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820B1 -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 Google Patents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820B1
KR101226820B1 KR1020110146080A KR20110146080A KR101226820B1 KR 101226820 B1 KR101226820 B1 KR 101226820B1 KR 1020110146080 A KR1020110146080 A KR 1020110146080A KR 20110146080 A KR20110146080 A KR 20110146080A KR 101226820 B1 KR101226820 B1 KR 10122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rush
housing
motor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채
박경찬
이재민
박종한
조영용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8Contact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 or slip-ring, e.g. contact brush
    • H01R39/26Solid sliding contacts, e.g. carbon brus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4Connections between commutator segments an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시, 정지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카본 브러시의 마모를 줄이며, 모터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회전의 회전수 차이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부에 돌출된 접촉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정류자를 가지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면서 접촉 플레이트와 접속부재를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카본 브러시를 구비하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브러시 캐리어와, 상기 브러시 캐리어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확실한 이동위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러시 시프트부재로 이루어진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A Motor for Electric Tool having Rotational Direction Rever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시, 정지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카본 브러시의 마모를 줄이며, 모터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회전의 회전수 차이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에 구비되는 모터는 제품 용도에 따라 정회전과 역회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출원공개 US2007/000153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자를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 플레이트, 정류자와 접촉위치를 전환할 수 있는 전기 접촉부와 카본 브러시를 포함하는 브러시 홀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동작을 위한 작동레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장치는 고정자가 모터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카본 브러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브러시 캐리어의 작동레버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움직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브러시 캐리어는 모터 하우징에 연결되어 제한된 원주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브러시 캐리어에 안착되는 카본 브러시는 정류자와 접촉하여 안전한 정류를 유지하여 카본 마모를 작게 유지한다.
접촉 캐리어는 모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한 접촉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원주방향으로 접점(집게모양)을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카본 브러시와 접점(집게모양)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브러시 캐리어의 원주방향 움직임이 카본 브러시 마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정위치가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환장치는 브러시 캐리어의 내부에 위치하는 리프 스프링이 접촉 캐리어의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오목지지면을 따라 움직이므로, 브러시 홀더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또한, 카본 브러시와 접점(집게모양)은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조상 발생하는 치수변화를 허용하기 어렵고, 다수의 접점 사용으로 구조가 복잡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예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1-54104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개시된 전류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가 있는데, 이 특허문헌 2의 개시내용은 탄소 브러시를 받쳐주는 브러시 플레이트에 탄성부를 형성하여 브러시 캐리어를 따라 회전하면서 터미널 스트립과 안정적으로 단락 및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정확한 전환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 US2007/0001536호 (공개일 : 2007.1.4)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1-54104호(공개일 : 20011.5.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시, 브러시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전환가능하여 카본 브러시의 마모를 현저히 줄이고,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수와 반시계방향 회전수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하부에 돌출된 접촉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정류자를 가지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면서 접촉 플레이트와 접속부재를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카본 브러시를 구비하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브러시 캐리어와, 상기 브러시 캐리어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확실한 이동위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러시 시프트부재로 이루어진 회전방향 전환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돌출된 접촉부재는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되면서 복수의 탄지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자의 하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한쌍을 이루는 고정자 접점단자와 접속구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접촉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접촉부재가 삽입,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면서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구와,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 브러시 캐리어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해주도록 하는 위치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는 접속플레이트와 결합되면서 한쌍의 연결 스트립과, 각 연결스트립의 한쪽단부에 형성되어 접촉플레이트의 삽입구에 삽입,관통되는 접속편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 캐리어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둘레부와, 이 둘레부에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정류자와 접촉되도록 하는 카본 브러시와, 이 카본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 홀더와, 이 브러시 홀더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서 접속부재의 연결 스트립에 접촉되도록 하는 접점부와, 상기 둘레부에 접촉 플레이트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위치홈에 삽입되면서 이동시 이탈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 캐리어의 둘레부 저면에는 하우징의 각 접촉부재에 형성되는 탄지홈에 