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068B1 - 오염 토양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염 토양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068B1
KR101228068B1 KR1020120092171A KR20120092171A KR101228068B1 KR 101228068 B1 KR101228068 B1 KR 101228068B1 KR 1020120092171 A KR1020120092171 A KR 1020120092171A KR 20120092171 A KR20120092171 A KR 20120092171A KR 101228068 B1 KR101228068 B1 KR 10122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oil
pipe
contaminated soi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주)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2009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6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therm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는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오염 토양이 수용 및 정화되는 정화수단; 및 상기 정화수단으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 순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지지 프레임 상에 다단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된 카트; 및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오염 토양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토양수납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기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온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은 서로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통되도록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최상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온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유입관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순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며,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온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배출관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순환기로 온수의 배출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오염 토양을 가열하고, 오염 토양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통기성을 증가시킴에 의해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오염된 토양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 토양 정화장치{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unit}
본 발명은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류(TPH, BTEX)에 오염된 토양을 온수를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의 온도를 높이고,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산소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를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라 유류 소비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한 종류의 유기합성물질이 개발되어 그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 물질들은 생산, 운반, 저장 등의 과정에서 사고나 고의적인 방류 등으로 인해 자연환경에 유출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해 왔다.
특히, 주유소, 저유소, 석유화학공장 등의 유류저장시설 또는 유기성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이나 저장시설물에서 저장물이 누출되거나 설치구조물의 균열 등으로 인해 내용물이 유출되어 지표면이나 지하층의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되고, 지하수 오염을 통한 수질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크게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과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토양 세척, 소각, 고형화, 안정화 및 용매 추출 등의 방법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토양증기 추출방법은 오염된 불포화 토양층에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대기압 이하로 진공상태를 만들어 토양으로부터 휘발성, 준휘발성 오염물질을 휘발시켜 탈착을 유도하고 탈착된 유기오염물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두 번째로,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토양 경작, 콤포스팅(composting), 바이오벤팅(bioventing), 식물 복원 등의 방법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바이오벤팅(Bioventing)은 불포화 토양층에 공기를 불어넣어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토양 내의 유기오염물을 생분해시켜 제거하는 시스템이며, 주로 저농도로 오염된 토양에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오벤팅은 굴착기에 의하여 오염토를 뒤집은 후 트랙터에 의해 파쇄하고, 이를 쌓아두는 작업을 통해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미생물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공통적으로 토양을 정화시키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벤팅은 뒤집기 및 파쇄된 오염토를 일정 높이로 쌓아두게 되므로, 실제 공기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미생물의 활성화 유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관한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39742호(토양 공극의 미세공기압 자동조절 방식에 의한 유류 및 유기물 오염 토양의 지상 고층야적식 정화방법 및 그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98763호(유류오염 토양정화를 위한 지중 열탈착방법과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3050호(스팀과 미생물 복합공정을 통한 유류오염 토양의 정화장치) 등이 있다.
