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41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41B1
KR102051541B1 KR1020120142032A KR20120142032A KR102051541B1 KR 102051541 B1 KR102051541 B1 KR 102051541B1 KR 1020120142032 A KR1020120142032 A KR 1020120142032A KR 20120142032 A KR20120142032 A KR 20120142032A KR 102051541 B1 KR102051541 B1 KR 10205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ent
displayed
content image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963A (ko
Inventor
김치원
피경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41B1/ko
Priority to PCT/KR2013/010251 priority patent/WO2014088225A1/en
Priority to EP13194315.1A priority patent/EP2741515B1/en
Priority to CN201310662744.5A priority patent/CN103873907A/zh
Priority to CN202010090826.7A priority patent/CN111314757B/zh
Publication of KR2014007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각기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를 컨텐츠 영상에 표시하고, 키워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전환하여 표시하며, 식별명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식별명에 대응하는 서버로부터 키워드에 기초하는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로컬/네트워크로 접속된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외부장치 및 네트워크 서버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이들 장치로부터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또는 제공할 수 있다. 근래에는 서버를 구축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많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들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통신 접속함으로써 검색 서비스나 동영상 제공 서비스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title)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우선 웹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가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해당 영상 내의 검색란에 해당 타이틀의 키워드를 일일이 입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 소요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각기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를 상기 컨텐츠 영상에 표시하고, 상기 키워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전환하여 표시하며, 상기 식별명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식별명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기초하는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이동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의 카테고리의 전환 표시와, 상기 표시된 카테고리 내의 상기 서비스의 상기 식별명 중 어느 하나의 전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하이동 커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며, 상기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기 상하이동 커맨드 중 다른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식별명을 전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상기 카테고리는, 비디오 온 디맨드(video-on-demand, VOD) 서비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쇼핑(commerce)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되는 상기 식별명은 상기 서비스의 로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된 복수의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선호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영상의 각 메타데이터의 누적빈도에 따라서 상기 선호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 장르, 출연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를 상기 컨텐츠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각 식별명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명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식별명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기초하는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각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이동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이동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의 카테고리의 전환 표시와, 상기 표시된 카테고리 내의 상기 서비스의 상기 식별명 중 어느 하나의 전환 표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이동 커맨드에 따라서 전환 표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하이동 커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기 상하이동 커맨드 중 다른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상기 카테고리는, 비디오 온 디맨드 서비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되는 상기 식별명은 상기 서비스의 로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키워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기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된 복수의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함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상기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선호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영상의 각 메타데이터의 누적빈도에 따라서 상기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 장르, 출연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영상 및 키워드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키워드에 기초한 컨텐츠 관련 서비스 영상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다양한 신호/데이터/정보/커맨드가 송수신되도록 마련된 인터페이스부(140, 150)와, 다양한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60)와,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컨텐츠 제공자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소정 컨텐츠의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유선/무선으로 수신하여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에,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의 구현 방식은 아날로그/디지털 중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 컴포지트(composite)/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신호수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칩셋이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가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40, 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 예를 들면 사용자, 외부장치(20), 서버(10) 등과의 사이에 신호/데이터/정보의 송수신/교환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40, 150)는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근거리/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20) 또는 서버(1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또는 커맨드를 제어부(170)에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로컬 접속되거나 근거리 네트워크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20)와의 사이에, 또는 광역 네트워크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서버(10)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장치(20)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TV, 컴퓨터, 모바일 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를 제어부(17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70)가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이 리딩(reading)/라이팅(writing)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가 억세스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어부(170)에 의한 데이터의 검색, 리딩, 라이팅, 삭제, 업데이트 등이 수행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신호수신부(110)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면, 신호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처리함으로써 해당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한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와는 별도로,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존재한다. 컨텐츠 관련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컨텐츠 관련 서비스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간에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당 컨텐츠의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디오 온 디맨드(video-on-demand, VOD) 서비스와, 컨텐츠의 상세정보 또는 뉴스 등의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와, 컨텐츠에 관한 여러 사용자들의 리뷰와 의견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물품의 구매/판매가 수행되는 쇼핑(commerce) 서비스 등이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를 갖추고, 서버(10)에 통신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또는 형태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사항이 한정되지 않는다.
