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105A -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105A
KR20230012105A KR1020210091938A KR20210091938A KR20230012105A KR 20230012105 A KR20230012105 A KR 20230012105A KR 1020210091938 A KR1020210091938 A KR 1020210091938A KR 20210091938 A KR20210091938 A KR 20210091938A KR 20230012105 A KR20230012105 A KR 2023001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wling
microphone
user terminals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345B1 (ko
Inventor
주민규
Original Assignee
주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규 filed Critical 주민규
Priority to KR102021009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3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1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acoustic paths, e.g. estimating, calibrating or testing of transfer functions or cross-terms
    • G10K11/17819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acoustic paths, e.g. estimating, calibrating or testing of transfer functions or cross-terms between the output signals and the reference signals, e.g. to prevent how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50Miscellaneous
    • G10K2210/506Feedback, e.g. how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하울링(howling) 제거 시스템은, 각각 마이크가 구비되며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상기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입력되는 상태로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면, 음성 또는 영상 회의와 같이 여러 사용자들이 음성을 주고받는 환경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감지하고, 하울링이 발생하는 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킴으로써 하울링을 제거하거나 하울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HOWLING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하울링(howling)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음성 또는 영상 회의와 같이 여러 사용자들이 음성을 주고받는 환경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하울링이 발생하는 단말 조합을 탐지하고 하울링 제거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하울링(howling)이란 마이크 등에 입력된 소리가 증폭된 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때, 출력된 소리 일부가 다시 마이크 등에 입력되어 증폭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생되는 오디오 피드백을 지칭한다.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면 동일한 소리 패턴의 반복(즉, 에코) 또는 공명 간섭을 통해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증폭된 잡음이 나타나며,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와 마이크의 배치, 벽면의 재질 등 공간 환경, 증폭량이나 이퀄라이저의 사용 등 전기 음향적인 환경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창궐로 인해 비대면 방식의 업무 처리가 중요해지면서, 여러 사용자들이 비대면으로 소통할 수 있는 음성 또는 영상 기반의 다자간 회의 서비스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회의 참가자 중 2명 이상이 동일한 장소에 있으면서 모두 자신의 통화 기기에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스피커에서 발생된 소리가 미세한 시차를 두고 여러 마이크에 입력되면서, 하울링으로 인하여 동일한 입력 패턴의 소리가 반복해서 울리거나 고주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하울링 제거를 위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783호는 에코 또는 과도한 잡음이 발생한 회의 단말의 음성 데이터를 제외하고 오디오 믹싱을 수행하는 채널 상태 적응형 오디오 믹싱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783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하울링이 발생한 채널의 음성을 단순 배제하는 것이므로 다자간 회의에 지장을 유발하며, 하울링이 발생하던 환경에서 이후에 하울링의 원인이 제거되더라도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783호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성 또는 영상 회의와 같이 여러 사용자들이 음성을 주고받는 환경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하울링(howling)이 발생하는 단말의 조합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울링이 발생하는 조합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하울링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울링(howling) 제거 시스템은, 각각 마이크가 구비되며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상기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입력되는 상태로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통신 세션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환경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경 변화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대한 접속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하울링 발생 여부를 상기 감지부를 통해 검사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지연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송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은,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각각 마이크가 구비되며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입력되는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음성 통신 세션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환경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환경 변화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대한 접속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은,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하울링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지연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울링(howling) 제거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음성 또는 영상 회의와 같이 여러 사용자들이 음성을 주고받는 환경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감지하고, 하울링이 발생하는 단말 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킴으로써 하울링을 제거하거나 하울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울링 제거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가청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하울링이 발생하는 단말의 마이크가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해 오프된 상태에서도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하울링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하울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사용자들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howling)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에서 환경 변화에 따른 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에서 환경 변화에 따른 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howling) 제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3)이 접속한 음성 통신 세션에서 발생하는 하울링을 감지하고 이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음성 통신 세션이란, 적어도 사용자들의 음성 데이터를 참여자들 상호 간에 주고받기 위한 통신 채널을 지칭한다. 이때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음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데이터,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가 음성과 함께 수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 음성 통신 세션은 참석자간의 음성회의 또는 화상회의를 위한 통신 채널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회의 참석자들은 음성회의 또는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버(4)를 통하여 음성 통신 세션에 접속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통신 서버(4)가 제공하는 회의 서비스의 일부로서 회의에서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하울링 제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버(4)를 통한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서로 상이한 사업자이며, 상호 간의 협약 등에 의하여 하울링 제거 시스템(5)에 의한 하울링 제거 기능을 회의 서비스에 통합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 서버(4) 자체가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의 일부로서 포함되며 통신 서버(4)와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동일한 하나의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될 수도 있다.
