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727B1 -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727B1
KR101228727B1 KR1020097006780A KR20097006780A KR101228727B1 KR 101228727 B1 KR101228727 B1 KR 101228727B1 KR 1020097006780 A KR1020097006780 A KR 1020097006780A KR 20097006780 A KR20097006780 A KR 20097006780A KR 101228727 B1 KR101228727 B1 KR 10122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activities
predetermined
availability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236A (ko
Inventor
칼톤 제이. 스패렐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6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50) 또는 시스템(10)이 원격자에 속하는 원격 기구(12, 16, 18 또는 19)를 모니터링하도록 인에이블되고 허가 받은 통신 디바이스(13, 28 또는 30)와 통신 디바이스 또는 원격 기구에 연결된 프로세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통신 디바이스가 원격자와 통신하기 위해 시도할 때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한 원격 기구를 모니터링하고(53), 미리정해진 세트의 활동을 분석하며(54), 미리정해진 세트의 활동이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시스템은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56).
가용성, 비가용성, 원격 기구, 원격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모니터링

Description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A REMOTE PARTY BASED ON INTERACTION WITH COUPLED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 디바이스의 모니터링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 사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녁 식사 또는 다른 통상적인 가족 활동 중에 전화 통화로 방해받는 일은 피하고 싶은 수많은 공통적인 성가심이다. 더욱이, 그러한 시간 동안에 통화하는 가족과 친구들은 그러한 방해를 또한 피하고 싶고 다른 시간에 통화를 하고 싶어할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통화가 걸리지않게 두는 것 이외에는, 이러한 활동을 기초로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할만한 용이한 방법은 없다.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방법은 그 가용성 또는 결여를 예측하지 못하고, 실제 가용성이 있을 경우에 부재중 통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1980년대의 네트워킹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된 한 기술은 '아이들 타임(idle time)' 결정을 제공했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를 '핑거(finger)'할 수 있었고, 그들의 키보드가 얼마나 오랫동안 아이들했는 지를 기초로 정보를 수신한 다. 미국 특허 공보 제200502465588호에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키스트로크(keystroke)의 캡쳐링을 기초로 생성하는 프로파일 기반 캡쳐 컴포넌트를 논의한 다른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두 경우 모두에는 관심 활동의 표시 또는 가용성을 나타내는 표시를 제공하는 활동이 없었다. 또한, 이들은 잠재적 통화자에게 가용성 또는 가용성의 결여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지도 않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원격자(remote party)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interactivity)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통신을 위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원격자에 속하는 원격 디바이스에 통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해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할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할 경우에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거나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예로서, 셋톱 박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녹화 또는 채널 변경, 또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또는 녹화, 또는 텔레비전 튜너에서의 채 널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unengaged)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원격 디바이스 상의 기능의 활성화 또는 참여 사용자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원격 디바이스 상의 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가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권한을 가진 경우에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원격 디바이스에 통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시스템은 원격자에 속하는 원격 기구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권한을 가진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또는 원격 기구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 디바이스가 원격자와 통신을 시도할 때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한 원격 기구를 모니터링하고,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고,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예로서, 셋톱 박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또는 채널 변경, 또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에서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또는 텔레비전 튜너에서의 채널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원격 기구 상의 기능의 활성화 또는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기구 상의 기능의 활성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기구는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기와, 송수신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는 예를 들면 상술한 기구들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셋톱 박스,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퍼스널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 또는 레코더, 텔레비전 튜너, 또는 원격 컨트롤러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 디바이스가 기구를 이용하여 당사자(a party)와 통신을 시도할 때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한 원격 기구를 모니터링하고,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기구를 이용하여 당사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통화 또는 경고를 지시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방지하고,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에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해 더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셋톱 박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또는 채널 변경, 또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에서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또는 텔레비전 튜너에서의 채널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기구 상의 기능의 활성화 또는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기구 상의 기능의 활성화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하나("a" 또는 "an")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복수"라는 용어는 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다른"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제2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및/또는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comprising)(즉, 개방 언어)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직접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연결된 것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의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명령어 시퀀스로 정의된다.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서브루틴, 기능, 프로시져, 객체 방법, 객체 구현,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서브렛, 소스 코드, 객체 코드, 공유된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다른 명령어 시퀀스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는, 소정의 적절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적절한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구성되는 경우에, 다른 실시예는 머신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과 머신 판독가능한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 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다른 시스템이다.
