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147B1 -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147B1
KR101227147B1 KR1020100105348A KR20100105348A KR101227147B1 KR 101227147 B1 KR101227147 B1 KR 101227147B1 KR 1020100105348 A KR1020100105348 A KR 1020100105348A KR 20100105348 A KR20100105348 A KR 20100105348A KR 101227147 B1 KR101227147 B1 KR 10122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midsole
wat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003A (ko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김혜경
(주) 씨투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주) 씨투에이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10010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1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드솔의 상면에 신발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모이게 하는 물모임홈부가 형성되고 그 물모임홈부의 대응하는 미드솔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로 모이는 물이 하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장치를 설치하되, 그 배수장치의 배수관 하단부에는 체크밸브형 개폐변을 설치하고, 그 배수장치에 대응하는 아웃솔에는 배수장치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이 아웃솔의 하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서, 신발의 내측에 유입되는 물이 배수장치와 아웃솔의 배수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수되고, 아웃솔 하측의 물은 역류되지 못하여 신발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에 갑피(10)가 부착되는 미드솔(30)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33,34)의 사이에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32)에 대응하는 미드솔(30)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32)와 배수구(31)에 의해 통하는 배수장치삽입홈(35)이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갑피(10)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20)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30)의 상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2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장치삽입홈(35)에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형 지지벽(42)의 내부에 상기 미드솔(30)의 배수구(31)와 통하는 배수관(44)이 하향 형성되며, 이 배수관(44)의 하단부에는 배수관(44)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45)이 형성된 배수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미드솔(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50)에는 배수장치(40)의 공간부(4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51)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Shoes with water drain device}
본 발명은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드솔의 상면에 신발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모이게 하는 물모임홈부가 형성되고 그 물모임홈부의 대응하는 미드솔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로 모이는 물이 하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장치를 설치하되, 그 배수장치의 배수관 하단부에는 체크밸브형 개폐변을 설치하고, 그 배수장치에 대응하는 아웃솔에는 배수장치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이 아웃솔의 하측으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서, 신발의 내측에 유입되는 물이 배수장치와 아웃솔의 배수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수되고, 아웃솔 하측의 물은 역류되지 못하여 신발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고안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2-1878호(저부에 배수기능을 구비한 신발)의 공보에 개재되어 공개되어 있으며, 그 기술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다.
위의 종래고안은 그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저부의 저면에 상면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따라 복수의 배수공이 직렬로 뚫려있고, 배수공양측에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배수홈을 형성한 중저부(미드솔)를 접착하고, 중저부의 저면에는 중저부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배수공이 직렬로 뚫려있고, 배수공의 하부양측에 각각 바깥쪽을 향하는 배수홈을 형성한 하저부(아웃솔)를 접착고정하여 신발의 저부를 구성하고, 이 신발 저부의 상면에 표면(갑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신발 안쪽의 유입된 물이 신발창의 상측부터 하저부까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신발창의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겠으나, 이는 역류를 막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종래고안의 신발을 신고 물이 있는 곳에 있게 되면, 그 물이 상측부터 하측까지 통하게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신발의 안쪽으로 스며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의 안쪽에서부터 신발의 바닥면 외측까지 물이 새어나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되, 신발 외측의 물이 신발의 안쪽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형태의 개폐변을 구비함으로서, 신발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물을 신발의 바닥면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수되고, 반대로 신발외측의 물은 신발의 안쪽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에 갑피가 부착되는 미드솔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의 사이에 물모임홈부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에 대응하는 미드솔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와 배수구에 의해 통하는 배수장치삽입홈이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갑피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의 상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장치삽입홈에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형 지지벽의 내부에 상기 미드솔의 배수구와 통하는 배수관이 하향 형성되며, 이 배수관의 하단부에는 배수관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이 형성된 배수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미드솔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에는 배수장치의 공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은, 신발창에 배수수단을 구비하되, 신발의 안쪽에 물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걸음을 걸을 때는 신발 안쪽의 물이 인솔의 배수구부터 미드솔의 물모임홈부, 배수장치의 배수관, 그리고 아웃솔의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게 되고, 발등이 잠길 정도로 물이 있는 곳을 걸을 때에는 배수장치의 배수관 하측에 설치된 얇은 고무막으로 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에 