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155B1 - 가방 걸이대 - Google Patents

가방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155B1
KR101226155B1 KR1020110093880A KR20110093880A KR101226155B1 KR 101226155 B1 KR101226155 B1 KR 101226155B1 KR 1020110093880 A KR1020110093880 A KR 1020110093880A KR 20110093880 A KR20110093880 A KR 20110093880A KR 101226155 B1 KR101226155 B1 KR 10122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d
hanger
cen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102011009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Landscapes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가방 걸이대가 개시된다. 장롱 내부의 걸이봉의 상단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와 중심이 결합되며, 양단은 상기 걸이봉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에 측면으로 결합되는 걸이암을 포함하되, 상기 걸이암은, 상기 중심봉에 가이드 결합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측면에 연장되며, 단방향의 단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방으로 곡선형태로 경사진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방 걸이대{BAG HANGER}
본 발명은 가방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 내부가 봉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손잡이의 형태가 보존되도록 가방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가방은 이제 물건을 넣고 다니는 단순한 용도 이외에, 패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가방은 저가부터 명품에 이르는 고가 제품까지 다양하다. 일반 가정에서는 보통 성인 여자들은 5개 내외의 외출용 가방(핸드백)을 소유하고 있다.
이러한 가방은 장롱 내부의 테이블에 올려놓거나, 옷걸이를 이용하여 장롱 내부 걸이봉에 걸려 있다. 그러나 가방은 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냥 테이블에 둘 경우, 중력에 의해서 구겨지게 된다. 아울러, 손잡이 부분만을 걸이봉에 걸 경우 손잡이 부분이 꺾어지게 될 분만 아니라, 가방 전체가 접혀져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수백만 원 이상하는 명품가방의 경우 보관에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장롱 내부에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방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롱 내부의 걸이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롱 내부의 걸이봉에 결합되더라도 흔들리지 않도록 결합하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걸이암이 결합된 가방 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연장봉이 추가로 결합하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롱 내부의 걸이봉의 상단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와 중심이 결합되며, 양단은 상기 걸이봉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에 측면으로 결합되는 걸이암을 포함하되,
상기 걸이암은,
상기 중심봉에 가이드 결합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측면에 연장되며, 단방향의 단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방으로 곡선형태로 경사진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은,
상부의 내부홀의 크기가, 하부의 내부홀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중심봉의 사이에는 고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중심봉에는 연장봉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판부재의 말단부에는 상부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방 걸이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롱 내부에 가방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롱 내부의 걸이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롱 내부의 걸이봉에 결합되더라도 흔들리지 않도록 결합하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걸이암이 결합된 가방 걸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연장봉이 추가로 결합하는 가방 걸이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걸이대가 걸이봉에 결합된 예시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걸이대의 고정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본 가방 걸이대의 걸이암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걸이대의 가이드관과 고무링의 사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걸이대가 걸이봉에 결합된 예시도(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걸이대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본 가방 걸이대의 걸이암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걸이대의 가이드관과 고무링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가방 걸이대(10)는, 장롱 내부의 걸이봉(20)의 상단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와 중심이 결합되며, 양단은 상기 걸이봉(2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고정부(12)와;상기 고정부(12)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봉(13)과; 상기 중심봉(13)에 측면으로 결합되는 걸이암(14)을 포함하되, 상기 걸이암(14)은,상기 중심봉(13)에 가이드 결합되는 가이드관(141)과; 상기 가이드관(141)의 측면에 연장되며, 단방향의 단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방으로 곡선형태로 경사진 판부재(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방 걸이대(10)는 장롱의 내부의 걸이봉(20)에 설치되며, 걸이봉(20)에 설치되더라도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다. 걸이봉(20)은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구조물이다. 보통의 장롱 내부에는 양복이나 기타 옷을 걸기 위해서 걸이봉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방 걸이대(20)에도 옷걸이의 고리 모양과 동일한 형태로 고리부(11)가 결합된다. 고리부(11)의 하부에는 고정부(12)가 결합된다. 고리부(11)는 고정부(12)의 중심과 결합된다.
고정부(12)는 양단이 "Y"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Y" 형태의 홈에, 도 1과 같이 걸이봉(20)의 하부면이 밀착된다. 이러한 고정부(12)의 양단은 걸이봉(20)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태를 이룬다.
걸이봉(20)에 고리부(11)와 고정부(12)의 양단이 밀착되면, 고정부(12)는 흔들리지 않게 된다. 고정부(12)의 중심에는 중심봉(13)이 결합된다. 중심봉(13)과 고정부(12)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걸이암(14)은 중심봉(13)에 가이드 결합되는 가이드관(141)과,가이드관(141)의 측면에 연장되며 단방향의 단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방으로 곡선형태로 경사진 판부재(142)를 포함한다. 걸이암(14)은 중심봉(13)에 특정 위치를 이동하며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의 키를 고려하여 다양한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다.
판부재(142)의 단방향의 단면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방으로 곡선의 형태이다.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걸이암(14)을 본 측면도이다. 도 3을 보면, 판부재(142)가 중심부는 위로 볼록한 형태이고, 가장자리는 아래 방향으로 곡선의 형태로 쳐진 형태이다. 걸이암(14)에는 가방의 손잡이를 건다. 이때, 손잡이는 곡면형태의 판부재(142)에 맞추어 걸려진다. 따라서, 가방 손잡이가 급격하게 꺾여지는 일이 없어진다. 이렇게, 가방 손잡이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걸려지면, 가방은 전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자연스러운 상태로 보관이 된다. 아울러, 중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가방이 당겨지기 때문에 눌림에 의해 주름지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가방은 가죽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보관이 중요하다. 옷걸이에, 신사용 바지를 걸어두면 중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바지의 주름이 어느 정도 펴지는 것과 같이, 가방도 잘 걸어두면 사용중 발생된 주름을 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관(141)은 중심봉(13)의 어느 위치에도 결합이 용이하다. 가이드관(141)의 상부의 내부홀(d1)의 내경은, 하부의 내부홀(d2)의 내경보다 작다. 상부의 내부홀(d1)의 내경은 중심봉(13)의 외경보다 커서, 중심봉(13)이 가이드관(14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관(141)과 중심봉(13) 사이에는 고무링(143)이 개재된다. 고무링(143)은 가이드관(141)의 하부의 내부홀(d2)에서는 가이드관(141)과 중심봉(13)을 밀착시키지 못하나{고무링(131)의 두께보다 가이드관(141)의 하부의 내부홀(d2)과 가이드관(141)의 외경 사이의 이격이 더 큼}, 가이드관(141)의 상부의 내부홀(d1)에서는 가이드관(141)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가이드관(141)을 중심봉(13)에 밀착시킨다. 결국, 고무링(14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이드관(141)과 중심봉(13)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판부재(14)의 말단부에는 상부로 걸림돌기(144)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144)는 판부재(14)에 걸려진 가방의 손잡이가 흘러내려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가방 걸이대(10)에는 걸이암(14)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걸이암(14)이 대칭적으로 설치되더라도, 걸이암(14)에 결합되는 가방이 비대칭적인 숫자로 결합될 경우, 무게의 균형이 무너진다. 본 실시예의 가방 걸이대(14)는 고리부(11)와 고정부(12)가 걸이봉(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가방이 걸이암(14)에 걸려 있어, 무게가 특정 방향으로 편심되더라도 가방 걸이대(10)는 수직방향을 유지한다.
한편, 중심봉(13)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연장봉(15)을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방이 많을 경우, 연장봉(15)을 중심봉(13)의 하부에 연결하고, 걸이암(14)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가방을 걸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가방 걸이대(10) 고리부(11)
고정부(12) 중심봉(13)
걸이암(14) 연장봉(15)