탄지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브러시 캐리어의 회전이동 위치를 설정해주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 시프트부재를 이루는 테두리부에는 브러시 캐리어의 둘레부 한쪽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홈에 록킹되어 브러시 캐리어와 연동되도록 하는 걸림편과, 테두리부의 한쪽에서 돌출되어 회전이동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방향을 전환해줄 수 있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모터로서,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시, 브러시 캐리어의 정지위치를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전환가능하여 카본 브러시의 마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모터의 식계방향 회전수와 반시계방향 회전수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환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환장치의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이루는 브러시 캐리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브러시 캐리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브러시 캐리어의 저면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향 전환장치의 브러시 시프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저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에서 브러시 시프트부재에 의해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정방향 구동시 전기접속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역방향 구동시 전기접속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1)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자(20)와, 이 고정자(20)안에 삽입되는 정류자(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하우징(10)과 결합,고정되면서 접촉 플레이트(40)와 접속부재(50)로 이루어지는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6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1)는 상기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60)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러시 캐리어(70)와, 이 브러시 캐리어(70)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브러시 시프트부재(80)로 이루어지는 회전방향 전환장치(100)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하부에 돌출된 접촉부재(11)를 가지는데, 이 접촉부재(11)는 2개가 마련되어 간격(S)을 두고 형성되며, 이 접촉부재(11)의 하부에는 지지관(12)이 형성되어 2개의 접촉부재(11)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2개의 접촉부재(11) 바깥쪽에 각각 삽입공(13)(14)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11)에는 2개의 탄지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고정자(20)의 하부 한쪽에는 한쌍의 고정자 접점단자(21a)(21b)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한쌍의 접속구(22a)(22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 접점단자(21a)(21b)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다음에 설명하는 접촉 플레이트(40)의 삽입구(42a)에 접촉되면서 전기가 인가된 상태가 되고, 접속구(22)에는 후술하는 접속부재(50)의 접속편(52a)(52b)이 삽입구(42c)(42d)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도 3은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60)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플레이트(40)는 하우징(10)의 하부면에 결합,고정되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41)과, 이 프레임(41)의 둘레면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쌍의 삽입구(42a)(42b)(42c)(42d)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면에 결합,고정되도록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공(43)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프레임(41)의 중앙에는 관통공(44)이 형성되고, 안쪽면 원주방향으로는 접속부재(50)가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공(45) 및 걸림홈(46)이 복수,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프레임(41)의 상면에는 브러시 캐리어(70)의 초기위치(제로위치)를 설정해주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위치홈(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50)는 대략 반원형을 이루면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연결 스트립(51)과, 이 연결 스트립(51)의 한쪽 단부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접촉 플레이트(40)의 삽입구(42c)(42d)에 삽입되는 접속편(52a)(52b)과, 접속부재(50)와 접촉 플레이트(40)의 결합시 탄지되도록 복수,구비되는 탄성부재(5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접촉부(51)의 둘레면 안쪽과 바깥쪽에는 걸림편(51a)(51b)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 플레이트(40)의 걸림공(45) 및 걸림홈(46)에 록킹되어 고정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3)는 콘형으로 형성된 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플레이트(40)의 한쪽의 삽입구(42c)(42d)에는 접속부재(50)의 접속편(52a)(52b)이 삽입되어 삽입구(42a)(42b)의 상부로 노출되고, 접촉 플레이트(40)의 다른쪽 삽입구(42a)(42b)에는 고정자(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자 접점단자(21a)(21b)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접촉된다.
그리고, 조립시, 상기 접촉 플레이트(40)의 각 삽입구(42a)(42b)(42c)(42d)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10)의 하부면에 각각 한쌍으로 형성된 삽입공(13)(14)에 각각 삽입된 다음,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자(20)의 하부 한쪽 접속구(22a)(22b)에는 삽입구(42c)(42d)를 관통한 접속편(52a)(52b)이 삽입되어 접속되고, 고정자(20)의 하부 다른쪽에 형성되는 고정자 접점단자(21a)(21b)는 삽입구(42a)(42b)에 접촉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캐리어(70)는 대략 원형을 이루는 둘레부(71)의 중앙 관통공(71a)의 양쪽으로 구비되어 회전자(30)의 정류자(31)와 접촉하는 카본 브러시(72)와, 이 카본 브러시(72)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브러시 홀더(73)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접촉 플레이트(40)의 상면에 걸리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갖추어지는 걸림부재(74)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쌍의 브러시 홀더(73)의 상부면에는 접점부(73a)(73b)가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는 절곡된 형태의 지지부재(75)에 의해 카본 브러시(72)가 정류자(31)에 밀착되도록 밀어주는 탄성부재(76)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캐리어(70)의 둘레부(71)에는 상기 접점부(73a)(73b)는 브러시 홀더(73)가 브러시 캐리어(70)의 둘레부(71)에 끼워질때 노출되어 접속부재(50)에 각각 접촉되도록 하는 공간부(71c)(71d)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카본 브러시(72)가 정류자(31)의 양쪽에서 밀착되도록 밀어주는 탄성부재(76)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사용한다.
또한, 브러시 캐리어(70)를 이루는 2개의 카본 브러시(72)의 하부 사이에는 하우징(10)의 하부 접촉부(11)의 탄지홈(11a)에 탄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77)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상기 탄성부재(77)는 볼록부(77a)를 가지는 웨이브 스프링이고, 2개의 카본 브러시(72) 사이에 배치되면서 관통공(71a)을 가로질러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총 2개의 웨이브 스프링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 캐리어(70)의 둘레부(71) 하부에는 걸림홈(71b)이 형성되어 다음에 설명되는 브러시 시프트부재(80)의 테두리부(81)에 형성된 걸림편(82)이 삽입되어 연동된 구조를 가진다.