한 가지 예시로서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서버(10)는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데이터를 구비하고, 구비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종래의 경우에, 사용자는 서버(10)에 통신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켜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입력부(150)를 조작하여 웹 페이지 영상 내의 키워드 입력란에 원하는 컨텐츠의 타이틀을 입력한다. 서버(10)는 입력된 타이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또 한 가지 예시로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의 경우, 서버(10)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작성된 소정 컨텐츠에 대한 리뷰/의견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10)는 특정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 예를 들면 컨텐츠의 타이틀이나 출연배우, 장르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키워드를 수신하면,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영상을 표시시키는 동작과, 서비스 영상 내에서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감수해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소정의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해당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를 컨텐츠 영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키워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을 전환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하나의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행되면, 선택된 식별명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로부터 상기한 키워드에 기초하는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는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메타데이터(meta-data)로부터 타이틀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컨텐츠 영상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디스크립션이나, 컨텐츠 제공자가 메타데이터 내에 미리 설정해 놓은 인덱스 키워드를 추출하여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컨텐츠 영상(C) 및 키워드(K)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소정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C)을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하좌우의 4방향 이동버튼(151, 152, 153, 154)을 포함한 복수의 버튼(151 내지 156)을 가진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C)이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영상(C)에 관련된 키워드(K)를 컨텐츠 영상(C)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키워드(K)는 컨텐츠 영상(C)의 타이틀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C)의 타이틀이 예를 들어 "TitleEx"라면, 이러한 키워드(K)를 표시한다.
여기서, 키워드(K)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이벤트는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의 소정 버튼(156)을 클릭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키워드(K)는 컨텐츠 영상(C)이 표시될 때에 자동으로 함께 표시되며,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표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K)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기 설정된 조작을 수행하면,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이 키워드(K)와 함께 표시된다.
도 3 및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S1)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C) 및 키워드(K)를 표시한 상태이다. 이 때,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이동명령 커맨드를 전송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S1)이 키워드(K)와 함께 표시된다.
컨텐츠 관련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된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서비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OD 서비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 SNS 서비스 등 다양하며, 각 서비스의 제공자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명을 가진다.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동일 내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카테고리가 VOD 서비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 SNS 서비스의 세 종류가 있다고 하면,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VOD1", "VOD2", "VOD3"의 3가지가 있으며,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Srch1", "Srch2"의 2가지가 있으며,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SNS1", "SNS2", "SNS3"의 3가지가 있을 수 있다.
키워드(K)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명령 커맨드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S1) 중에서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어느 하나, 예를 들면 "VOD1"을 표시한다. 여기서, 서비스 식별명(S1)은 단순히 서비스의 명칭을 텍스트로 나타내거나, 또는 해당 서비스의 로고 영상을 포함할 수도이다.
여기서, 이동명령 커맨드는 사용자입력부(150)의 4방향 버튼(151, 152, 153, 154)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50)가 터치패드(157)를 포함하는 경우에, 4방향 버튼(151, 152, 153, 154)이 아닌 터치패드(157) 상의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서도 이동명령 커맨드가 생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이동명령 커맨드가 아닌 사용자입력부(150) 상의 기 설정된 버튼 클릭 시에 식별명(S1)이 표시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식별명(S1)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50)의 이동명령에 대응하여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는 동작과 특정 카테고리 내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S1)을 전환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좌우 이동명령을 수신하면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전환하며,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상하 이동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카테고리 내의 서비스 제공자를 전환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하 이동명령에 따라서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전환하며, 좌우 이동명령에 따라서 현재 카테고리 내의 서비스 제공자를 전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S2, S3)을 전환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앞선 도 4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VOD 서비스 카테고리 내의 "VOD1"이라는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S1)을 표시한 상태이다. 이 때에,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우방향 이동명령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VOD 서비스 카테고리에서 컨텐츠 검색 서비스 카테고리로 전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의 우방향 이동버튼(152)을 클릭한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우방향 이동명령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우방향 이동명령에 따라서 서비스 카테고리를 VOD 서비스로부터 컨텐츠 검색 서비스로 전환하고, 컨텐츠 검색 서비스 카테고리 내의 일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S2)인 "Srch1"을 전환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다시 우방향 이동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 카테고리를 다음 순서인 SNS 서비스로 전환하고, SNS 서비스 카테고리 내의 일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인 "SNS1"을 전환 표시한다.
또는, "Srch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좌방향 이동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 카테고리를 컨텐츠 검색 서비스로부터 VOD 서비스로 다시 전환하고, VOD 서비스 카테고리 내의 일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인 "VOD1"을 전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카테고리 내의 식별명(S2)인 "Srch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상하 이동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된 식별명(S2)의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한 서비스 카테고리 내에서,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을 전환 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의 상방향 이동버튼(153)을 클릭하면,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 상방향 이동명령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의 상방향 이동명령에 따라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카테고리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내에서, 다음 순서의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S3)인 "Srch2"를 전환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상방향 이동명령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음 순서의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을 전환 표시한다. 만일 컨텐츠 검색 서비스 카테고리 내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Srch1"과 "Srch2"만이 있다면, 상기한 상방향 이동명령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Srch1"을 표시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의 이동명령에 대응하여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키워드(K)에 기초한 컨텐츠 관련 서비스 영상(P)을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컨텐츠 영상(C)과, 키워드(K) 및 서비스 식별명(S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의 결정/엔터 버튼(155)을 클릭한다. 이에,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결정명령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의 결정명령에 따라서, 현재 표시된 키워드(K)의 정보인 "TitleEx"를 현재 표시된 식별명(S1)인 "VOD1"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에 전송하고, 서버(10)에 대해 키워드(K)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
서버(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키워드(K)에 기초한 서비스 영상(P)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영상(P)을 표시한다.