Claims (4)

  1. 장롱 내부의 걸이봉의 상단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와 중심이 결합되며, 양단은 상기 걸이봉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봉과;
    상기 중심봉에 측면으로 결합되는 걸이암을 포함하되,
    상기 걸이암은,
    상기 중심봉에 가이드 결합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측면에 연장되며, 단방향의 단면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방으로 곡선형태로 경사진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상부의 내부홀의 크기가, 하부의 내부홀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중심봉의 사이에는 고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봉에는 연장봉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걸이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말단부에는 상부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방 걸이대.
KR1020110093880A 2011-09-19 2011-09-19 가방 걸이대 KR10122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80A KR101226155B1 (ko) 2011-09-19 2011-09-19 가방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80A KR101226155B1 (ko) 2011-09-19 2011-09-19 가방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155B1 true KR101226155B1 (ko) 2013-01-29

Family

ID=4784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80A KR101226155B1 (ko) 2011-09-19 2011-09-19 가방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3466A (zh) * 2018-12-10 2019-02-22 金彩萍 一种衣柜挂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80B1 (ko) 2008-07-23 2010-04-16 구명화 포스트형 행거의 커튼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80B1 (ko) 2008-07-23 2010-04-16 구명화 포스트형 행거의 커튼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3466A (zh) * 2018-12-10 2019-02-22 金彩萍 一种衣柜挂架
CN109363466B (zh) * 2018-12-10 2024-04-19 金彩萍 一种衣柜挂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178B1 (ko) 가방 걸이대
KR101226155B1 (ko) 가방 걸이대
US20070194063A1 (en) Garment hanger
US20060214074A1 (en) Table mounted or supported purse hanger
US6758453B1 (en) Bottle suspension device
KR101848305B1 (ko) 어깨부분 변형 방지 옷걸이
US1781628A (en) Carrier for garments
JP2005334407A (ja) チェアーラック
KR20110004673U (ko) 옷걸이
KR20200002411U (ko) 넓이조절 바지걸이를 구비한 옷걸이
US2513535A (en) Trouser hanger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GB2218329A (en) A hanger
KR20120008767A (ko) 바지 걸이
WO2014188169A1 (en) A clothes hanger
KR20120079220A (ko) 바지걸이용 옷걸이
KR101151903B1 (ko) 옷걸이
JP2010022818A (ja) 衣紋竿
KR20120009286A (ko) 바지 걸이용 옷걸이
CN207045183U (zh) 饮料杯座
KR960006329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
KR200455523Y1 (ko) 옷걸이를 구비한 의자
JP2004230121A (ja) 横向きクリップ付き衣料用ハンガー
KR20200001673U (ko) 접이식 장옷 걸이대
KR101159827B1 (ko)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