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015B1 - 유효 사격 판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효 사격 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015B1
KR101229015B1 KR1020120085538A KR20120085538A KR101229015B1 KR 101229015 B1 KR101229015 B1 KR 101229015B1 KR 1020120085538 A KR1020120085538 A KR 1020120085538A KR 20120085538 A KR20120085538 A KR 20120085538A KR 101229015 B1 KR101229015 B1 KR 10122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igger signal
effective
output
effectiv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티
Priority to KR102012008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15B1/ko
Priority to PCT/KR2013/006923 priority patent/WO20140251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58Electric fi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52Targets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ic contacts, each corresponding to a discrete target section and being actuated by the mov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사격 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는 포 사격에 따른 충격을 측정하여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에 따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트리거 신호 생성부와, 트리거 신호의 진폭 또는 펄스폭이 기설정된 진폭 또는 펄스폭 이상인 경우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유효 사격 판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효 사격 판정 장치{APPARATUS FOR DECIDING EFFECTIVE FIRE}
본 발명은 유효 사격 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 사격에 따른 유효 사격 여부를 판정하는 유효 사격 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주포 등에 의한 포 사격시 포탄은 포대로부터 순간적으로 발사되게 되므로 탄착좌표, 포구 초속 등은 사격시의 충격파에 의한 물리적, 전기적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계산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7-0022203, "음향센서를 이용한 명중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비행탄자의 충격파를 검출한 후 각 음향센서에 도달하는 충격파의 지연 시간차를 이용하여 수직표적상의 탄착좌표를 구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처음 입력되는 충격파 레벨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차를 계산하게 되는데, 단순히 입력되는 충격파의 크기에 따라 시간차를 계산하는 경우, 인접한 포대에서 사격된 충격파에 의한 오작동, 장전 및 포미폐쇄 등 사격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른 충격에 의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시간계산이 잘못되거나 탄착좌표의 계산이 잘못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 사격에 따른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한 후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여 유효 사격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는 유효 사격 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는 포 사격에 따른 충격을 측정하여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에 따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트리거 신호 생성부와, 트리거 신호의 진폭 또는 펄스폭이 기설정된 진폭 또는 펄스폭 이상인 경우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유효 사격 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 사격에 따른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한 후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여 유효 사격 여부를 판정하게 되므로 포 사격에 따른 포구 초속 미측정 또는 오측정의 문제를 개선할 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에 있어서, 트리거 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에 있어서, 트리거 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10)는 센서부(100), 트리거 신호 생성부(200), 유효 사격 판정부(300) 및 시작시각 추정부(4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포 사격에 따른 충격을 측정하여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센서부(100)는 음압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리거 신호 생성부(200)는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에 따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 생성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리거 신호 생성부(200)는, 제1 증폭부(210)와, 제1 충방전부(220)와, 제1 비교부(230)와, 제2 증폭부(240)와, 제2 충방전부(250)와, 제2 비교부(260)를 포함한다. 한편, 트리거 신호 생성부(200)의 입력단 전단에는 입력 신호를 전달 받기 위한 커패시터(Cin)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증폭부(210)는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제1 증폭비에 따라 증폭한다.
제1 증폭부(210)는 OP-AMP(211)와, 일단이 OP-AMP(211)의 양 입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접지되는 저항(R11)과, 일단이 OP-AMP(211)의 음 입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저항(R12)과, 일단이 OP-AMP(211)의 음 입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OP-AMP(211)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OP-AMP(211)는 전기 신호를 제1 증폭비에 따라 증폭하기 위하여 저항(R11)의 저항값 보다 저항(R13)의 저항값이 큰 값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증폭비는 OP-AMP(211)의 이득, 저항(R12)의 저항값, 저항(R13)의 저항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 충방전부(220)는 제1 증폭부(210)의 출력을 기설정된 제1 시정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한다.
여기서, 제1 충방전부(220)는 제1 증폭부(210)에서 출력되는 전류 또는 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D2)와, 정류된 신호를 충방전하기 위한 저항(R21), 저항(R22) 및 저항(R22)와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D2) 및 저항(R21)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직렬연결된 일단이 제1 증폭부(210)의 출력과 연결되며, 타단이 증폭기(231)의 마이너스 입력에 연결된다. 또한,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항(R22)과 커패시터(C2)는 각각 일단이 증폭기(231)의 마이너스 입력에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이 접지된다.