통신 서버(4)가 제공하는 음성회의 또는 영상회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1-3)을 이용하여 통신 서버(4)에 접속하고 자신과 동일한 음성 통신 세션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들과 음성 스트리밍(streaming) 데이터 또는 음성이 영상과 결합된 동영상 스트리밍 데이터 등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각 사용자 단말(1-3)은 음성 통신 세션에서 송수신되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각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각 사용자 단말(1-3)은 노트북 컴퓨터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장치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서 음성 또는 영상 회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실행할 수 있다.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회의를 위해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3)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각 단말(1-3)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신호로부터 감지 신호로 인한 하울링이 발생하는지를 탐지하는 방식으로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1-3)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off)시킴으로써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3) 및 통신 서버(4)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울링 제거 시스템(5)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출력부(51), 감지부(52) 및 제어부(53)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저장부(54)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사용자 관리부(55)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unit)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을 구성하는 각 부(51-55)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51-55)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의 각 부(51-55)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제어부(53)는 하울링 제거 시스템(5)에 포함된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3)에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을 감지하며, 해당 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3)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51)는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3)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출력부(51)는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을 찾기 위하여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3)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사용자 단말(1-3)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회의에 참석하는 사용자들의 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감지부(52)는, 출력부(51)에 의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3)에 감지 신호가 출력된 후,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각 사용자 단말(1-3)의 마이크로부터 수집되는 소리를 이용하여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이 검출되면, 제어부(53)는 해당 조합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3)의 마이크를 오프시킴으로써 향후에 하울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를 오프시킨다는 것은, 음성 통신 세션에서 해당 단말의 마이크에 수신되는 소리는 크기를 0으로 무음 처리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동작은, 각 사용자 단말(1-3)에서 실행되는 음성회의 또는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각 참석자에 대한 제어 기능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하울링 제거를 위한 감지 신호의 출력을 회의 참석자들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감지 신호에는 비가청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성분과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성분으로 분리하여,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만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청 주파수 대역은 20 내지 20,000 Hz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지칭하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은 20,000 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53)는 하울링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3)의 마이크를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해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소리가 입력되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일단 하울링이 발생하는 조합의 탐지를 통해 마이크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비가청 대역의 감지 신호를 이용한 하울링 발생 여부의 검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특정 주기가 도래하거나 또는 특정 환경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하울링 검사를 다시 실시하도록 출력부(51) 및 감지부(5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3)는 일단 하울링 제거를 위한 조치를 실시하였더라도 마이크의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단말(1-3)에 수신되는 경우, 하울링 발생 여부 검사를 재실시한 후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3)의 마이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의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란 크기가 일정 수준(예컨대, 60 dB) 이상인 소리 입력이나, 사용자 단말(1-3)에 구비된 마우스, 키보드 등 입력수단을 통한 입력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저장부(54)는 마이크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시점부터 마이크의 상태를 실제로 변경할 때까지 발생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마이크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마이크 상태를 즉각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하울링 검사를 먼저 실시하고, 하울링 발생 여부에 따른 조치를 마친 후에, 저장부(54)에 저장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세션에 지연된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3)는 하울링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1-3) 조합의 각 사용자 단말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는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는 음성 통신 세션에 대한 사용자 단말(1-3)의 접속 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고, 이때 접속 정보란 음성 통신 세션에 통신 연결된 시각, 음성 통신 세션에 데이터를 전송한 시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회의실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가장 마지막에 음성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 등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나, 우선순위의 결정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1-3) 조합의 각 사용자 단말 간의 우선순위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관리부(55)는 음성회의 또는 영상회의에 참석하는 각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란, 각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하는 위치 정보,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장치 종류 정보, 각 사용자의 직급이나 부서 등 소속 정보, 회의에 대한 참석자의 기여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우선순위 결정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의 제어부(53)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것 또는 미리 설정된 음성 통신 세션의 환경 변화가 감지되는 것을 통하여 하울링의 검사가 필요한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 예를 들어, 제어부(53)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울링 발생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53)는 신규 참석자의 입장, 기존 참석자의 퇴장, 이전에 마이크가 오프된 사용자 단말에 일정 크기의 소리가 입력되는 것, 참석자가 마이크 상태의 강제 전환을 위한 입력을 하는 것 등을 조건으로 하여 이러한 조건에 해당하는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회의 참가자 중 2명 이상이 동일한 장소에 있으면서 모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1-3)의 마이크를 켜고 있는 상황에서, 동일한 소리가 여러 마이크에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입력됨으로써 동일 입력 패턴이 반복되거나 고주파음이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이 동일한 장소에 있어 하울링을 발생시키는지는 알 수 없으므로, 주기 도래 또는 환경 변화가 감지되면,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의 출력부(51)는 음성 통신 세션에 참석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3)을 통해 순차적으로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2).
