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562B1 - 방수 전선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전선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562B1
KR101227562B1 KR1020110076012A KR20110076012A KR101227562B1 KR 101227562 B1 KR101227562 B1 KR 101227562B1 KR 1020110076012 A KR1020110076012 A KR 1020110076012A KR 20110076012 A KR20110076012 A KR 20110076012A KR 101227562 B1 KR101227562 B1 KR 10122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wire
electrode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성균
Original Assignee
은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균 filed Critical 은성균
Priority to KR102011007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방수기능을 가지는 전선 연결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장치는 플러그와, 콘센트와, 플러그와 콘센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기계적 체결수단를 포함한다. 플러그와 콘센트가 결합될 때 플러그의 전극봉 둘레에 갇힌공간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와 테두리부 내에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갇힌공간을 꽉 채워짐으로써 수밀동작을 수행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방수기능을 갖고 결합상태가 견고한 전선 연결 구조가 구현된다.

Description

방수 전선 연결 장치 {WATER PROOFING ELECTRIC WIRE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연결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기능이 부여된 전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 수족관, 게임기, 냉장고 등과 같이 실외에 설치되어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들이 최근에 늘어나고 있다. 이들 장치는 본체에 연결된 전선이 비교적 짧은 편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콘센트를 2개 내지 3개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며, 특히 콘센트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우천 시에 물이 스며들어 누전이 발생하게 되어 감전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임시방편으로 비닐봉지 등으로 감싸고 있지만, 견고하지 못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이 못되었다.
따라서 실외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갖춘 새로운 전선 연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기능을 가지는 전선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는 방수 전선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견고하게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방수 전선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수기능을 가지는 전선을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제1전선측에 설치되어 제1전선과 연결된 전극봉을 노출하고, 외둘레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플러그; 제2전선측에 설치되고 제2전선과 연결된 콘센트홀 부재를 구비하는 콘센트; 상기 콘센트 둘레에 끼워진 결합캡으로서, 내주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콘센트 둘레에 끼워지되,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캡;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 둘레와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홀 둘레 중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봉과 콘센트홀의 상호 결합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 사이에 갇힌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갇힌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봉과 콘센트홀의 상호 결합시에 변형되면서 상기 갇힌공간에서 팽창하여 수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전극봉 둘레에 형성되는 제1테두리와, 상기 콘센트의 상기 콘센트 홀 둘레에 형성되는 제2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테두리와 상기 제2테두리는 상기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결합 시에 상호 밀착하여 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전극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플러그 외피; 상기 플러그 외피 내에 꽉차도록 압입되어 상기 플러그 외피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전선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플러그 외피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선과 연결된 전극봉을 지지하는 전극봉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콘센트 외피; 상기 콘센트 외피 내에 꽉차도록 압입되어 상기 콘센트 외피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전선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 및 상기 콘센트 외피에 삽입되어 상기 제2전선과 연결된 콘센트홀 부재를 지지하는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수 전선 연결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플러그; 콘센트; 및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기계적 체결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가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 둘레에 갇힌공간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 내에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갇힌공간을 꽉 채워짐으로써 수밀동작을 수행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기능을 가지는 전선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선 연결 장치는 또한 나사결합을 통한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나 실외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실외장치에 적용될 경우에 기존에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누전 및 감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전선 연결 장치에 마개부재를 결합시킨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연결 장치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플러그/콘센트 방식의 장치이다. 