키워드(K)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는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특정 방식으로 한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 예를 들면,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TitleEx"라는 키워드(K)를 수신하면, 자체 저장된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TitleEx"와 관련된 동영상을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TitleEx"라는 키워드(K)를 수신하면,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여러 클라이언트들의 리뷰/의견 중에서 "TitleEx"과 관련된 리뷰/의견만을 모아서 표시한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영상(P)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 영상(P)을 본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컨텐츠 영상(C) 위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화면을 분할하여 일 표시영역에는 컨텐츠 영상(C)을 표시하고, 다른 표시영역에는 서비스 영상(P)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C)을 표시하지 않고 서비스 영상(P)을 컨텐츠 영상(C)에 대체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C) 위에 전체화면으로 서비스 영상(P)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S100). 키워드 발생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 관련 키워드를 컨텐츠 영상에 표시한다(S110).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컨텐츠 관련 서비스의 식별명을 전환하여 표시한다(S120).
서비스 식별명을 선택 결정하는 입력이 수행되면(S13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된 식별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한다(S14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표시된 키워드에 기초하는 서비스 제공을 서버(10)에 요청한다(S15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키워드에 기초하는 서비스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한다(S160).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다양한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면서 각 컨텐츠 관련 키워드를 즐겨찾기(favorite)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소정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에 표시된 키워드를 즐겨찾기로 등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별도의 즐겨찾기 카테고리 내에 등록된 키워드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즐겨찾기를 호출하는 명령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입력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즐겨찾기 카테고리 내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를 사용자가 열람 및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표시된 즐겨찾기 내의 키워드를 가지고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 내의 검색을 위해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란을 사용자입력부(150)의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키워드를 검색란에 바로 입력시키거나 또는 일부 어휘를 수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신호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이러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데, 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의 타이틀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컨텐츠의 장르, 컨텐츠에 출연하는 배우, 컨텐츠의 제작일/출시일, 컨텐츠의 내용에 관한 간략/상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기간 동안에 이러한 메타데이터가 누적됨으로써 사용 이력 정보를 형성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장르에 관한 메타데이터의 누적빈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장르를 사용자의 선호 장르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의 출연배우에 관한 정보의 누적빈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배우를 사용자의 선호 배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특정 타이틀의 컨텐츠 영상을 재생한 빈도가 높다면, 해당 타이틀의 컨텐츠가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에 누적된 컨텐츠 영상의 메타데이터의 누적빈도에 따라서 도출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컨텐츠 관련 서비스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정보에 기초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영화 장르를 선호한다는 내용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한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영화 장르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은 외부의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게이트웨이(30)를 중심으로, 게이트웨이(30)에 유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게이트웨이(30)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전자장치(40, 50, 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이 게이트웨이(3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두 개의 외부장치(40, 50)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장치의 종류 및 수 등은 한정사항이 아니다. 또한, 외부장치(40, 50)는 모바일 폰, 컴퓨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경우와 유사하게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아서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축적하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홈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로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외부장치(40, 50)의 사용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성향/취향이 유사한 가족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장치(40, 50)를 사용한다면, 종래의 경우의 외부장치(40, 50)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동일하게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므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소정 기간 동안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재생/실행된 컨텐츠 영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고, 주기적으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외부장치(40, 5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외부장치(40, 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는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외부장치(40, 50)가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아서 활용하는 방법은 외부장치(40, 50)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사항이며, 예를 들면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경우를 응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사용 이력 정보가 누적되는 기간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최초 사용시점 이후부터 현재 시점까지로 지정되거나, 현재 시점으로부터 1년 또는 2년 이전과 같은 특정 시점까지로 지정되거나, 또는 특정 기간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외부장치(40, 50)에 대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외부장치(40, 50) 각각에 대해 정보교환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들 사이에는 정보전달을 위한 전용채널이 형성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설치되거나 또는 활성화된 외부장치(40, 50)에 대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전용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장치(40, 5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외부장치(40, 50)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한다(20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출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외부장치(40, 50)에 전송한다(210).
외부장치(40, 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저장한다(220). 이후, 외부장치(40, 50)는 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에 서비스를 요청할 때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서버(10)에 제공한다(230).