본 명세서가 신규하게 여겨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정의하는 청구 범위로 결론짓지만,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하 개시된 실시예는 셋톱 박스,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 스테레오 시스템, 랩탑 컴퓨터 및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기구 또는 사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에 대한 표시와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기구와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에서 광범위한 예시적인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누군가가 집에 있을 것 같고 통화에 응답할 수 있는 지를 판정하는 원격 능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시스템은 누군가가 TV를 보고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지를 판정하기 위해 원격 제어 누름, 빨리 감기, 되감기, 재생, 또는 채널 업 또는 다운 누름과 같은 이벤트를 캡쳐링한다. 시스템은 '친구와 가족' 그룹에 가용성의 통지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고 인가받은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예컨대, 주변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원격지 가정에 있는 사람이 활동하는 지를 나타낼 수 있다. 로컬 사용자는 그 정보를 누군가가 집에 있고 통신을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지를 판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원격 사용자는 '전화하지 마시오'를 명확히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이 어떤 타입의 통신을 수용할 지 안할 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예를 들면, 현재 IM을 수용하지만, 전화 통화는 안함).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시스템(10)은 원격자에 속하는 원격 기구(12, 16, 18, 또는 19)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권한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13, 28 또는 30)와, 통신 디바이스 또는 원격 기구에 연결된 프로세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속하는"은 반드시 "소유한"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런 관련은 통상적으로 원격자와의 통신 시도시, 원격 기구의 작동 상태가 원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모가 정해진 근무 시간 동안, 그녀의 고용자가 소유한 특정 TV를 제어하리라고 가정될 수 있는 사람일 수 있고, 따라서 그 시간 동안 TV와 관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3)는 예를 들면, 휴대폰, 가정용 무선 전화기, 또는 유선 가정용 전화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8 또는 30)는 원격 기구(12)(또는 16, 18, 또는 19)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24 및/또는 26)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휴대폰 또는 랜드라인(landline) 전화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시스템(10) 내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2, 16, 18, 또는 19)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13, 28, 또는 30)에도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신 디바이스가 원격자와 통신을 시도할 때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한 원격 기구를 모니터링하고,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아마 디바이스(28 또는 30)이지만,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3))에 통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저장된 활동의 세트는 프로세서가 존재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13, 28, 30, 12, 16, 18, 또는 19)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에 마찬가지로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에서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디바이스(13))에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고,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가능하게 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예로서, 셋톱 박스 또는 다른 기구(12)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또는 채널 변경, 또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에서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또는 텔레비전 튜너(14)에서의 채널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거나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원격 기구 상의 기능의 활성화일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원격 기구는 가정, 사무실 또는 원격자의 근처(20)에 존재하는 상술한 기구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컨트롤러(22)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컨트롤러(22)는 빨리 감기, 되감기, 재생 및 볼륨 또는 채널 변경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원격 컨트롤러(22)는 일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3)가 울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해하지 마시오"와 같은 명확한 명령어를 사용자가 또한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다른 명확한 명령어는 예를 들면 컴퓨터(19) 상에서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를 수신하게 할 수 있지만, 통신 디바이스(13)에서의 착신(in-coming) 통화는 여전히 수신할 수 없다. 명령어는 공공연하게 통화 당사자의 통신 디바이스(28 또는 30)와 통신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통화 당사자는 암호를 입력하거나, 친구 또는 가족 그룹으로 간주되는 미리결정된 당사자일 수 있어, 추가 보안 및/또는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50)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는 원격자에 속하는 원격 디바이스에 통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52),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한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53),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는 단계(54), 및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55)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은 링크가 단계(52)에서 제공되거나 모니터링 단계(53)를 인에이블링하기 전에 결정 단계(51)에서 통화자는 권한을 갖는 사용자, 친구 또는 가족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은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거나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5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예로서, 셋톱 박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녹화 또는 채널 변경, 또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또는 녹화, 또는 텔레비전 튜너에서의 채널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원격 디바이스 상의 기능의 활성화 또는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원격 디바이스 상의 기능의 활성화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단계(56)는 통신 디바이스(28) 및 원격 디바이스(12) 또는 다른 기구와 같은 시스템(10) 내의 디바이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통신 디바이스(28)에 의해 실행되도록 해석될 수 있다. 