 삽입된 후 전기적펄스를 발생시켜 방광 주변의 근육을 강화 또는 회복시키는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Prob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이 신축적으로 제어되는 원통형의 프로브 상에 다수개의 링형 금속밴드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하면서도 각 조립부품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동작 신뢰도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치료효과를 배가시킨 프로브에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부가한 고부가가치의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및 신경근육 전기자극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신호를 질 내의 신경근육으로 전달하기 위한 질 삽입용 프로브가 필요하다.
숙달되지 않은 치료사가 프로브를 질 내에 삽입하는 치료를 시행할 경우 자궁경부에 손상을 가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치료를 시행하는 치료사는 환자에 따라서 프로브의 질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현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확인해야 하며 프로브가 정상적인 삽입 위치보다 밀려 들어갈 경우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로브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근전도 신호의 변화 또는 근전도 신호의 소멸 현상으로 인하여 생체신호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바, 이때에는 치료를 중단하거나 근전도에 대한 카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재실시, 프로브 위치 재조정, 치료 재시작 등을 실시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브는 링형 금속밴드를 결합하기 위하여 다수의 링형 금속박판을 사용하거나 링형 도전성 밴드를 사용하여 외부 링형 금속밴드와 결속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링형 금속밴드 결합구조는 다수의 금속박판 및 도전성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재료비의 증가와 제조공정의 복잡성에 따른 원가 증가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링형 금속밴드를 다수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조립 후 몰딩하는 제조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고정장치가 몰딩시 프로브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움직임으로써 각 링형 금속밴드가 폭이 일정하지 않고 링형 금속밴드의 틀어짐 현상 등이 나타남으로 제조공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어 실질적인 양산체계를 갖출 수 없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429140호를 통해 종래 프로브들이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하나의 고정봉에 다수의 고정몸체부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되는 고정봉과 고정몸체부의 외측 둘레에 링형 금속밴드를 결합시키는 구조인 바, 부품수가 많아 링형 금속밴드의 결합공정이 복잡하고, 결합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프로브에는 바이브레이션(Vibration) 기능이 없어, 프로브를 여성의 질내 또는 항문에 삽입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한 자극효과를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단면이 신축적으로 제어되는 원통형의 고정몸체부 상에 전선이 직접 접속되는 다수의 링형 금속밴드를 간편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하는 한편, 프로브에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이를 통해 링형 금속밴드의 유동을 방지하고, 결합에 따른 부품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 결합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프로브가 여성의 질내 또는 항문에 삽입되었을 때 진동에 의한 자극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공개특허공보 10-2010-0127061호(특허 제10-1066108호, 출원 제10-2009-0045569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선원발명의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에 의하면, 원통형의 고정몸체부에 다수의 링형 금속밴드를 간편하게 결합시키는 조립 편의성과 프로브에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진동에 의한 자극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나, 고정몸체부의 표면을 따라 끼워지는 금속밴드 및 이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안정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확장용 중간 케이스 삽입시 전선이 눌리거나 밀리면서 그 피복부가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으며, 중간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진동모터 역시 안정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함으로 인해 불안정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면서 치료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한 것으로, 고정몸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축절개부를 구성하여 이를 고정몸체 신축 확장수단으로 사용함은 물론, 링형 금속밴드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이 눌림없이 안내되는 유도 홈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링형 금속밴드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면취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수밀효과를 증대시켜 링형 금속밴드과 몰딩피복부가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하며, 진동모터의 장착위치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모터의 위치 불안정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하면서도 각 조립부품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동작 신뢰도를 증대시킨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는, 일단이 밀폐된 원통형으로서 이루어지며,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를 구성하고 있고, 그 외표면에 복수개의 고정홈과 고정돌기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고정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둘레면 모서리부에 면취부를 각기 형성하고 있는 전기도전성 물질인 링형 금속밴드; 상기 링형 금속밴드의 각각에 일측단이 접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고정몸체부 