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55B1 -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 Google Patents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55B1
KR101229555B1 KR1020110045655A KR20110045655A KR101229555B1 KR 101229555 B1 KR101229555 B1 KR 101229555B1 KR 1020110045655 A KR1020110045655 A KR 1020110045655A KR 20110045655 A KR20110045655 A KR 20110045655A KR 101229555 B1 KR101229555 B1 KR 10122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upper slab
extrusion
rotating shaft
ai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7887A (en
Inventor
이성철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55B1/en
Publication of KR2012012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8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압출가설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상부슬래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가 제공된다.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는, 강박스 거더 및 상부슬래브를 구비하는 강합성 교량에서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장치에 있어서, 교대 후방의 압출 작업장에서 제작되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를 강박스 거더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장치; 강박스 거더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상에 가설되고,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강재 회전축; 및 강재 회전축에 체결되고,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를 지지하여 압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에어바퀴를 포함하되, 강재 회전축 및 에어바퀴는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후에,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pper slab of the composite bridge is constructed by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an extrusion hypothesis device is used to construct the upper slab of the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which can quickly and easily extrude the upper slab using the air wheel. Is provided. Extrusion hypothesis apparatus for constructing upper slab of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s is an extrusion hypothesis apparatus for upper slab in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steel box girder and upper slab. Extrusion apparatus for continuously extruding the upper slab segment provided in the steel box girder upper portion;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provided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A steel rotating shaft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nd an air wheel that is fastened to the steel rotating shaft and supports the upper slab segment that is continuously extruded, and moves in the extrusion direction, wherein the steel rotating shaft and the air wheel are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fter the extrusion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do.

Description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Extrusion constru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ng upper slab of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본 발명은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강합성 교량(Composite Bridge)의 상부슬래브(Concrete Slab)를 시공하기 위하여 에어바퀴를 이용하는 상부슬래브 압출가설 장치(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LM)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usion hypothesis of an upper slab, and more specifically, an upper slab extrusion hypothesis apparatus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LM) using an air wheel to construct a concrete slab of a composite bridge. It is about.

현재 우리나라 합성교량에서 상부슬래브 시공은 거더(Steel Box Girder, Plate girder 등) 사이에 목재 동바리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임시 거푸집을 놓고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현장타설 공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At present, the upper slab construction in Korea is mainly composed of installing a wooden bridge between a girder (steel box girder, plate girder, etc.), placing a temporary form on it, and placing reinforcing steel and pouring concrete.

이러한 현장타설 공법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고 동바리 설치 및 거푸집 제작 등의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 기간이 길고, 많은 인력의 필요로 인건비가 상승하며, 숙련된 기술인력의 부족으로 품질관리 저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Since the cast-in-place concrete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climate and requires periods such as installation of bundling and formwork,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labor costs are increased due to the need of many manpower, and the quality is lacking due to the lack of skilled manpower. It has a problem of poor management.

또한, 강합성 교량에서 상부슬래브의 시공은 대부분 임시/영구 거푸집 또는 이동식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일부 프리캐스트 슬래브로 시공되고 있다. 기존의 상부슬래브 시공은 고교각에 설치된 강박스 거더 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인원이 교량하부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높은 공사비/공사기간 및 품질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Also, in the case of steel composite bridges, most of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slab is either temporary / permanent or mobile, or some precast slabs are used. Since the existing upper slab construction works on the steel box girder installed at the elevation angle, the worker frequently falls down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and high construction cost / construction period and quality deterioration problems are occurring.

구체적으로, 임시/영구 거푸집(temporary/left-in-place form)의 경우, 현장타설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에서 균열발생 야기하며, 복합슬래브에 대한 설계규정 적용으로 인하여 슬래브 두께가 과도해지고, 영구 거푸집 및 작업인원으로 인한 사하중 증가로 단면 휨강성 불리하며, 고공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추락사고 등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emporary / left-in-place form, cracking occurs at the contact surface with cast-in-place concrete, and slab thickness becomes excessive due to application of design rules for composite slab, and permanent formwork and Cross section bending stiffness is disadvantageous due to the increase of dead weight due to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re is a problem in safety, such as a fall accident due to work in high altitude.

또한, 이동식 거푸집(movable shuttering system)의 경우, 그 자중 및 가설장비에 의한 사하중이 증가하고, 편심 하중에 의한 비틀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골조의 추가 보강이 필요하며, 또한,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교량 하부공간의 접근로가 필요하고, 거푸집 지지부재에 의하여 슬래브에 다수의 홀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vable shuttering system, dead weight due to its own weight and temporary equipment is increased, and additional reinforcement of a steel frame is required to prevent torsional deformation due to eccentric loads, and a lower portion of the bridge for concrete injection There is a problem in durability, such as a space access path is required, and a number of holes are generated in the slab by the formwork supporting member.