도 9는 브러시 시프트부재(8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브러시 시프트부재(80)의 테두리부(81) 한쪽에는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고자 회전시키는 브러시 시프트부재(8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동레버(83)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조립되어 전동공구용 모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모터(1)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브러시 시트프부재(80)의 작동레버(83)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브러시 시프트부재(80)의 걸림편(82)에 의해 결합된 브러시 캐리어(70)도 동시에 회전된다.
그러면, 브러시 캐리어(70)의 둘레부(71) 저면에 형성된 탄성부재(76)의 볼록부(76a)가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된 접촉부재(11)의 한쪽 탄지홈(11a)으로부터 다른쪽 탄지홈(11a)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브러시 홀더(70)의 카본 브러시(72)도 정류자(31)와의 접촉위치가 이동된다.
상기 접촉부재(11)는 하우징(10)의 하부면에서 간격(S)을 두고 2개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격(S)을 통해 브러시 캐리어(70)의 카본 브러시(72)가 위치하면서 정류자(31)의 하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1)가 정방향 회전상태일 경우에는 브러시 캐리어(70)의 걸림부재(74)는 접촉 플레이트(40)의 프레임(41) 상면에 형성된 위치홈(47)에 위치하고 있는데, 역방향으로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브러시 시프트부재(80)의 작동시, 브러시 캐리어(70)의 걸림부재(74)는 접촉 플레이트(40)의 위치홈(47)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장치는, 도 12a 및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 전환을 위해 작동레버(83)를 회전시키면, 브러시 홀더(70)에 구비된 웨이브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76)가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된 접촉부재(11)의 탄지홈(11a)에서 이동하므로, 종래에 비해 회전 이동위치가 못미치거나 또는 지나치지 않고 정확한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a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에 의한 정,역구동시의 전기접속순서는 다음과 같다.
[모터의 정방향 구동시 전기접속 순서](도 13a)
도 13a의 순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가 인가되는 고정자(20)의 고정자 접점단자(21a)->고정자(20)의 접속구(22a)->이 접속구(22a)에 삽입되는 접속부재(50)의 접속편(52a)->이 접속편(52a)이 형성된 접속부재(50)의 연결스트립(51-1)의 접점부(51-1a)->브러시 홀더(73)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점부(73a)->정류자(31)->브러시홀더(73)의 접점부(73b)->접속부재(50)의 연결스트립(51)의 접점부(51c)->접속부재(50)의 연결스트립(51)의 접점부(51d)->접속부재(50)의 접속편(52b)->고정자(20)의 접속구(22b)->고정자(20)의 고정자 접점단자(21b)의 순서로 모터(1)의 정방향 구동회전이 이루어진다.
[모터의 역방향 구동시 전기접속 순서](도 13b)
도 13b의 순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가 인가되는 고정자(20)의 고정자 접점단자(21b)->고정자(20)의 접속구(22b)->고정된 접속부재(50)의 접속편(52b)->접속부재(50)의 연결스트립(51)의 접점부(51d)-> 브러시홀더(73)의 접점부(73a)->정류자(31)->브러시홀더(73)의 접점부(73b)->브러시 시프트부재(80)를 구성하는 작동레버(83)의 동작에 의해 브러시 캐리어(70)가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어 접속되면서 접속부재(50)의 연결스트립(51-1)의 접점부(51-1b)->접속부재(50)의 연결 스트립(51-1)의 접점부(51-1a)->접속부재(50)의 접속편(52a)->고정자(20)의 접속구(22a)->고정자(20)의 고정자 접점단자(21a)의 순서로 모터(1)의 역방향 구동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 : 간격
1 : 전환장치
10 : 하우징
11 : 접촉부재
11a : 탄지홈
12 : 지지관
13,14 ; 삽입공
20 : 고정자
21a,21b : 고정자 접점단자
22a,22b : 접속구
30 : 회전자
31 : 정류자
40 : 접촉 플레이트
41 : 프레임
42a,42b,42c,42d : 삽입구
43 : 결합공
44 : 관통공
45 : 걸림공
46 : 걸림홈
47 : 위치홈
50 : 접속부재
51,51-1 : 연결 스트립
51a,51b : 걸림편
51c,51d : 접점부
51-1a,51-1b : 접점부
52a,52b : 접속편
53 : 탄성부재
60 :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
70 : 브러시 캐리어
71 : 둘레부
71a : 관통공
71b : 걸림홈
71c,71d : 공간부
72 : 카본 브러시
72a : 접점부
73 : 브러시 홀더
73a,73b : 접점부
74 : 걸림부재
75 : 지지부재
76,77 : 탄성부재
77a : 볼록부
80 : 브러시 시프트부재
81 : 테두리부
82 : 걸림편
83 : 작동레버
100 : 회전방향 전환장치

Claims (8)

  1. 하부에 돌출된 접촉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정류자를 가지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면서 접촉 플레이트와 접속부재를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 조립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카본 브러시를 구비하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브러시 캐리어와, 상기 브러시 캐리어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확실한 이동위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러시 시프트부재로 이루어진 회전방향 전환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돌출된 접촉부재는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되면서 복수의 탄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자의 하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한쌍을 이루는 고정자 접점단자(21a)(21b)와 접속구(22a)(2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접촉부재가 