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300B1 - 구두굽 - Google Patents
구두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6300B1 KR101226300B1 KR1020100069282A KR20100069282A KR101226300B1 KR 101226300 B1 KR101226300 B1 KR 101226300B1 KR 1020100069282 A KR1020100069282 A KR 1020100069282A KR 20100069282 A KR20100069282 A KR 20100069282A KR 101226300 B1 KR101226300 B1 KR 101226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el
- support member
- shoe
- installation space
- connecting piec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힐이나 남성용 구두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구두 뒷굽에 관한 기술로서, 구두의 뒷굽에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게 마련되는 설치공간; 상기 설치공간 상단부에서 지지되며 방사상으로 뻗는 다수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져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힐이나 남성용 구두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구두굽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용 하이힐이나 남성용 구두의 경우에는 비교적 딱딱한 뒷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여성용 하이힐과 같은 구두의 뒷굽 하단부를 상하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신발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깨끗하지 못하고 물에 직접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신발은 디자인, 기능 등이 소비자의 구매력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지만 가격 역시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바 저렴하게 제공될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충분한 충격흡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두굽을 제공하고자 함을 해결과제로 한다.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두굽은, 구두의 뒷굽이나 앞굽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게 마련되는 설치공간; 상기 설치공간 상단부에서 지지되며 방사상으로 뻗는 다수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져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들의 말단부는 테두리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는 다수의 연결편들이 모이는 중심부가 가장 높게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두굽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탄성재가 내장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는 테두리는 편평하며 연결편들은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한 돔 형상이되, 2개의 받침부재가 상하로 마주보면서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두굽은 2개의 받침부재 사이에 탄성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굽은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4는 또 다른 형태의 받침부재가 적용된 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상태도.
도 7은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4는 또 다른 형태의 받침부재가 적용된 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상태도.
도 7은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구두굽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2는 평면도이고, 도 3는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또 다른 형태의 받침부재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두굽은 여성용 하이힐이나 남성용 정장 구두와 같은 것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는 여성용 하이힐의 뒷굽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의 뒷굽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게 설치공간(100)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100)은 내부가 빈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00) 상단부에서 지지되게 받침부재(200)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200)는 방사상으로 뻗는 다수의 연결편(210)으로 이루어져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연결편(210)들이 120도 각도로 형성되는 형태의 받침부재(200)로 하며 상기 연결편(210)들은 중심부로부터 외곽으로 뻗어 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받침부재(200)는 합성수지나 금속판재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중이 작용할 때 탄력적이어서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복원되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받침부재(200)는 일종의 얇은 판스프링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0)의 연결편(210)은 3개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하며, 구체적인 형상에 있어서는 볼록한 돔 형상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다수의 연결편(210)들이 모이는 중심부가 가장 높게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의 돔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돔 형상의 받침부재(200)로 하게 되면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0)를 상기 설치공간(100) 상단부에 지지되게 하는 구조로는 상기 설치공간 상단에 낮게 함몰된 턱(110)을 두어서 상기 받침부재(200)의 연결편(210) 말단부가 상기 턱(110)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두 뒷굽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100) 내부에 탄성재(300)를 내장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재(300)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것에서부터 쿠션을 갖는 합성수지나 고무재질의 기둥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재(300)는 상기 받침부재(200)의 하면과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재(200)의 중심부 하면에는 돌출된 지지코어(220)를 두어서 상기 탄성재(300)가 상기 지지코어(220)를 감싸면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탄성재(300)가 받침부재(200)의 중심부를 받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편(210)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5는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굽에 함몰된 설치공간(100)을 두고 상기 설치공간(100)의 상단부에서 지지되는 받침부재(200)를 설치하는데, 상기 받침부재(200)는 다수의 연결편(210)을 갖되 그 말단부는 테두리(23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원형의 테두리(230) 안쪽에 3개의 연결편(210)들이 테두리(230)와 연결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하며, 테두리(230) 부위가 설치공간(100) 상단부에 형성되는 턱(110,도3참조)에 걸리게 된다.
