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346B1 -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346B1
KR101229346B1 KR1020110025567A KR20110025567A KR101229346B1 KR 101229346 B1 KR101229346 B1 KR 101229346B1 KR 1020110025567 A KR1020110025567 A KR 1020110025567A KR 20110025567 A KR20110025567 A KR 20110025567A KR 101229346 B1 KR101229346 B1 KR 10122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arch information
text data
broadcast
relat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816A (ko
Inventor
노정화
이장혁
김정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3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송으로부터 추출된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시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검색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연관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 및 음성을 제공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BROADCAST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TEND TO CONTENTS}
본 발명은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송으로부터 추출된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과 데이터 통신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ideo On Demand: VOD), 데이터 방송, T-커머스(commerce),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등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단순히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방송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리턴 채널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으며, 시청자가 직접 선택한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한편, 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되면서, 인터넷 서비스 중 가중 중요한 서비스 하나인 검색 서비스 역시 방송 수신 장치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IPTV는 인터넷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을 제공하면서도 기존의 IP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방송과 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특히, 방송에 대한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즉시 해소할 수 있는 방송 관련 키워드 검색은 현재도 많은 수요가 존재한다.
또한, 최근에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들을 제공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서비스가 사용화되고 있으며, 방송 단말(Set Top Box: STB)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EPG 정보를 수신한 후 텔레비전과 같은 출력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현재 출력 장치에서 방송하고 있는 콘텐츠와 연관된 방송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현재 방송하고 있는 방송에 매칭된 EPG를 기반으로 방송을 검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을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여 방송을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색하기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검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에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콘텐츠에 연관된 콘텐츠를 출력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시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검색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연관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 및 음성을 제공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상기 시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를 변환하며, 상기 제1 문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문자 데이터와 상기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포함하는 문자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준 정보를 상기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 단말에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단말에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에 의해 상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문자 데이터와 상기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자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 데이터는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는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 및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상기 연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연관 콘텐츠를 상기 방송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방송 단말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방송 단말이 상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콘텐츠에서 연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연관 콘텐츠를 상기 방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 단말이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콘텐츠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 및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여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검색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콘텐츠에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방송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방송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50)은 사용자 단말(100), 출력 장치(150), 방송 단말(200), 콘텐츠 제공 장치(280), 영상 데이터베이스(293) 및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키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신호를 입력받으면 명령 신호를 판단하여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는 사용자가 명령 신호를 용이하게 입력하기 위해 기능키가 형성될 수도 있다. 기능키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와 연관되는 콘텐츠를 출력 장치(150)에 출력하도록 입력받기 위해 형성된 키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신호는 사용자가 연관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방송 단말(2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요청 신호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광 신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생성한 요청 신호를 방송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방송 단말(200)과 접속되어 방송 단말(200)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방송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WCDMA(Wideband CDMA)폰 및 스마트(Smart)폰 등과 같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MP3(MPEG Audio Layer-3),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DA), 태플릿 PC, 및 리모콘과 같은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등일 경우에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 연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관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때, 콘텐츠는 출력 장치(15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 및 방송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영상은 사진 및 그림과 같이 정지한 영상 및 영화와 같은 움직이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은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및 공중파 