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433B1 -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 Google Patents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433B1
KR101226433B1 KR1020060106019A KR20060106019A KR101226433B1 KR 101226433 B1 KR101226433 B1 KR 101226433B1 KR 1020060106019 A KR1020060106019 A KR 1020060106019A KR 20060106019 A KR20060106019 A KR 20060106019A KR 101226433 B1 KR101226433 B1 KR 10122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power generation
solar
batter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728A (ko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06010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4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발전 및 열이용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전기, 열 등과 같이 발전기 및 충전장치와 태양열이용 및 발전을 위한 기계식 구조가 병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날개와 함께 구동되는 발전기와 모터 및 모터의 회전에 날개가 회전하고 발전 및 충전하는 배터리충전장치를 구비한 날개회전식 구조가 병설된 풍력발전기와 모터장치의 구조를 개시하고, 이를 통하여 바람에 의해 날개회전과 동시에 발전기 및 모터회전 배터리충전한다.
또한 모터로 구동하고 날개를 회전발전할 수 있다. 또한 발전 및 날개의 배출 바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에 변압기병설하고 발전기발전의 전기를 센서감지하고 충전장치로 변압하고, 배터리에 충력한다 한다.
또한 충전배터리로 모터로 구동하고 날개를 회전발전 및 날개의 배출바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태양변위를 추적변위 하는 모터장치 구동하고 태양을 추적 태양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날개병설 발전기를 추가로 병설하고 충전장치에 출력하고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날개의 회전배출바람에 회전하는 발전기 병설 날개회전으로 발전기 및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발전하는 반도체발전기 병설하고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태양열, 발전, 진공, 열, 변온체,충전, 배터리

Description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SUN, generation, heat}
도 1은 종래의 발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의 구성블럭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면 부분절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12: 진공박스
14: 솔라셀 16: 박스
16a: 파이프 18: 충전장치
19; 변온체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와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전기병설날개 등과 같이 날개와 모터의 회전 및 발전을 위한 기계식 구조가 병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와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날개회전 하고 발전하기 위하여 바람이 이용된 것 이며,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한 발전하고, 바람이 없으면 정지하는 발전전용이며, 날개의 배출 바람을 이용하지 않는다. 예컨대, 배터리충전장치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날개를 바람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기존의 풍력발전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발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람이 지속적으로 날개를 회전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날개의 배출 바람을 이용하지 않는다. 이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풍력발전기에 날개를 회전하고 바람배출 및 발전하기 위한 모터를 병설하고 발전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가 병설된 구조가 고안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발전장치의 태양열 솔라셀발전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태양열 솔라셀발전기 태양에 의한 솔라셀(12)발전과, 배터리 병설충전장치를 포함하고, 태양열에 솔라셀의 발전을 충전장치로 배터리에 충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태양열 솔라셀발전기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태양을 향한 위치에서 태양에 의한 솔라셀(12)발전과, 이 발전을 충전장치로 배터리충전된다.
이는 태양에 의한 솔라셀(12)발전과 충전장치로 배터리에 충전 자체는 솔라셀(12)의 발전을 배터리에 충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태양열을 발전을 배터리에 충전만 이용하여 그 발전만 하기 때문에 열을 사용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태양열 솔라셀 발전기는 단일발전기능이며,
태양열 온수사용을 할 수 없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열에 솔라셀발전과 충전하고 및 온도에 변온하는 변온체 등의 복수의 기계적 구조를 구비한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솔라셀을 태양방향 투명 진공박스 내에 병설 및 진공박스로 변온체를 변온 할 수 있는 구조의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솔라셀(14)발전 및 충전과 변온 및 진공박스(12)로 변온체(19)(예컨대; 액체, 기체, 고체 등)를 변온 시키는 발전 및 변온수단을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 및 열에 변온하는 변온체에 있어서, 솔라셀(14)을 내부 병설한 태양방향 투명 진공박스(12); 및 솔라셀(14)을 연결한 배터리 병설 충전장치(18);와 진공박스(12)에 접촉하고 변온하는 변온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태양열에 솔라셀(14) 발전 및 충전장치(18)의 배터리 충전과 진공박스(12) 변온에 변온체(19)가 변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변온수단은 외부의 충전장치(18)에 연결한 솔라셀(14)을 내부에 병설하고 변온하는 진공박스(12)와 진공박스(12)에 접촉하고 변온하는 변온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발전수단은 날개가 구비되고 날개와 함께 구동되는 발전기와, 발전된 전기가 충전장치(18)에 추가되는 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적장치를 몸체에 병설하고 태양추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진공박스(12)를 추적장치로 태양추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의 구성블럭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 부분절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의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는 진공박스(12)와 솔라셀(14) 및 충전장치, 진공박스(12), 진공박스(12) 내에 병설된 솔라셀(14) 및 진공박스(12)에 접촉시 변온하는 변온체(19), 변온체(19)를 내부한 박스(16)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태양쪽 투명체병설 진공박스(12), 진공박스(12) 내에 병설된 솔라셀(14)에 연결한 외부의 배터리 병설 충전장치(18) 등을 병설하고 태양쪽 설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발전수단은 날개가 구비되고 날개와 함께 구동되는 발전기와, 발전된 전기가 충전장치(18)에 추가되는 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적장치를 몸체에 병설하고 태양추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진공박스(12)를 추적장치로 태양추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온도에 발전하는 반도체병설하고, 발전된 전기를 충전장치(18)에 추가하는 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적장치를 몸체에 병설하고 태양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는 진공박스(12)의 투명부분으로 태양열이 들어오고, 진공박스(12) 내의 솔라셀(14)에 발전하고 솔라셀(14)에 연결한
배터리(미도시) 병설의 충전장치(18)로 배터리 충전하고, 진공박스(12)가 변온한다, 또한 변온한 진공박스(12)에 접촉한 박스(16)의 변온체(19)가 변온 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는 태양의 접촉과 동시에 솔라셀(14)발전 및 진공의 내부가 변온 진공박스(12)도 변온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는 태양에 솔라셀(14)의 발전과 동시에 충전장치(18)로 배터리에 충전하고, 진공박스(12) 내부가 변온하고, 진공박스(12)에 접촉한 변온체(19)가 변온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솔라셀의 작동은 진공박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진공박스에 설치하고 태양열이 통과하여 진공박스 내부가 변온 됨으로써 진공박스에 접촉한 변온체가 변온할 수도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예컨대, 빛이 열이 통과, 또는부분 통과 등으로 내부가 변온하고 접촉한 변온체가 변온 함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는 전자석 구동에 의한 접점의 접촉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기계적 유지 상태로 전환되고, 필요시 자동화된 방식으로 그 접점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그 사용이 간단하고 소모되는 전원이 크게 감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접점의 해제에 요구되는 힘이 후크와 고정턱부 사이의 맞물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짐으로써 최소한의 힘(최소한의 전기 소모)으로 해제가 이루어진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는 태양열에 의해 솔라셀 발전과 동시에 그 발전을 충전장치로 배터리 충전 및 진공내부가 변온하고, 진공박스에 접촉한 변온체가 변온되고, 필요시 태양추적장치를 병설하고 태양을 추적하고 발전, 변온 될 수 있다.