또한, 프리캐스트 슬래브(precast slab segments)의 경우, 운반상의 장애로 인한 분할 크기가 제한되며, 다수의 시공이음으로 인해 종방향 텐던의 설치가 필요하고, 지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설하는 경우 공사비가 더욱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ecast slab segments, the size of the partition is limited due to transportation obstacles, and a number of construction joints require the installation of longitudinal tendons.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들의 대안으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교대후방 또는 교량중간에서 상부슬래브를 제작하여 압출하는 공법을 들 수 있다.An alternative to these problems is a method of fabricating and extruding the upper slab between the precast deck and alternating rear or middle of the bridge.

이때,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장기간 양생에 따른 형태안정성, 정확한 치수 및 공업화된 성형공정을 통한 고품질의 구체를 생산할 수 있지만, 운송 가능한 세그먼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부슬래브에 다수의 시공이음을 초래하고, 종방향 강선에 의해 상부슬래브를 일체화되므로 강선이 부식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At this time, the precast deck can produce high quality spheres through long-term curing stability, accurate dimensions and industrialized molding process, but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the transportable segment, it causes a large number of joints in the upper slab, Since the upper slab is integrated by the longitudinal steel wire, special care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steel wire from corroding.

특히, 상부슬래브 압출가설 공법은 일정한 길이만큼의 상부슬래브를 교대 후방이나 경간 중앙에서 제작하여 연속적으로 교량거더 위에 압출 후 전단연결재를 설치하여 거더와 합성을 이루게 하는 공법으로서, 이러한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공법이 가지는 수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바 그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Particularly, the upper slab extrusion hypothesis metho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upper slab of a certain length at the rear of the shift or the center of the span to continuously extrude the bridge girder and install the shear connector to form a composite with the girder.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the process, the research is still in its infancy and needs to be improved.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32436호(출원일: 2000년 07월 28일). 발명의 명칭: "교량의 상판 런칭용 압출겸용 교좌장치 및 그 시공방법"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32436 (Application Date: July 28, 2000). Name of the invention: "Extrusion combined use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for launching bridge top plate"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65360호(출원일: 2003년 07월 18일). 발명의 명칭: "연속압출공법으로 가설되는 교량에서 상부거더를 밀어내는 압출시스템"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65360 (Application Date: July 18, 2003). Title of the Invention: "Extrusion system for pushing upper girder in a bridge under a continuous extrusion method" 3)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80819호(출원일: 2005년 07월 20일). 발명의 명칭: "가접합을 이용한 불연속 교량의 연속압출공법"3)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80819 (Application Date: July 20, 2005). Title of the Invention: "Continuous extrusion method of discontinuous bridges using joining" 4)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5-0110454호(공개일: 2005년 11월 23일). 발명의 명칭: "아이엘엠교량용 박스거더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4)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110454 (published: November 23, 2005). Title of the invention: "Method of constructing bridge using box girder formwork system for IRM bridge" 5)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34418호(출원일: 2006년 10월 27일). 발명의 명칭: "압출용 벽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거더세그먼트 제작장과, 이를 이용한 일반구간과 확폭구간을 갖는 교량의 연속압출 시공방법"5)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34418 (filed October 27, 2006). Title of the Invention: "Continuous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having an upper section and a wider section using an upper girder segment making a bridge using an extrusion wall" 6)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69114호(출원일: 2007년 04월 11일). 발명의 명칭: "변단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압출공법"6)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69114 (filed April 11, 2007). Title of the invention: "Extrusion method of prismatic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압출가설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상부슬래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when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construction by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the air wheel can be quickly and easily extruded by using the air wheel, the air wheel It is to provide an extrusion constru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는, 강박스 거더 및 상부슬래브를 구비하는 강합성 교량에서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장치에 있어서, 교대 후방의 압출 작업장에서 제작되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를 강박스 거더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장치; 상기 강박스 거더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상에 가설되고,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강재 회전축; 및 상기 강재 회전축에 체결되고, 상기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를 지지하여 압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에어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강재 회전축 및 상기 에어바퀴는 상기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후에,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extrusion hypothesis device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slab girder and the upper slab in the composite steel bridge having the upper slab An extrusion apparatus, comprising: an extrusion apparatus for continuously extruding an upper slab segment which is manufactured at an alternating rear extrusion workshop and continuous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steel box girder;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provid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A steel rotating shaft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nd an air wheel fastened to the steel rotating shaft and supporting the continuously extruded upper slab segment, and moving in the extrusion direction, wherein the steel rotating shaft and the air wheel are installed after the extrusion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moved from.

