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948A -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948A
KR20170055948A KR1020170059472A KR20170059472A KR20170055948A KR 20170055948 A KR20170055948 A KR 20170055948A KR 1020170059472 A KR1020170059472 A KR 1020170059472A KR 20170059472 A KR20170059472 A KR 20170059472A KR 20170055948 A KR20170055948 A KR 20170055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command
servic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현
김유태
김종서
신정훈
윤수연
윤여리
이상희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948A/ko
Publication of KR2017005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Abstract

영상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영상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부, 화면 캡쳐부에서 캡쳐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도록 화면 캡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캡쳐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TV 방송, 특히 디지털 방송은 영상 및 음성 정보 이외의 데이터와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EPG) 화면에 표시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이 도입되면서 TV 수상기가 고화질을 수신하기 위해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의 대표적인 예로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capture) 기능이 있다.
디지털 방송을 통해 다양한 정보가 공급되고 사용자는 그 정보를 남기고 싶어하기 때문에 그 필요에 따라 화면 캡쳐(capture)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가 원하는 화면을 캡쳐하게 된다.
화면 캡쳐 기능은 TV로 방송이나 동영상 시청 중 리모컨의 '화면 캡쳐' 버튼을 누르면 현재 화면의 정지영상을 화면 전체 또는 PIP 형태로 화면에 표시해 주어 방송이나 동영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취소' 버튼 등으로 다시 원래 상태, 즉, 방송이나 동영상 시청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현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캡쳐 기능은 캡쳐된 정지영상을 얻더라도 영상 정보를 활용한 연계 서비스가 없기 때문에 단순한 정지 영상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즉,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검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화면 캡쳐' 버튼을 누르는 시점과 리모콘의 신호를 TV로 전달하여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을 정지영상으로 구성하는 시점 간의 시간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의 정지영상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는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영상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부; 상기 화면 캡쳐부에서 캡쳐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도록 상기 화면 캡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연결가능한 서비스로 연결시키는 서비스 매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서비스 버튼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로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상기 영상처리장치 자체 서비스,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핸드폰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 인터넷 주소, 웹사이트 명칭, 텍스트, 날짜, 장소명, 상품명 및 인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외부의 영상처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캡쳐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OSD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OSD 메뉴에는,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추출된 영상 정보의 특성에 대응되는 서비스가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연결가능한 서비스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 단계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서비스 버튼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상기 영상처리장치 자체 서비스,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핸드폰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영상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캡쳐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OSD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OSD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OSD 메뉴에는,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추출된 영상 정보의 특성에 대응되는 서비스가 매핑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캡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화면 캡쳐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본 영상처리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영상처리장치(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상처리장치(100)가 디지털 TV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수신된 또는 기저장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10)는 역다중화, 디코딩, 스케일링과 같은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영상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그 외에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100)가 PIP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메인 영상용 디스플레이와 PIP 영상용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은 출력 장치 이외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후술하는 화면 캡쳐부(140)에서 캡쳐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어부(140)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추가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단방향 리모콘, 양방향 리모콘, 마우스나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해석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처리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으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0)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화면 캡쳐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정지 영상을 캡쳐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캡쳐하기 원하는 영상의 크기를 지정하고, 이 크기와 사용 가능한 메모리의 용량, 또 전송환경에 따라 캡쳐(capture) 가능한 화면 수 등을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보관하는 방법이나 전송방법을 설정하고, 여러 가지 이미지 포맷을 지원하는 경우 이미지 저장 포맷도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화면 캡쳐부(150)에서 캡쳐된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후술하는 화면 캡쳐부(140)에서 캡쳐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어부(160)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추가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영상처리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도록 화면 캡쳐부(14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동영상 실행시 이미 화면에 표시되었던 프레임을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캡쳐할 이전/이후 프레임 간격 및 개수는 영상처리장치의 성능 및 구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 등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출력 중인 영상 화면의 소정 위치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PIP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화면 캡쳐부(140)에서 캡쳐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의 주화면과 별도의 부화면에 파노라마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PIP(picture in picture)란, 텔레비전 수상기 화면에서 본 화면과 별도로 작은 부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화면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용 컴퓨터(PC)의 윈도와 유사한데 이것을 화면 속 화면(PIP) 기능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에서는 배경이 되는 쪽을 모화면, 작게 표시되는 쪽을 PIP라고 한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어떤 프로그램을 보고 있을 때 동시에 다른 채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부화면에는 화면 캡쳐부(140)에서 캡쳐된 영상들을 파노라마 형태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주화면에는 현재 수신중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캡쳐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화면이 재생되기 때문에 현재 수신중인 TV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는 영상처리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화면 캡쳐부(240), 저장부(250), 제어부(260), 영상 분석부(270) 및 서비스 매핑부(280)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210)는 수신된 