다음으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의 감지부(52)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3)을 통해 감지 신호가 출력된 후 다른 사용자 단말(1-3)에 입력되는 소리를 탐지함으로써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을 검출할 수 있다(S3).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예시에 의하면, 감지부(52)는 제1 사용자 단말(1)과 제2 사용자 단말(2)의 조합이 하울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울링 발생 여부
(행: 출력 단말
열: 감지 단말)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제1 사용자 단말 - O X
제2 사용자 단말 O - X
제3 사용자 단말 X X -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발생 여부 검사를 위하여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므로, 회의 참석자들이 감지 신호를 듣지 못하는 상태에서 하울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0,000 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지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신호는, 해당 신호가 다른 단말의 마이크에 입력되어 발생하는 하울링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음량 및/또는 소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량 40 dB 이상의 모르스 부호 형태의 소리를 감지 신호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53)는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으로 탐지된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만 남기고 나머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해서는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S5). 또한, 이때 제어부(53)는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해당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마이크가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로 두어, 일단 마이크가 오프된 사용자 단말이라도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이용한 하울링 검사가 계속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3)는 마이크를 오프시킬 단말을 결정하기 위하여 해당 조합의 사용자 단말(1-3)들을 대상으로 단말간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S4).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세션에서 가장 마지막에 음성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해당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조합에서 하울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의 마이크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는, 가장 먼저 세션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해당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조합에서 하울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단말보다 늦게 회의실에 접속한 나머지 단말들의 마이크를 오프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환경 변화가 감지되는 것에 따라 하울링 검사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신규 회의 참석자가 입장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울링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참석자에 의하여 회의실(음성 통신 세션)이 처음 개설되고 두 번째 참석자가 입장하면, 두 번째 참석자의 입장 요청 시점부터 입장 표시 시점 전에 하울링 발생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입장 요청 시점이란 사용자가 자신의 대화명, 마이크 온/오프 여부, 화상 온/오프 여부 등 회의를 위한 설정을 마치고 접속을 요청하는 시점을 의미하며, 입장 표시 시점이란 회의실의 다른 참석자들에게 해당 사용자의 이름, 대화명, 화상 등을 노출하는 시점을 지칭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기존 회의 참석자가 퇴장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울링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회의 참석자들에 대한 하울링 발생 검사 및 조치가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특정 참석자가 회의를 종료하면(음성 통신 세션 접속 종료), 해당 참석자의 퇴장에 따라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이 변화되므로 바뀐 환경에 맞춰 다시 하울링 검사를 실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조합에 대한 하울링 제거 조치에 따라 마이크가 오프된 참석자만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기존의 하울링 제거 조치에 따라 마이크가 오프된 사용자 단말(1-3)에 일정 크기(예컨대, 60 dB) 이상의 소리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말(1-3)의 마이크를 켜는 것을 전제로 하울링 검사 및 제거 조치를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301을 참조하면, 회의에 참석한 사용자 단말(1-3)들 중 제1 사용자 단말(1)과 제2 사용자 단말(2)이 서로 동일한 공간(100) 내에 있어,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2)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된 소리가 다른 단말의 마이크에 입력됨으로써 하울링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2)을 하울링이 발생하는 단말 조합으로 결정하고, 이 중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하고 제1 및 제3 사용자 단말(1, 3)의 마이크에는 소리 입력을 허용함으로써 하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30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이크가 오프 처리된 제2 사용자 단말(2)에 미리 설정된 일정 크기(예컨대, 60 dB) 이상의 소리 입력이 발생하면,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이를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보고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마이크 상태 전환을 위한 소리 입력의 크기는 일반적인 성인의 대화 소리 강도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2 사용자 단말(2)과 동일 공간(100)에 있어 하울링을 발생시키는 제1 사용자 단말(1)은 마이크를 오프 처리하며, 제2 사용자 단말(2) 및 제3 사용자 단말(3)의 마이크에 소리 입력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2)에 감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에 따라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탐색을 다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존에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된 단말 조합을 토대로 새로운 탐색 없이 제1 사용자 단말(1)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즉시 온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울링 방지를 위한 조치가 이루어진 후 지연된 음성의 형태로 다른 참석자들에게 송출할 수 있다. 