즉, 통신 디바이스(28)는 내부 테이블을 사용하여 사용자 타입의 분석(51)을 실행할 수도 있고; 통신 디바이스(28)는 예를 들면, 메시지를 보내고 정확한 응답의 수신을 결정하여 연결(52)을 실행할 수도 있고; 통신 디바이스(28)는 예를 들면, 원격 디바이스(12)에 활동 상태를 요구하는 질의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을 수신하여 모니터링(53)을 실행할 수도 있고; 통신 디바이스(28)는 내부적으로 크게 분석(54)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통신 디바이스(28)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통신 디바이스(28)에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할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결정하고,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는 단계(56)를 포함할 수도 있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의 결정의 결과의 통지를 제시(presenting)하는 것과 같은 다른 액션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28)에서의 다른 기능에 그런 결정의 결과를 내적으로 제시하여 통지(55)를 실행할 수도 있다.
그 반대도 또한 매우 참이다; 그것은 단계가 원격 기구에서 주로 이루어진 것으로 또한 해석될 수도 있다. 단지 두 개의 예들로서, 원격 디바이스(12)는 통신 디바이스가 원격 사용자에게 통신을 시도하고 있다는 표시를 수신한 후에 내부 테이블을 사용하여 사용자 타입의 분석(51)을 실행할 수도 있고; 원격 디바이스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통신 디바이스(28)에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결정하고 통신 디바이스(28)에 메시지에서의 결과의 표시를 송신하여 통지(55)를 실행할 수도 있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타입의 통화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 파라미터를 단계(55)의 통지에 포함하여 통화 또는 경고(56)를 방지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거나, 통신 디바이스(28)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격 사용자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한 세트의 명령어들이 실행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상술한 하나 이상의 방법론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시스템(300)의 형태로 머신의 예시적인 도식적 표현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머신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머신은 다른 머신에 연결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킹된 배치에서, 머신은 서버-클라이언트 사용자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사용자 머신의 용량으로 동작할 수도 있거나, 또는 피어-투-피어(peer to peer)(또는 분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은 수신자 디바이스(301)와 송신 디바이스(350)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은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사용자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PC),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릿지, 또는 모바일 서버 외에, 머신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액션을 특정하는 한 세트의 명령어(순차적으로 또는 이와는 달리)를 실행할 수 있는 소정의 머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음성, 비디오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어떠한 전자 디바이스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욱이, 단일 머신이 설명되는 동안, "머신"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방법론들을 실행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합쳐서 한 세트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머신의 소정 집합을 포함하도록 또한 선택될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300)은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302)(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on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둘다), 메인 메모리(304) 및 정적 메모리(30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버스(308)를 통해 서로 함께 통신한다. 컴퓨터 시스템(300)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유닛(310)(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랫 패널, 고체 상태 디스플레이, 또는 CRT(cathode ray tube))과 같은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300)은 입력 디바이스(312)(예를 들면, 키보드), 커서 제어 디바이스(314)(예를 들면, 마우스),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316), 신호 생성 디바이스(318)(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프리젠테이션 디바이스로서도 작동할 수 있는 원격 제어),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아이템들 중 다수는 선택적이다.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316)은 상술한 방법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방법론들 또는 기능들을 구체화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세트들이 저장된 머신-판독가능한 매체(3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어(324)는 컴퓨터 시스템(300)에 의한 실행 동안 메인 메모리(304), 정적 메모리(306), 및/또는 프로세서(302) 내에서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304)와 프로세서(302)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를 또한 구성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 및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 전용 하드웨어 구현이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장치 및 시스템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전자 장치와 컴퓨터 시스템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둘 이상의 특정 상호연결 하드웨어 모듈, 또는 모듈들 사이에서 모듈들을 통해 통신된 관련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갖는 디바이스에서 또는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구현한다. 따라서, 예시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 구현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여기서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동작을 위해 의도된다. 더욱이, 소프트웨어 구현은 분산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또는 컴포넌트/객체 분산 프로세싱, 병렬 프로세싱, 또는 가상 머신 프로세싱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명령어(324)를 포함하고 전파 신호로부터 명령어(324)를 수신하고 실행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환경(326)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음성, 비디오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명령어(324)를 이용하여 네트워크(326)를 통해 통신하게 한다. 명령어(32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20)를 경유해서 네트워크(326)를 통해 더 송신 또는 수신될 수도 있다.