여기서, 상기 에어바퀴는 상기 상부슬래브의 연속압출이 완료되면, 공기압이 제거되고, 상기 공기압이 제거된 에어바퀴 및 상기 강재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ir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tinuous extrusion of the upper slab is completed, the air pressure is removed, the air wheel from which the air pressure is removed and the steel shaft is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여기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강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강박스 거더에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it may be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factory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여기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강재 회전축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s fastened by the steel shaft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에어바퀴가 체결된 강재 회전축은, 와셔 및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의 체결홀에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eel rotating shaft to which the air wheel is fastened,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in the fastening hole of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through the washer and the fastening bolt.

여기서, 상기 에어바퀴의 직경은 상기 강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강박스 거더의 전단 연결재 끝단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iameter of the air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height from the steel shaft to the end of the shear connector of the steel box girder.

여기서, 상기 에어바퀴의 최소폭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 크기 및 상기 에어바퀴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inimum width of the air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 and the capacity of the air wheel.

본 발명에 따르면,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압출가설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상부슬래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량의 가설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slab of the composite bridge is constructed by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extrude the upper slab using an air wheel, thereby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ridge.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슬래브의 압출 후에 에어바퀴를 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wheel can be removed and reused after extrusion of the upper slab.

도 1은 통상적인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강합성 교량용 상부슬래브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교대 뒤에 설치된 거푸집 설치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압출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강박스 거더 상에 설치되는 에어바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와 강재 회전축과의 체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압출 가설부재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ypical method of constructing an upper slab by extrus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per slab for a composite bridge.
3 is a view showing the formwork installation means installed behind the shift.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trusion hypothesis device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trusion mechanism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wheel installed on a steel box girder in an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n upper slab of a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fastening of the rotary shaft fixing plate and the steel rotary shaft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F are diagrams illustrating steel rotating shafts which are fastened to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n an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n upper slab of a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extrusion hypothesis members in an extrusion hypothesis method for constructing an upper slab of a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먼저, 통상적인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시공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conventional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la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통상적인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ypical method of constructing an upper slab by extrusion.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연속압출 공법은 교대(310) 또는 교각(320)의 후방 등 제작이 용이한 장소에 세그먼트 제작장인 압출 작업장(400)을 설치하고, 교량 상부구조물에 해당하는 세그먼트 구조물, 즉, 상부슬래브(100-1~100-n)를 제작한 후 압출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교량이 설치되어야 할 방향, 즉, 교축 방향으로 강박스 거더(200) 상에서 상부슬래브(100-1~100-n)를 연속되게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교량을 형성하는 시공 방법이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continuous extrusion method, an extrusion workshop 400, which is a segment fabrication site, is installed at a place such as a rear side of an alternating 310 or a pier 320, and a segment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bridge superstructure. That is, after manufacturing the upper slab (100-1 ~ 100-n), the upper slab 100 on the steel box girder 200 in the direction that the bridge is to be installed by the extrusion device (not shown), that is, the axial direction -1 ~ 100-n) is a construction method to form a bridge integrated as a whole by successively pushing out.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교대(310) 상에 강박스 거더(200)를 설치하고, 교대(310) 후방의 압출 작업장(400)에서 압출할 제1 상부슬래브(100-1)를 제작한 것을 나타내며, 도 1의 b)는 제2 상부슬래브(100-2)를 제작한 후, 상기 제1 상부슬래브(100-1) 후방에 제2 상부슬래브(100-2)를 배치한 후 강박스 거더(200) 상부에서 압출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의 c)는 강박스 거더(200) 상부에서 제1 내지 제6 상부슬래브(100-1~100-6)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것을 나타낸다.Specifically, in FIG. 1 a), the steel box girder 200 is installed on the shift 310, and the first upper slab 100-1 to be extruded in the extrusion workshop 400 behind the shift 310 is manufactured. 1, b) shows that the second upper slab 100-2 is fabricated, and then the second upper slab 100-2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upper slab 100-1. Extruded from the top of the box girder 200, c) of FIG. 1 shows continuously extruding the first to sixth upper slab (100-1 ~ 100-6) from the top of the steel box girder (200).

또한, 도 1의 d)는 제1 내지 제n 상부슬래브(100-1~100-n)를 강박스 거더(200) 상부에서 모두 압출함으로써 상부슬래브를 가설한 것을 나타내며, 도 1의 e)는 상부슬래브(100)의 압출가설 후에 강박스 거더(200)의 상부플랜지와 합성함으로써 압출가설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다.1D shows that the first slabs 100-1 through 100-n are all pushed out from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ox girder 200 to form the upper slab. And after the upper slab 100 is extruded, it is combin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200 to complete the extrusion.