설치공간(100)에는 탄성재(300,도3참조)를 둘 수 있고 탄성재 위에 받침부재(200)를 높아 탄력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200)는 중앙부가 높도록 볼록한 돔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두의 앞굽이나 뒷굽 모두 혹은 어느 일측에 받침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여성용 하이힐이나 단화 남성용 구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7은 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200) 2개가 상하로 마주보면서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받침부재(200)는 테두리(230)는 편평하고 연결편(210)들은 중심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상승되어 돔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받침부재(200) 2개를 준비하여 하나는 뒤집어 마주보게 결합시키면 받침부재(2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받침부재 사이에는 탄성재(300)를 내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는 연속적으로 여러개가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구두의 앞굽이나 뒷굽 어디라도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과 같은 구두굽은 받침부재에 의한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탄성부재에 의해 더욱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인 바, 구두와 같은 신발에 적용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두 뒷굽은 하이힐이나 정장용 남성구두 등에 적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0 : 설치공간
110 : 턱
200 : 받침부재
210 : 연결편
220 : 지지코어
230 : 테두리
300 : 탄성재
110 : 턱
200 : 받침부재
210 : 연결편
220 : 지지코어
230 : 테두리
300 : 탄성재
Claims (6)
- 구두의 뒷굽이나 앞굽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게 마련되는 설치공간;
상기 설치공간 상단부에서 지지되어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방사상으로 뻗는 다수의 연결편들을 가지게 되되, 상기 연결편들은 일체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들의 말단부는,
테두리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굽.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다수의 연결편들이 모이는 중심부가 가장 높게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굽.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굽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탄성재가 내장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테두리는 편평하며 연결편들은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한 돔 형상이되, 2개의 받침부재가 상하로 마주보면서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굽.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굽은,
2개의 받침부재 사이에 탄성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9282A KR101226300B1 (ko) | 2010-07-15 | 2010-07-15 | 구두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9282A KR101226300B1 (ko) | 2010-07-15 | 2010-07-15 | 구두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938A KR20120007938A (ko) | 2012-01-25 |
KR101226300B1 true KR101226300B1 (ko) | 2013-01-24 |
Family
ID=4561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9282A KR101226300B1 (ko) | 2010-07-15 | 2010-07-15 | 구두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630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9505A (ja) | 1998-11-17 | 2000-05-23 | Morito Co Ltd | 履物底 |
JP3133758B2 (ja) | 1990-12-20 | 2001-02-13 | ゴールドバーグ,ジャック | 履き物 |
KR200370083Y1 (ko) | 2004-08-09 | 2004-12-16 | (주) 스트라스 | 충격흡수 구두 |
JP2008534177A (ja) | 2005-04-07 | 2008-08-28 | ジャック ゴールドバーグ | 履物 |
-
2010
- 2010-07-15 KR KR1020100069282A patent/KR101226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758B2 (ja) | 1990-12-20 | 2001-02-13 | ゴールドバーグ,ジャック | 履き物 |
JP2000139505A (ja) | 1998-11-17 | 2000-05-23 | Morito Co Ltd | 履物底 |
KR200370083Y1 (ko) | 2004-08-09 | 2004-12-16 | (주) 스트라스 | 충격흡수 구두 |
JP2008534177A (ja) | 2005-04-07 | 2008-08-28 | ジャック ゴールドバーグ | 履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938A (ko) | 2012-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57411B2 (en) | Shock absorbing footwear construction | |
USD685142S1 (en) | Hoof boot | |
WO2007103476A3 (en) | Footwear with independent suspension and protection | |
US20140068965A1 (en) | Gel pad for footwear | |
US20160331077A1 (en) |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
KR101651922B1 (ko) |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 |
CN104970487A (zh) | 缓冲鞋底 | |
KR101226300B1 (ko) | 구두굽 | |
JP3163858U (ja) | 靴の中底 | |
JP3184409U (ja) | スリッパ | |
KR102063360B1 (ko) |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 |
KR101217094B1 (ko) | 충격흡수 신발 | |
KR100973724B1 (ko) | 신발창용 쿠션부재 | |
CN203762413U (zh) | 表演用高跟鞋 | |
KR101989925B1 (ko) | 신발 하부에 결합되는 야구화용 밑창 | |
KR20150003768U (ko) | 제전 신발 | |
KR101451377B1 (ko) |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 |
CN202476595U (zh) | 一种减震鞋底 | |
CN201921401U (zh) | 一种弹跳鞋 | |
CN217337596U (zh) | 一种防滑按摩热塑丁苯橡胶鞋底 | |
KR20130117104A (ko) |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 |
KR20120007355U (ko) | 굽의 측면 표면에 징이 구비된 하이힐 징. | |
USD685981S1 (en) | Shoe heel protector and shield | |
CN201709527U (zh) | 一种新型减震鞋 | |
KR20120005462U (ko) | 탈착식 양방향 슬리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