즉,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 입력이 발생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소리가 입력된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을 하울링 제거 시스템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하울링 방지를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의 마이크가 오프 처리되고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가 온 상태로 전환된 후에 그 동안 저장된 음성 정보가 레이턴시(latency)를 가지고 음성 통신 세션에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 30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사용자 단말(2)의 소리 입력이 허용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1)에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입력되면,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302에서 수행한 것과 반대의 과정으로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하고 제1 사용자 단말(1)의 마이크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소리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회의실에서 발언하는 것에 맞추어 각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온오프 시키면서도 동일한 공간(100)에 있는 단말 조합에 동시에 소리가 입력되어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5)은 기존의 하울링 제거 조치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1-3)의 조합에서 마이크가 오프된 단말 또는 마이크가 온 상태인 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참석자가 자의적으로 마이크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참석자의 요청에 따라 마이크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전제로 하울링 검사 및 제거 조치를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401을 참조하면, 회의에 참석한 사용자 단말(1-3)들 중 제1 사용자 단말(1)과 제2 사용자 단말(2)이 서로 동일한 공간(100) 내에 있어,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하고 제1 및 제3 사용자 단말(1, 3)의 마이크에는 소리 입력을 허용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40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이크가 오프 처리된 제2 사용자 단말(2)에 마이크 상태를 강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키 입력, 마우스 클릭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온 상태로 전환하되,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사용자 단말(2)과 동일 공간(100)에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2)에 감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에 따라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탐색을 다시 실시하여 하울링을 발생시키는 제1 사용자 단말(1)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에 탐지된 단말 조합의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탐색 없이 제1 사용자 단말(1)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 후 제2 사용자 단말(2)에 입력된 음성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하울링 검사 및/또는 하울링을 위한 조치가 완료된 후 지연된 음성으로 음성 통신 세션에 송출할 수도 있다.
이후 도 4의 40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사용자 단말(2)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강제로 오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하는 경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2)의 마이크를 오프 처리하되, 제2 사용자 단말(2)과의 하울링 발생으로 인하여 기존에 마이크가 오프 처리되었던 제1 사용자 단말(1)에 대해서는 마이크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2)에 감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에 따라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탐색을 다시 실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각 회의 참석자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의 장치 종류, 사용자의 직급이나 부서 등 소속 정보, 회의에 대한 각 참석자의 기여율 등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마이크를 오프시킬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각 희의 참석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1-3)의 장치 종류를 사용자 정보로서 저장하며, 각 종류의 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울링 발생 시 마이크를 오프시킬 사용자 단말(1-3)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의 종류가 스마트폰인 경우에 비해 개인용 컴퓨터(PC)인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장치 종류간의 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하울링 제거 시스템은 각 회의 참석자의 직급이나 부서 등 소속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참석자의 소속 정보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 단말(1-3)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하울링 발생 시 오프시킬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울링 발생 시 직급이 상대적으로 높은 참석자의 사용자 단말은 마이크를 켜두고 직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참석자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서버(4)를 통하여 음성 통신 세션의 개설 시 주최자의 부서 정보를 수신하고, 하울링 발생 시 주최자의 동일 부서에 속하는 참석자의 사용자 단말은 마이크를 켜두고 주최자와 부서가 상이한 참석자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 서버(4)를 통하여 음성 통신 세션의 개설 시 주최자가 각 참여자의 기여율을 설정하거나, 또는 각 참석자가 음성 통신 세션에 접속할 때 자신의 기여율을 입력하도록 하고, 하울링이 발생하면 각 참석자에 대하여 설정된 기여율에 따라 기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참석자의 사용자 단말은 마이크를 켜두고 기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참석자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각각 마이크가 구비되며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상기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입력되는 상태로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 하울링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 하울링 제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통신 세션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환경 변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경 변화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 하울링 제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대한 접속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더 구성된 하울링 제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하울링 발생 여부를 상기 감지부를 통해 검사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지연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송출하도록 더 구성된 하울링 제거 시스템.