이러한 방수 기능은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갇힌공간을 제공하고 그 공간에 압축되어 변형되는 탄성체를 배치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탄성체는 갇힌공간 내에서 압축 변형되면서 측방향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완벽한 방수 및 절연을 실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수 전선 연결 장치는 플러그(1), 콘센트(2), 및 플러그(1)와 콘센트(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기계적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플러그(1)와 콘센트(2)가 결합될 때 플러그(1)의 전극봉(12) 둘레에 갇힌공간(S)을 제공하는 테두리부(13)와 테두리부(13) 내에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갇힌공간(S)을 꽉 채워짐으로써 수밀동작을 수행하는 탄성체(3)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체(3)는 고무, 고무겔, 실리콘, 등과 같은 겔형 재질일 수 있으며, 변형성이 클수록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성체(3)가 2개의 전극봉이 관통하는 관통홀(31)을 가짐으로써 결합시에 전극봉(12)을 둘러싸게 되어 완벽하게 절연을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수 전선 연결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1)와 콘센트(2)가 미리 제작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장에서 2개의 전선을 연결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방수 전선 연결 장치는 제1전선(4) 측에 설치되어 제1전선(4)과 연결된 전극봉(12)을 노출하고, 외둘레에 제1나사부(17)가 형성된 플러그(1) 몸체를 포함한다. 제1전선(4)과 전극봉(12)의 연결은 통상의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를테면, 전극봉(12)에 나사홀을 형성하여 전선을 각각 돌려 감은 뒤에 나사를 조여서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전극봉(12)의 단부에 전선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고 그 부위에 전선을 끼운 뒤에 압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전선(5) 측에 설치되고 제2전선(5)과 연결된 콘센트홀 부재(22)를 구비하는 콘센트(2) 몸체를 포함한다. 콘센트홀 부재(22)와 제2전선(5)의 연결 역시 위에서 설명한 플러그(1)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콘센트(2) 몸체 둘레에 끼워지는 결합캡(6)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캡(6)이 플러그(1) 콘센트(2)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결합을 할 때 기계적인 체결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캡(6)은 내주면에 제2나사부(61)가 형성되는 마개형으로서, 콘센트(2) 몸체가 끼워지도록 구멍(62)이 형성되고 콘센트(2)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33)과 대응하는 걸림턱(63)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의 결합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의 제1나사부(17)와 제2나사부(61)가 나사결합될 때 플러그(1) 몸체와 콘센트(2) 몸체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계적 결합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탄성체(3)를 압박하게 되어 탄성체(3)가 갇힌공간(S)에 꽉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갇힌공간(S)은 테두리부(13)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테두리부(13)는 플러그(1) 몸체나 콘센트(2) 몸체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양쪽 모두에 설치되는 형태를 예로 들었다. 도면을 참조하여, 플러그(1) 몸체의 전극봉(12) 둘레와 콘센트(2) 몸체의 콘센트홀(331) 둘레에 각각 제1 및 제2테두리(131, 132)가 형성됨으로써, 결합될 때 갇힌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테두리부(13)의 제1테두리(131)와 제2테두리(132)는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플러그(1)와 콘센트(2)가 결합될 때, 상호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동일한 형상과 비슷한 사이즈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현장에서 직접 조립을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플러그(1) 몸체는 아래의 설명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러그(1) 몸체는 제1전선(4)의 단부가 삽입되는 플러그 외피(11)와, 그 속에 삽입되는 제1실링부재(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링부재(14)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플러그 외피(11) 내부를 꽉 채우도록 압입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14)는 또한 제1전선(4)이 통과하는 구멍을 구비하여 플러그 외피(11) 내에서 제1전선(4)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외피(11)의 앞쪽에는 전극봉 지지체(15)가 삽입된다. 이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반형으로 구현되고 측면부위에 그루브형 홈(15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그루브형 홈(151)은 앞쪽에서 전극봉 지지체(15)를 플러그 외피(11) 내에 삽입할 때 플러그 외피(11) 내부에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6)가 안내되어 삽입이 이루어진다. 삽입된 뒤에 전극봉 지지체(15)를 돌리면 걸림돌기(16)에 전극봉 지지체(15)가 걸려서 고정된다.
콘센트(2) 몸체는 제2전선(5)의 단부가 삽입되는 콘센트 외피(21)와, 콘센트 외피(21) 내에 꽉차도록 압입되어 콘센트 외피(21) 내에 위치하는 제1전선(4)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실링부재(24)와, 콘센트 외피(21)에 삽입되어 제2전선(5)과 연결된 콘센트홀 부재(22)를 지지하는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25)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콘센트 외피(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6)가 형성되고,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25)에는 그루브형 홈(251)이 형성되어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25)를 콘센트 외피(21)에 삽입할 때 걸림돌기(26)가 그루브형 홈(251)에 안내된다. 삽입된 후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25)를 돌리면 걸림돌기(26)에 걸려서 고정된다.
전극봉 지지체(15)와 전극봉(12)은 일체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고,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25)와 콘센트홀 부재(22)도 일체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플러그(1)를 조립하는 방법은 제1전선(4)을 플러그 외피(11)와 제1실링부재(14)로 관통시킨 후, 전극봉(12)에 결합시킨다. 이어, 제1실링부재(14)와 전극봉 지지체(15)를 플러그 외피(11)에 삽입한다.
콘센트(2)를 조립하는 방법도 마찬가지로, 제2전선(5)을 콘센트 외피(21)와 제2실링부재(24)로 관통시킨 후, 콘센트홀 부재(22)에 결합시킨다. 이어, 제2실링부재(24)와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25)를 콘센트 외피(21)에 삽입한다.
플러그(1)와 콘센트(2)의 연결은 전극봉(12)에 탄성체(3)의 관통홀(31)에 삽입하고, 탄성체(3)가 제1테두리(131) 안쪽에 위치하도록 밀어 넣는다. 이어, 전극봉(12)을 콘센트홀에 삽입하고 결합캡(6)을 돌려서 제1나사부(17)와 제2나사부(61)를 결합시킨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부재(7)를 결합하여 두면 오물이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부재(8)를 콘센트(2)에도 채울 경우에는 탄성체(3)를 넣어서 채우게 되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방수 및 방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플러그, 2: 콘센트, 3: 탄성체, 4: 제1전선, 5: 제2전선,
6: 결합캡, 7, 8: 마개, 11: 플러그 외피, 12: 전극봉,
13: 테두리부, 14: 제1실링부재, 15: 전극봉 지지체,
16, 26: 걸림돌기, 17: 제1나사부, 21: 콘센트 외피,
22: 콘센트홀 부재, 24: 제2실링부재, 25: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
31: 관통홀, 33, 63: 걸림턱, 61: 제2나사부, 62: 구멍,
S: 갇힌공간