머신-판독가능한 매체(322)가 단일 매체인 것으로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단일 매체 또는 다중 매체(예를 들면, 중앙 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 및/또는 관련 캐쉬 및 서버)를 포함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머신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세트를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고 머신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들이라도 실행하게 하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하도록 또한 선택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등의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명령어의 시퀀스로 정의된다.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서브루틴, 기능, 프로시져, 객체 방법, 객체 구현,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서브렛, 소스 코드, 객체 코드, 공유된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다른 명령어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에서 집중된 방식으로 또는 상이한 소자들이 다수의 상호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DSP)를 통해 확산되는 분산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어떠한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다른 장치도 적당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전형적인 조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실현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로딩되고 실행될 때 이를 구비한 범용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특허 청구 범위의 범주와 사상 내에 있다고 생각되는 다수의 구성들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더욱이, 이상의 설명은 단지 예로서 의도되고 이하의 청구 범위 내에 설명된 바를 제외하고는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원격자(remote party)의 가용성(availability)을 결정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원격자와 관련된 원격 디바이스에 통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해 상기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원격 디바이스의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상기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상기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셋톱 박스 상에서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녹화 또는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 상에서 빨리 감기, 되감기 또는 녹화를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텔레비전 튜너 상의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unengaged)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 상의 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 상의 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권한이 있는 경우에 상기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방법.
  10.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자와 관련된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도록 인에이블되고 허가 받은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 또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자와 통신을 시도하고 있을 때 상기 원격자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한 상기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며; 및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자의 비가용성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상기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고,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상기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원격자에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
    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된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셋톱 박스 상에서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또는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 상에서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또는 텔레비전 튜너 상에서의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 상에서의 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 상에서의 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원격자의 가용성 결정 시스템.
  16. 원격 디바이스로서,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와 관련된 당사자(a party)의 가용성 또는 비가용성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에 대해 상기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당사자와 통신을 시도하고 있을 때 수행됨 - ;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를 분석하며; 및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 관련된 상기 당사자의 비가용성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원격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상기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통화 또는 경고를 방지하고;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가 상기 저장된 활동의 세트와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통화 또는 경고를 인에이블링
    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되는 원격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셋톱 박스에서의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또는 채널 변경, 또는 비디오 녹화 디바이스에서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또는 텔레비전 튜너에서의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원격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활동의 세트는 비참여 사용자를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서의 기능의 활성화 또는 참여 사용자를 명확히 표시하는 상기 원격 디바이스에서의 기능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원격 디바이스.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디바이스는 셋톱 박스,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퍼스널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 또는 레코더, 텔레비전 튜너, 또는 이들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원격 디바이스.