이러한 연속압출 공법은 동바리가 불필요하고 제작장에서 세그먼트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하여 나가므로 작업 안전성이 높고, 일정한 장소에서 세그먼트 구조물을 제작하여 시공관리가 용이하며, 외부 기후조건에 관계없이 공사를 진행시킬 수 있어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공정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is continuous extrusion method does not require a tramp and the segment structure is sequentially placed in the production site to complete the bridge. Therefore, it is easy to manage the construction by making the segment structure at a certain place with high safety, The construction can be proceeded, which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drastically and facilitates the process management.

또한, 거푸집이 기계화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고, 일정한 장소에서 모든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소수의 인원으로 숙련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교량상부 구조물 지지를 위한 동바리 가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동바리 가설이 용이하지 않은 깊은 계곡이나 하천 등을 횡단할 경우에 특히 경제적이며, 교량 상부공정을 하부구조 공정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mwork is mechanized,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quickly, and all the processes are performed at a certain pl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killed work wit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reamline the work. In addition, it is especially economical when traversing deep valleys or rivers, where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bridg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ridge for supporting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from the groun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can be shortened.

또한, 도 2는 압출가설용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강박스거더 상에서 압출되는 전단포켓형 상부슬래브(100a)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철근만으로 횡방향 연결된 프리캐스트 슬래브인 레일형 상부슬래브(100b)를 나타내며, 또한, 도 2의 c)는 강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 상에 종방향으로 I형 빔을 배치하고 그 위로 슬래브를 압출 시공한 레일형 상부슬래브(100c)를 나타낸다.In addition, Figure 2 is a view illustrating an upper slab of a steel composite bridge for extrusion hypothesis, Figure 2a) shows a shear pocket type upper slab (100a) is extruded on the steel box girder, Figure 2b) is only rebar A rail-shaped upper slab 100b, a transversely connected precast slab, is also shown, and c) of FIG. 2 shows an I-beam placed longitudinally on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and an extruded slab over the rail. The upper slab 100c is shown.

도 3은 교대 뒤에 설치된 거푸집(미도시) 설치를 위한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강박스 거더(200)가 가설되면, 슬래브 제작대(casting bed)를 교량의 중간이나 교대(310)에 설치한다. 이때, 제작대에는 일정 크기(일반적으로 25m 정도)의 슬래브(100)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formwork)이 설치되며, 모든 세그먼트는 동일한 거푸집이 사용된다.3 is a view showing a means for installing a formwork (not shown) installed behind the shift, first, when the steel box girders 200 are installed, a slab casting bed is installed in the middle or shift 310 of the bridge. . At this time, a formwork for placing a slab 100 of a predetermined size (typically about 25 m) is installed in the manufacturing table, and all segments use the same formwork.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 뒤의 지면에 설치되는 거푸집(미도시)은 강박스 거더 상부플랜지와 동일한 폭을 가진 두개의 스트립(strip)을 제외하고는 보강된 목재로 구성되며, 강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와 같은 위치에 정렬되게 된다. 이후, 상부 슬래브를 압출하는 동안, 경화된 콘크리트 슬래브는 스트립 위로 미끌어지게 되며, 이때,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WF16(CB163)과 같은 표준 I형 강재로 만들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formwork (not shown) installed on the ground behind the shift consists of reinforced wood except for two strips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and the steel box. It is align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Then, during the extrusion of the upper slab, the hardened concrete slab slides over the strip, where the strip is generally made of standard I type steel such as WF16 (CB163).

스트립의 한쪽 끝은 강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부착되지만, 슬라이딩 받침(sliding shoe)의 두께만큼 상부플랜지와 이격(offset)된다. 한편, 거푸집은 앵커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스트립 아래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소규모의 보조 수직 잭을 이용하여 스트립과 강박스 거더 끝단을 약 2.5cm 정도 들어올린다.One end of the strip is attach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but is offset from the upper flange by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shoe. On the other hand, the formwork is fixed by an anchor. Then, in order to separate the formwork from the concrete, the ends of the strip and the steel box girder are lifted about 2.5 cm using a small auxiliary vertical jack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strip.

한편, 프리캐스트 슬래브(precast decks)를 갖는 강합성 교량의 시공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며, 이중에서 슬래브를 압출하는 공법(stage-deck jacking method; 이하, 슬래브 압출공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struction of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precast decks is possible by various methods, and the stage-deck jacking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ab extrusion method) in the following steps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steps. Can be configured.

구체적으로, 시공의 편의성에 따라, 교대(310) 또는 경간중앙에서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를 일정 길이(약 20~25m)로 타설하고, 이후, 강박스 거더(200)의 플랜지(210) 위로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를 압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가 제작대(casting bed)와 분리된다.Specifically,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re laid in a predetermined length (about 20 to 25 meters) at the center of the turn 310 or at the center of the span,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re separated from the casting bed in this process.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re separated from the casting bed.