Claims (6)

  1. 전선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제1전선측에 설치되어 제1전선과 연결된 전극봉을 노출하고, 외둘레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플러그;
    제2전선측에 설치되고 제2전선과 연결된 콘센트홀 부재를 구비하는 콘센트;
    상기 콘센트 둘레에 끼워진 결합캡으로서, 내주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콘센트 둘레에 끼워지되,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부와 체결되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캡;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 둘레와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홀 둘레 중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봉과 콘센트홀의 상호 결합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 사이에 갇힌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갇힌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봉과 콘센트홀의 상호 결합시에 변형되면서 상기 갇힌공간에서 팽창하여 수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방수 전선 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전극봉 둘레에 형성되는 제1테두리와,
    상기 콘센트의 상기 콘센트 홀 둘레에 형성되는 제2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테두리와 상기 제2테두리는 상기 전극봉과 콘센트홀의 상호 결합시에 상호 밀착하여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인,
    방수 전선 연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전극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인,
    방수 전선 연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제1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플러그 외피;
    상기 플러그 외피 내에 압입되어 상기 플러그 외피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전선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플러그 외피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전선과 연결된 전극봉을 지지하는 전극봉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수 전선 연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2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콘센트 외피;
    상기 콘센트 외피 내에 압입되어 상기 콘센트 외피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전선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 및
    상기 플러그 외피에 삽입되어 상기 제2전선과 연결된 콘센트홀 부재를 지지하는 콘센트홀 부재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수 전선 연결 장치.
  6. 방수 전선 연결 장치로서:
    플러그;
    콘센트; 및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기계적 체결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가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의 전극봉 둘레에 갇힌공간을 제공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 내에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갇힌공간에서 팽창하여 채워짐으로써 수밀동작을 수행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방수 전선 연결 장치.
KR1020110076012A 2011-07-29 2011-07-29 방수 전선 연결 장치 KR10122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12A KR101227562B1 (ko) 2011-07-29 2011-07-29 방수 전선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12A KR101227562B1 (ko) 2011-07-29 2011-07-29 방수 전선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562B1 true KR101227562B1 (ko) 2013-01-29

Family

ID=4784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12A KR101227562B1 (ko) 2011-07-29 2011-07-29 방수 전선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6328A (zh) * 2013-12-05 2014-04-23 铸神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防水接线器及其接线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576U (ja) 1982-03-02 1983-09-05 株式会社ジユピタ−電通 水中着脱用コネクタ
KR200373023Y1 (ko) 2004-10-06 2005-01-14 강규섭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의 방수장치
KR200392268Y1 (ko) 2005-05-24 2005-08-19 전성국 씨씨티비용 방수 케이블 커넥터
KR20080034854A (ko) * 2005-07-12 2008-04-22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폭발 방지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576U (ja) 1982-03-02 1983-09-05 株式会社ジユピタ−電通 水中着脱用コネクタ
KR200373023Y1 (ko) 2004-10-06 2005-01-14 강규섭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의 방수장치
KR200392268Y1 (ko) 2005-05-24 2005-08-19 전성국 씨씨티비용 방수 케이블 커넥터
KR20080034854A (ko) * 2005-07-12 2008-04-22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폭발 방지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6328A (zh) * 2013-12-05 2014-04-23 铸神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防水接线器及其接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503U (ja) 防水コネク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防水カバー
US9437940B1 (en) Terminal block connector
US9099815B2 (en) Device connector with heat-radiating rubber heat bridge between heat generating component and connector housing
US9653895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US20150180159A1 (en) Seal used for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30129159A (ko) 방수콘센트
US20150318637A1 (en) Car charging connector
CN103683145A (zh) 一种接线盒
JP6619812B2 (ja) 可撓性導体膜用のプラグコネクタ
CN203722163U (zh) 一种接线盒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KR101227562B1 (ko) 방수 전선 연결 장치
JP5889901B2 (ja) 取付・メンテナンスしやすい防水ソケット・プラグアセンブリ
KR102277839B1 (ko) 고전압 커넥터
CN107046204B (zh) 一种接线器
KR101423948B1 (ko)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JP2004254478A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3232368A (ja) シールドシェルの固定構造
CN208955286U (zh) 连接器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CN216216750U (zh) 光伏组件关断器
EP2689505B1 (en) Shield shell and shield shell attachment structure
KR20160053746A (ko) 오디오 잭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CN203607345U (zh) 插头式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