따라서, 제1 충방전부(220)는 제1 증폭부(2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정류한 뒤 저항(R21) 및 저항(R22)과 커패시터(C2)에 의한 제1 시정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을 하여, 충전 및 방전에 따른 출력값을 증폭기(231)의 마이너스 입력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저항(R21) 및 저항(R22)의 저항값과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를 변경함에 따라 제1 시정수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비교부(230)는 제1 충방전부(220)의 출력과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여 제1 충방전부(220)의 출력 및 제1 임계값과의 차이에 기초한 제1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비교부(230)는 OP-AMP(231)와, 일단이 OP-AMP(231)의 양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문턱전압(TL)을 입력받도록 연결되는 저항(R31)과, 일단이 OP-AMP(231)의 양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OP-AMP(231)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32)와, 일단이 전원(VDD)와 연결되며 타단이 OP-AMP(231)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트리거 신호는 비교기로 구성되는 OP-AMP(231)에 의해 제1 충방전부(220)의 출력 및 제1 임계값이 비교된 결과가 출력되게 되는데, 제1 충방전부(220)의 출력은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전하량을 축적함에 따른 것이므로 제1 충방전부(220) 및 제1 비교부(230)는 적분 회로로서 동작하게 된다.
제2 증폭부(240)는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제2 증폭비에 따라 증폭한다.
제2 증폭부(240)는 OP-AMP(241)와, 일단이 OP-AMP(241)의 양 입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접지되는 저항(R41)과, 일단이 OP-AMP(241)의 음 입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저항(R42)과, 일단이 OP-AMP(241)의 음 입력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OP-AMP(241)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증폭부(240)의 양 입력단은 제1 증폭부(210)의 출력을 정류하여 입력받기 위해 일단이 제1 증폭부(210)의 출력과 연결되는 다이오드(D4)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충방전부(250)는 제2 증폭부(240)의 출력을 기설정된 제2 시정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한다.
제2 충방전부(250)는 다이오드(D5)와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일단이 각각 다이오드(D5)와 연결되며 타단이 각각 접지되는 커패시터(C5) 및 저항(R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정수는 커패시터(C5)의 커패시턴스와 저항(R51)의 저항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2 비교부(260)는 제2 충방전부의 출력(250)과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제2 충방전부(250)의 출력 및 제2 임계값과의 차이에 기초한 제2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비교부(260)는 OP-AMP(261)와, 일단이 OP-AMP(261)의 양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2 충방전부(250)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61)과, 일단이 OP-AMP(261)의 양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OP-AMP(261)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62)와, 일단이 전원(VDD)와 연결되며 타단이 OP-AMP(261)의 출력과 연결되는 저항(R6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P-AMP(261)의 음 입력단은 저항(R63) 및 저항(R64)의 전압분배에 따른 전압값과 저항(R64)와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6)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음 입력단에서 입력되는 전압이 제2 임계값으로 설정 될 수 있다.
한편, 제2 트리거 신호는 비교기로 구성되는 OP-AMP(261)에 의해 제2 충방전부(250)의 출력 및 제2 임계값이 비교된 결과가 출력되게 되며, 여기서, 제2 충방전부(250)는 포락선 검출 회로로 동작할 수 있다.
유효 사격 판정부(300)는 트리거 신호의 진폭 또는 펄스폭이 기설정된 진폭 또는 펄스폭 이상인 경우 유효사격으로 판정한다. 트리거 신호 생성부(200)가 도 2에 도시된 회로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유효 사격 판정부(300)는, 제1 트리거 신호 또는 제2 트리거 신호의 진폭 또는 펄스폭이 기설정된 진폭 또는 펄스폭 이상인 경우 유효사격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사격 판정부(300)는 제1 트리거 신호 또는 제2 트리거 신호의 진폭이 1.5V 이상이며, 펄스폭이 44ms 이상이면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것일 수 있다.
시작시각 추정부(400)는 유효 사격 판정부(300)가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경우, 제2 트리거 신호가 발생된 시각을 유효사격의 시작시각으로 추정한다.
즉, 제1 트리거 신호 보다 제2 트리거 신호의 증폭비가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기 신호의 진폭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제2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유효사격의 시작시각을 추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10)에 따르면, 포 사격에 따른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한 후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한 제1 트리거 신호 및 제2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제1 트리거 신호 및 제2 트리거 신호에 따라 유효 사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사격 판정 장치(10)는 각각 다른 증폭비와 임계값에 의한 제1 트리거 신호 및 제2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여 유효사격 여부를 판정하게 되므로써 인접한 포대에서 사격된 충격파에 의한 오작동, 장전 및 포미폐쇄 등 사격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른 충격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기준에 따라 유효사격 여부를 판정하고 유효사격의 시작시각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포 사격에 따른 충격을 측정하여 상기 충격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에 따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충전 및 방전함에 따른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트리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트리거 신호의 진폭 또는 펄스폭이 기설정된 진폭 또는 펄스폭 이상인 경우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유효 사격 판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제1 증폭비에 따라 증폭하는 제1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을 기설정된 제1 시정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하는 제1 충방전부;
    상기 제1 충방전부의 출력과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충방전부의 출력 및 상기 제1 임계값과의 차이에 기초한 제1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전기 신호를 기설정된 제2 증폭비에 따라 증폭하는 제2 증폭부;
    상기 제2 증폭부의 출력을 기설정된 제2 시정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하는 제2 충방전부; 및
    상기 제2 충방전부의 출력과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충방전부의 출력 및 상기 제2 임계값과의 차이에 기초한 제2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
    인 유효 사격 판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사격 판정부가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경우, 제2 트리거 신호가 발생된 시각을 유효사격의 시작시각으로 추정하는 시작시각 추정부;
    를 더 포함하는 유효 사격 판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사격 판정부는, 상기 제1 트리거 신호 또는 제2 트리거 신호의 진폭 또는 펄스폭이 기설정된 진폭 또는 펄스폭 이상인 경우 유효사격으로 판정하는 것
    인 유효 사격 판정 장치.
