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40B1 -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 Google Patents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40B1
KR101229640B1 KR1020120145200A KR20120145200A KR101229640B1 KR 101229640 B1 KR101229640 B1 KR 101229640B1 KR 1020120145200 A KR1020120145200 A KR 1020120145200A KR 20120145200 A KR20120145200 A KR 20120145200A KR 101229640 B1 KR101229640 B1 KR 10122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board
display board
locking
central display
time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김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2014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22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in connection with sports or games
    • G07C1/28Indicating playing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 시 펼쳐 넓은 면을 통해 다양한 게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미사용 시에는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고, 또한 경기제한시간을 표시할 수 있어 아마추어 야구 경기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는, 게임제한시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표시보드 및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중앙 표시보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히고 펼쳐지는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소정 높이에서의 지지를 위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스코어보드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가 각각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포개지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표시보드를 상기 중앙 표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수단과, 상기 걸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코어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Collapsible scoreboard}
본 발명은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 시 펼쳐 넓은 면을 통해 다양한 게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미사용 시에는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고, 또한 경기제한시간을 표시할 수 있어 아마추어 야구 경기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체육관이나 야외 경기장에는 스코어보드가 설치되며, 이러한 스코어보드는 게임 스코어 및 게임 진행 시간 그리고 게임 중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그 표시 정보를 선수와 게임 관계자 및 관중들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스코어보드는 실내체육관이나 기타 경기장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비교적 대형의 형태가 있는 반면에,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가 가능한 비교적 소형의 형태도 있다. 여기서 소형의 스코어보드는 통상 스포츠 동호회 및 기타 비전문적인 스포츠 단체에서 더 많이 이용한다.
야구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최근 들어 프로야구의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많은 아마추어 야구 동호회들이 결성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아마추어 동호회에 소속되어 정기적으로 야구 게임을 즐기는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마추어 야구 동호회의 활발한 활동에 부합되기 위해 야구 경기 중 게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스코어보드가 반드시 필요하다. 즉, 야구 경기는 축구, 농구, 배구 등 다른 구기 종목에 비해 경기 중 표시되어야 하는 게임정보의 종류가 다양한 동시에 이러한 다양한 게임정보가 게임 진행 과정에서 매우 빈번하게 바뀌므로 이를 정확하게 표시해 주지 못하면 야구 경기의 진행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 야구 동호회 내지는 고등학교 야구단 등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비교적 소형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활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형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는 경기장에 고정 설치되는 대형 스코어보드와 비교하면 매우 소형이지만, 그 자체만 놓고 보면 크기 및 하중이 작지 않고, 따라서 이동 및 설치가 쉽지 않다. 또한 소형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이동 및 설치의 편리성을 위해 크기를 줄인다면, 스코어보드에 표시되는 게임정보의 크기가 함께 작아져 조금의 원거리에서도 게임정보가 시각적으로 잘 확인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야구 경기는 그 경기 방식이 축구나 농구 경기처럼 소정 시간 동안 게임 후 획득한 점수를 통해 승부를 가리는 방식이 아니므로, 그 경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최근에는 고교야구 등에서 경기제한시간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바, 이에 부합되기 위해 소형의 이동식 스코어보드에도 경기제한시간을 표시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68587호(2010.06.30), “접이식 대형 전광판 및 방열장치” 한국등록특허 제0942914호(2010.02.10), “접이식 멀티 엘이디 전광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 시 펼쳐 넓은 면을 통해 다양한 게임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미사용 시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제한시간을 표시할 수 있어 야구 게임에 전용할 수 있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는, 게임제한시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표시보드 및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중앙 표시보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히고 펼쳐지는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소정 높이에서의 지지를 위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스코어보드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가 각각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포개지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표시보드를 상기 중앙 표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수단과, 상기 걸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코어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결속수단은 매미고리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하면에는 매입형의 커넥터가 복수로 설치되되 각각의 커넥터는 전원공급과 데이터 송수신 및 기타 각 기능의 시각적 구분을 위해 서로 다른 수의 접속핀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걸림면 및 상기 제1 걸림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걸림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면 각각으로부터 직각으로 개별 절곡되어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3 걸림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걸림면의 내면 및 상기 제2 걸림면의 내면 그리고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을 위한 수직 문형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형태이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삽입홀에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삽입되는 수직 절곡형의 판상 후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소형의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그 사용 시 펼쳐 넓은 면을 통해 다양한 게임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미사용 시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소형의 이동식 스코어보드가 경기제한시간을 표시할 수 있어 야구 게임에 전용하면 그 기능성이 최적화되고 이를 통해 야구 게임 중의 게임정보를 매우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의 지지대와 스코어보드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에서 스코어보드의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의 요부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의 지지대와 스코어보드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100: 이하,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라 함)는 스코어보드(110) 및 이러한 스코어보드(110)의 거치대(130) 그리고 스코어보드(1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수단(130)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면 스코어보드(110), 거치대(130), 결속수단(120)의 순서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100)의 각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스코어보드(110)에 결합된 결속수단(120)이나 기타 부수적인 돌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스코어보드(110) 및 걸림부재(114)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스코어보드(110)는 중앙 표시보드(111) 및 이러한 중앙 표시보드(111)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는 중앙 표시보드(111)와의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 동작을 통해 각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는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에 포개지는 미사용 상태가 되거나 중앙 표시보드(111)와 일자로 연결되도록 펼쳐진 사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중앙 표시보드(111)에는 게임제한시간 표시영역(111a)이 구비되며, 이러한 게임제한시간 표시영역(111a)에 의해서 본 실시예의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100)는 아마추어 야구 경기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마추어 야구 경기의 경기제한시간에 대해서는 앞선 배경기술의 설명에서 언급한바 있다.