방송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방송 단말(200)으로부터 연관 콘텐츠를 제공받으면, 출력 장치(150)는 방송 단말(200)의 제어하에 연관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러한, 출력 장치(150)는 방송 단말(200)과 접속되어 콘텐츠 및 연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는 음극선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OLED) 및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등으로 이루어진 텔레비전일 수 있고, 콘텐츠 및 연관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 장치(150)는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장치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100), 방송 단말(200) 및 콘텐츠 제공 장치(28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방송 단말(200)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부터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면, 방송 단말(200)은 연관 콘텐츠가 출력 장치(150)에서 표시되도록 출력 장치(150)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연관 콘텐츠는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콘텐츠이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와 연관된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방송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키 누름 신호 및 장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키 누름 신호 및 장치 제어 신호를 판단하여 이에 해당하는 표시 정보를 출력 장치(150)로부터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한다. 이때, 출력 장치(150)는 방송 단말(200)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단말(200)은 셋탑 박스, WCDMA(Wideband CDMA)폰 및 스마트(Smart)폰 등과 같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MP3(MPEG Audio Layer-3),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DA), 태플릿 PC, 노트북, 넷북과 가능한 이동 PC 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방송 단말(200)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출력 장치와 방송 단말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송 단말과 출력 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방송 단말(20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방송 단말(200)으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복수의 콘텐츠 중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장치(150)에 표시된 콘텐츠와 연관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연관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복수의 콘텐츠는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및 공중파 방송 각각의 과거 방송, 현재 방송 및 미래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과거 방송은 과거에 방송하였던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복수의 과거 방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현재 방송은 복수의 방송국에서 현재 방송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복수의 현재 방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미래 방송은 미래에 방송할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복수의 미래 방송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즉,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293)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및 방송 데이터베이스(295)에 저장된 복수의 방송에서 검색 정보 중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장치(150)에 표시된 콘텐츠와 연관되는 영상 프레임, 과거 방송 프레임, 현재 방송 프레임 및 미래 방송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추출한 프레임을 편집하여 연관 콘텐츠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연관 콘텐츠를 방송 단말(200)로 전송한다.
영상 데이터베이스(293)는 복수의 영상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영상 데이터베이스(293)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상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는 복수의 방송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다시 말하면,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는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및 공중파 방송 각각의 과거 방송, 현재 방송 및 미래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는 과거 방송, 현재 방송 및 미래 방송 각각의 방송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는 복수의 방송국 각각 별로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방송국 각각의 방송 데이터베이스(295)는 방송국의 과거 방송, 현재 방송 및 미래 방송을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방송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단말(200)은 수신부(210), 추출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장치 인터페이스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추출부(230)는 수신부(21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한다. 즉, 추출부(230)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시 구간을 결정한다. 추출부(230)는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을 추출하고, 자막을 통해 제1 문자 데이터를 인식한다. 이때, 추출부(230)는 현재 제공되는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출력 장치(150)의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추출부(230)는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자막에 해당하는 제1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기술 및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은 당업자에 자명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추출부(230)는 제1 문자 데이터 및 제2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추출부(230)는 제1 문자 데이터와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포함되는 문자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추출부(230)는 제1 문자 데이터와 제2 문자 데이터에서 명사를 추출하고, 추출한 명사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만약,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 자막을 없을 경우에 추출부(230)는 콘텐츠에서 음성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추출부(230)는 콘텐츠에서 자막만을 추출하여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에서 자막 및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 문자 데이터 및 제2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색 정보는 제1 문자 데이터만 포함하거나, 제2 문자 데이터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방송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방송 단말(200)의 구성 요소인 수신부(210), 추출부(230), 통신부(250), 장치 인터페이스부(260) 및 저장부(27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수신부(210)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추출부(230)에서 검색 정보를 추출하도록 추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부터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면, 제어부(240)는 장치 인터페이스부(260)가 연관 콘텐츠를 출력 장치(150)로 전송하도록 장치 인터페이스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콘텐츠 제공 장치(28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통신부(250)는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 검색 정보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부터 연관 콘텐츠를 수신한다.
장치 인터페이스부(260)는 출력 장치(15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장치 인터페이스부(2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연관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 및 음성을 출력 장치(150)로 제공한다.