의해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서는 갑피(10)의 하측에 인솔(20)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도 2 및 4에서는 인솔(20)이 갑피(10)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도면이 불일치할 것이나, 이는 인솔(20)의 구조 및 형상을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인솔(20)을 갑피(10)의 하측에 도시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측에 갑피(10)가 부착되는 미드솔(30)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33,34)의 사이에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32)에 대응하는 미드솔(30)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32)와 배수구(31)에 의해 통하는 배수장치삽입홈(35)이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갑피(10)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20)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30)의 상면에 형성된 전후방배수로(33,34)와 물모임홈부(32)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2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장치삽입홈(3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장치(40)가 설치되는데, 이 배수장치(4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방이 개방된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외벽(41)의 내부에 지지벽(4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 지지벽(42)의 내벽에는 보강리브(43)를 형성하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벽(42)의 네 변 가운데에 각각의 보강리브(43)가 지지벽(42)과 동일한 높이로 지지벽(42)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벽(41)과 지지벽(42)을 도면에 도시한 사각형은 물론이고 원형,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벽(42) 내측의 공간부(46)에는 미드솔(30)의 배수구(31)와 통하는 배수관(44)이 하향 형성되며, 이 배수관(44)의 하단부에는 배수관(44)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45)이 형성된 배수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미드솔(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50)에는 배수장치(40)의 공간부(4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5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44)의 하단부와 아웃솔(50)의 상면사이에 개폐변(45)이 상하로 작동될 만큼의 간격을 두도록 배수관(44) 보다 길며 개폐변(45)과는 동일한 높이로 보강리브(43)가 형성되고, 각각의 배수관(44)이 내측 중간에 보강리브(43)를 형성한 지지벽(42)의 네 모서리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착용자가 지면을 딛을 때에도 개폐변(45)은 배수관(44)의 하단부와 아웃솔(50)의 상면사이에서 압착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46)에 대응하는 아웃솔(50)의 상면에는 공간부(46)내로 끼워지는 밀폐돌기(52)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일, 이실시예가 다른 점은 일실시예에서는 배수장치(40)가 별도로 제작되어 공간부(46)에 설치되나, 이실시예는 상기 배수장치(40)의 기능을 하는 배수장치부가 미드솔(3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점이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이실시예를 설명할 때,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도면을 추가로 도시하지 않고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이 포함된 도 1 및 도 5를 함께 참고하여 설명한다.
즉, 이실시예의 본 발명은 도 1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 갑피(10)가 부착되는 미드솔(30)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33,34)의 사이에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32)에 대응하는 미드솔(30)의 저면에는 하방이 개방되는 공간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갑피(10)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20)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30)의 상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2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6a)에는 물모임홈부(32)와 배수구(31)에 의해 통하는 배수관(44)이 하향 형성되며, 이 배수관(44)의 하단부에는 배수관(44)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50)에는 공간부(46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5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46a)의 내벽면에는 보강리브(43)가 내벽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이실시예에서 보강리브(43)가 형성되는 공간부(46a)의 내벽면 외측에 둘레홈(47)을 형성하여 둘레홈(47)과 공간부(46a)의 사이에 형성되는 벽체를 지지벽(42)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46a)에 대응하는 아웃솔(50)의 상면에는 둘레홈(47)으로 끼워지는 밀폐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돌기(52)가 공간부(46a)내로 끼워지게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품 중에 갑피(10)는 방수소재를 적용하여 갑피(10)를 통하여 신발의 안쪽으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신발의 안쪽으로 물기가 유입되게 되면, 그 물기는 발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인솔(20) 상면에 그 인솔(20)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21)를 통하여 인솔(20)의 하측으로 배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솔(20)의 하측에는 미드솔(3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미드솔(30)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전후방배수로(33,34)가 형성되고, 전후방배수로(33,34)의 사이에는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되어서 인솔(20)의 배수구(21)를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려가는 물은 전후방배수로(33,34)와 물모임홈부(32)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전후방배수로(33,34)로 흘러들어온 물은 물모임홈부(32)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물모임홈부(32)로 모인 물은 물모임홈부(32)의 바닥에 하향 형성된 배수구(31)의 하측으로 배수되게 되는데, 물모임홈부(32)와 대응되는 미드솔(30)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장치(40)의 배수관(44)이 배수관(44) 상측의 배수구(31)와 통하게 형성되어서 미드솔(30)의 배수구(31)로 흘러내려오는 물은 배수관(44)으로 흘러내려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신발 밑바닥이 지면을 딛게 되면 착용자의 발에 신발창이 전체적으로 밟히게 되는데, 이때는 인솔(20)과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된 미드솔(30)의 상측부분, 그리고 배수장치(40)의 상측 부분이 압축되게 되면서 그들에 서로 통하게 형성된 인솔(20)의 배수구(21)에서부터 물모임홈부(32), 미드솔(30)의 배수구(31), 그리고 배수관(44)의 내측 공간까지 차있던 공기가 하측으로 밀려나가면서 그 압력에 의해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되며 배수관(44)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폐변(45)을 열어서 배수관(44)에 까지 흘러내려온 물이 배수관(44)의 하측으로 배수되게 된다.
