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29B1 -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 Google Patents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29B1
KR101720729B1 KR1020140134897A KR20140134897A KR101720729B1 KR 101720729 B1 KR101720729 B1 KR 101720729B1 KR 1020140134897 A KR1020140134897 A KR 1020140134897A KR 20140134897 A KR20140134897 A KR 20140134897A KR 101720729 B1 KR101720729 B1 KR 10172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midsole
hol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287A (ko
Inventor
이다함
Original Assignee
씨투에이글로비즈 주식회사
이다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투에이글로비즈 주식회사, 이다함 filed Critical 씨투에이글로비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pumping mean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내측으로 들어 간 물이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물모임홈부에 모이도록 하여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신축챔버가 밟힐 때마다 신축챔버가 집중적으로 압축되게 되고, 그렇게 집중적으로 압축되는 압력에 의해 칼집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신발의 안쪽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에 갑피(10)가 설치되는 미드솔(40)의 전방측 저부에 상하로 개방되는 물모임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40)의 상면에는 물모임부(41)에 대응하는 부분에 통공(31)이 형성되며 통공(31)에 메시(32)가 설치된 인솔보드(30)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메시(32)의 저면에는 신축챔버(42)의 상면을 아래로 눌러주는 누름구(33)가 설치되고, 상기 인솔보드(30)의 상측에는 인솔보드(30)의 메시(32)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개의 배수구멍(21)이 형성된 인솔(2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미드솔(4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아웃솔(50)의 전방 상면에는 미드솔(40)의 물모임부(41) 하부로 상향 끼움되는 챔버지지테(51)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챔버지지테(51) 내부에는 상측에 유입구멍(43)이 형성된 신축챔버(42)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신축챔버(42)가 설치된 아웃솔(50)의 하방에 형성된 요홈 형태의 개폐공간(54)의 내측 가운데에 하단부가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뾰족한 부분에 칼집절개부(53)를 형성된 개폐변(52)이 구비되고, 상기 인솔보드(30)에 형성된 통공(31)의 내측변과 누름구(33)의 외측변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간격(c)과, 상기 누름구(33)와 신축챔버(42)의 상면 사이에는 신축챔버(42)가 비압축시에 물모임부(41) 내의 물이 신축챔버(42) 내로 유입되는 틈새(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Shoes with water drain device}
본 발명은 신발의 내측으로 들어 간 물이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뼈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미드솔의 전방 저부에 물모임홈부를 형성하여 신발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물모임홈부에 모이도록 하며, 물모임부의 내측에는 발에 밟히어 압축되는 신축챔버를 설치하며, 신축챔버 하방의 아웃솔에는 신축챔버가 압축되면서 집중되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칼집절개부를 구비한 개폐변을 설치함으로써,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신축챔버가 밟힐 때마다 신축챔버가 집중적으로 압축되게 되고, 그렇게 집중적으로 압축되는 압력에 의해 칼집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신발의 안쪽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이 특허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바가 있으며, 이 선등록된 종래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10-1227147)된 것으로 그 기술내용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상측에 갑피가 부착되는 미드솔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배수로의 사이에 물모임홈부가 형성되고, 이 물모임홈부에 대응하는 미드솔의 저면에는 물모임홈부와 배수구에 의해 통하는 배수장치삽입홈이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갑피 안쪽에 설치되는 인솔에는 신발 안쪽의 물이 미드솔의 상면으로 배수되게 하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장치삽입홈에는 하방이 개방된 함체형 지지벽의 내부에 상기 미드솔의 배수구와 통하는 배수관이 하향 형성되며, 이배수관의 하단부에는 배수관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체크밸브형 개폐변이 형성된 배수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미드솔의 저면에 설치되는 아웃솔에는 배수장치의 공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에서의 배수과정은 신발 밑바닥이 지면을 딛게 되면 착용자의 발에 신발창이 전체적으로 밟히게 된다.
