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88B1 -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 Google Patents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88B1
KR101229588B1 KR1020110011212A KR20110011212A KR101229588B1 KR 101229588 B1 KR101229588 B1 KR 101229588B1 KR 1020110011212 A KR1020110011212 A KR 1020110011212A KR 20110011212 A KR20110011212 A KR 20110011212A KR 101229588 B1 KR101229588 B1 KR 10122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rice
consumption
low
glycinebeta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665A (ko
Inventor
권오연
이준석
손주연
장일
배형욱
명광진
최병열
원태진
조광래
임갑준
지정현
김순재
박경열
김영호
도현용
이수영
Original Assignee
경기도
동부팜한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동부팜한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11001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1/00Other nitrogen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생분해 고분자 물질인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PAA)의 이온 결합능력, 세근 생장 촉진 효과와 환경스트레스 경감제인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삼투압 조절로 인한 양분 흡수 촉진 효과를 이용하여 벼의 재배 시 요구되는 비료의 표준 시비량보다 적은 양을 시비하여도 수량이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벼 전용 친환경 비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벼의 시비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기후 온난화의 주요 온실가스 중의 하나인 메탄(CH4)을 발생량을 줄여 농사작업 중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절감함으로서 국가 저탄소 녹색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는 비료로 평가되는 친환경 비료이다.

Description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FERTILIZER FOR RICE CONTAINING GLYCINEBETAINE AND POLY ASPARTIC ACID TO REDUCE AMOUNT OF USING FERTILIZER}
본 발명은 친환경 생분해 고분자 물질인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PAA)의 토양 중 이온 흡착능력, 세근 생장 촉진 효과와 환경스트레스 경감제인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삼투압 조절로 인한 양분 흡수 촉진 효과를 이용하여 벼의 재배 시 요구되는 비료의 표준시비량보다 적은 양을 시비하여도 수량이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벼 전용 친환경 비료에 관한 것이다.
국내 화학비료의 사용실태를 보면 단위면적당 사용량은 성분량 기준으로 2000년 382 kg/ha에서 2007년 340 kg/ha, 2008년 311 kg/ha으로 매년 감소추세에 있으나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는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2001년부터 2003년의 화학비료 사용량을 OECD 국가간 비교해 보면 영국은 338 kg/ha, 프랑스는 227 kg/ha, 일본은 305 kg/ha이지만 한국은 423 kg/ha로 5위이며, 세계경제포럼(WEF)이 3~4년마다 발표하는 환경지속성지수(ESI)에서 우리나라는 비료부문이 146개 국가 중 138위로 낮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화학비료와 더불어 가축 분의 농경지 투입이 지속 증가하면서 양분 잉여로 인한 염류 집적 및 지표수 부영양화 초래하여 OECD 국가 중 양분지수가 가장 높아 양분 유출에 의한 환경오염 가능성이 높은 나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료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질소는 기후 온난화의 6개 가스(CO2, CH4, N2O, HFC, PFC, SF6) 중 지구 온난화 효과가 이산화탄소보다 310배나 높은 아산화질소(N2O) 발생인자이다. 최근에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로 국제적으로 온난화 방지를 위해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연합 기본 협약이 추진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4%감축 목표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비료들은 표준시비량 이하로 감소시킬 경우 작물의 생육이나 수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환경에 대한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농지에 투입되는 각종 비료를 개선하여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최적의 양으로 줄이는 방법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다. 특히, 식물의 무기 원소 흡수를 조장할 수 있는 킬레이팅 수단으로서 몇몇 유기산, 저중합체(oligomers) 등의 이용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PAA)은 아마이드 결합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사슬로서, 일반적으로 아스파르트산의 열중합 방식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폴리아스파르트산의 제조에 관해서는 미국특허 제4839461호, 미국특허 제4590260호, 독일특허 제2253190호, 미국특허 제5057597호, 미국특허 제5219952호, 미국특허 제5288783호, 한국특허 10-0764933호 등에 이미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아스파르트산(PAA)은 보수성과 이온결합능력을 활용하여 수처리제나 세제 빌더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농업용, 특히 비료에 활용하는 방법은 그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에서 폴리아스파르트산(PAA)을 비료와 같이 사용하면 생육증진이나, 수량증대, 뿌리발달의 촉진 등을 시키는 친환경 소재로 검토되어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알려진 해외간행물이나 국내에 발표된 내용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폴리아스파르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비료 시비 시 같이 시비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시비방법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독일공개특허 제10008738호(2001. 8. 