KR1020097006780A 2006-10-03 2007-09-27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28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38,208 US20080082820A1 (en) 2006-10-03 2006-10-03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a remote party based on interaction with coupled devices
US11/538,208 2006-10-03
PCT/US2007/079626 WO2008042680A2 (en) 2006-10-03 2007-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a remote party based on interaction with coupled devic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877A Division KR20110123815A (ko) 2006-10-03 2007-09-27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236A KR20090063236A (ko) 2009-06-17
KR101228727B1 true KR101228727B1 (ko) 2013-02-01

Family

ID=392624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877A KR20110123815A (ko) 2006-10-03 2007-09-27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97006780A KR101228727B1 (ko) 2006-10-03 2007-09-27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877A KR20110123815A (ko) 2006-10-03 2007-09-27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82820A1 (ko)
EP (1) EP2070244A4 (ko)
KR (2) KR20110123815A (ko)
CN (1) CN101584147A (ko)
WO (1) WO20080426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3840A (zh) * 2020-10-12 2022-04-15 华为云计算技术有限公司 被叫用户活动信息获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57A (ko) * 1999-10-29 2001-09-08 요트.게.아. 롤페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방송용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
KR20050085021A (ko) * 2002-11-18 2005-08-29 오픈픽 인크. 비디오 원격 전자 회의 및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한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7023980B2 (en) * 2002-12-04 2006-04-04 Avaya Technology Corp. Outbound dialing decision criteria base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273B1 (en) * 2001-02-01 2003-10-21 Savvy Frontiers Patent Trust Remote control dedicated keybutton for confirming tuner setting of a TV set to a specific channel setting
DE60224455D1 (de) * 2001-05-11 2008-02-14 Nokia Corp Mobiler "Instant Messaging"- und Präsenzdienst
US7224272B2 (en) * 2002-12-10 2007-05-29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repeater system and method
US20050216949A1 (en) * 2004-03-23 2005-09-29 Ray Candelora Systems and methods for a universal media server with integrated networking and telephony
US7941439B1 (en) * 2004-03-31 2011-05-10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formation capture
US7418497B2 (en) * 2004-07-15 2008-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infering and updating an availability status of a user
US7917583B2 (en) * 2006-02-17 2011-03-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elevision integrated chat and presence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57A (ko) * 1999-10-29 2001-09-08 요트.게.아. 롤페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방송용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
KR20050085021A (ko) * 2002-11-18 2005-08-29 오픈픽 인크. 비디오 원격 전자 회의 및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한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7023980B2 (en) * 2002-12-04 2006-04-04 Avaya Technology Corp. Outbound dialing decision criteria b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0244A4 (en) 2015-10-07
WO2008042680A3 (en) 2008-08-14
KR20090063236A (ko) 2009-06-17
EP2070244A2 (en) 2009-06-17
WO2008042680A2 (en) 2008-04-10
US20080082820A1 (en) 2008-04-03
CN101584147A (zh) 2009-11-18
KR20110123815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2683A1 (en) Method, system, and intelligent terminal for distributing random data
US9253439B2 (en) Managing complex video call scenarios in volte calls
US8095665B1 (en) User-friendly features for real-time communications
US20150189029A1 (en) Detection of Communication States
US8555100B2 (en) Selective low power management prioritization in a mobile device
US8340645B2 (en) User-controlled routing of phone calls to voicemail
US20190068734A1 (en) Notification api for external identification
JP2018521548A (ja) メッセージ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201500450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alls on a media device
US9641899B2 (en) Social network creation and interaction
US10572113B2 (en) Apparatus for notification of incoming communication
US200800744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sensitive control of associated devices
US201402229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ing device notifications
US201601193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ruptions by indicating an availability status on a communication device
US10484534B2 (en) Methods of operating a user device in a user device group and related user devices and control servers
US200801015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guardian approval of communications
US201500569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based mobile device profiling
KR101228727B1 (ko) 결합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원격자의 가용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451072B1 (en) Phone call management based on presence of nearby people
US20190068771A1 (en) Externa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conferencing client using notification api
CN113612680B (zh) 在用户界面中抑制对到来的通信的指示
CN113992786A (zh) 音频播放方法及装置
TW201427381A (zh) 通信終端及呼叫轉移方法
KR20120071838A (ko)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상태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230012105A (ko)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