다음으로,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를 타설하기 위한 제작대를 준비한다. 따라서 전체 상부슬래브(100)는 각각의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의 연속적인 타설로 완성되며, 기존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부슬래브(10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전단연결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강박스 거더(200)와 연결된다.Next, a workbench for laying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is prepared. Accordingly, the entire upper slab 100 is completed by the continuous installation of the respective upper slab segments 100-1 through 100-n, and the upper slab 100 is provided with the shear connection members (Not shown) to the steel box girder 200.

이러한 압출가설 공법의 장점은 모든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에 동일한 거푸집을 반복하여 사용하고, 동일한 위치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각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가 철근으로 연결되어 전체 슬래브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the same dies are repeatedly used for all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nd the concrete is laid at the same position, and each of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 Can be connected by reinforcing bars to integrate the entire slab.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및 그 공법을 도 4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an extrusion hypothesis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upper slab of a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b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extrusion constru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는, 강박스 거더 및 상부슬래브를 구비하는 강합성 교량에서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장치로서, 압출장치,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 강재 회전축(510) 및 에어바퀴(5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extrusion hypothesis device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in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a steel box girder and the upper slab The apparatus may include an extrusion apparatus,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a steel rotating shaft 510, and an air wheel 520.

압출장치(도시되지 않음)는, 교대 후방의 압출 작업장(400)에서 제작되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 100-2)를 강박스 거더(200)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한다.An extrusion apparatus (not shown) continuously extrudes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and 100-2, which are manufactured and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extrusion workshop 400 at the rear of the steel box girder 200.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는 상기 강박스 거더(200)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는 상기 강박스 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강박스 거더(200)에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는 상기 강재 회전축(51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s provid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200. 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flange 210 of the steel box girder 200, it may be prepared in advance in the factory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200. 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to which the steel rotating shaft 510 is inserted and fastened.

강재 회전축(510)은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 상에 가설되고,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강재 회전축(510)은, 와셔 및 체결볼트(530)를 통해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의 체결홀에 가설된다.Steel rotating shaft 510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At this time, the steel rotating shaft 510 is installed in the fastening hole of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through the washer and the fastening bolt 530.

에어바퀴(520)는 상기 강재 회전축(510)에 체결되고, 상기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 100-2)를 지지하여 압출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An air wheel 520 is fastened to the steel rotating shaft 510 and supports the continuously extruded upper slab segments 100-1 and 100-2 to advance in the extrusion direction.

이때, 상기 강재 회전축(510) 및 상기 에어바퀴(530)는 상기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후에,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상기 에어바퀴(520)는 상기 상부슬래브의 연속압출이 완료되면, 공기압이 제거되고, 상기 공기압이 제거된 에어바퀴(520) 및 상기 강재 회전축(510)은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로부터 제거된다.At this time, the steel rotating shaft 510 and the air wheel 530 is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after the extrusion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At this time, the air wheel 520 is the air pressure is removed, when the continuous extrusion of the upper slab is completed, the air wheel 520 and the steel rotary shaft 510 from which the air pressure is removed from the rotary shaft fixing plate 220 Removed.

이때, 상기 에어바퀴(520)의 직경은 상기 강재 회전축(510)으로부터 상기 강박스 거더(200)의 전단 연결재 끝단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변되며, 또한, 상기 에어바퀴(520)의 최소폭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 100-2) 크기 및 상기 에어바퀴(520)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air wheel 520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from the steel shaft 510 to the end of the shear connector of the steel box girder 200, the minimum width of the air wheel 520 is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and 100-2 may vary in size and capacity of the air wheel 520.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압출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extrusion mechanism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은, 먼저, 강박스 거더(200) 및 상부슬래브(100)를 구비하는 강합성 교량에서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공법에 있어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가 형성된 강박스 거더(200)를 교대(310) 또는 교각(320) 상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강박스 거더(200)는 상부플랜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가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다.5 and 6,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teel box girder 200 and the upper slab 100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lab in the steel composite bridge provided, the steel box girders 200 on which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s formed are installed on the alternating 310 or the piers 320. At this time, the steel box girder 200 is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factory in the state that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flange 210.