  6.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각각 마이크가 구비되며 음성 통신 세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음성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중 하울링이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가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오프시키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입력되는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울링 제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울링 제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음성 통신 세션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환경 변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환경 변화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울링 제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대한 접속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울링 제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마이크가 오프 상태인 상기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조합에 대한 하울링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이, 상기 검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울링 제거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지연된 음성을 상기 음성 통신 세션에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울링 제거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울링 제거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91938A 2021-07-14 2021-07-14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0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38A KR102505345B1 (ko) 2021-07-14 2021-07-14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38A KR102505345B1 (ko) 2021-07-14 2021-07-14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05A true KR20230012105A (ko) 2023-01-26
KR102505345B1 KR102505345B1 (ko) 2023-03-02

Family

ID=8511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938A KR102505345B1 (ko) 2021-07-14 2021-07-14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3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548A (ja) * 2004-11-19 2006-06-08 Toa Corp 放送装置
KR20090110069A (ko) * 2008-04-17 2009-10-21 주식회사 바이콤 무선 마이크의 하울링 감소 방법
KR100934486B1 (ko) * 2009-02-19 2009-12-30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음성 자동 스위칭시스템
KR20160085985A (ko) * 2015-01-08 2016-07-19 주식회사 케이티 하울링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72783A (ko) 2015-12-16 2017-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자간 회의 서비스에서의 채널 상태 적응형 오디오 믹싱 방법
KR20190025314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에코 및 하울링 감지 장치, 방법 및 다자간 통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548A (ja) * 2004-11-19 2006-06-08 Toa Corp 放送装置
KR20090110069A (ko) * 2008-04-17 2009-10-21 주식회사 바이콤 무선 마이크의 하울링 감소 방법
KR100934486B1 (ko) * 2009-02-19 2009-12-30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음성 자동 스위칭시스템
KR20160085985A (ko) * 2015-01-08 2016-07-19 주식회사 케이티 하울링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72783A (ko) 2015-12-16 2017-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자간 회의 서비스에서의 채널 상태 적응형 오디오 믹싱 방법
KR20190025314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에코 및 하울링 감지 장치, 방법 및 다자간 통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345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3316B (zh) 会议接入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88745B2 (en) Endpoint echo detection
JP2013502828A (ja) 電話装置の警報を鳴らす方法としてのカメラ・ベースの顔面認識又は他のプレゼンス検出方法、
US10586131B2 (en)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for determining participant engagement
US9293147B2 (en) Selective voice transmission during telephone calls
US10045122B2 (en) Acoustic echo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US20090109961A1 (en) Multiple simultaneous call management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US20140329511A1 (en) Audio conferencing
WO2008051661A1 (en) Speaker directionality for user interface enhancement
CN108418968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8172237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2024507916A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449497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170148438A1 (en) Input/output mode control for audio processing
US200600239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based audio mixing
US11164577B2 (en) Conversation aware meeting prompts
US10848530B2 (en)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udio conference and web conference
CN108449492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2505345B1 (ko) 하울링 제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9749386B1 (en) Behavior-driven service quality manager
JP2019117998A (ja) ウェブ会議システム、ウェブ会議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37413B2 (en) Methods for the encoding of participants in a conference
US11783837B2 (en) Transcription generation technique selection
CN111355919B (zh) 一种通信会话控制方法及装置
CN111756723B (zh) 应用于多方通话的音频处理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