이때는 인솔과 물모임홈부가 형성된 미드솔의 상측부분, 그리고 배수장치의 상측 부분이 압축되게 되면서 그들에 서로 통하게 형성된 인솔의 배수구에서부터 물모임홈부, 미드솔의 배수구, 그리고 배수관의 내측 공간까지 차있던 공기가 하측으로 밀려나가면서 그 압력에 의해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되며 배수관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폐변을 열어서 배수관에 까지 흘러내려온 물이 배수관의 하측으로 배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압축되는 부분의 면적이 넓어서 발에 밟힐 때 압축되는 압력이 되는 압력이 강하지 못한 상태에서 고무막으로 형성된 개폐변이 수개(4개)가 설치되어서 수개의 개폐변으로 배출압력이 집중하지 못하게 되어 개폐변을 정확하게 개폐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와, 신발의 구조상 개폐변과 아웃솔의 배수구가 근접하게 설치되어서 개폐변의 개방각도가 좁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좁은 각도로 개방되는 개폐변의 하방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아웃솔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배수구에 묽은 진흙과 같은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는 신발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신발의 외측으로 배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227147호(발명의 명칭 :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드솔의 전방 저부에 물모임홈부를 형성하여 신발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물모임홈부에 모이도록 하며, 물모임부의 내측에는 발에 밟히어 압축되는 신축챔버를 설치하며, 신축챔버 하방의 아웃솔에는 신축챔버가 압축되면서 집중되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칼집절개부를 구비한 개폐변을 설치함으로써,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신축챔버가 밟힐 때마다 신축챔버가 집중적으로 압축되게 되고, 그렇게 집중적으로 압축되는 압력에 의해 칼집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신발의 안쪽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에 갑피가 설치되는 미드솔의 전방측 저부에 상하로 개방되는 물모임부가 형성되고, 미드솔의 상면에는 물모임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에 메시가 설치된 인솔보드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메시의 저면에는 신축챔버의 상면을 아래로 눌러주는 누름구가 설치되고, 상기 인솔보드의 상측에는 인솔보드의 메시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인솔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미드솔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아웃솔의 전방 상면에는 미드솔의 물모임부 하부로 상향 끼움되는 챔버지지테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챔버지지테 내부에는 상측에 유입구멍이 형성된 신축챔버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신축챔버가 설치된 아웃솔의 하방에 형성된 요홈 형태의 개폐공간의 내측 가운데에 하단부가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뾰족한 부분에 칼집절개부를 형성된 개폐변이 구비되고, 상기 인솔보드에 형성된 통공의 내측변과 누름구의 외측변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간격과, 상기 누름구와 신축챔버의 상면 사이에는 신축챔버가 비압축시에 물모임부 내의 물이 신축챔버 내로 유입되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은, 미드솔의 전방 저부에 물모임홈부를 형성하여 신발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물모임홈부에 모이도록 하며, 물모임부의 내측에는 발에 밟히어 압축되는 신축챔버를 설치하며, 신축챔버 하방의 아웃솔에는 신축챔버가 압축되면서 집중되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칼집절개부를 구비한 개폐변을 설치함으로써,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신축챔버가 밟힐 때마다 신축챔버가 집중적으로 압축되게 되고, 그렇게 집중적으로 압축되는 압력에 의해 칼집절개부가 벌어지면서 신발의 안쪽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아웃솔의 지면접지부 내측에 개폐공간의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개폐공간의 내측에 칼집절개부를 구비한 개폐변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지면접지부가 지면에 접지되는 순간에도 물이 배수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구성품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가 되는 배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가 되는 배수부를 확대도시한 작용상태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에 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측에 갑피(10)가 설치되는 미드솔(40)의 전방측 저부(발뼈의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하로 개방되는 물모임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40)의 상면에는 물모임부(41)에 대응하는 부분에 통공(31)이 형성되며 통공(31)에 메시(32)가 설치된 인솔보드(30)가 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32)의 저면에는 추후에 설명하는 신축챔버(42)의 상면을 아래로 눌러주는 누름구(33)를 미드솔(40)의 물모임부(41)에 설치하되, 누름구(33)의 크기가 인솔보드(30)에 형성된 통공(31)의 크기보다 적어서 통공(31)의 내측변과 누름구(33)의 외측변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간격(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솔보드(30)의 상측에는 인솔보드(30)의 메시(32)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개의 배수구멍(21)이 형성된 인솔(2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미드솔(4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아웃솔(50)의 전방 상면에는 미드솔(40)의 물모임부(41) 하부로 상향 끼움되는 챔버지지테(51)가 수직 형성되고, 이 챔버지지테(51)의 하방에는 개폐변(52)이 개폐 동작할 수 있는 개폐공간(54)이 아웃솔(50)의 지면접지부 내측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며, 이 개폐공간(54)의 내측에는 가운데에 칼집절개부(53)를 형성한 개폐변(52)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변(52)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삼각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의 뾰족한 부분에 칼집절개부(5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변(52) 상측의 챔버지지테(51) 내부에는 하방이 개방되고 상면에 유입구멍(43)을 형성한 신축챔버(42)를 삽입 설치하되, 신축챔버(42)가 압축되지 않았을 때 신축챔버(42)의 상면과 누름구(33)의 저면 사이에 물기가 유입될 소정의 틈새(b)가 형성되며, 신축챔버(42)의 외주면이 챔버지지테(51)의 내주면에 접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챔버(42)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신축챔버(42)의 하단부에 칼집절개부(53)를 형성한 개폐변(52)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개폐변(52) 하부에 상하로 개방되는 개폐공간(54)이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2"는 신발(1)의 안쪽으로 유입된 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1)을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물가를 지나거나 비가 내려서 신발(1)의 내측으로 물(2)이 유입되게 되면,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1) 내측의 낮은 부분으로 물이 모이게 된다.