KR 등록특허 10-0439742 KR 등록특허 10-0798763 KR 등록특허 10-0873050 KR 등록특허 10-0958292
상기한 종래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 등은 그 장치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를 설치 및 작업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반하여, 정화 효율은 저조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좁은 장소에서도 효율적으로 오염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오염 토양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 토양을 정화할 시에 이상적인 정화 분위기를 조성토록 하여 정화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신속하게 오염 토양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염 토양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오염 토양이 수용 및 정화되는 정화수단; 및 상기 정화수단으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 순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지지 프레임 상에 다단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된 카트; 및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오염 토양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토양수납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기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온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은 서로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통되도록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최상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온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유입관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순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며,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온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배출관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순환기로 온수의 배출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온수 순환기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의 저장 및 상기 정화수단에서 배출된 온수를 회수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온수를 상기 정화 수단으로 공급하는 온수 펌프; 일측이 상기 온수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유입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온수공급관; 및 일측이 상기 온수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배출관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정화수단 내에 수용된 오염 토양으로 산화촉진제, 영양제 및 호기성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자동 살포하기 위한 자동살포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토양수납용기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 또는 세락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내의 바닥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 상에는 방수성 시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내의 바닥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 상에는 방수성 시트가 결합되며, 상기 온수 순환기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의 저장 및 상기 정화수단에서 배출된 온수를 회수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온수를 상기 정화 수단으로 공급하는 온수 펌프와, 일측이 상기 온수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유입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온수공급관 및 일측이 상기 온수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배출관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회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온수공급관 및 상기 온수회수관의 양단은 외부로 노출되고, 중심부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 내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의하면, 오염 토양을 가열하고, 오염 토양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통기성을 증가시킴에 의해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오염된 토양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장비를 운용하는 기존 경작장 규격을 축소하여 공사비 절감 및 인력 절감 등 오염 토양 정화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레이아웃.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토양수납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는 오염된 토양을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파서 뒤집고, 트랙터를 이용하여 뒤집은 오염 토양을 파쇄시킨 후 영양제 또는/및 과산화수소수 또는/및 미생물을 살포한 후 카트(cart)에 다단으로 안치되는 토양수납용기에 토양을 수납하여 통기성이 양호한 조건 하에서 적정의 온도, 산소, 영양 공급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오염 토양의 정화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오염 토양 정화장치(이하 약칭하여 '정화장치'라 한다.)는 프레임과 피복재(3)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 내에 오염 토양을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이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은 자동개폐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고, 또는 수동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통기창이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의 통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우징 내의 바닥은 콘크리트로 형성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토양 정화 시 만약에 발생될 수 있는 침출수의 지중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바닥면에는 방수성 시트 등을 이용하여 방수시공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정화수단은 오염 토양을 다단으로 적치시켜 이동시킨 후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카트 및 상기 카트에 다단으로 안치 가능한 토양수납용기를 구비하고, 카트에 다단으로 적치된 오염 토양의 원활한 통기 및 온도를 미생물이 활성화될 수 있는 적정 여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일러, 온수 펌프 등과 같은 온수 순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설치되는 온수 순환기를 통해 온수를 카트에 다단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카트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오염 토양을 담은 토양수납용기를 하나 이상 안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양수납용기는 전열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금속재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오염 토양 정화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천장이나 측벽 등에는 또한 영양제, 과산화수소수, 미생물을 오염 토양에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자동살포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레이아웃이고, 도 2는 도 1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 중 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 중 토양수납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1)는 하우징(4)과, 정화 수단 및 온수 순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프레임(2) 및 프레임(2)에 결합되어 피복재(3)를 포함한다.