다음으로, 에어바퀴(510)가 체결된 강재 회전축(520)을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 상에 가설한다.Next,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to which the air wheel 510 is fastened is hypothesized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여기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는 상기 강재 회전축(52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2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에어바퀴(510)가 체결된 강재 회전축(520)은, 와셔(540) 및 체결볼트(530)를 통해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체결홀(230)에 가설된다.Here,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230 to which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to which the air wheel 510 is fastened is a washer ( 540 and a fastening bolt 530 are hypothesized in the fastening hole 230 formed i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구체적으로, 상기 강재 회전축(520)의 직경 및 두께는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의 크기 및 상기 강재 회전축(520)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가변되고, 상기 강재 회전축(520)의 배치 간격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의 크기와 상기 에어바퀴(510)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바퀴(510)의 직경은 상기 강재 회전축(100-1~100-n)으로부터 상기 강박스 거더(200)의 전단 연결재 끝단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변되고, 상기 에어바퀴(510)의 최소폭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 크기 및 상기 에어바퀴(510)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steel rotary shaft 520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 100-n) and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teel rotary shaft 520, the steel rotary shaft 520 )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nd the capacity of the air wheel 510.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air wheel 510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from the steel shaft (100-1 ~ 100-n) to the end of the shear connector of the steel box girder 200, the air wheel 510 The minimum width of the upper slab segment (100-1 ~ 100-n) may be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air wheel 510.

다음으로, 교대(310) 후방의 압출 작업장(400)에서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를 순차적으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상부슬래브는 콘크리트 슬래브로서,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다.Next,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re sequentially manufactured in the extrusion workshop 400 behind the alternating 310. At this time, the upper slab is a concrete slab, is produced by the formwork.

다음으로, 상기 에어바퀴(51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를 상기 강박스 거더(200)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압출가설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는 상기 에어바퀴(510)와 각각 접촉하며, 상기 에어바퀴(510)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압출된다.Next,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re continuously ex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box girder 200 using the air wheel 510. Here,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re in contact with the air wheels 510, respectively, and are extruded forward by the rotation of the air wheels 510.

예를 들면, 상부슬래브(100)가 3개의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 100-2, 100-3)로 이루어질 경우, 도 4의 a)는 제1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를 제작하여 압출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제2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2)를 제작하여 제1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와 함께 압출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4의 c)는 제3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3)를 제작하여 제1 및 제2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 100-2)와 함께 압출하는 것을 나타낸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slab 100 is composed of three upper slab segments 100-1, 100-2, and 100-3, a) of FIG. 4 manufactures the first upper slab segment 100-1. 4, b) shows that the second upper slab segment 100-2 is manufactured and extruded together with the first upper slab segment 100-1, and FIG. The upper slab segment 100-3 is manufactured and extrud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upper slab segments 100-1 and 100-2.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3)는 2m의 종방향 길이로 제작될 수 있고, 이때, 강박스 거더(200)의 단부에서 한 세그먼트씩 각각 압출된다.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3 can be made to have a longitudinal length of 2 m, and each segment is extruded one by one at the end of the steel box girder 200 .

다음으로, 상기 상부슬래브(100)의 압출가설 후에,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 상에 가설된 에어바퀴(510) 및 강재 회전축(520)을 제거한다.Next, after the extrusion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100, the air wheel 510 and the steel rotary shaft 520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fixing plate 220 is removed.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슬래브(100)의 연속압출이 완료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 상에 가설된 에어바퀴(510)를 공기압을 제거하고, 이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압이 제거된 에어바퀴(510) 및 상기 강재 회전축(520)을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로부터 제거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ure 5, when the continuous extrusion of the upper slab 100 is completed, as shown in b) of Figure 5, the air wheel hypothesized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The air pressure 510 is removed, and then, as shown in c) of FIG. 5, the air wheel 510 from which the air pressure is removed and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are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

후속적으로, 상기 압출가설된 상부슬래브(100)를 상기 강박스 거더(200)의 상부플랜지(220)와 합성함으로써, 압출가설이 완료된다.Subsequently, the extrusion hypothesis is completed by synthesizing the extruded upper slab 100 with the upper flange 220 of the steel box girder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 따르면,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100)를 압출가설 공법으로 시공할 때, 에어바퀴(510)를 이용하여 상부슬래브(1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the upper slab 100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by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the air wheel 510 By using the upper slab 100 can be quickly and easily extrud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강박스 거더 상에 설치되는 에어바퀴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하부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상부 평면도로서, 강박스 거더(200) 상에 설치되는 에어바퀴(510)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측면도로서, 체결볼트(530)가 와셔(540)를 사용하여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Meanwhile,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wheel installed on a steel box girder in an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an upper slab of a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lan view, and b) of FIG. 7 shows an air wheel 510 installed on the steel box girder 200, and c) of FIG. 7 is a side view of the fastening bolt 530. 540 is used to indicate the fixation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view illustrating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210) 하부에 형성되고, 체결홀(230)을 통해 체결볼트(540)에 체결되며, 또한, 도면부호 240a는 강재 회전축(520)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나타낸다.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is as shown in a) of FIG. 8, the upper flange 210 lower portion. Is formed i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540 through the fastening hole 230, and 240a denot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steel shaft 520 is mounted.