KR1020120085538A 2012-08-06 2012-08-06 유효 사격 판정 장치 KR10122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38A KR101229015B1 (ko) 2012-08-06 2012-08-06 유효 사격 판정 장치
PCT/KR2013/006923 WO2014025160A1 (ko) 2012-08-06 2013-08-01 유효 사격 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38A KR101229015B1 (ko) 2012-08-06 2012-08-06 유효 사격 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015B1 true KR101229015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538A KR101229015B1 (ko) 2012-08-06 2012-08-06 유효 사격 판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9015B1 (ko)
WO (1) WO20140251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484A (ko) * 2016-08-09 2018-02-21 국방과학연구소 제로타임에 해당하는 기준신호를 계측장치로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18814B1 (ko) * 2022-01-26 2022-07-11 한창기술 주식회사 유효사격 판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393A (ja) 1997-09-09 1999-03-26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2277193A (ja) * 2001-03-14 2002-09-25 Mitsubishi Precision Co Ltd 射弾計測器、射弾データ読取器及び小火器射弾計測装置
JP2007298267A (ja) * 2006-04-07 2007-11-15 Babcock Hitachi Kk 発射弾検出器、弾薬管理装置及び発射弾数計数装置
KR20110113839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광 출력장치와 통합된 공포탄 어뎁터 및 그에 따른 공포탄 어뎁터가 장착된 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393A (ja) 1997-09-09 1999-03-26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2277193A (ja) * 2001-03-14 2002-09-25 Mitsubishi Precision Co Ltd 射弾計測器、射弾データ読取器及び小火器射弾計測装置
JP2007298267A (ja) * 2006-04-07 2007-11-15 Babcock Hitachi Kk 発射弾検出器、弾薬管理装置及び発射弾数計数装置
KR20110113839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광 출력장치와 통합된 공포탄 어뎁터 및 그에 따른 공포탄 어뎁터가 장착된 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484A (ko) * 2016-08-09 2018-02-21 국방과학연구소 제로타임에 해당하는 기준신호를 계측장치로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93647B1 (ko) * 2016-08-09 2018-08-30 국방과학연구소 제로타임에 해당하는 기준신호를 계측장치로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18814B1 (ko) * 2022-01-26 2022-07-11 한창기술 주식회사 유효사격 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5160A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5696B1 (en) Firearm sensor system
US8935958B2 (en) Muzzle velocity sensor
WO2011094177A3 (en) Monitoring shots of firearms
ES2650609T3 (es) Determinación de la velocidad de salida de un proyectil
US8936193B2 (en) Optical device including an adaptive life-cycle ballistics system for firearms
CA2955835C (en) System and device for nearfield gunshot and explosion detection
KR101229015B1 (ko) 유효 사격 판정 장치
WO200609351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ources of projectiles
WO2005061983A1 (en) A structure of detecting device used in miles system and gun simulator
CN107908926B (zh) 一种射弹散布具有相关性的高炮毁伤概率确定方法
JPH1089894A (ja) 射撃弾数の自動計数装置
CN103913095A (zh) 枪械记录跟踪方法与装置
US6032568A (en) Means for controlling the muzzle velocity of a projectile
US1030975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increasing aiming accuracy of a sniper rifle
US9817015B2 (en) System for predicting exterior ballistics
CN116067234A (zh) 一种基于线性霍尔技术的自动报靶系统和方法
KR20110004980A (ko) 포구속도 보정형 신관 및 그 제어방법
US12007187B1 (en) Monitoring energy discharge in a fire control system
KR101570062B1 (ko) 음압을 이용한 발사율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418814B1 (ko) 유효사격 판정장치
CN114909947B (zh) 基于lora物联网的步枪射击子弹计数方法和装置
RU2810603C1 (ru)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средств огневого поражения по акустическим колебаниям на дальности от 500 м
KR20140125504A (ko) 피해 정도를 측정하는 교전 훈련용 화기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TW201319574A (zh) 用於測出拋射體之出口初速之方法
KR101356553B1 (ko) 기폭 시간이 자동 가변되는 신관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