Claims (3)

  1. 솔라셀 및 변온체의 한 쌍의 박스, 상기 박스에 상기 솔라셀 병설 및 변온체를 접촉시키는 발전 및 변온수단을 포함하는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 발전과 함께 변온되며 몸체에 변온체가 접촉한 박스;
    상기 박스에 병설된 솔라셀에 연결한 배터리 병설 충전장치;
    상기 솔라셀을 병설한 박스에 접촉하는 변온체; 및
    상기 변온체를 내부한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솔라셀은 태양열수단에 의해 발전하며, 그리고 상기 태양열에 변온하는 솔라셀병설 박스는 상기 변온체가 상기 솔라셀병설 박스에 접촉한 상태에서 변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 공급하는 날개, 발전기 병설의 풍력장치를 추가로 병설하고 풍력의 날개 회전에 충전장치에 전기 공급하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KR1020060106019A 2006-10-31 2006-10-31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KR10122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019A KR101226433B1 (ko) 2006-10-31 2006-10-31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019A KR101226433B1 (ko) 2006-10-31 2006-10-31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728A KR20080038728A (ko) 2008-05-07
KR101226433B1 true KR101226433B1 (ko) 2013-01-24

Family

ID=3964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019A KR101226433B1 (ko) 2006-10-31 2006-10-31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4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163A (ja) 1999-12-22 2001-06-29 Hamaguchi Noboru 太陽熱を利用した発電方法および発電装置
KR20030008346A (ko) * 2001-07-20 2003-01-25 이인우 태양광/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풍력발전장치
JP2005127694A (ja) 2003-09-29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熱式ソーラーパネル、ソーラーシステム、蓄熱式ソーラー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蓄熱式ソーラー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163A (ja) 1999-12-22 2001-06-29 Hamaguchi Noboru 太陽熱を利用した発電方法および発電装置
KR20030008346A (ko) * 2001-07-20 2003-01-25 이인우 태양광/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풍력발전장치
JP2005127694A (ja) 2003-09-29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熱式ソーラーパネル、ソーラーシステム、蓄熱式ソーラー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蓄熱式ソーラー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728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452B1 (ko) 수도관의 수압을 이용한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AU5032800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tilizing thermal energy source
CA2576503A1 (en) Fuel flexible thermoelectric generator with battery charger
US10612522B2 (en) Photovoltaic-wind hybrid turbine system
JP2005006492A (ja) 低温固態熱電エネルギー変換器
US20220311310A1 (en) Self-operated incinerator system
JP2018538783A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源からエネルギー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226433B1 (ko) 태양열 발전 및 변온체
BE901327A (fr) Vehicule aero-electrique.
FR2991437A1 (fr) Equipement de thermoregulation a usage domestique comprenant des moyens de recuperation d&#39;energie
CN109301981A (zh) 一种新型发电系统
US7492051B1 (en) Energy-saving generator set
CN103644659A (zh) 变焦式太阳能热电储能器
CN202495895U (zh) 半导体温差发电机
KR20120097707A (ko) 도로변에 설치되는 풍력발전장치
KR20210030056A (ko) 인공조명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KR20090103150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JP2968659B2 (ja) 集合電池の保温構造
CN109150014A (zh) 一种户外专用热发电装置
CN210623152U (zh) 太阳能风扇
CN110285474B (zh) 光伏光热发电供热系统及控制方法
RU2494312C1 (ru) Агрегатированная горелка
RU2555604C1 (ru) Наплавная микрогидросолнеч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WO2015051427A1 (pt) Gerador de energia elétrica por meio de mecanismo com movimento pendula
CN110556971B (zh) 一种液压油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