상기 피복재(3)는 하우징(4) 내외를 차단하는 것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되어 하우징(4) 내부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피복재(3)가 프레임(2)에 대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의 경우, 예컨대 프레임(2)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감속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가이드 블럭(미도시) 상에 피복재(3)가 결합되어 상기 감속모터의 정방향 구동 시 하우징(4)의 내부가 개방되고, 감속모터의 역방향 구동 시 하우징(4)의 내부가 폐쇄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하우징(4)의 천장(5) 부분만을 개폐하기 위하여 감속모터(6)의 동력축(7)을 천장(5) 일측을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봇축(8)과 직결시켜 감속모터(6)의 정역구동에 의해 피봇축(8)이 정역방향으로 기동하면서 천장(5)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천장(5) 개폐수단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개폐수단으로 대체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복재(3)에 의한 하우징(4) 내부의 개폐는 상기 하우징(4)이 측면과 상면으로 구성된 경우 측면에서만 일어나게 할 수도 있고, 상면에서만 일어나게 할 수도 있으며, 측면 및 상면 모두에서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수동에 의한 하우징(4) 내의 개폐는 피복재(3)에 복수개의 윈도우(미도시)가 형성되어 윈도우를 열고 닫음에 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바닥은 콘크리트 바닥면(9)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바닥면(9) 상에는 방수성 시트(1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오염 토양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오염된 물이 지중으로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견고한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어 후술하는 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정화수단은 카트(10) 및 토양수납용기(12)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10)는 지지프레임(18a)과, 상기 지지프레임(18a)에 다단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8) 및 지지프레임(18a)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성을 부여하는 캐스터(10a)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8)는 내부에 온수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8) 사이에는 연결관(19b)에 의하여 각각의 온수수용공간이 서로 연통되고, 최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8)에는 내부의 온수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유입관(19)이 형성되며, 최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8)에는 내부의 온수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배출관(19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8)는 온수 순환기로부터 공급된 온수가 최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8)의 온수유입관(19)을 통해 온수수용공간으로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연결관(19b)을 통해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8) 내부를 경유하여 최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8)의 온수배출관(19a)을 통해 배출되어 온수 순환기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온수 순환기로부터 공급된 온수가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8)를 순환하는 동안 베이스 플레이트(18) 상에 안착되는 토양수납용기(12)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토양수납용기(12)는 오염된 토양을 수용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8)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위하여 토양수납용기(12)의 측벽은 망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8)와 상기 토양수납용기(12)는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수 순환기는 오염 토양의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4) 내부나 외부에 배치되며, 보일러(13)와, 온수탱크(14)와, 온수펌프(15)와, 온수공급관(16) 및 온수회수관(16a)을 포함한다.
상기 온수 탱크(14)는 보일러(13)에 연결되어 보일러(13)에서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고, 상기 정화 수단에서 배출된 온수를 회수하여 저장한다.
상기 온수펌프(15)는 온수탱크(14)에 연결되어 온수탱크(14) 내의 온수를 정화 수단으로 공급한다.
상기 온수공급관(16)은 일측이 온수펌프(15)에 연결되고, 타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8)의 온수유입관(19)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온수회수관(16a)은 일측이 온수탱크(14)에 연결되고, 타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8)의 온수배출관(19a)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공급관(16)과 온수회수관(16a)은 일반적인 공장에 설치되는 유틸리티처럼 하우징(4) 내부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온수공급관(16)과 온수회수관(16a)의 양단부는 외부에 노출되고, 중심부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9) 내에 매설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온수공급관(16) 및 온수회수관(16a)에는 온수유입관(19) 및 온수배출관(19a)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 조인트(미도시)가 구비되고, 온수의 공급 및 배출을 단속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온수의 공급 및 배출 단속, 관체의 연결 및 분리수단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터치 니플과 볼 밸브 등과 같은 배관 자재를 사용하여 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온수공급관(16) 및 온수회수관(16a)은 하우징(4) 내부에 카트(10)가 토양 정화를 위해 위치되는 곳에 각각 연결되게 하여 카트(10)의 이동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4) 내부에는 작업자가 카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어야 하며, 통로 양측으로 카트(10)를 정렬하여 위치이동시킨 후 온수공급관(16)과 온수회수관(16a)을 각각 연결 배관토록 한다.
상기 통로는 하우징(4)의 전체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 하기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 양측으로 카트(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배치되어 정화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4) 내에는 정화수단 내에 수용된 오염 토양으로 산화촉진제, 영양제, 호기성 미생물 등을 선택적으로 자동 살포하기 위한 스프링 쿨러 등과 같은 자동살포수단(2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장치(1)는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우선 오염된 토양을 뒤집기, 파쇄 및 산화촉진제, 영양제, 미생물 등을 살포하는 과정부터 살펴 보기로 한다.
석유탄화계(TPH) 오염 물질 분해 성분인 호기성 미생물균의 활성화를 위해 주 1회 하우징(4) 내외에 적치된 오염 토양을 뒤집기 및 산화촉진제 등을 살포한다.