저장부(270)는 방송 단말(200)의 구성 요소에서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 출력 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방송 단말(200)의 구성 요소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70)는 추출부(230)에서 생성한 검색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장치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부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70)는 추출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및 장치 인터페이스부(26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통합 메모리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메모리들로 세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70)는 롬(Read Only Memory : ROM),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단말(200)의 각 구성은 통합되거나 또는 세분화될 수 있는바, 해당 명칭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단말(200)의 구성이 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한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방송 단말(200)의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단계의 주체는 해당 구성부가 아닌 방송 단말(200)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 장치(150)는 콘텐츠를 표시한다(310).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420)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명령 신호를 입력받으면, 사용자 단말(100)은 명령 신호에 따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단말(200)로 전송한다(315).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방송 단말(200)은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 구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자막에 해당하는 제1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며,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320). 예를 들어, 방송 단말(20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420)에서 자막(430)을 추출하고, 자막(430)에 해당하는 “일본 동북부, 규모 7.9 강진 발생”의 제1 문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단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420)에서 아나운서 등이 “일본 동북부에서 규모 7.9에 해당하는 강진이 발생하였습니다.”라고 방송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단말(200)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자막을 추출하고,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막이 표시된 영역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420)의 하단부로 설정하고, 방송 단말(200)은 화면 상에서 하단부의 이미지로부터 “일본 동북부, 규모 7.9 강진 발생”에 해당하는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제1 문자 데이터 및 제2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생성한다(325). 이때, 방송 단말(200)은 제1 문자 데이터와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포함되는 문자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단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자 데이터와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포함되는 “일본, 동북부, 7.9, 강진”을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방송 단말(200)은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 전송한다(330).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 연관되는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 과거 방송 프레임, 현재 방송 프레임 및 미래 방송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335).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방송국에서 방송하고 있는 현재 방송 프레임 등과 같은 방송 프레임을 추출하여 연관 콘텐츠(440)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출력 장치(15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추출한 콘텐츠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를 생성한다(340).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방송 단말(200)로 연관 콘텐츠를 전송한다(345). 여기서는, 방송 단말(200)로 연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송 단말(200)로 연관 콘텐츠를 전송하지 않고 출력 장치(150)로 연관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방송 단말(200)은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부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출력 장치(150)에서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로 제공한다(350).
출력 장치(150)는 연관 콘텐츠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음성을 출력한다(355).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 콘텐츠(440)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인 콘텐츠와 연관되는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방송 단말(200)가 자동으로 현재 시청 중인 콘텐츠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여 연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방송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단말(200)은 수신부(210), 설정부(220), 추출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장치 인터페이스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방송 단말(200)의 수신부(210), 제어부(240), 통신부(250), 장치 인터페이스부(260) 및 저장부(270)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방송 단말(200)의 수신부(210), 제어부(240), 통신부(250), 장치 인터페이스부(260) 및 저장부(27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정부(220)는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기준 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자막을 기준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할 경우에, 설정부(220)는 자막으로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할 경우에, 설정부(220)는 음성 데이터로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자막 및 음성 데이터 모두를 기준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할 경우에, 설정부(220)는 자막 및 음성 데이터로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이유는 자막과 음성 데이터 상이하게 출력 장치(15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때, 설정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받아 기준 정보를 설정하거나,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50)의 관리자가 미리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기준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될 수도 있다.
추출부(2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 구간을 결정한다. 추출부(230)는 설정부(220)에서 설정한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검색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준 정보가 자막일 경우에, 추출부(230)는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1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정보가 음성 데이터일 경우에, 추출부(230)는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2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정보가 자막 및 음성 데이터일 경우에, 추출부(230)는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자막을 통해 제1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고,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며, 제1 문자 데이터 및 제2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단말(200)은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기준 정보를 설정한다(610). 여기서는 기준 정보를 콘텐츠가 표시되기 이전에 설정하지만 기준 정보가 검색 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생성되면 그 순서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요청 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방송 단말(200)은 입력 신호를 바탕으로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콘텐츠를 표시한다(615).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720)와 같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뉴스(720)는 자막(730)과 음성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설명하기 위해 기준 정보는 음성 데이터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요청 신호를 방송 단말(200)로 전송한다(620).