신발(1) 내측의 낮은 부분은 미드솔(40)의 전방측 물모임부(41)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이 부분에는 상측부터 아래로 인솔(20)의 배수구멍(21), 인솔보드(30)의 메시(32), 물모임부(41) 내측의 유입구멍(43), 개폐변(52)이 신발의 낮은 부분이다.
도 2 및 도 4의 (가)와 같이 신발(1)의 안쪽으로 들어온 물(2)이 낮은 부분쪽으로 모이는데, 낮은 쪽의 상측인 인솔(20)의 배수구멍(21)과, 그 하측의 메시(32), 메시(32)가 설치된 통공(31)을 통하여 물모임부(41)에 모인 물(2)은 인솔보드(30)에 형성된 통공(31)의 내측변과 누름구(33)의 외측변 사이에 형성된 간격(c)을 물이 통과한 후 누름구(33)와 신축챔버(42)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b)를 통하여 신축챔버(42)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구멍(43)으로 유입되어 신축챔버(42)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발뼈의 정방측에 위치하는 중족골 부분에서 지면을 딛으며 발이 허공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중족골부분이 지면을 딛을 때 큰 힘으로 지면을 딛게 되어 그렇게 큰 힘으로 딛게 되는 하중에 의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낮은 부분의 인솔(20)이 화살표와 같이 눌리게 된다.
이렇게 인솔(20)에 눌림하중이 하측으로 작용하는 것에 의해 그 하측의 메시(32)와, 메시(32) 저면에 부착된 누름구(33)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신축챔버(42)를 압축하게 된다.
위와 같이 누름구(33)가 신축챔버(42)를 압축할 때 누름구(33)의 저면이 신축챔버(42)의 상측 유입구멍(43)을 막으면서 하측으로 압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된 신축챔버(42)가 압축되면서 신축챔버(42)의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신축챔버(42)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신축챔버(42)의 하방에는 칼집절개부(53)를 형성한 개폐변(52)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신축챔버(42) 내부압력에 의해 도 3과 같이 칼집절개부(53)가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신축챔버(42)의 내부에 차있던 물이 외부로 배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변(52)이 형성된 통로에 진흙 등의 이물질이 막히더라도 신축챔버(42)가 집중적으로 압축되는 압축력에 의하여 칼집절개부(53)가 벌어지면서 물과 이물질을 동시에 배출시켜 개폐변(52)이 형성된 통로를 뚫어 주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중족골 하부의 발이 누름구(33) 측을 밟는 순간 신축챔버(42)가 압축되게 되고 그와 더불어 칼집절개부(53)가 벌어지면서 배수가 된 뒤에, 발이 허공으로 올라갈 때는 인솔(20)을 포함한 누름구(33)측을 밟던 하중이 제거되게 되고, 그렇게 밟히던 하중이 제거될 때는 신축챔버(42)의 내부 압력이 배출된 상태이므로 벌어졌던 칼집절개부(53)가 자체탄성에 의해 오므려지며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이 허공으로 올라감에 따라 발에 밟히던 동작이 모두 제거되게 되어 도 2와 같이 초기상태가 되면서 인솔(20)의 배수구멍(21)을 포함한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는 메시(32)와, 통공(31), 그리고, 물모임부(41)를 통하여 신축챔버(42)의 내부로 물이 다시 고이게 되고, 이어서 중족골 하부의 발바닥이 인솔보드(30)의 배수구멍(21) 부분을 밟는 동작에 의해 위의 설명과 같이 신축챔버(42)이 압축되고, 이어서 칼집절개부(53)가 벌어지면서 배수되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신발(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변(52)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웃솔(50)의 저면 즉, 지면접지부(55)가 지면에 접지되는 상황에서도 칼집절개부(53)를 형성한 개폐변(52)의 하단부가 개폐공간(54)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발에 밟혀서 칼집절개부(53)가 벌어지는 것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 신발 2 : 물 10 : 갑피
20 : 인솔 21 : 배수구멍 30 : 인솔보드
31 : 통공 32 : 메시 33 : 누름구
40 : 미드솔 41 : 물모임부 42 : 신축챔버
43 : 유입구멍 50 : 아웃솔 51 : 챔버지지테
52 : 개폐변 53 : 칼집절개부 54 : 개폐공간
55 : 지면접지부

Claims (3)

  1. 상측에 갑피(10)가 설치되는 미드솔(40)의 전방측 저부에 상하로 개방되는 물모임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40)의 상면에는 물모임부(41)에 대응하는 부분에 통공(31)이 형성되며 통공(31)에 메시(32)가 설치된 인솔보드(30)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메시(32)의 저면에는 신축챔버(42)의 상면을 아래로 눌러주는 누름구(33)가 설치되고,