30)에서는 비료의 종류에 따른 적정 함유량을 산정하지 않고, 단지 폴리아스파르트산을 광범위하게 비료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비종별로 과다 시용에 따른 문제점이 예기되었고, 그 효과 또한 작물재배시험을 통해 검정되지 않아 작물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국내특허 제 10-0850186호 (2008.07.28)에서는 각 비료의 종류에 따라 폴리아스파르트산(PAA) 최적함량 범위를 구해 폴리아스파르트산(PAA)의 과다 피해방지, 비료에 혼입을 통한 생육 및 수량 증진 등의 효과만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아스파르트산의 첨가만으로는 작물의 양분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키지 못해 비료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없어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스파르트산(PAA)을 좀 더 활용화하는 방안에서 아라비노스(arabinose)와 같은 당류(sugar), 피니톨(pinitol)과 같은 다가알코올류, 프롤린(proline) 또는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GB)과 같은 아미노산과 그 유도체류의 삼투압 조절 용질을 이용하여 식물의 흡수 능력을 올림으로써 비료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은 환경스트레스(저온, 고온, 가문, 염해 등)를 받으면 삼투압 수준에서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포 내의 삼투압 전위를 낮추고, 수분흡수를 촉진하며, 세포내 염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삼투압 조절을 시키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글라이신베타인을 최적 함량과 작물별 최적의 비료 조성을 구하여 작물재배 실험을 통해 비료사용량 절감 효과 확인하였고,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양분이용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원예작물의 생장과 수량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비료 사용량을 줄여 비료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온실가스 발생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벼 전용비료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포함하는 비료 사용량 절감용 또는 벼 생육 향상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포함하는 비료 사용량 절감용 또는 벼 생육 향상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제공하고, 상기 발명의 비료사용량을 표준시비(7.5kg/10a)대비 40% 절감(3kg/10a)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벼는 고시히까리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사용량 절감용 벼 전용 비료를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20:1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이며, 상기 발명의 비료사용량을 표준(관행)시비 대비 25% 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토양검정을 하여 이에 맞는 BB(Bulk Bleding)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이고,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혼합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를 50:1로 첨가하는 벼 전용 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발명의 비료사용량을 표준시비(7.5kg/10a)대비 40% 절감(3kg/10a)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벼는 고시히까리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20:1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발명은 비료사용량을 표준(관행)시비 대비 25% 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토양검정을 하여 이에 맞는 BB(Bulk Bleding)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포함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시비하고, 이삭거름을 시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시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20:16:7인 것을 특징으로 시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발명의 벼는 고시히까리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스파르트산(PAA) 및 글라이신베타인(GB)은 액상 또는 분상의 형태에 제한 없이 환산량에 따라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상거름"이란 벼나 보리 따위의 이삭이 줄기 속에서 자라기 시작할 때에 주는 거름으로써,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요소 또는 염화칼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료사용량을 감소시켜도 작물의 생육 및 수량, 품질 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 비료로서, 국가의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 정책에 이바지함은 물론 비료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질소는 기후 온난화의 6개 가스(CO2, CH4, N2O, HFC, PFC, SF6) 중 지구 온난화 효과가 이산화탄소보다 310배나 높은 아산화질소(N2O) 발생인자도 질소 처리량이 25% 감소됨에 따라 온실가스 발생의 감소도 이루어져 농업부문의 녹색성장 기술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폴리아스파르트산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한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생육 효과 시험
1. 연구목적
소비형 벼 재배시 비효증진제 함유 비료개발 및 시용량별 시비반응을 검토하여 시용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가. 벼 시험품종 : 고시히카리
나. 이앙일 및 재식거리 : 5월 17일, 30×14cm
다. 시험전 토양(지산통)
1) 토양 화학성
pH
(1:5)
OM
(g/kg)
Av.
P2O5
(mg/kg)
Ex.cations(cmol/kg) CEC
(cmol/kg)
Av. SiO2
(mg/kg)
K Ca Mg Na
6.2 16 65 0.3 5.4 1.3 0.3 12.3 108
2) 처리내용
처리내용
(N-P2O5-K2O, PAA+GB)
비료 시비량 비  고
밑거름 가지거름
(요소)
이삭거름
요소 염화칼리
비교예 1-1. 표준시비N100*
   (13-11-10)
40kg 2.5kg 2.5kg 3kg  3회 분시
비교예 1-2. 무 질 소 0kg 2.5kg 3kg 2회 분시
(개발품+수비)
실험예 1-1. 복합비료 N50
(9-11-10, 0.5+0.01)
30kg 2.5kg 3kg
실험예 1-2. 복합비료 N60
(11-11-10, 0.5+0.01)
30kg 2.5kg 3kg
실험예 1-3. 복합비료 N70
(13-11-10, 0.5+0.01)
30kg 2.5kg 3kg
*표준시비의 질소 함량을 100으로 볼 때, 이를 N100으로 표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질소함량의 50%를 사용한 경우 N50, 60%를 사용한 경우 N60, 70%를 사용한 경우 N70으로 표시하였다.