이때, 체결홀(230) 및 강재 회전축 거치부(240a)는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230 and the steel shaft mounting portion 240a becomes a portion where the stress is concentrated.

도 8의 b) 및 도 8의 c)는 각각 강재 회전축 거치부(240a) 상에 거치되는 원형의 강재 회전축(520a)을 나타내며, 각각 와셔(540a, 540b)의 크기가 상이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d)는 사각형의 강재 회전축 거치부(240b)를 나타내며, 도 8의 e)는 사각형의 강재 회전축 거치부(240b)에 거치되는 사각형의 강재 회전축(520b)을 나타낸다.FIG. 8B and FIG. 8C show circular steel rotating shafts 520a mounted on the steel rotating shaft holder 240a, respectively, and show that washers 540a and 540b have different sizes. In addition, d) of FIG. 8 shows a rectangular steel rotary shaft holder 240b, and FIG. 8 e) shows a rectangular steel rotary shaft holder 520b mounted on the rectangular steel rotary shaft holder 240b.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와 강재 회전축과의 체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fastening of the rotary shaft fixed plate and the steel shaft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강재 회전축(520)은, 도 9의 a) 내지 도 9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와 체결될 수 있다.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as shown in Figure 9a) to 9h), It can be fastened with various types of rotating shaft fixing plat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의 형상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Therefore,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shape of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may vary.

한편, 도 10a 내지 도 10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0a to 10f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el rotary shaft which is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520a, 520b)은 이음매가 있는 관 형상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0a and 10b, the steel rotary shafts (520a, 520b)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 seamless tubular shape.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520c)은, 중간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0C, the steel rotating shaft 520c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fastened to each other.

또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520d)은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될 수도 있고, 또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520e)은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의 거치부분에 홈이 형성된 단일 관 형태일 수 있고, 또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520f)은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의 거치부분에 홈이 없는 단일 관 형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D, the steel rotating shaft 520d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may be fastened by a thread formed at both ends, and as shown in FIG. 10E, the steel rotating shaft 520d may be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The steel rotating shaft 520e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tube having a groov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and as shown in FIG. 10F, the steel rotating shaft 520f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late 220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tube without a groov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강재 회전축은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refore,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rotating shaft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0A to 10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may vary.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압출 가설부재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is a view illustrating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mbers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서 압출 가설부재들인 에어바퀴(510) 및 강재 회전축(520)을 나타낸다.That is, FIG. 11 shows the air wheel 510 and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which are the extrusion temporary members in the extrusion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에어바퀴(510)가 체결된 강재 회전축(520)의 직경(d) 및 두께는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의 크기 및 상기 강재 회전축(520)의 배치 간격(S)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meter (d) and thickness of the steel rotary shaft 520 to which the air wheel 510 is fastened is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 100-n) and the spacing (S) of the steel rotary shaft 520 Can be varied according to

또한, 상기 강재 회전축(520)의 배치 간격(S)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의 크기와 상기 에어바퀴(510)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interval S of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nd the capacity of the air wheel 510.

또한, 상기 에어바퀴(510)의 직경(Dtire)은 상기 강재 회전축(100-1~100-n)으로부터 상기 강박스 거더(200)의 전단 연결재 끝단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변되고, 상기 에어바퀴(510)의 최소폭(btire)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100-1~100-n) 크기 및 상기 에어바퀴(510)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Dtire) of the air wheel 510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height from the steel shaft (100-1 ~ 100-n) to the end of the shear connector of the steel box girder 200, the air wheel The minimum width of the 51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s 100-1 to 100-n and the capacity of the air wheel 510.

예를 들면, 에어바퀴(510)는 그 지름, 폭, 하중 및 압력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wheel 510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ts diameter, width, load and pressure.

또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220)의 높이(h)는 상기 강재 회전축(520)의 배치 간격 및 상기 에어바퀴(510)의 용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 of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20 may be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teel rotating shaft 520 and the capacity of the air wheel 510.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공법에 따르면,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압출가설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상부슬래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xtrusion hypothesis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is constructed by the extrusion hypothesis method, The slab can be extruded quickly and easil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상부슬래브(Concrete Upper Slab)200: 강박스 거더(Steel Box Girder)
210: 상부플랜지(Upper Flange) 220: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230: 체결홀 310: 교대
320: 교각 400: 압출 작업장
510: 에어바퀴(Air Wheel) 520: 강재 회전축
530: 체결볼트 540: 와셔
100: Concrete Upper Slab 200: Steel Box Girder
210: upper flange 220: rotating shaft fixing plate
230: fastening hole 310: shift
320: pier 400: extrusion workshop
510: Air wheel 520: steel rotation axis
530: tightening bolt 540: washer

Claims (7)