삽입,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면서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구와,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 브러시 캐리어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해주도록 하는 위치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접속플레이트와 결합되면서 한쌍의 연결 스트립과, 각 연결스트립의 한쪽단부에 형성되어 접촉플레이트의 삽입구에 삽입,관통되는 접속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캐리어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둘레부와, 이 둘레부에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정류자와 접촉되도록 하는 카본 브러시와, 이 카본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 홀더와, 이 브러시 홀더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서 접속부재의 연결 스트립에 접촉되도록 하는 접점부와, 상기 둘레부에 접촉 플레이트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위치홈에 삽입되면서 이동시 이탈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캐리어의 둘레부 저면에는 하우징의 각 접촉부재에 형성되는 탄지홈에 탄지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브러시 캐리어의 회전이동 위치를 설정해주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시프트부재를 이루는 테두리부에는 브러시 캐리어의 둘레부 한쪽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홈에 록킹되어 브러시 캐리어와 연동되도록 하는 걸림편과, 테두리부의 한쪽에서 돌출되어 회전이동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KR1020110146080A 2011-12-29 2011-12-29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KR10122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80A KR101226820B1 (ko) 2011-12-29 2011-12-29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80A KR101226820B1 (ko) 2011-12-29 2011-12-29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820B1 true KR101226820B1 (ko) 2013-01-25

Family

ID=4784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80A KR101226820B1 (ko) 2011-12-29 2011-12-29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98B1 (ko) * 2019-11-25 2021-05-21 계양전기 주식회사 회전식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의 모터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996A (ja) 2004-08-16 2006-03-02 Hilti Ag 電動工具
JP2007143346A (ja) 2005-11-21 2007-06-07 Makita Corp 電動工具の正逆切替装置
JP2007143314A (ja) 2005-11-18 2007-06-07 Makita Corp 電動工具の正逆切替装置
KR101055951B1 (ko) 2010-07-15 2011-08-0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접속이 안정적인 전류전환장치를 구비하는 전동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996A (ja) 2004-08-16 2006-03-02 Hilti Ag 電動工具
JP2007143314A (ja) 2005-11-18 2007-06-07 Makita Corp 電動工具の正逆切替装置
JP2007143346A (ja) 2005-11-21 2007-06-07 Makita Corp 電動工具の正逆切替装置
KR101055951B1 (ko) 2010-07-15 2011-08-0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접속이 안정적인 전류전환장치를 구비하는 전동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98B1 (ko) * 2019-11-25 2021-05-21 계양전기 주식회사 회전식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의 모터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7174B1 (en) Safe electrical outlet
EP0329249B1 (en) Mounting device for brushes in a reversible commutator motor
US4748353A (en) Hand tool for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s
KR101945545B1 (ko) 유연한 크기 및 방향의 배터리 시스템
GB2209885A (en) Reversible motor for an electric hand tool
US6528922B2 (en) Motor housing having simplified cover plate and brush base
JPS59185143A (ja) スイツチのための電気接続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1226820B1 (ko) 회전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용 모터
JP2007143314A (ja) 電動工具の正逆切替装置
US20210210892A1 (en) Rotatable Electric Plug
US4523115A (en) Switching device for reversing a portable electric tool
JPH06236772A (ja) 電気器具
CN210744249U (zh) 一种滑动式电源插座
JP3164277U (ja) 電源プラグ
JP2007143346A (ja) 電動工具の正逆切替装置
JPH05260690A (ja) 回転整流子を有する電気モーターの給電ブラシ保持装置
KR101072706B1 (ko) 전류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
JP2023502453A (ja) ブラシ付モータ及びブラシ装置
CN204537916U (zh) 旋转开关
CN107666098B (zh) 具有相逆变器装置的工业插头
JP2014011809A (ja)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モータ
JP2002325399A (ja) 整流子モータ
CN213185716U (zh) 一种电机旋转刷架定位机构
JP2012196732A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CN220397601U (zh) 加热装置、储能电源、电磁炉及储能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