3. 시험성적
1) 벼 생육상황 변화
처리내용 초장(cm) 분얼수(개/주)
이앙후 30일 60일 이앙후 30일 60일
비교예 1-1. 44.2 87.0 a 13.0 19.0 b
비교예 1-2. 40.6 81.3 b 10.3 13.0 c
실험예 1-1. 41.7 86.3 a 13.6 17.7 b
실험예 1-2. 44.3 87.4 a 13.7 18.9 b
실험예 1-3. 45.9 88.8 a 14.9 21.7 a
2) 수량구성요소 및 쌀 수량
처리내용 수수
(개/주)
수당입수
(개)
등숙율
(%)
쌀수량
(kg 10a-1)
비교예 1-1. 19.0 82 92.2 443 a
비교예 1-2. 13.0 100 94.3 357 c
실험예 1-1. 17.7 96 93.8 403 b
실험예 1-2. 18.9 96 92.8 437 a
실험예 1-3. 21.7 103 90.4 460 a
3) 쌀 미질
처리내용 단백질
(%)
완전미비율
(%)
도요식미치
표준시비N 7.5
(13-11-10)
6.2 93.9 78.3
비교예 1-2. 6.2 93.4 78.8
복합비료 N4.5
(9-11-10, 0.5+0.01)
6.1 93.7 80.5
복합비료 N5.5
(9-11-10, 0.5+0.01)
6.3 92.4 78.3
복합비료 N6.5
(9-11-10, 0.5+0.01)
6.2 91.3 78.8
4) 벼 재배기간 중 메탄 총배출량
구 분 비교예 1-1. 비교예 1-2. 실험예 1-1. 실험예 1-2. 실험예 1-3.
kg CH4/ha 964.1 872.1 733.3 866.1 998.9
지수 100(대조) 90 76 90 104
* 측정기간 : 6.10 ~ 9.7(89일간)
4. 결과요약
이앙 후 60일의 초장, 분얼수는 복합 비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표준시비(N 7.5kg/10a)와 대등한 복합비료의 N 시용수준은 N60인 4.5kg/10a 이었다. 또한, 백미수량은 복합비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표준시비구의 백미수량(443kg/10a)과 대등한 복합비료 N 시용수준은 N60(4.5kg/10a)과 N70(5.3kg/10a)이었다.
벼 재배 기간 중 메탄 총배출량은 복합비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표준 시비구의 메탄배출량(964.1kg/ha)보다 적게 배출된 처리구는 복합비료 N50(N 3.8kg/10a)과 N60(N 4.5kg/10a) 처리구로 각각 메탄배출량이 733.3kg/ha, 866.1kg/ha이었다.
< 실시예 2> 폴리아스파르트산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한 맞춤형 비료의 생육 효과 시험
1. 연구목적
벼 재배시 비효증진제 함유 비료개발 및 시용량별 시비반응을 검토하여 시용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가. 벼 시험품종 : 추청벼
나. 이앙일 및 재식거리 : 5월 18일, 30×14cm
다. 시험전 토양(지산통)
1) 토양 화학성
pH
(1:5)
OM
(g/kg)
Av.P2O5
(mg/kg)
Ex.cations(cmol/kg) CEC
(cmol/kg)
Av. SiO2
(mg/kg)
K Ca Mg Na
6.2 18 40 0.26 5.1 1.2 0.3 10.0 160
2) 처리내용
처리내용
(N-P2O5-K2O, PAA+GB)
비료 시비량 비  고
밑거름 가지거름
(요소)
이삭거름
요소 염화칼리
비교예 2-1. 토양검정
(15-16-7)
40kg 4.5kg 4.5kg 2kg  3회 분시
비교예 2-1. 무 시 비 0kg 4.5kg 2kg 2회 분시
(개발품+수비)
실험예 2-1.
복비* 토양검정 50%
(20-16-7, 0.5+0.01)
20kg 4.5kg 2kg
실험예 2-2.