강박스 거더 및 상부슬래브를 구비하는 강합성 교량에서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장치에 있어서,
교대 후방의 압출 작업장에서 제작되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를 강박스 거더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장치;
상기 강박스 거더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 상에 가설되고,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에 삽입 고정되는 강재 회전축; 및
상기 강재 회전축에 체결되고, 상기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상부슬래브 세그먼트를 지지하여 압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에어바퀴
를 포함하되,
상기 강재 회전축 및 상기 에어바퀴는 상기 상부슬래브의 압출가설 후에,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In the extrusion placing apparatus of the upper slab in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a steel box girder and the upper slab,
An extrusion apparatus for continuously extruding the upper slab segments which are manufactured and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extrusion workshop at the rear of the alternating steel girder;
A rotating shaft fixing plate provid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A steel rotating shaft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nd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nd
An air wheel fastened to the steel shaft and supporting the continuously extruded upper slab segment to proceed in the extrusion direc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nd the steel rotating shaft and the air wheel are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after the extrusion hypothesis of the upper slab. The extrusion hypothesis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바퀴는 상기 상부슬래브의 연속압출이 완료되면, 공기압이 제거되고, 상기 공기압이 제거된 에어바퀴 및 상기 강재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air wheel is completed the continuous extrusion of the upper slab, the air pressure is removed, the air wheel from which the air pressure is removed and the steel shaft is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fixed plate, the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Extrusion installation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강박스 거더의 상부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강박스 거더에 부착된 상태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extends downwardly from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box girder, and constructs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which is prefabricated in the factory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teel box girder. Extrusion installation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강재 회전축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is an extrusion constru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an air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s formed by the steel shaft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바퀴가 체결된 강재 회전축은, 와셔 및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회전축 고정 플레이트의 체결홀에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xtrusion hypothesi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shaf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through the washer and the fasteni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바퀴의 직경은 상기 강재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강박스 거더의 전단 연결재 끝단까지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xtrud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air wheel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from the steel shaft to the end of the shear connector of the steel box gi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바퀴의 최소폭은 상기 상부슬래브 세그먼트 크기 및 상기 에어바퀴의 용량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바퀴를 이용하여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압출가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nimum width of the air wheel is an extrusion hypothesis device for constructing the upper slab of the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the air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slab segment and the capacity of the air wheel.
KR1020110045655A 2011-05-16 2011-05-16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KR1012295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655A KR101229555B1 (en) 2011-05-16 2011-05-16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655A KR101229555B1 (en) 2011-05-16 2011-05-16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887A KR20120127887A (en) 2012-11-26
KR101229555B1 true KR101229555B1 (en) 2013-02-05

Family

ID=4751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655A KR101229555B1 (en) 2011-05-16 2011-05-16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2699B (en) * 2013-07-03 2015-05-13 天津城建大学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deck pavement layer on steel brid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09A (en) * 2002-04-06 2003-10-10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A guide assembly for Prestressed Concrete Girder to stepping forward using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KR20030092230A (en)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A Guide Roller for Steel Box Girder to step forward using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09A (en) * 2002-04-06 2003-10-10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A guide assembly for Prestressed Concrete Girder to stepping forward using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KR20030092230A (en) *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A Guide Roller for Steel Box Girder to step forward using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887A (en)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602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rail-type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shearing connector rail,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94193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launching concrete slab for composite bridge using form of buried type
JP2015151768A5 (en)
JP2015151768A (en) Change-over method of concrete slab for highway road, and change-over pc slab by the method
JP2012082622A (en)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floor slab and joint structure of precast floor slab
US8739496B2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ember
JP593789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ox girder bridge
KR101347113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shearing pocket-type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20170275901A1 (en) Construction process of structures with empty segments and construction system of structures with empty segments
JP3844743B2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30049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launching concrete slab for bridge using form and rail,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734418B1 (en) The upper girder segment making yard of bridge using launching wall, and the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of bridge with typical section and widen section using that
JP4391539B2 (en) Hollow floor slab unit for assembling bridge, hollow floor slab for assembling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llow floor slab bridge
CN110761593A (en) Elevated station platform lay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8316150B (en)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main tower and steel anchor beam of cable-stayed bridge
KR101223753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launching concrete slab of tunnel type for composite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29555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JP2001348815A (en) Cantilever type installing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CN112982774A (en)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multi-ribbed floor based on quick-assembly type keel formwork combined template
KR20130040652A (en) Precast concret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using precast concrete slab continued by post tensioning
EP3403798B1 (en) Mobile structure and procedure for the prefabrication of desirably prestressed concrete bars
KR10103617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KR101229554B1 (en)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using air wheel
KR101696028B1 (en) Concrete form of precast segment structure and method of the same
JP7333728B2 (en) how to build a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