후단부로 연장되어 요실금치료용 기계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전선피복부; 및 둘레면에 하나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를 가진 상기 고정몸체부 내측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몸체부를 확장함으로서 상기 고정몸체부 외표면의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링형 금속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금속밴드의 표면을 제외한 상기 고정몸체부와 전선의 외표면을 절연성수지로 몰딩처리하여서 되는 몰딩피복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전선피복부의 전선에 접속되어 있는 진동모터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모터 거치용 고정홈을 구성하고, 상기 진동모터 일면에는 상기 모터 거치용 고정홈에 걸림되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편을 돌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외측 상면에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기 연장되어 상기 고정몸체부의 횡방향 신축절개부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전선이 눌림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유도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의 외측에는, 중앙에 전선통과홀을 가진 마개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마개의 상측 일면에는 전선통과홀을 통해 유도되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선안내홀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고정몸체부에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축절개부를 구성하여 이를 고정몸체 신축 확장수단으로 사용함은 물론, 링형 금속밴드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이 눌림없이 안내되는 유도 홈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링형 금속밴드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면취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수밀효과를 증대시켜 링형 금속밴드과 몰딩피복부가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동시에, 진동모터의 장착위치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링형 금속밴드의 유동을 방지하여 링형 금속밴드를 표면을 제외한 고정몸체부와 전선의 외표면에 절연성수지의 몰딩 처리로 몰딩피복부를 형성시 그 몰딩피복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프로브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에 따른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결합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진동모터의 위치 불안정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면서, 특히 프로브가 여성의 체내에 삽입되었을 때 진동과 자극을 통해 요실금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프로브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선의 배선 흐름을 보인 프로브 구조 분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딩피복부를 형성하기 이전의 프로브 결합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딩피복부를 형성한 상태의 프로브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링형 금속밴드와 전선의 접속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프로브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선의 배선 흐름을 보인 프로브 구조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프로브의 구조를 보인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링형 금속밴드와 전선의 접속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는 고정몸체부(10), 링형 금속밴드(20), 전선부(30), 그리고 몰딩피복부(40)와 진동모터(50)를 포함하며, 여기에 더하여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몸체부(10)는 일단이 밀폐된 원통형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신축절개부(11)의 외표면에는 각각 링형 금속밴드(20)가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홈(12)과 복수의 고정돌기(13)가 반복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고정홈(12)은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구성이 이루어짐은 물론, 그 깊이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두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부(10)의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11)는 상기 고정홈(12)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형 금속밴드(20)가 상기 고정돌기(13)에 의해 구속됨이 없이 원활히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링형 금속밴드(20)는 전기도전성 물질로서, 상기 고정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2)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고정홈(12)에 각각 끼움 결합시 상기 고정몸체부(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돌기(13)로부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면취부(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면취부(21)는 절연성수지의 몰딩 처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홈(12)에 링형 금속밴드(20)가 조립되고 나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내부에는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이같은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는 상기 고정몸체부(10)의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11)를 확장함으로서 상기 고정몸체부(10)의 고정홈(12)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링형 금속밴드(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선피복부(30)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에 일측단이 각각 접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후단부로 연장되어, 요실금치료용 기계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전선(L)이 존재할 때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후단측에서 