    상기 인솔보드(30)의 상측에는 인솔보드(30)의 메시(32)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개의 배수구멍(21)이 형성된 인솔(2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미드솔(4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아웃솔(50)의 전방 상면에는 미드솔(40)의 물모임부(41) 하부로 상향 끼움되는 챔버지지테(51)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챔버지지테(51) 내부에는 상측에 유입구멍(43)이 형성된 신축챔버(42)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신축챔버(42)가 설치된 아웃솔(50)의 하방에 형성된 요홈 형태의 개폐공간(54)의 내측 가운데에 하단부가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뾰족한 부분에 칼집절개부(53)를 형성된 개폐변(52)이 구비되고,
    상기 인솔보드(30)에 형성된 통공(31)의 내측변과 누름구(33)의 외측변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간격(c)과, 상기 누름구(33)와 신축챔버(42)의 상면 사이에는 신축챔버(42)가 비압축시에 물모임부(41) 내의 물이 신축챔버(42) 내로 유입되는 틈새(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2. 삭제
  3. 삭제
KR1020140134897A 2014-10-07 2014-10-07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KR10172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97A KR101720729B1 (ko) 2014-10-07 2014-10-07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97A KR101720729B1 (ko) 2014-10-07 2014-10-07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87A KR20160041287A (ko) 2016-04-18
KR101720729B1 true KR101720729B1 (ko) 2017-03-29

Family

ID=5591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97A KR101720729B1 (ko) 2014-10-07 2014-10-07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863B1 (ko) * 2021-05-04 2023-06-12 정일훈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신발용 밑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51B1 (ko) * 2008-03-19 2008-11-19 (주)한비트레이딩 발가락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616B1 (ko) * 2005-04-19 2007-03-20 박수현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KR100906521B1 (ko) * 2007-09-07 2009-07-07 박수현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KR101227147B1 (ko) * 2010-10-27 2013-01-28 김혜경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51B1 (ko) * 2008-03-19 2008-11-19 (주)한비트레이딩 발가락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87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44366T1 (de) Schuhartikel mit entfernbarem zwischensohlenelement
KR101720729B1 (ko) 워킹동작에 따라 배수가 되는 신발
CN103005778A (zh) 换气防水鞋底
KR101227147B1 (ko) 배수수단이 구비된 신발
CY1111949T1 (el) Υποδημα με εξοπλισμο eξαερισμου
JPH08294402A (ja) 底に空気孔を付けた長靴
US10667573B2 (en) Ventilative sole structure
KR20200002371A (ko) 운동화 물기 제거기
WO2016037593A1 (en) Shoes ventilation system
KR200430644Y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CN105342057B (zh) 一种底部带有单向排气阀的水靴
JP4463585B2 (ja) 通気性を改善した靴
US7478487B2 (en) Breathable sole structure
KR102514686B1 (ko) 공기 유입 및 배출 구조의 신발용 물품
CN217958962U (zh) 一种自吸式空气循环鞋底及鞋子
KR102036104B1 (ko) 신발 제조방법
KR200401233Y1 (ko) 충격흡수겸용 통풍신발창
KR200289943Y1 (ko) 신발의 공기강제 순환장치
KR101130470B1 (ko) 공기의 유입, 배출 기능을 동시에 하는 신발 깔창
KR200257619Y1 (ko) 환기공 있는 깔창 착탈식 신발 바닥창
KR920007615Y1 (ko) 신발의 통풍 장치
Ferber et al. Changes in foot pronation biomechanics from a walk to a run.
KR20100001835U (ko) 공기 순환 중창을 이용한 신발
KR20130123145A (ko) 배수장치가 구비된 장화
CN2593602Y (zh) 带有透气功能的非凉鞋类透气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