복비 토양검정 75%
(20-16-7, 0.5+0.01)
30kg 4.5kg 2kg
실험예 2-3.
복비 토양검정 100%
(20-16-7, 0.5+0.01)
40kg 4.5kg 2kg
*복비 토양검정 100%(기비+분얼비) 시비량(kg 10a-1) : N-P2O5-K2O =8.0-6.4-2.8
3. 시험성적
1) 벼 생육상황 변화
처리내용 초장(cm) 분얼수(개/주)
이앙후 30일 60일 이앙후 30일 60일
비교예 2-1 35.8 a  65.0 ab 13.8 a  19.4 ab
비교예 2-1 31.0 b 56.3 c  8.9 b 13.1 c
실험예 2-1 34.2 a 62.1 b 13.9 a 18.8 b
실험예 2-2 35.4 a  65.2 ab 14.1 a  19.4 ab
실험예 2-3 36.3 a 66.7 a 14.9 a 20.9 a
2) 수량구성요소 및 쌀 수량
처리내용 수수
(개/주)
현미천립중
(g)
수당입수
(개)
등숙율
(%)
쌀수량
(kg 10a-1)
비교예 2-1 12.4 22.1 81 94.6 446 a
비교예 2-2 9.0 22.0 69 92.7 316 c
실험예 2-1 10.7 22.3 81 93.1 374 b
실험예 2-2 11.7 22.4 81 94.2 453 a
실험예 2-3 11.5 22.5 83 93.8 445 a
3) 쌀 미질
처리내용 단백질ns
(%)
완전미비율ns
(%)
도요식미치ns
비교예 2-1 6.3 96.5 71.4
비교예 2-2 6.1 96.5 73.4
실험예 2-1 5.9 96.1 72.4
실험예 2-2 6.2 96.9 73.3
실험예 2-3 6.2 97.0 71.6
4) 벼 재배기간 중 메탄 총배출량
  비교예 2-1 비교예 2-2 실험예 2-1 실험예 2-2 실험예 2-3
kg CH4/ha 335.4 304.3 254.3 263.1 271.9
* 측정기간 : 6.9 ~ 10.6(119일간)
4. 결과요약
이앙후 30일과 60일의 초장과 분얼수 및 벼 식물체의 건물중은 복비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토양검정구와 대등한 복비의 시용수준은 토양검정 75% 해당량이었다. 또한, 백미수량은 복합비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토양검정시비구의 백미수량(446kg/10a)과 대등한 복합비료 N 시용수준은 토양검정 75% 해당량이었다. 메탄 발생량은 토양검정구에 비해 복비 시용구에서 낮은 경향을 가졌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및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상기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
  2. 제 1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
  3. 제 2항에 있어서,
    비료사용량을 표준시비(7.5kg/10a)대비 40% 절감(3kg/10a)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
  4. 제 2항에 있어서,
    벼는 고시히까리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사용량 절감용 벼 전용 비료.
  5. 제 1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20:1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
  6. 제 5항에 있어서,
    비료사용량을 표준(관행)시비 대비 25% 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
  7. 제 2항에 또는 5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토양검정을 하여 이에 맞는 BB(Bulk Bleding)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
  8. 삭제
  9.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를 혼합하고,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를 50:1로 첨가하는 벼 전용 비료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비료사용량을 표준시비(7.5kg/10a)대비 40% 절감(3kg/10a)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벼는 고시히까리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20:1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비료사용량을 표준(관행)시비 대비 25% 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
  15. 제 10항에 또는 13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토양검정을 하여 이에 맞는 BB(Bulk Bleding)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의 제조방법.
  16. 질소(N), 인(P) 및 칼륨(K)을 함유하는 복합비료;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및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스파르트산(Poly aspartic acid) 대 상기 글라이신베타인(Glycinebetaine)의 중량비가 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요구량이 적은 소비형 벼 전용비료를 시비하고, 이삭거름을 시비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11:11:10인 것을 특징으로 시비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복합비료는 질소(N), 인(P) 및 칼륨(K)의 중량비가 20:16:7인 것을 특징으로 시비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벼는 고시히까리 품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비하는 방법.