또한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 다시 말해 중앙 표시보드(111)의 표시 영역들이 있는 일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중앙 표시보드(111)의 배면에는 걸림부재(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부재(114)는 중앙 표시보드(111)를 소정 높이에서 지지시켜 이를 통해 스코어보드(110) 전체를 소정 높이에서 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거치대(130)의 설명에서 더 설명키로 한다.
거치대(130)는 중앙 표시보드(111)의 걸림부재(11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132) 및 이러한 지지부재(132)를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본체(13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체(131)는 지면에 지지되는 삼각대(131a) 및 이러한 삼각대(131a)에 하단이 연결되는 지지봉(131b)을 포함하며, 지지봉(131b)의 상단에 지지부재(132)가 구비된다.
여기서 걸림부재(114)는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걸림면(114a) 및 이러한 제1 걸림면(114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걸림면(114b) 그리고 한 쌍의 제2 걸림면(114b) 각각으로부터 직각으로 개별 절곡되어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3 걸림면(11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면(114a)의 내면 및 제2 걸림면(114b)의 내면 그리고 중앙 표시보드(111)의 표면과의 사이에 지지부재(132)의 삽입을 위한 수직 문형의 삽입홀(114d)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132)는 걸림부재(114)의 삽입홀(114d)에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삽입되는 수직 절곡형의 판상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114)는 수직 문형의 삽입홀(114d)을 형성하고 있고, 지지부재(132)는 판상 후크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걸림부재(114)는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으로부터 그 돌출이 최대한 억제되면서 지지부재(132)에 지지될 수 있고, 이는 중앙 표시보드(111)에 대한 사이드 표시보드(112,113)의 접힘 시 사이드 표시보드(112,113)의 접히는 내면과 걸림부재(114) 간 간섭이 최소화되는 이점으로 나타난다. 이에 더하여, 수직 문형의 삽입홀(114d) 내면에 판상 후크 형태의 지지부재(132)가 삽입됨에 따라, 삽입홀(114d) 내면과 지지부재(132)의 표면 사이에 갭(gap)이 최소화되면서 거치대(130)에 거치된 스코어보드(110)의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속수단(120)은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가 각각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에 포개지는 접힘 상태에서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를 중앙 표시보드(111)에 접힌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결속수단(120)이 매미고리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속수단(120)은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를 중앙 표시보드(111)에 접힌 상태로 선택 고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3은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가 각각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에 포개지는 상태로 접힌 후 매미고리에 의해 접힌체로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100)는 그 사용시에는 결속수단(120)인 매미고리의 결속을 해제한 후 중앙 표시보드(111) 및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를 일자형으로 펼쳐 사용하고, 그 미사용시에는 도 3의 상태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112,113)를 중앙 표시보드(111)의 일면에 포개지게 접은 후 이를 접속수단(120)인 매미고리로 선택 결속하여 부피를 최소화 한 다음 이동 및 보관하게 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커넥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표시보드(110)의 하면에는 홈(111b) 매입형의 커넥터(141,142,143)가 복수로 설치되되, 이때 각각의 커넥터(141,142,143)는 전원공급과 데이터 송수신 및 기타 각 기능의 시각적 구분을 위해 서로 다른 수의 접속핀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넥터(141,142,143)의 접속핀 수를 통해 각 커넥터(141,142,143)의 기능을 확인하면서 그에 맞는 케이블을 연결하게 되고,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커넥터에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여 스코어보드(110)에 고장이 발생되는 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는 비교적 소형인 이동식 스코어보드를 그 사용 시 펼쳐 넓은 면을 통해 다양한 게임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미사용 시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이동 및 보관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비교적 소형인 이동식 스코어보드가 경기제한시간을 표시할 수 있어 야구 게임에 전용하면 그 기능성이 최적화되고 이를 통해 야구 게임 중의 게임정보를 매우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110 : 스코어보드
111 : 중앙 표시보드 111a : 게임제한시간 표시영역
112,113 : 사이드 표시보드 114 : 걸림부재
114a : 제1 걸림면 114b : 제2 걸림면
114c : 제3 걸림면 114d : 삽입홀
120 : 결속수단 130 : 거치대
131 : 본체 131a : 삼각대
131b : 지지봉 132 : 지지부재

Claims (4)

  1. 게임제한시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중앙 표시보드 및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중앙 표시보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히고 펼쳐지는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소정 높이에서의 지지를 위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스코어보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표시보드가 각각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포개지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표시보드를 상기 중앙 표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수단;