또는 기저장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영상 처리부(21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후출하는 화면 캡쳐부(240)에서 캡쳐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영상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200)가 이동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영상처리장치(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화면 캡쳐부(2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영상을 캡쳐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부(250)는 화면 캡쳐부(250)에서 캡쳐된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260)는 영상처리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도록 화면 캡쳐부(24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영상 분석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27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활용가능한 텍스트, 넘버, 그래픽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화번호, 인터넷 주소, 웹사이트, 상품명, 인물명, 날짜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영상 정보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가 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이미지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능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영상 분석부(270)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를 OSD 메뉴, 서비스 버튼, 검색창 등의 형태(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OSD 메뉴로 기재)로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해당 OSD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로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영상 분석부(270)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가 원 정지 영상에 표시된 위치에 해당 OSD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매핑부(280)는 영상 분석부(270)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연결가능한 서비스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연결가능한 서비스는 영상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서비스 매핑 DB"의 형태로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영상처리장치(200) 내에 구축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가능한 외부 데이터 서버에 구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영상처리장치(200) 자체 서비스,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핸드폰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제어부(3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외부의 영상처리장치(미도시)와 양방향 통신(예를 들어, WiFi, 3G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 이용)이 가능한 터치 리모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스마트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는 외부의 영상처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외부의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 및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외부의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캡쳐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 및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외부의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선택된 정지영상에 대한 분석 및 추출된 영상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와 디스플레이부(320)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캡쳐 영상 리스트를 별도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표시함으로써 캡쳐 영상 리스트가 TV 화면을 가려 시청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터치 동작 만으로 이미지 선택 및 서비스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캡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정지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Frame n) 및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영상 프레임(Frame n-1, Frame n-2) 및 이후 영상 프레임(Frame n+1, Frame n+2)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이 캡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쳐 시점이 조금 빠르거나, 느리더라도 사용자가 원했던 지점을 좀더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따르면, TV 시청 중 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캡쳐 명령이 있는 경우, 캡쳐 명령이 있는 시점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 프레임 및 이전, 이후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이 캡쳐될 수 있다.
이어서, 캡쳐된 시점의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정지영상 리스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정지영상을 선택하면, 정지영상에서 활용가능한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활용가능한 텍스트, 넘버와 같은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화번호, 인터넷 주소, 웹사이트, 상품명, 인물명, 날짜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 경우, 추출된 활용가능한 영상 정보가 서비스 버튼(또는 검색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창은 OSD 메뉴 형태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버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영상 정보가 표시되었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관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하는 서비스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연계 서비스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서비스 버튼을 선택하면 연결된 핸드폰 등을 통해 해당 번호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를 표시하는 서비스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추출된 영상 정보의 특성에 따라 대응되는 연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b에 따르면, 정지 영상에서 추출가능한 영상 정보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 종류에는 전화 번호, 인터넷 주소, 웹 사이트, 일반 텍스트, 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요 웹사이트는 주소를 DB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연계 서비스에는 전화번호의 경우 VoIP, MoIP, 핸드폰으로 전화번호 전송 등의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주소 및 웹 사이트 주소와 같은 경우 웹 브라우저로 오픈하는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 텍스트의 경우 컨텐츠 검색, 웹 브라우저 검색 엔진으로 검색 등의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날짜의 경우 TV 스케쥴 추가, 웹 캘린더에 일정 추가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따르면, 활용가능한 영상 정보가 추출되어 서비스 버튼 형태로 표시되며 표시된 각 영상 정보별 연계 서비스의 제공 형태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상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계 가능한 서비스가 결정되고,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정보가 웹 사이트 명칭인 경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이 가능한 해당 영상처리장치 자체 또는 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된 핸드폰 등과 같은 별개의 단말을 통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정보가 소정의 스케쥴인 경우 해당 스케쥴을 TV 스케쥴에 추가하거나, 연결된 웹 캘린더에 추가하는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해당 영상처리장치 자체 또는 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된 핸드폰 등과 같은 별개의 단말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터치형 리모콘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에서 정지 영상 선택 및 서비스 제공 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b에 따르면, TV 시청 중 영상을 캡쳐하기 위한 캡쳐 명령이 있는 경우, 캡쳐 명령이 있는 시점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 프레임 및 이전, 이후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이 캡쳐될 수 있다.
이어서, 캡쳐된 시점의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정지영상 리스트가 양방향 리모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고 원하는 정지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지영상이 선택되면 해당 영상이 영상처리장치 또는 양방향 리모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도 4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기기에 선택된 영상 정보에 대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S610), 정지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S620).
이어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한다(S630).
이 후,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저장한다(S640).