상기 복수의 전선(L)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모터(50)는 일측 개구형인 제 1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내에서 모터 거치용 고정홈(51a)에 수납된 후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2)에 의해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부(10)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피복부(30)내에 구성되는 하나의 전선(L)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50)에는 고정편(50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50b)은 상기 모터 거치용 고정홈(51a)에 안정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진동모터(50)를 정위치로 고정시킴은 물론, 상기 진동모터(50)의 유동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내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모터(50)는, 모터 구동축 선단에 편심 무게추(50a)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고정몸체부(10)에 진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 외측에는 전선(L)이 통과되는 전선 통과홀(h)을 가진 마개(53)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됨은 물론, 상기 전선 통과홀(h)의 상측 둘레면에는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2)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각각에 일측단이 접속되는 전선(L)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전선안내홀(53a)을 절개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2)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선안내홀(53a)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각각에 일측단이 접속되는 전선(L)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통과되는 전선(L)이 눌림없이 위치되도록 하는 전선유도홈(5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선유도홈(52a)은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기 연장되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횡방향 신축절개부(11)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전선(L)이 눌림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2)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몰딩피복부(40)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20)를 표면을 제외한 상기 고정 몸체부(10)와 전선(L)의 외표면은 물론, 상기 마개(53)와 제 1,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의 후단측을 덮는 것으로, 몰딩처리는 절연성 수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몰딩처리되는 몰딩피복부(40)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면취부(21)에 의해 밀힘현상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고정몸체부(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2)에 순차적으로 링형 금속밴드(20)를 끼움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끼움 결합은 상기 고정몸체부(10)의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11)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부(10)의 단면이 조절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고정홈(12)으로 링형 금속밴드(20)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고정홈(12)과 고정홈(12)의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13)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1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내의 모터 거치용 고정홈(51a)에 진동모터(50)를 삽입하여 장착시, 상기 진동모터(50)에 형성되는 고정편(50b)이 상기 모터 거치용 고정홈(51a)의 선후단에 걸림된다.
그러면, 상기 진동모터(50)는 상기 고정편(50b)의 걸림동작으로부터 그 장착위치가 고정됨은 물론 유동은 방지된다.
이후, 상기 제 1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에 상하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2)를 결합시킨 후, 상기 결합되는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의 외측에 전선 통과홀(h)과 전선안내홀(53a)을 가지는 마개(53)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에 있어,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2)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전선유도홈(52a)을 통해 전선(L)이 눌림없이 위치하면서, 상기 눌림없이 위치하는 전선(L)을 각각 링형 금속밴드(2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를 상기 고정몸체부(10)의 횡방향 신축절개부(11)를 확장시키면서, 상기 고정몸체부(10)내에 삽입 고정한다.
이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절연성 수지를 통해 상기 링형 금속밴드(20)를 표면을 제외한 상기 고정몸체부(10)와 전선(L)의 외표면은 물론, 상기 마개(53)와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51)(52)의 후단측을 몰딩처리로부터 형성되는 몰딩피복부(40)에 의해 덮혀지도록 하면서 일체를 이루게 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의 둘레면 모서리부에 면취부(21)를 둠으로서 상기 링형 금속밴드(20)는 수밀하고도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한체, 첨부된 도 3와 같은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성된 프로브를 여성의 질내 또는 항문에 삽입한 후 고정몸체부(10)에 끼움 결합되는 링형 금속밴드(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링형 금속밴드(20)에서는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켜 방광 주변의 근육을 강화 또는 회복시키는 요실금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부(10)내의 진동모터(50)로도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면, 상기 진동모터(50)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프로브가 삽입된 여성의 질내 또는 항문에서는 상기 진동모터(50)의 진동에 따른 자극이 가해지면서 방광 주변의 근육에 대한 이완/수축이 반복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요실금 치료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고정몸체부 11; 횡방향 신축절개부