상기 오염 토양 뒤집기 작업은 굴삭기를 사용하여 행하게 되며, 뒤집은 토양을 소정 입자로 파쇄하기 위한 파쇄작업은 트랙터 등을 사용하여 행하게 된다.
오염 토양 뒤집기와 파쇄작업을 행함으로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산소 공급량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뒤집기 및 파쇄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질소, 인 등의 영양제와 과산화수소수(산화촉진제) 등을 살포하여 미생물의 활성화를 유도하게 된다. 이때 토양의 온도가 10℃ 상승시 분해 능력은 약 2배 정도 상승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산화촉진제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2O2 → (H2O+1/2O2+23.45Kcal)+C(TPH, 촉매) → H20 + CO2
상기와 같이 오염 토양을 뒤집기, 파쇄, 미생물 살포, 그리고 미생물에게 공급할 수 있는 영양제와 산화촉진제를 살포 후 오염 토양을 토양수납용기(12)에 담아서 카트(10)에 다단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8)의 상부에 각각 안치한다.
카트(10)에 다단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8) 상부에 토양수납용기(12)가 다수개 안치되면 작업자는 베이스 플레이트(18) 내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온수공급관(16) 및 온수회수관(16a)이 배관 설치된 장소로 이동시켜 온수유입관(19) 및 온수배출관(19a)과 각각 상호 연결 배관시킨 후 밸브를 개방하여 보일러(13)에서 가온된 온수를 온수펌프(15)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8) 내로 공급한다.
온수의 공급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18) 상부에 안치된 토양수납용기(12) 내의 오염 토양 및 하우징(4)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미생물(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이상적인 조건이 조성된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번식하기 위해서는 3대 필수조건으로 온도와 산소, 영양분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본 발명의 하우징(4) 내부에서는 이와 같은 미생물 번식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미생물은 영상 10℃ 이하에서는 미생물 활동이 정지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8)를 통해 하우징(4) 내부 및 토양수납용기(12) 내부에 수납된 오염 토양에는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며, 그로 인해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또한, 카트(10)에 형성된 다단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8)에 적치식으로 오염 토양이 수납된 토양수납용기(12)를 안치하여 오염 토양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시켜 산소 공급량도 최대화하여 결국 오염 토양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정화효율 향상 및 정화기간을 기존 처리과정에 비해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오염 토양정화장치 2: 프레임
3: 피복재 4: 하우징
5: 천장 6: 감속모터
7: 동력축 8: 피봇축
9: 바닥면 10: 카트
10a: 캐스터 11: 방수성 시트
12: 토양수납용기 13: 보일러
14: 온수탱크 15: 온수펌프
16: 온수공급관 16a: 온수회수관
18: 베이스 플레이트 18a: 지지프레임
19: 온수유입관 19a: 온수배출관
24: 자동살포수단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오염 토양이 수용 및 정화되는 정화수단; 및
    상기 정화수단으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 순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지지 프레임 상에 다단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하부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캐스터가 구비된 카트; 및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고, 오염 토양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측면이 망 형상 또는 다공판 형상으로 형성된 토양수납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기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온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은 서로 인접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통되도록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최상부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온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유입관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순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유입 경로를 제공하며,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온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온수배출관이 형성되어 상기 온수 순환기로 온수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토양수납용기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 또는 세락믹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바닥면은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 상에는 방수성 시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 순환기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의 저장 및 상기 정화수단에서 배출된 온수를 회수하는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온수를 상기 정화 수단으로 공급하는 온수 펌프;
    일측이 상기 온수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유입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온수공급관; 및
    일측이 상기 온수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배출관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정화수단 내에 수용된 오염 토양으로 산화촉진제, 영양제 및 호기성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자동 살포하기 위한 자동살포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 순환기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와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의 저장 및 상기 정화수단에서 배출된 온수를 회수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온수를 상기 정화 수단으로 공급하는 온수 펌프와, 일측이 상기 온수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유입관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온수공급관 및 일측이 상기 온수 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배출관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회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온수공급관 및 상기 온수회수관의 양단은 외부로 노출되고, 중심부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 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장치.