KR1020110011212A 2011-02-08 2011-02-08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KR10122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212A KR101229588B1 (ko) 2011-02-08 2011-02-08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212A KR101229588B1 (ko) 2011-02-08 2011-02-08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65A KR20120090665A (ko) 2012-08-17
KR101229588B1 true KR101229588B1 (ko) 2013-02-05

Family

ID=4688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212A KR101229588B1 (ko) 2011-02-08 2011-02-08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6903A (zh) * 2017-11-26 2018-05-04 安徽省司尔特肥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肥料利用率的水稻专用肥
CN108046888A (zh) * 2017-11-26 2018-05-18 安徽省司尔特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成本低廉的水稻专用缓释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458A (zh) * 2012-09-18 2013-04-10 吴江 一种肥料增效剂及其制备方法
CN103011932A (zh) * 2012-11-20 2013-04-03 陈卫文 一种适用于中低肥力地区梨种植的复合肥
CN103193532A (zh) * 2013-03-23 2013-07-10 重庆嘉康科技有限公司 一种含微量元素肥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254020B (zh) * 2013-05-20 2016-02-03 石家庄中农兴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聚天菌肥及其生产方法和应用
CN103626608A (zh) * 2013-11-06 2014-03-12 北京博文合众生物科技有限公司 利用猪粪制备生物腐植酸肥料的技术与工艺
CN103588578B (zh) * 2013-11-20 2016-08-17 焦作市地丰肥业有限公司 一种腐植酸生态肥及其生产方法
CN103880561B (zh) * 2014-04-16 2016-04-06 罗英明 一种用于葛根栽培的有机肥料和制备方法
CN104058816B (zh) * 2014-07-03 2017-02-15 四川农业大学 一种用于北柴胡的肥料及其施用方法
CN104058877B (zh) * 2014-07-14 2016-03-02 丹东中天柞蚕生物科技有限公司 丝胶蛋白生物有机复合肥及制法
CN104151072A (zh) * 2014-08-05 2014-11-19 彭婷婷 一种有机型百合专用肥及其制备方法
CN104628476A (zh) * 2015-02-05 2015-05-20 广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专用聚天冬氨酸增效复合肥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9127A1 (en) 2003-12-02 2005-06-02 David Cambri Fertilizer composition to stimulate the absorption of nutritive substances in plants
KR100850186B1 (ko) 2008-03-12 2008-08-0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폴리아스파르트산을 함유하는 개선된 비료 이용 효율의친환경 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9127A1 (en) 2003-12-02 2005-06-02 David Cambri Fertilizer composition to stimulate the absorption of nutritive substances in plants
KR100850186B1 (ko) 2008-03-12 2008-08-0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폴리아스파르트산을 함유하는 개선된 비료 이용 효율의친환경 비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6903A (zh) * 2017-11-26 2018-05-04 安徽省司尔特肥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肥料利用率的水稻专用肥
CN108046888A (zh) * 2017-11-26 2018-05-18 安徽省司尔特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成本低廉的水稻专用缓释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65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588B1 (ko)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벼 전용 비료
KR101155367B1 (ko)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옥수수, 고추 및 배추용 전용비료
CN103193552A (zh) 一种复合型保水增效化肥
CN102731199A (zh) 颗粒缓释钙肥及其制备方法
CN103980068A (zh) 一种花卉专用的肥料及其制备方法
CN105198619B (zh) 一种玉米花生间作的花生专用肥及其制备方法
CN102249816A (zh) 小麦专用型有机无机肥料
CN103467213A (zh) 一种适合烟草的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744114A (zh) 一种柿树专用有机无机复混肥
CN103833484A (zh) 一种土豆专用肥料及其制备方法
CN102531764A (zh) 一种多肽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05175088A (zh) 一种生物炭缓释磷肥及其制备方法
CN103664329A (zh) 一种生物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5016858A (zh) 一种生物炭缓释氮肥及其制备方法
KR101178612B1 (ko)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옥수수용 전용비료
CN105036903A (zh) 一种生物炭缓释水稻专用基肥及其制备方法
ES2712934T3 (es)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 sustrato de crecimiento vegetal a base de turba de coco, sustrato de crecimiento vegetal a base de turba de coco y el uso de los mismos
CN101638338A (zh) 磁力多肽化肥增效添加剂及其使用方法
KR101178613B1 (ko) 폴리아스파르트산과 글라이신베타인을 함유하는, 비료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고추용 전용비료
KR101896295B1 (ko) 비료 시비량 절감용 복합비료 및 이를 이용하여 시비하는 방법
KR101377626B1 (ko) 보리짚 펠릿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56512A (zh) 一种含海藻酸的脲基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11410572A (zh) 玉米水肥一体化滴灌水溶肥及施肥方法
CN105036902A (zh) 一种生物炭缓释钾肥及其制备方法
CN105315052A (zh) 一种冬瓜专用有机无机复混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