여기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검색된 연결가능한 서비스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영상 정보를 각각 대응되는 검색창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표시된 검색창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로 연결 또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창은 추출된 영상 정보가 원 정지 영상에 표시되었던 위치에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전화번호, 인터넷 주소, 웹사이트 명칭, 텍스트, 날짜, 장소명, 상품명 및 인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영상처리장치 자체 서비스,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핸드폰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영상처리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의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캡쳐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단방향 리모콘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일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영상처리장치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S710), 리모콘을 통해 캡쳐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S720).
이어서, 캡쳐 명령 시점 프레임 및 이전/이후 n개의 프레임이 캡쳐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730).
이후, 리모콘을 통해 영상 프레임이 선택되고(S740),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고, 이용가능한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750).
이어서, 추출된 영상 정보의 타입(또는 특성)에 따라 연결가능한 서비스 또는 검색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버튼이 생성될 수 있다(S760).
이 후 리모콘을 통해 서비스 버튼이 선택되고(S770), 선택된 서비스 버튼에 대응되는 서비스 또는 검색이 실행될 수 있다(S780).
한편, 도 7에서는 각 단계의 주체 구분을 위하여 영상처리장치에서의 동작은 하나의 라인으로 도시된 박스로 표시하고, 리모콘에서의 동작은 두 개의 라인으로 도시된 박스로 표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양방향 터치 리모콘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일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되고(S810),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S820).
이어서,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 상기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영상 프레임 및 이후 영상 프레임을 캡쳐한다(S830).
이 후,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840).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는 수신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S850).
이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선택될 수 있다(S860).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이용가능한 영상 정보를 추출한다(S870). 추출된 영상 정보를 검색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추출된 영상 정보를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고(S880), 검색된 서비스를 검색창에 링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89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TV, VCR, 모니터, TV수신 퍼스널컴퓨터 및 셋톱박스(STB)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및 위성 TV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NTSC, PAL, SECAM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기기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텔레비전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캡쳐된 정지 영상을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 후 관련 서비스와 연계시킴으로서 정지 영상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좀더 쉽게 관련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보가 표시된 위치에 연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메뉴(또는 검색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서비스 연결(또는 정보 검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TV 화면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캡쳐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화면 캡쳐 시 부정확한 지점에 대한 캡쳐로 인하여 다시 캡쳐하거나 캡쳐를 취소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210: 영상 처리부 120, 220: 디스플레이부
130, 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240: 화면 캡쳐부
150, 250: 저장부 160, 260: 제어부
270: 영상 분석부 280: 서비스 매핑부
310: 통신 인터페이스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제어부 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 및 시간적으로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 전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연결가능한 서비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OSD 메뉴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OSD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대응되는 서비스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OSD 메뉴를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가 표시되었던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핸드폰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는,
    전화번호, 인터넷 주소, 웹사이트 명칭, 텍스트, 날짜, 장소명, 상품명 및 인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외부의 영상처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캡쳐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 및 시간적으로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 전후에 디스플레이되는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OSD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OSD 메뉴에는,
    상기 연결가능한 서비스가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영상처리장치의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 및 시간적으로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 전후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연결가능한 서비스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정보가 표시되었던 위치에 OSD 메뉴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OSD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대응되는 서비스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 클라우드 서비스 및 핸드폰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영상처리방법.
  19. 외부의 영상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캡쳐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내 오브젝트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정보의 특성에 따라 연결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영상 캡쳐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 및 시간적으로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 전후에 디스플레이되는 기설정된 개수의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OSD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OSD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OSD 메뉴에는, 상기 연결가능한 서비스가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70059472A 2017-05-12 2017-05-12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KR20170055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72A KR20170055948A (ko) 2017-05-12 2017-05-12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72A KR20170055948A (ko) 2017-05-12 2017-05-12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051A Division KR20120063886A (ko) 2010-12-08 2010-12-08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48A true KR20170055948A (ko) 2017-05-22

Family

ID=5904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72A KR20170055948A (ko) 2017-05-12 2017-05-12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240A (zh) * 2017-09-11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画面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240A (zh) * 2017-09-11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画面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410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terminal apparatus
US9979788B2 (en) Content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2745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76965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1464844A (zh) 一种投屏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20230401030A1 (en) Selecting options by uttered speech
CN111726673B (zh) 一种频道切换方法及显示设备
CN111291238A (zh) 一种显示设备及搜索显示方法
JP2001203954A (ja) サムネールバナー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信号、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ソフトウェア
KR102287510B1 (ko) 서버, 영상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US2013025480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EP2605512B1 (en) 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20170055948A (ko)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CN111324215A (zh) 一种显示设备及搜索显示方法
CN113691852A (zh) 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KR20090001627A (ko) 대화형 콘텐츠 공유 시스템
CN113473175B (zh) 一种内容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100576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bookmarked content
CN111405380B (zh) 播放流媒体数据的方法及装置
KR2014009851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382500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显示设备
KR101104734B1 (ko) 캡처 영상을 이용한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0515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297435A (zh) 一种通信终端及多屏互动视频浏览方法
KR10200006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