KR1020120092171A 2012-08-23 2012-08-23 오염 토양 정화장치 KR101228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71A KR101228068B1 (ko) 2012-08-23 2012-08-23 오염 토양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71A KR101228068B1 (ko) 2012-08-23 2012-08-23 오염 토양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068B1 true KR101228068B1 (ko) 2013-02-06

Family

ID=4789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171A KR101228068B1 (ko) 2012-08-23 2012-08-23 오염 토양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94Y1 (ko) * 2013-11-14 2014-03-19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경작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235U (ja) * 1996-10-28 1997-05-16 株式会社リバーストン 面状発熱体シートを使用した温室ハウス
JP2003340433A (ja) * 2002-05-27 2003-12-02 Kajima Corp 汚染土の室内浄化方法及び装置
KR100978588B1 (ko) * 2010-05-25 2010-08-27 금호기술검사(주) 이동 설치가 가능한 오염토양 고층야적식 정화장치
KR20120051732A (ko) * 2009-07-29 2012-05-22 테라덤 인코포레이티드 오염된 물질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235U (ja) * 1996-10-28 1997-05-16 株式会社リバーストン 面状発熱体シートを使用した温室ハウス
JP2003340433A (ja) * 2002-05-27 2003-12-02 Kajima Corp 汚染土の室内浄化方法及び装置
KR20120051732A (ko) * 2009-07-29 2012-05-22 테라덤 인코포레이티드 오염된 물질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78588B1 (ko) * 2010-05-25 2010-08-27 금호기술검사(주) 이동 설치가 가능한 오염토양 고층야적식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94Y1 (ko) * 2013-11-14 2014-03-19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경작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7369B (zh) 异位修复具有挥发性有机污染土壤的系统和处理方法
CN106966513A (zh) 一种远程遥控式水体原位修复装置
CN103170497B (zh) 轻质油污染非饱和带土壤的原位修复装置和方法
CN105234164A (zh) 一种有机污染土壤的异位生物堆气相抽提/生物通风修复装置和方法
EP26707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microbiological processes
JP3728510B2 (ja) 土壌汚染対策方法および土壌汚染対策システム
KR100798763B1 (ko) 유류오염 토양정화를 위한 지중 열탈착 방법과 장치
KR20070118380A (ko) 수평배관을 이용한 감/가압 조절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유류 및 유기물 오염의 동시 지중정화방법
JP4408088B2 (ja) 浄化装置を備えたトンネル及びトンネル内の汚染ガスの浄化方法
KR101157343B1 (ko) 복합토양경작장치
KR101228068B1 (ko) 오염 토양 정화장치
KR101691425B1 (ko) 유류오염 지하수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복합정화시스템
KR100978588B1 (ko) 이동 설치가 가능한 오염토양 고층야적식 정화장치
KR20100131677A (ko) 오염 토양 및 지하수의 통합정화장치 및 그 통합정화방법
CN210915496U (zh) 地下水中挥发性有机物修复系统
CN210010306U (zh) 移动式集成土壤修复系统
SI22156A (sl) Ciscenje tal in sedimentov z uporabo pospesene oksidacije
CN208166736U (zh) 一种地下水中挥发性有机污染物修复系统
CN213645358U (zh) 土壤修复系统和土壤施工系统
CN212375276U (zh) 一种厌氧菌采植装置及储菌器
CN211613800U (zh) 一种撬装式热强化与土壤气相抽提耦合系统
CN113732031A (zh) 土壤修复系统和土壤施工系统
JP2004188332A (ja) 汚染土壌の水循環式生物浄化方法及び装置
CN110563126A (zh) 地下水中挥发性有机物修复系统及修复方法
CN205856037U (zh) 一种用于连续处理地下水中挥发性有机物成套设备中的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