이렇게 배수관(44)의 하측으로 배수되는 물은 공간부(46)으로 흘러내려오게 되고, 뒤이어 공간부(46)과 통하는 아웃솔(50)의 배수구(51)를 통하여 신발의 외측으로 물이 배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신발의 안쪽에 물이 들어와 있는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발이 지면과 이격되어 허공으로 들려올라갈 때에도 신발 안쪽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는 발이 허공에 들리게 되면 신발창을 발바닥으로 밟던 동작이 해제되어 압축상태가 해제되나, 신발 안쪽의 물이 인솔(20)의 배수구(21)에서부터 물모임홈부(32), 미드솔(30)의 배수구(31), 그리고 배수관(44)의 내측까지 하측방향으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상기 배수관(44)의 내측까지 흘러내려가는 물의 무게에 의해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된 개폐변(45)이 하측으로 열리면서 공간부(46) 내로 물이 배수되게 되고, 뒤이어 공간부(46)와 통하는 아웃솔(50)의 배수구(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발이 지면을 밟아서 신발창 전체가 압축되는 과정에서도 배수관(44)은 압축되지 않도록 그 치수를 압축에 고려하여 형성하며, 배수관(44)이 압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공간부(46) 내측의 지지벽(42) 내부에 보강리브(43)를 배수관(44) 보다 길이가 길며 지지벽(42)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여 배수관(44)가 압축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배수장치(40)의 하측둘레부와 접촉하는 아웃솔(50)의 상면은 밀폐돌기(52)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 설치되어서 배수장치(40) 외측에서의 아웃솔(50)과 미드솔(30)의 접착부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예방하여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을 착용하고 신발의 발등정도가 잠길 정도의 물이 있는 곳을 걸어갈 때에는 아웃솔(50)의 하측에 형성된 배수구(51)를 통하여 배수장치(40)의 공간부(46) 내로 물이 유입되게 되나,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된 체크밸브형 개폐변(45)가 배수구(51)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들려 올라가면서 배수관(44)의 하부를 막게 된다.