방송 단말(200)은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 구간을 결정하고,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625). 즉, 방송 단말(200)은 기준 정보가 음성 데이터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음성 데이터를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 추출하여 제2 문자 데이터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720)에서 “일본의 동북부에서 규모 7.9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라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으면, 방송 단말(200)은 “일본의 동북부에서 규모 7.9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의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인 “일본의 동북부에서 규모 7.9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로 변환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콘텐츠에서 추출하여 검색 정보를 생성한다(630). 예를 들어, 방송 단말(200)은 음성 데이터를 변환한 제2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방송 단말(200)은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280)로 전송한다(635).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 중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와 연관되는 콘텐츠를 추출한다(640).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정보가 “일본의 동북부에서 규모 7.9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이므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지진에 대한 콘텐츠(740)를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한다.
콘텐츠 제공 장치(280)는 추출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를 생성하고, 방송 단말(200)로 전송한다(645, 650).
방송 단말(200)은 콘텐츠 제공 장치(280)에서 생성된 연관 콘텐츠를 출력 장치(150)로 전송한다(655).
출력 장치(150)는 연관 콘텐츠를 표시한다(660).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지진”과 연관된 콘텐츠(74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50 : 출력 장치
200 : 방송 단말
210 : 수신부
230 : 추출부
250 : 통신부
260 : 장치 인터페이스부
280 : 콘텐츠 제공 장치

Claims (21)

  1.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는 시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문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문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검색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연관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 및 음성을 제공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단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1 문자 데이터와 상기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포함하는 문자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
  5. 제1 항, 제3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준 정보를 상기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송 단말.
  7. 방송 단말에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에 의해 상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문자 데이터와 상기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자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데이터는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7 항, 제9 항 또는 제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12.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문자 데이터 및 상기 제2 문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 및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콘텐츠에서 상기 연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연관 콘텐츠를 상기 방송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삭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제1 문자 데이터와 상기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자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에 의한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방송 단말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방송 단말이 상기 수신한 요청 신호에 의해 결정된 시 구간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으로부터 제1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2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검색 정보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방송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콘텐츠에서 연관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연관 콘텐츠를 상기 방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 단말이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연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수신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18. 삭제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제1 문자 데이터와 상기 제2 문자 데이터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자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데이터는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자막이 표시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 정보에 의해 선택된 상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한 이미지에서의 자막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10025567A 2011-03-22 2011-03-22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29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567A KR101229346B1 (ko) 2011-03-22 2011-03-22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567A KR101229346B1 (ko) 2011-03-22 2011-03-22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816A KR20120107816A (ko) 2012-10-04
KR101229346B1 true KR101229346B1 (ko) 2013-02-05

Family

ID=4727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567A KR101229346B1 (ko) 2011-03-22 2011-03-22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3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94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JP2011015010A (ja) * 2009-06-30 2011-01-20 Toshiba Corp コンテンツ提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94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JP2011015010A (ja) * 2009-06-30 2011-01-20 Toshiba Corp コンテンツ提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816A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440B2 (en) 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US10284917B2 (en) Closed-captioning uniform resource locator capture system and method
US8589981B2 (en)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and TV using the same
US20100106482A1 (en) Additional language support for televisions
KR100727072B1 (ko) 방송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19715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KR101313293B1 (ko) 방송콘텐츠의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4997A (ko) 자동 키워드 검출을 통한 방송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20100269140A1 (en)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00071620A (ko) 프로그램 방송 중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92207B1 (ko) 온라인 생방송을 위한 실시간 다국어 자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01246A1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KR20160039830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음성 가이드 제공방법
KR101293301B1 (ko) 동영상 자막을 키워드로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230401030A1 (en) Selecting options by uttered speech
US20100169930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searching for keyword of broadcasting receiver
TWI387341B (zh) 電視機及其操作方法
US10796089B2 (en) Enhanced timed text in video streaming
KR101229346B1 (ko)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595232A (zh) 数字电视节目相关信息搜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US8130318B2 (en) Method and audio/video device for generating response data related to selected caption data
US88631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9970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585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55948A (ko)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