12; 고정홈 13; 고정돌기
20; 링형 금속밴드 30; 전선피복부
40; 몰딩피복부 50; 진동모터
51,52;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53; 마개

Claims (4)

  1. 일단이 밀폐된 원통형으로서 이루어지며,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를 구성하고 있고, 그 외표면에 복수개의 고정홈과 고정돌기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고정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둘레면 모서리부에 면취부를 각기 형성하고 있는 전기도전성 물질인 링형 금속밴드;
    상기 링형 금속밴드의 각각에 일측단이 접속되고, 타측단은 상기 고정몸체부 후단부로 연장되어 요실금치료용 기계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전선피복부; 및
    둘레면에 하나이상의 횡방향 신축절개부를 가진 상기 고정몸체부 내측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몸체부를 확장함으로서 상기 고정몸체부 외표면의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링형 금속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하 분리되는 한쌍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금속밴드의 표면을 제외한 상기 고정몸체부와 전선의 외표면을 절연성수지로 몰딩처리하여서 되는 몰딩피복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전선피복부의 전선에 접속되어 있는 진동모터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모터 거치용 고정홈을 구성하고, 상기 진동모터 일면에는 상기 모터 거치용 고정홈에 걸림되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편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 외측 상면에는, 상기 링형 금속밴드의 일측단으로부터 각기 연장되어 상기 고정몸체부의 횡방향 신축절개부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전선이 눌림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유도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몸체 확장용 중간케이스의 외측에는, 중앙에 전선통과홀을 가진 마개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마개의 상측 일면에는 전선통과홀을 통해 유도되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선안내홀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KR1020110030901A 2011-04-04 2011-04-04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KR10122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01A KR101229737B1 (ko) 2011-04-04 2011-04-04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01A KR101229737B1 (ko) 2011-04-04 2011-04-04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47A KR20120113147A (ko) 2012-10-12
KR101229737B1 true KR101229737B1 (ko) 2013-02-04

Family

ID=4728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901A KR101229737B1 (ko) 2011-04-04 2011-04-04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968A (ko) 2017-12-28 2019-07-08 (주)듀페이스 요실금 치료용 괄약근 강화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140Y1 (ko) 2006-05-24 2006-10-19 윤석기 프로브의 구조
KR100983644B1 (ko) 2010-04-26 2010-09-24 박화순 진동체의 소음방지 기능을 구비한 요실금 치료용 프루브
KR100996859B1 (ko) 2008-10-29 2010-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직경 질 전극을 갖는 전기자극치료기용 프로우브
KR101066108B1 (ko) 2009-05-25 2011-09-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140Y1 (ko) 2006-05-24 2006-10-19 윤석기 프로브의 구조
KR100996859B1 (ko) 2008-10-29 2010-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직경 질 전극을 갖는 전기자극치료기용 프로우브
KR101066108B1 (ko) 2009-05-25 2011-09-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
KR100983644B1 (ko) 2010-04-26 2010-09-24 박화순 진동체의 소음방지 기능을 구비한 요실금 치료용 프루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968A (ko) 2017-12-28 2019-07-08 (주)듀페이스 요실금 치료용 괄약근 강화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47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597B2 (en)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with tool-less lead extens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5649976A (en) Neuromuscular stimulator electrode
KR101245189B1 (ko) 종아리용 자동 마사지 장치
US20170079865A1 (en) Device for massage
CN101795725A (zh) 经颅电刺激装置
US2010005717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ically coupling terminals to electrodes of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s
US10589117B1 (en) Integrated magnetic pulsa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foot pain
KR101066108B1 (ko) 요실금 치료기용 프로브
KR101229737B1 (ko) 요실금 치료 및 골반바닥근 강화용 프로브
US20150360037A1 (en) Leads, systems, and methods using external primary and internal secondary power sources
JP5683615B2 (ja) 携帯式揺動健康器具
KR101335759B1 (ko) 히터 내장형의 요실금 치료 및 성기능 개선용 프로브
CN110170104B (zh) 一种耦合理疗装置的运动治疗康复机器人
US20060058713A1 (en) Massage cushion
KR20140008141A (ko) 허리에 착용하고 뱃살 빼게 하는 장치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200394373Y1 (ko) 저주파 치료기
CN109200462B (zh) 一种用于增强运动表现的经颅直流电刺激装置和方法
KR101869920B1 (ko) 골반자세 교정과 복부 및 힙업 마사지 장치
EP3972550A1 (de) Massagevorrichtung zum interdigitalen halten
CN216136311U (zh) 按摩效果更佳的按摩带
CN211433659U (zh) 一种新型按摩眼罩
CN216136575U (zh) 按摩带的调节限制结构
KR20050095018A (ko) 다용도 마사지기
KR20070014343A (ko) 저주파를 이용한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