이렇게 배수구(51)를 통하여 배수장치(4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이 개폐변(45)를 들어올려 배수관(44)의 하단부를 막음에 따라 신발 외측의 물이 배수관(44)을 통하여 신발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경우도 위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이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 갑피 20 : 인솔 21 : 배수구
30 : 미드솔 31 : 배수구 32 : 물모임홈부
33 : 전방배수로 34 : 후방배수로 35 : 배수장치삽입홈
40 : 배수장치 41 : 외벽 42 : 지지벽
43 : 보강리브 44 : 배수관 45 : 개폐변
46 : 공간부 47 : 둘레홈 50 : 아웃솔
51 : 배수구 52 : 밀폐돌기

Claims (3)

  1. 상측에 갑피(10)가 부착되는 미드솔(30)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33,34)의 사이에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32)에 대응하는 미드솔(30)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32)와 배수구(31)에 의해 통하는 배수장치삽입홈(35)이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갑피(10)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20)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30)의 상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2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장치삽입홈(35)에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형 지지벽(42)의 내부에 상기 미드솔(30)의 배수구(31)와 통하는 배수관(44)이 하향 형성되며, 이 배수관(44)의 하단부에는 배수관(44)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45)이 형성된 배수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미드솔(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50)에는 배수장치(40)의 공간부(4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51)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2. 상측에 갑피(10)가 부착되는 미드솔(30)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33,34)의 사이에 물모임홈부(32)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32)에 대응하는 미드솔(30)의 저면에는 하방이 개방되는 공간부(46a)가 형성되며,
    상기 갑피(10)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20)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30)의 상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2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6a)에는 물모임홈부(32)와 배수구(31)에 의해 통하는 배수관(44)이 하향 형성되며, 이 배수관(44)의 하단부에는 배수관(44)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45)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50)에는 공간부(46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51)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46,46a)의 내벽면에는 보강리브(43)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44)의 하단부와 아웃솔(50)의 상면사이에 개폐변(45)이 상하로 작동될 만큼의 간격을 두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6,46a)에 대응하는 아웃솔(50)의 상면에는 공간부(46,46a)내로 끼워지는 밀폐돌기(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KR1020100105348A 2010-10-27 2010-10-27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KR10122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48A KR101227147B1 (ko) 2010-10-27 2010-10-27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48A KR101227147B1 (ko) 2010-10-27 2010-10-27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03A KR20120044003A (ko) 2012-05-07
KR101227147B1 true KR101227147B1 (ko) 2013-01-28

Family

ID=4626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48A KR101227147B1 (ko) 2010-10-27 2010-10-27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287A (ko) 2014-10-07 2016-04-18 씨투에이글로비즈 주식회사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KR20220150712A (ko) * 2021-05-04 2022-11-11 정일훈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신발용 밑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002U (ko) 1984-11-07 1986-06-05
JPS628702A (ja) 1985-07-03 1987-01-16 椎原 武法 冷暖装置付き靴及びその装置
KR920001878U (ko) * 1990-07-12 1992-02-24 진석휘 저부에 배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KR20030031374A (ko) * 2001-10-15 2003-04-21 이재명 중창을 이용한 신발용 통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002U (ko) 1984-11-07 1986-06-05
JPS628702A (ja) 1985-07-03 1987-01-16 椎原 武法 冷暖装置付き靴及びその装置
KR920001878U (ko) * 1990-07-12 1992-02-24 진석휘 저부에 배수기능을 구비한 신발
KR20030031374A (ko) * 2001-10-15 2003-04-21 이재명 중창을 이용한 신발용 통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287A (ko) 2014-10-07 2016-04-18 씨투에이글로비즈 주식회사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KR20220150712A (ko) * 2021-05-04 2022-11-11 정일훈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신발용 밑창
KR102542863B1 (ko) * 2021-05-04 2023-06-12 정일훈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신발용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03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0324C2 (ru) Верх для ботинок с перфорированной подошвой, подлежащий прикреплению к вентилируемым или пропускающим испарения низам
DK2611321T3 (en) VENTILATED SOLE ELEMENT FOR A SHOE AND A SINGLE UNIT AND A WATERPROOF, BREATHABLE SHOE, INCLUDING THIS
EP0910964A2 (en) Vapor permeable shoe with improved transpiration action
KR101227147B1 (ko)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JP2006521871A (ja) 通気口が形成された靴
KR101873916B1 (ko)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KR100564792B1 (ko)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KR20060094827A (ko) 내부 공기가 배출 통풍되는 구두
UA123311C2 (uk) Водонепроникна та паропроникна підошва для взуття
KR101720729B1 (ko)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KR100996943B1 (ko) 통풍 구조를 갖는 신발
CN213029960U (zh) 一种运动鞋
CN210929862U (zh) 一种排水拖鞋
KR102542863B1 (ko)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신발용 밑창
EP2514330B1 (en) A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CN213695907U (zh) 一种透气筒靴
KR200357916Y1 (ko) 신발
JP4463585B2 (ja) 通気性を改善した靴
CN216493750U (zh) 一种石墨烯高分子复合材料柔软运动鞋
CN209825356U (zh) 休闲鞋
CN210901616U (zh) 一种浴室用的防滴水拖鞋
JP3117967U (ja) 通気機能付靴
JP2006081580A (ja) 履物の通気構造
KR200440638Y1 (ko) 공기순환 중창을 이용한 신발
KR100526294B1 (ko) 통풍고어텍스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