    상기 걸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코어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결속수단은 매미고리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하면에는 매입형의 커넥터가 복수로 설치되되 각각의 커넥터는 전원공급과 데이터 송수신 및 기타 각 기능의 시각적 구분을 위해 서로 다른 수의 접속핀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걸림면 및 상기 제1 걸림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걸림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면 각각으로부터 직각으로 개별 절곡되어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3 걸림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걸림면의 내면 및 상기 제2 걸림면의 내면 그리고 상기 중앙 표시보드의 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는 형태이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삽입홀에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삽입되는 수직 절곡형의 판상 후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KR1020120145200A 2012-12-13 2012-12-13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KR10122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00A KR101229640B1 (ko) 2012-12-13 2012-12-13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00A KR101229640B1 (ko) 2012-12-13 2012-12-13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640B1 true KR101229640B1 (ko) 2013-02-04

Family

ID=4789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200A KR101229640B1 (ko) 2012-12-13 2012-12-13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90B1 (ko) * 2017-06-08 2018-06-08 (주)뉴텍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휴대형 접이식 농구대
US10076699B1 (en) 2017-03-16 2018-09-18 Sung Jai Kim Scoreboard apparatus for various sports games
CN109794055A (zh) * 2019-01-21 2019-05-24 江苏师范大学 一种便于折叠的足球比赛换人电子牌
KR102043593B1 (ko) 2019-05-27 2019-11-11 김성재 영상광고가 가능한 스코어보드 시스템
USD874949S1 (en) 2017-09-14 2020-02-11 Sung Jai Kim Portable electric scoreboard for various sports
USD875567S1 (en) 2017-09-14 2020-02-18 Sung Jai Kim Portable electric scoreboard for various sports
USD883955S1 (en) 2017-09-14 2020-05-12 Sung Jai Kim Remote controller for score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673U (ko) 1985-04-24 1986-11-06
JP2002210059A (ja) 2001-01-16 2002-07-30 Asahi Bussan Kk スコアボード
KR200358070Y1 (ko) 2004-02-26 2004-08-05 박재열 휴대용 스코어보드
KR200436871Y1 (ko) 2006-12-21 2007-10-11 최승욱 스코어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673U (ko) 1985-04-24 1986-11-06
JP2002210059A (ja) 2001-01-16 2002-07-30 Asahi Bussan Kk スコアボード
KR200358070Y1 (ko) 2004-02-26 2004-08-05 박재열 휴대용 스코어보드
KR200436871Y1 (ko) 2006-12-21 2007-10-11 최승욱 스코어보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6699B1 (en) 2017-03-16 2018-09-18 Sung Jai Kim Scoreboard apparatus for various sports games
JP2018153610A (ja) * 2017-03-16 2018-10-04 スン ジェ キムSung Jai KIM 多種目スポーツ競技用スコアボード装置
KR101865790B1 (ko) * 2017-06-08 2018-06-08 (주)뉴텍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휴대형 접이식 농구대
USD874949S1 (en) 2017-09-14 2020-02-11 Sung Jai Kim Portable electric scoreboard for various sports
USD875567S1 (en) 2017-09-14 2020-02-18 Sung Jai Kim Portable electric scoreboard for various sports
USD883955S1 (en) 2017-09-14 2020-05-12 Sung Jai Kim Remote controller for scoreboard
CN109794055A (zh) * 2019-01-21 2019-05-24 江苏师范大学 一种便于折叠的足球比赛换人电子牌
KR102043593B1 (ko) 2019-05-27 2019-11-11 김성재 영상광고가 가능한 스코어보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40B1 (ko) 경기제한시간의 표시가 가능한 접이식 이동 스코어보드
US20120142458A1 (en) Basketball practice machine
US20120129633A1 (en) Sports training device
US20180250567A1 (en) Portable basketball arcade
CN110652148A (zh) 一种展览用展示架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US11529553B2 (en) Portable scoreboard
KR101480066B1 (ko)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KR101759232B1 (ko) 휴대용 점수판
US20070107000A1 (en) Portable disk player
WO2018093082A1 (ko) 골프백용 골프클럽 절첩식 받침대
KR101794239B1 (ko) 골프티 세트
RU2411896C1 (ru) Мини-стол для настольного тенниса и игра в настольный теннис
KR101375565B1 (ko) 다기능 놀이장치
CN209422916U (zh) 一种使用方便的体育比赛用计分架
US20240058671A1 (en) Portable Beer Pong Device
CN205031872U (zh) 一种弹球桌
CN105530497B (zh) 便携式投影设备
CN217015202U (zh) 一种蹦床快速折叠锁紧装置
CN213712345U (zh) 一种折叠支架与显示器
JP3214816U (ja) 簡易スコアボード
CN108597275A (zh) 一种户外用辅助教学装置
JP3179887U (ja) 記述部脱着型掲示装置
US20220118352A1 (en) Game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JP3189531U (ja) 内視鏡下外科手術トレーニング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