서버(10)는 외부장치(40, 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를 외부장치(40, 50)에 제공한다(240).
외부장치(40, 50)는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한다(250).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서비스를 외부장치(40, 5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서버
20, 40, 50 : 외부장치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신호수신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를 각기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와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하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식별명을 상기 컨텐츠 영상에 표시하고,
    제1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식별명을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다른 하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른 식별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고,
    현재 표시된 식별명을 선택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식별명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기 표시된 키워드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기초하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식별명을 상기 다른 식별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제1이동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들의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제2이동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표시된 카테고리 내의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하이동 커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며, 상기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기 상하이동 커맨드 중 다른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상기 카테고리는, 비디오 온 디맨드(video-on-demand, VOD) 서비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쇼핑(commerce)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상기 식별명은 상기 서비스의 로고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키워드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된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선호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각 메타데이터의 누적빈도에 따라서 상기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 장르, 출연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키워드와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중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하나에 대응하는 식별명을 상기 컨텐츠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제1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식별명을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다른 식별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현재 표시된 식별명을 선택하는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식별명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기 표시된 키워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키워드에 기초하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된 식별명을 상기 다른 식별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제1이동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들의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제2이동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표시된 카테고리 내의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식별명을 상기 다른 식별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하이동 커맨드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카테고리를 전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좌우이동 커맨드 및 상기 상하이동 커맨드 중 다른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식별명을 전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상기 카테고리는, 비디오 온 디맨드 서비스, 컨텐츠 검색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쇼핑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상기 식별명은 상기 서비스의 로고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와 상기 식별명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키워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된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함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상기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선호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각 메타데이터의 누적빈도에 따라서 상기 선호도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타이틀, 장르, 출연배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42032A 2012-12-07 2012-12-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5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32A KR102051541B1 (ko) 2012-12-07 2012-12-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3/010251 WO2014088225A1 (en) 2012-12-07 2013-11-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194315.1A EP2741515B1 (en) 2012-12-07 2013-11-2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662744.5A CN103873907A (zh) 2012-12-07 2013-12-09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202010090826.7A CN111314757B (zh) 2012-12-07 2013-12-09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32A KR102051541B1 (ko) 2012-12-07 2012-12-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63A KR20140073963A (ko) 2014-06-17
KR102051541B1 true KR102051541B1 (ko) 2019-12-03

Family

ID=4971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032A KR102051541B1 (ko) 2012-12-07 2012-12-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41515B1 (ko)
KR (1) KR102051541B1 (ko)
CN (2) CN103873907A (ko)
WO (1) WO20140882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6253C (en) * 2000-04-14 2006-03-1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information
KR20020077502A (ko) * 2000-12-22 2002-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메타 데이터 카테고리 및 정보 포탈을 구축하는 방법
JP2008061120A (ja) * 2006-09-01 2008-03-13 Sony Corp 再生装置、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13640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348598B1 (ko) * 2007-12-21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JP2010016623A (ja) * 2008-07-03 2010-01-21 Hitachi Ltd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KR100973214B1 (ko) * 2008-12-19 2010-07-30 엔에이치엔(주) 프로그램 방송 중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2357806B1 (en) * 2010-01-06 2018-05-23 Lg Electronics Inc.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n the same
KR101708691B1 (ko) * 2010-05-26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RU2013108254A (ru) * 2010-07-26 2014-09-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Получение ключевых слов для поиска
KR101186419B1 (ko) * 2011-01-11 2012-09-27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실시간으로 방송 연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2818B1 (ko) * 2011-04-29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3907A (zh) 2014-06-18
CN111314757A (zh) 2020-06-19
EP2741515A1 (en) 2014-06-11
KR20140073963A (ko) 2014-06-17
CN111314757B (zh) 2022-03-18
EP2741515B1 (en) 2020-02-19
WO2014088225A1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6818B2 (ja) 双方向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メディアを取得、分類、および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22511B1 (ko) 대화형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의 원격 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103939B2 (ja) 関心を持つユーザのコミュニティに番組またはセグメントについて通知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96547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content recommendations
US116221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at which the media assets are frequently consumed
US20140229987A1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intelligent navigation and display features
US20120079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media guidance
US201102827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ction on a program or accessing the program from a third-party media content source
US200901990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ng multimedia content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ing the same
US20130257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US201102833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program using information from a third-party data source
US201102832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widgets operating on the same user equipment
CN113542899A (zh) 信息展示方法、显示设备、服务器
US20100281500A1 (en) Av device and ui display method
KR1020515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389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91079A1 (en) Scene reproduction apparatus, scene reproduction program, and scene reproduction method
WO2011142922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ction on a program or accessing the program from a third-party media conten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